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수학능력시험 수학영역 교육방송(EBS) 연계문항 분석과 수능-EBS 연계 정책에 대한 비판적 고찰

        김한길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According to a survey of private education expenses conducted by the Statistics Korea, it is shown that the linkage of the education program of the Korean Education Broadcasting Station(EBS) with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CSAT) is not strong enough to draw positive effect in public educational environment as much as we plann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causes of the result of the survey by analyzing the CSAT in view of the mathematics area. In this study we show that the rate of direct linkage§ influencing individual score was only 39%, although the announced linked rate of the education program of EBS with the CSAT was 70%. Moreover we show that the EBS program does not have direct linkage with difficult problems in the CSAT. In conclusion, students who studied only with the EBS textbooks could not make a good score in the CSAT in the mathematics part. §Direct linkage: a type of questions formed by changing scale or utilizing graph or table from the problems in the EBS textbooks. 통계청에서 실시한 사교육비 조사결과에 따르면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문제를 EBS 교재와 70% 연계하여 출제하는 수능-EBS 연계 정책이 사교육비 절감 등의 교육정상화 정책에 있어서 기대한 만큼의 충분한 효과를 보지 못한 것으로 나타난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에 대한 원인을 수능시험의 분석을 통해 찾아본다. 분석의 결과, 수능 문제 중 EBS 교재와 연계된 문항의 비율(연계율)은 70% 로 나타났지만, 학생들이 연계를 체감할 수 있는 직접연계§ 유형은 39%로 낮았으며, 연계 출제된 수능 문제도 고 난도 문항 보다는 저 난도 문항 위주인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EBS 교재에 대한 학습만으로 수능시험에서 고득점을 얻기 어려웠을 것으로 판단된다. §직접연계: EBS 문항으로부터 문제 상황을 축소 확대 변형하거나 자료 상황을 활용하는 유형이다.

      • 선형유도전동기를 활용한 자동차 부품 운반 장치개발

        김한길 울산대학교 자동차선박기술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자동차 생산현장에는 많은 종류의 자동화 장비들이 있으며 자동화 작업의 대상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장치, 설비 및 장비들이 사용되고 있다. 자동화 시스템 중 큰 몫을 차지하는 것 중 하나는 운반 장치이다. 운반 장치는 크게 두 가지 형태로 나누어 보면 무한 괘도를 끊임없이 회전하는 방식의 컨베이어와 일정 구간을 반복하여 왕복하는 셔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PLC 응용기술인 통신 네트워크와 인버터를 활용한 선형유도전동기의 이용으로 자동차 부품 이송장치인 근거리 셔틀 장치에 적용하고 대차와 유틸리티를 커넥터로 연결하여 대차가 특정 작업위치에 도달해 있을 때에만 동력과 신호를 공급하도록 하여 유틸리티 공급용 전선과 공압호스 등의 기계적 피로 누적으로 인한 고장으로 부터 시스템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장비 성능의 향상, 자동화품질 안정화 및 작업성 향상을 기할 수 있도록 하였다. 대차에 설치된 자동화 지그 기계부분에 있어서는 공압 실린더를 사용하고 대차에 서비스 유닛(전기, 통신선로, 압축공기)을 통하여 스테이션의 작업 위치에서 커넥터를 통하여 연결 되도록 하였다. 대차는 스테이션 간을 이동할 때 인버터에 의해 제어되는 선형 유도전동기를 이용하도록 하였다. 대차는 출발지점에서 강한 힘으로 밀어주고 중간 지점에서는 관성에 의해 움직이며 도착 지점 근처에서 역 추진력을 발생시키고 감속한 후 최종정지는 기계적인 스토퍼(Stopper)에 의해 정지 하는 방식을 사용 하였다. 이로써 근거리 셔틀방식의 이송장치에 거추장스러운 각종 유틸리티 공급라인을 없애고 여기에서 발생하는 고장과 이에 따른 손실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게 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습득한 PLC 활용 기술 특히 분산제어 통신 시스템과 인버터 제어, 리니어 모터 제어 응용 기술 등을 통하여 향후 각종 자동차 조립 성능 향상, 자동화 시스템 개발 기술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re are many kind of automation equipments in vehicle manufacturing plant. Various automatic equipments are used for vehicle-making. Transporter occupy important part of automation system. Transport device can classification as following. The one is conveyor that turns infinitely and the other is shuttle that going and returning section of bounds. In this study, linear induction motor that using communication network and inverter that is a PLC application technology of use. This device applied to short distance shuttle conveyor that is auto-component carrier, and connected utility by connector. When shuttle conveyor has reached in specification work position, designed to supply power and signal. Front for utility supply and pneumatic hose etc. occurs breakdown by mechanical fatigue accumulation. Secure stability of system, and equipment performance of improve, and did so that can promise automation quality stabilization and workability elevation. Used pneumatic cylinder in automation jig machine part placed in giant swing to do. Go through service unit (electricity, communications lines, compressed air) in shuttle and did it so that may be connected through connector at work position of station. Shuttle did to use linear induction motor that is controlled by inverter when move from station to other station. Shuttle supports by strong force at departure agency, and moves by inertia at way point. Last stop used method that suspend by mechanical stopper after decelerate receiving station driving force at place of arrival neighborhood. Herewith, removed various utility supply lines that is burdensome to carrier of the short distance shuttle room. Could reduce breakdown and damage by this that happen here by minimum. I expect that can utilize usefully in a various car assembly performance improvement, an automation system development technology hereafter through application technology a PLC practical use technology mastering through this study especially control.

      • 추천알고리즘을 활용한 맞춤형 악성메일대응훈련 방안 연구

        김한길 한남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APT 공격 기법은 날로 진화하면서 기업과 기관들 뿐 아니라 사용자 개개인들에게도 위협을 가하고 있다. APT 공격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각 기업 및 기관에서 보안 체계를 확고히 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APT 공격의 특성이 특정 개인을 목표로 삼고 공격하는 유형이 많기 때문에 개개인의 보안 의식을 강화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APT 공격 기법 중 악성메일 공격에 대한 개개인의 보안 의식을 높이기 위한 방안 중 하나가 바로 악성메일대응훈련 시스템이다. 기존 악성메일대응훈련시스템의 대부분이 최근 유행하는 악성메일 공격을 모방해 만든 훈련모델을 활용하여 훈련하고 있다. 물론, 이러한 훈련방법이 나쁘다고 말하는 것은 아니다. 최근 유행하는 메일 유형이기에 이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움으로써 비슷한 유형의 메일을 받게 된다면, 그에 대한 대응을 수월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의미 있는 훈련이다. 하지만, 최근에 점점 지능화된 방법으로 사용자들을 노리고 있기 때문에, 최근 유행하는 메일 유형만으로 훈련하기에는 진화된 공격에 대해서 완벽히 대응하기는 어렵다. 이러한 문제에 대한 대응방안으로 본 논문에서는 콘텐츠 기반 필터링 방식과 아이템 기반 협업 필터링 그리고 무작위 추천을 혼합한 하이브리드 필터링(Hybrid Filtering) 방식을 제안하였다. 하이브리드 필터링을 제안한 이유는 협업 필터링만을 사용했을 때, 발생 할 수 있는 Cold-start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는 콘텐츠 기반 필터링 기법과 상대적으로 추천 알고리즘의 성능이 뛰어나다고 알려진 아이템 기반 협업 필터링 방식을 혼합하여 사용하기 위함이었다. 또한 훈련을 처음 접하게 되는 사용자들에게도 적절한 추천을 제공해주기 위해 단순히 무작위로 선택된 템플릿을 제안하기보다 전체 사용자들이 가장 선호하는 템플릿을 추천해 주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조합하여 하이브리드 필터링 방식을 제안하였으며, 콘텐츠 기반 필터링 방식과, 아이템기반 협업필터링 방식, 무작위 추천 방식을 훈련 대상자의 훈련 여부와 훈련에 대한 평가정보를 바탕으로 차등 적용하도록 구현하였다.

      • 스펙트럴 콘텐츠 분석에 기반 한 음성일치 향상에 관한 연구

        김한길 배재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31

        일상생활에서 음성으로 계약과 거래가 이루어질 때 발생되는 음성 정보가 아날로그 기기 또는 디지털 기기에 녹취되어 분쟁 시 본인 음성과의 일치 여부를 판별하는 기술이 중요시 되고 있다. 이로 인해 저장된 음성 데이터의 조작과 훼손으로 피해가 발생하는 일이 빈번히 일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사실과 데이터의 무결성을 검증하기 위한 기초적인 본질에 해당한다. 원본 음성데이터의 무결성을 검증하고 일치여부를 판별하기 위해 본인 음성을 분석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 사용되고 있는 스펙트로그램이나 주파수 파형을 분석하는 기술이 음성일치 여부를 판단하는데 있어서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스펙트럴 콘텐츠를 활용한 음성분석 방법을 통해 사람마다 고유한 음성주파수 형상을 분석하고 확인하여 음성일치여부를 판별하여 수행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방법을 제안하고 입증한다. 또한, 음질보정회로를 설계 및 제작하며 녹취된 음성신호가 아날로그 형식일 때 PCM(Pulse Code Modulation)화하는 과정에서 불필요한 잡음을 제거하고 특성을 향상하여 개선된 음성분석 데이터를 확보하였다. 이에 따라 기존 연구 결과보다 10% 향상된 음성분석의 이식성(Portability)을 연구 하였다. 음성분석 및 일치판별에 대한 연구 결과는 범사회적으로 음성관련 분쟁에 해결방안을 제시하여 음성관련 범죄를 예방하고, IT분야에서는 스마트기기나 보안기기의 음성인식을 활용한 기술 개발에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쿼드트리 알고리즘 및 2의 지수 형태를 이용한 디지털 워터마킹의 성능분석

        김한길 울산대학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encouraged the growth of digital contents. Unfortunately, the advance of the internet has led to a rapid increase in infringement of copyright by digital means. In other words, most of data can be distributed and modified without the permission of its owner. If data is illegally accessed or stolen, it becomes necessary to prove ownership of the data. One of the most sophisticated methods to prove ownership of digital contents is the digital watermarking technique. In this dissertation, digital watermarking methods using the wavelet transform, the quad-tree algorithm and the 2's exponential form are proposed.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digital watermarking method, the original images are transformed by using the DWT (Discrete Wavelet Transform) and AWPT (Adaptive Wavelet Packet Transform), and the watermarks are inserted into the transformed images by using the quad-tree algorithm and the Cox’s algorithm. The simulations for the performance analysis of the proposed algorithm are carried out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embedded watermarks into each subband coefficient (HH, LH, HL) of DWT, each DWT level, and each AWPT level. The simulation results of the proposed algorithm by using DWT a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proposed algorithm by using AWPT. In addition, the effects of the embedded watermarks into the lowest frequency band (LL) are also studied.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y using the AWPT(3 level) is higher than that by using the DWT(3 level). When 30~60% of all watermarks are inserted into the LL band,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are increased much higher, however, the PSNRs are decreased by 1~2㏈. Other proposed algorithm is that watermarks are inserted by using the 2's exponential form. The main idea of the proposed algorithm is the fact that any integer can be expressed as the summation of the exponents with the base of 2 and some numbers can be expressed in the same form if only the first few terms are considered. In this case, some amount of changes in a integer numbers does not affect the summations of the first few terms. The original images are decomposed in the wavelet domain, the significant coefficients are chosen by using the quad-tree algorithm, and the values of the significant wavelet coefficients are expressed by using the exponential form with the base of 2. Finally, the multiple barcode watermarks are embedded by modifying the remainders of the significant coefficients of the 2's exponent. When the proposed algorithm is applied, more accurate extracted watermarks are obtained by using the merging technique in the cases of the attacks of the Gaussian noise, the salt and pepper noise, and the JPEG compression. 본 논문에서는 이산 웨이블릿 변환(DWT: Discrete Wavelet Transform)과 쿼드트리 알고리즘(Quad-Tree Algorithm)을 기반으로 하여 2의 지수형태를 이용한 강인한 디지털 워터마크 기법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알고리즘은 이산 웨이블릿 변환을 적용하여 입력영상을 분해하고, 쿼드트리 분해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워터마크를 삽입할 중요 계수를 빠르고 정확하게 선택하였다. 선택된 웨이블릿 계수를 2의 지수형태로 변환하여 워터마크를 삽입하였다. 제안한 알고리즘의 시뮬레이션은 쿼드트리 알고리즘을 이용한 중요 계수의 선택과, 선택한 계수를 2의 지수형태로 워터마크를 삽입했을 때의 성능에 대하여 실시하였다. 실험은 쿼드트리를 이용한 계수선택의 적절성 여부를 세밀하게 평가하기 위한 실험과 2의 지수 형태의 워터마크 삽입에 대한 강인성 평가를 위한 실험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먼저 쿼드트리 알고리즘을 이용한 중요 워터마크 계수의 선택에 대한 성능 평가를 위해 DWT의 분할레벨(3, 4, 5, 6 레벨)과 부대역(Subband: HH, LH, HL)에 따른 워터마킹 효과와 AWPT 변환 레벨에 따른 워터마킹 효과에 대하여 수행하고, DWT를 이용한 결과와 AWPT를 이용한 결과를 비교하였다. 또한 최저주파수대역(LL)의 워터마킹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실험결과 6 레벨 DWT의 LL 대역을 제외한 모든 대역에 동시에 워터마크를 삽입하였을 때 다른 경우들과 비교하여 가장 좋은 결과를 보였다. 이 경우 3 레벨에서 같은 실험을 했을 때 보다 PSNR 성능은 최대 3㏈ 정도 낮아지지만 상관도 값은 최대 0.35까지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3 레벨 AWPT의 결과는 3 레벨 DWT의 결과와 비교하여 향상된 상관도 값을 보였고 변환 레벨이 높아질수록 비슷한 성능을 보였다. 또한 전체 워터마크 중 30~60%를 LL 대역에 삽입하였을 경우에 PSNR 성능은 1~2㏈ 정도 떨어지나 추출한 워터마크의 상관도 값은 향상된 결과를 보였다. 앞서 실시한 실험을 통하여 쿼드트리 알고리즘을 이용한 계수 선택의 우수성을 확인하고, 선택된 계수에 2의 지수 형태로 워터마크를 삽입하는 방법에 대한 강인성 평가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였다. 제안한 알고리즘은 세미블라인드(Semi-Blind)방식의 강인한 디지털 워터마킹 기법으로써 임의의 정수를 2의 지수의 합으로 표현할 수 있음을 이용하였다. 여기서, 임의의 정수에 어느 정도의 변화(가감)를 가하여도 2의 지수형식으로 표현하였을 경우에 최상위 1~2 자리의 값은 변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이 실험에서는 입력 영상을 3 레벨 이산 웨이블릿 변환하고 쿼드트리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워터마크를 삽입할 중요 계수의 위치를 선택하였다. 선택한 웨이블릿 중요 계수를 의 형태로 변환하여 값을 적절하게 조작하여 워터마크를 삽입하였다. 실험은 각각의 부대역에 20×20 (= 400 bits) 크기의 2차원 바코드 이미지 워터마크를 각각 삽입하고 가우시안 노이즈, Salt & Pepper 노이즈, 그리고 JPEG 손실압축의 3 가지 형태의 외란을 가하여 이미지를 변형시킨 후 각각의 부대역에서 워터마크를 추출하여 하나의 워터마크 결과로 병합하였다. 추출한 워터마크에서 가시적이며 주관적인 검출과 상관계수 계산을 통한 객관적인 강인성을 측정하였다. 또한 워터마킹의 효율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부대역에 따른 워터마킹 효과와 여러 부대역간의 병합효과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실험결과 3 레벨 웨이블릿 변환에서 LL 부대역을 제외한 모든 부대역에 워터마크를 삽입하는 경우와 계수 값이 비교적 큰 주요 4 대역(LH2, LH3, HL2, HL3)에 워터마크를 삽입하는 방법이 좋은 결과를 보였다. 제안한 알고리즘은 병합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주요 4 대역에 워터마크를 삽입하는 경우 모든 부대역에 워터마크를 삽입했을 때 보다 5 부분의 대역에 삽입되는 워터마크 수인 2,000개가 줄어들게 된다. 그 결과 PSNR 값이 최대 2㏈, 상관도 값 또한 최대 0.5 정도 향상된 결과를 보였다. 병합방식의 우수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추출 방식을 달리(병합하는 방식과 하나의 워터마크를 여러 대역에 나누어 삽입하는 방식)한 실험에서 두 방법 간의 PSNR 차이는 거의 없었으며 병합방식을 이용한 워터마킹의 상관도가 병합방식을 이용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최대 0.38 만큼 높게 나왔다. 제안한 알고리즘은 일부의 대역에서 어느 정도 손상을 입더라도 나머지 대역에서 이를 보완하여 향상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제안한 알고리즘은 세미블라인드 형식으로서 워터마크를 추출할 때 원본 호스트 영상이나 원본 바코드 영상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단지 워터마크를 삽입할 때 그 위치정보를 가지는 표(Location Table)를 작성하고 이것을 추출할 때 이용한다. 추출된 워터마크는 가시적으로 주관적인 감지를 할 수 있으며 상관계수 값을 계산하여 객관적 결과로 수치화할 수 있다. 제안한 알고리즘을 넌 블라인드(Non-Blind) 방식과 비교하였을 때 각종 노이즈 공격에 대한 강인성이 비슷하거나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 한국 교육행정학 연구 네트워크 분석 : 사회적 자본을 중심으로

        김한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한국 교육행정학 학문공동체는 1967년 3월 한국교육학회 산하에 교육행정학연구회가 발족되면서 그 기틀이 잡혔다고 볼 수 있다(김종철, 1985). 그 이래로 50여년 가까이 지난 지금, 양적인 규모나 질적인 면에서 많은 발전을 해왔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서정화, 2008). 하지만 그동안에 이행된 본 학문공동체에 대한 고찰은 대부분 연구가 어느 주제에 대해 어느 방법론을 사용해서 이뤄져 왔는지를 살펴보는 연구동향 연구와 학문공동체의 형성 및 발전을 역사적인 관점에서 쓴 회고록적 성격의 발표들이 대부분이었다. 이러한 선행 연구들은 학문공동체가 다루는 학문 그 자체에만 집중하여, 공동체의 사회적 측면을 고려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과, 실증적인 연구라기보다는 개념적 연구라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이러한 면에서 ‘연구협력’ 양태를 살펴보는 것은 학문공동체 내의 사회적 측면을 바라본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지닌다. 여러 연구협력의 종류 중에서도 가장 강력한 협력이라 할 수 있는 공동저술(co-authorship) 비율은 최근 10여년 동안 급성장하고 있다. 이는 전통적으로 대규모 연구를 시행해온 이공계 영역을 넘어서 사회과학 분야에서도 급속하게 늘어나고 있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교육행정학 분야에서 2002년에 80%에 가까웠던 단독 저술의 비율이 2013년에는 30%정도로 급락한 반면, 2014년에는 약 70%의 논문들이 2명 이상의 공동저술 형태로 집필되고 있었다. 무엇보다 이렇게 공동저술에 참여하는 연구자들 간에 형성된 사회적 관계는 어떠한 형태의 연구협력보다 활발한 상호작용을 전제로 하고 있기에 해당 연구의 성공적 수행을 담보하는 조건일 뿐 아니라, 그 이후 새로운 연구협력 구상의 시발점이 될 수 있다(최영훈·이강춘, 2009: 52).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 교육행정학 학문공동체의 연구 네트워크 구성원들의 배경변인 및 협력경향과 네트워크 자체의 특징을 파악함으로서, 한국 교육행정학 학문공동체에서 적용되고 있는 규범을 간접적으로 파악하고, 협력, 즉 사회적 자본이 개개의 연구자들에게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를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공동저술을 통해 형성되는 연구 네트워크를 살펴보고, 이러한 네트워크가 어떠한 연구자들로 구성되어 있는지, 그리고 그 협력의 양태와 효과는 어떠한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한국 교육행정학 네트워크 구성원 개개인 수준에서의 개인 배경 특성과 네트워크 차원에서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60대 이상이 절반을 차지하고 있었고, 20대나 30대를 합해도 10%가 조금 넘는 수준이었다. 또한 남성이 전체의 약 70%를 차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더 많은 논문 수와 인용지수를 보이고 있었다. 이러한 연령 및 성별의 구성은 신진학자와 여성 연구자들의 학문공동체 참여를 독려할 수 있는 정책의 필요성을 말해주고 있다. 신진학자들이 중견학자와 협업을 할 수 있는 환경과 높은 연령의 학자들이 정년퇴임 후에도 본 학문공동체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고려해보아야 한다. 또한 여성들이 남성들보다 공동연구를 수행하는 비율이 약 10% 높다는 사실은 여성들의 협력에 대한 강점 및 성향을 보여준다. 현재 낮은 비율이기는 하지만 이미 약 30%를 차지하고 있는 여성 학자들의 협력에 관한 강점 및 성향을 고려하여, 이들이 감당해야할 역할을 학문공동체적 차원에서 고민해볼 필요가 있다. 학문적 배경에 있어서는 교육학 전공자가 90%에 달하고, 국내 또는 미국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한 학자가 99%에 가깝다. 80%에 가까운 구성원들이 대학소속이고, 53.1%가 수도권에 몰려 있었다. 이러한 구성원들의 동질성은 연구 분야 및 성향에 대한 동질성으로 이어질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집단지성의 측면에서 봤을 때, 학회의 장기적인 발전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학문공동체의 논의가 단일적으로 흐르거나, 이들 간의 상호작용조차 큰 효과를 발휘하기 힘들 기 때문이다. 특히 현장과 분리될 수 없는 교육행정학의 특징을 고려해본다면, 교육 현장의 초·중·고등학교 교사들과 교육청 및 공공기관 행정 담당자들의 참여 독려가 필요하기에, 대학원과정에 대한 지원을 늘릴 필요가 있다. 이러한 면에서 최근의 교육대학원의 박사과정 개설은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이라 생각된다. 네트워크 차원에서의 한국 교육행정학 학문공동체는 상대적으로 다른 네트워크들에 비해 평등한 모습을 띠고 있었다. 하지만 2007년에 들어서 연구자들 간의 공저자수의 편차가 증가할 뿐만 아니라, 근접 중심성, 매개 중심성과 같은 유리한 구조적 위치에 대한 편차 또한 증가하고 있다. 장기적으로 이러한 편차의 증가가 학문공동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지에 대한 고려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구성원 및 네트워크의 특징을 살펴본 후, 공동저술이 어떠한 저자들 간에 이뤄지고 있는지 그 양태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본 네트워크 구성원들은 공동 연구 파트너를 고를 때 성별이나 나이와 같은 개인의 인구사회학적 변인이나, 박사학위 취득 나이, 연구자로서의 명성, 출신 학교(박사)의 명성, 소속기관 종류 및 명성과 같은 학문공동체에서의 명성 및 연구능력을 고려하고 있지 않았다. 반면 협력을 하는데 있어 고려되는 요소는 동일한 전공인지, 같은 학교(박사) 출신인지, 동일한 지역에 속한 기관에 근무하고 있는 연구자인지, 비슷한 연구 성향(공동 연구비율)을 가지고 있는지 등이었다. 논문 성과에 있어서는 구성원들 간 격차가 큰 상황임이도 불구하고, 협력을 할 연구자를 선택함에 있어서 해당 연구자 및 출신학교, 소속기관 등의 명성을 고려하지 않는다는 것은 네트워크에서 학문적 명성이 낮은 신진학자와 명성이 높은 중견학자 간에 활발한 상호작용이 일어날 수 있는 가능성을 말해주어, 장기적으로는 네트워크 불평등을 줄일 수 있는 긍정적인 방향으로 해석된다. 하지만 명성보다 지리적 근접성이나 기존에 알고 있을 확률이 높은 같은 학교나 같은 전공 연구자를 선택한다는 것은, 공동저술 행위가 개인과, 학문공동체의 연구 성과 향상으로 이어지기 보다는 개인의 편의에만 안주하는 양태임을 간접적으로 드러내준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연구자들 개인적으로도 공동저술의 본연의 목적인, 외연을 확장하고, 새로운 지식을 습득하기 위한 공동저술을 해나가도록 하는 노력이 필요하고, 학문공동체 차원에서도 서로 다른 전공, 학교(박사) 출신, 지역 간, 교류가 일어날 수 있도록 교류지원사업을 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특히 교육행정학 네트워크 규모가 미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한국에서는 네트워크 전체 수준에서의 소통이 중요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구성원들 간의 공동저술로 인해 형성된 한국 교육행정학 학문공동체 네트워크를 통해 연구자 개개인이 얻을 수 있는 사회적 자본과, 그에 따른 인지적 자본의 상승효과를 측정하였다. 첫째, 한국 교육행정학 학문공동체에서 인지적 자본을 높이는 데는 평균적으로 이전 시기의 관계적 자본과 매개 중심성, 구조적 공백 정도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지만, 근접 중심성만은 유일하게 정적인 효과를 보여주고 있었다. 하지만 그 효과는 연구자의 일생 주기에 따라 달라진다. 몇 명의 서로 다른 사람과 공동저술을 경험하는지는 대학원 시기에는 인지적 자본 형성에 영향을 주지 못했지만, 박사학위 전후에는 이 후 개제한 연구 논문 개수를 유의미하게 늘려주고 있었다. 대학원 과정 시기가 박사학위 전후 시기보다 공동저술을 평균적으로 더 많이 경험함에도 이러한 결과가 나오는 것은, 박사학위 전후의 연구자 시기 때 박사 논문과 환경의 변화로 인해 공동저술의 경험은 적어지지만, 상대적으로 이 경험이 양적 성과에 미치는 효과는 큰 것을 의미한다. 또한 신진학자 시기 때의 공동저술 경험은 유의한 영향력을 미치지 않지만, 중견학자의 시기 때는 오히려 여러 학자들과 공동저술을 할수록, 발표하는 논문 개수가 줄어드는 현상도 발견할 수 있었다. 다양한 학자들과의 공동저술 경험이 박사 학위 전후에는 정적인, 중견 학자 시기에는 부적인 영향력을 끼친다는 것은 학문을 공부하는 박사 학위 시기의 학자에게는 다양한 학자들과의 상호작용이 그 학문적 근원을 형성하는데 도움이 되지만, 어느 정도 해당 학문에 대한 역량이 성장하여 스스로 연구를 진행할 수 있는 정도의 중견학자 시기 때는, 오히려 남들과 협력하는 것보다 스스로 생각하고 고민하는 것이 그 더 많은 양적 성과로 돌아올 수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논문 인용횟수에는 연구자 전체 경력에서 평균적으로 근접 중심성만이 유일하게 긍정적 영향력을 끼치고 있었다. 이는 특정한 정보에 다른 연구자들보다 상대적으로 빠르게 접근할 수 있는 위치가 논문의 질적 성과를 증가시켜줌을 의미한다. 해당 인접중심성은 논문 인용횟수뿐만 아니라 박사학위 전후의 시기만 제외하고는 모든 시기에 걸쳐서 연구의 질까지 높여준다. 이는 교육행정학계가 다 학문적인 성격과 현장 지향적인 성격을 동시에 띠고 있다는 점을 고려했을 때, 이러한 근접 중심성이 높은 위치는 새로운 정책에 대한 요구 및 결과에 대한 접근, 연구를 진행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데이터에 대한 접근, 새로운 연구 아이디어를 위한 다양한 정보에의 접근이 중요함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셋째, 사회적 자본이 논문의 질에 미치는 영향은 연구자의 일생 주기에 따라 달라진다. 대학원시기 때, 특정 연구자와 여러 번의 공동저술을 하는 빈도가 늘어나면 오히려 해당 논문의 질은 떨어진다. 반면 인접중심성이 높은 위치로 옮겨가게 될 때, 인용지수는 급격하게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강한 연결의 수의 부적 영향은 대학원 시기에 동일한 연구자들과의 여러 번의 공동 연구를 하기 보다는 보다 다양한 연구자들과 협력하는 것이 더 도움이 된다고 말할 수 있다. 인접중심성의 정적 영향력은 대학원 시기에 대부분의 연구자들이 대학원 시기에는 같은 대학원 소속의 동기 및 선후배 또는 지도교수와 공동저술을 경험한다는 것을 고려해본다면, 선배 및 지도교수와의 협력으로 인한 연구물로 인해 과대 추정된 값임을 의심해 볼 수 있다. 넷째, 박사학위 전후의 연구자 시기 때의 사회적 자본은 논문의 질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다가 신진학자, 즉 박사 학위 받은 이후에 가지게 되는 구조적 자본은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흥미로운 사실은 인접중심성이 정적으로 이후 연구 인용정도를 높여주는데 반해, 매개 중심성은 이 후에 생산되는 연구물의 질을 유의하게 낮추고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박사 학위를 받은 이후에는 인접중심성이 높은 연구자와의 협력을 통해, 여러 정보를 빠르게 받아들이는 것이 이 후 학자로서의 성장에 중요한 영향을 끼친다고 할 수 있다. 반면, 이 시기의 매개중심성이 높은 위치는 상대적으로 힘이 없어 매개자의 역할을 수행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오히려 정보의 과 부화를 일으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본 한국 교육행정학 학문공동체의 장기적인 발전에 있어 여러 시사점을 제공해준다. 공동체가 형성된지 50여년이 지난 지금, 본 연구의 제언이, 차 후 50여년의 계획 수립과 그 발달에 조그마한 기여를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조선시대 다포계 건축의 첨차형태 변화연구 : 주심첨차와 출목첨차를 중심으로

        김한길 경기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조선시대 다포계 건축의 공포를 구성하는 주요부재인 첨차의 형태 특성과 변화를 고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조선시대 다포계 건물 82동을 선정하고, 첨차의 길이와 조형비례를 분석하였으며, 세부마감형태를 유형화하여, 그것들이 시기별로 나타나는 변화양상을 고찰하였다. 1장 서론에서는 연구대상 건물과 범위를 선정하고 그 동안의 선행연구를 정리하였으며, 2장에서는 첨차의 종류와 기능에 대해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포간거리와 결구부재에 따른 첨차길이의 변화를 분석하고, 첨차의 조형비례의 변화에 대해 살펴보았다. 4장에서는 공안과 단부의 형태에 따라 첨차를 유형별로 분류하고 그 특성을 정리하였으며, 5장에서는 시기별 첨차 형태변화를 정리하고 그 요인을 고찰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조선시대 다포계 건물에서는 포간거리가 일정하지 않을 경우 공포간격을 균등하게 보이도록 하기위해 첨차 길이를 조정하였는데, 후기로 갈수록 첨차 길이를 조정한 건물의 비율은 감소한다. 이러한 첨차 길이 조정의 방식은 조선초기에는 대․소첨차 길이를 각각 다르게 조정하는 방식에서 조선후기에는 첨차길이를 모두 일정하게 조정하는 방식으로 변화하였다. 이것은 조선초기에 공포와 포벽의 전체적인 형태를 우선시하는 경향에서 조선후기에는 치목과 조립의 효율성을 중시하여 첨차부재를 표준화 시키는 경향으로 바뀌었기 때문이다. 둘째, 출목첨차 길이는 첨차와 보의 결구여부에 영향을 받는다. 조선초기에는 첨차와 보가 결구되어 주심․출목첨차 길이가 같은 경우가 많았지만, 조선중기에는 첨차와 보가 결구되지 않게 되면서 출목첨차 길이는 주심첨차보다 짧아졌으며, 조선후기에는 다시 첨차와 보가 결구되면서 출목첨차 길이가 길어져서 주심첨차와 같은 경우가 많게 되었다. 셋째, 중첨차는 조선중기에 재료를 절약하고 의장적 효과를 위해 일부 지역에서 사용되었으며, 주장첨차는 조선후기에 작업이 편리하고 구조적으로 유리한 장점 때문에 궁궐과 사찰의 주요 전각에 사용되었다. 이것은 후기로 갈수록 의장적 요인보다는 구조와 작업의 효율성에 따라 그 공법과 형태가 변화하였기 때문이다. 넷째, 첨차의 폭과 높이 비는 후기로 갈수록 커지는데 이것은 첨차의 단면형태가 세장해졌기 때문이다. 대‧소첨차 상단 끝을 연결한 사선의 기울기는 조선전기에 완만한 건물들이 대부분이었으나, 후기로 갈수록 포간거리가 짧아지고 첨차 높이가 높아짐에 따라 그 기울기가 큰 건물들이 많아졌다. 다섯째, 조선초기에는 모든 건물의 첨차에는 공안이 있었으나, 조선 중‧후기에는 공안이 있는 건물의 비율이 줄어들었으며, 공안의 형태는 후기로 갈수록 작아진다. 그러나 조선후기 궁궐 전각에 나타난 공안의 형태는 점점 커지는 것을 볼 수 있다. 여섯째, 다포계 공포 첨차의 단부 형태는 상부를 수직으로 마감하고 하부는 둥글게 한 교두형이 대부분이었다. 일부 지역에서는 첨차 단부 상부를 사절형으로 하기도 하고, 초각형 첨차를 사용하기도 하였는데, 이것은 첨차를 날렵해 보이게 하고 장식화 하려는 조형적 의도가 표현된 것이다. 위의 결과를 종합하면 첨차형태는 그 시대의 조형의식과 조영체제의 변화, 다포계 건축의 양식변화로 인하여 변화되어 왔다. 조선초기에는 관에서 장인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과 관리를 통해 건물을 조영할 때 전체적인 통일성과 조화를 꾀할 수 있었지만, 조선후기에는 민간장인이 성장하고, 분야별 전문장인이 등장하여 공포와 같은 단위의 구성요소가 표준화되고 부품화되는 경향을 가져왔다. 이에 따라 조선초기에는 공포와 포벽의 전체적인 조화를 이루기 위해 첨차의 길이를 각각 다르게 조정하였지만, 조선후기에는 작업의 효율성을 고려하여 첨차부재를 중시함으로써 첨차 길이조정 방식이 단순화되고 동일화되어 갔다. 그리고 조선후기 다포계 건물은 출목이 증가하고, 부재는 세장해지며 장식화 되어 간다. 내출목의 증가로 첨차와 보가 결구됨에 따라 출목첨차 길이는 주심첨차 길이와 같아졌으며, 부재가 세장해지면서 첨차 부재의 폭‧높이의 비가 켜졌고, 공포의 개수가 많아지면서 대‧소첨차 사선의 기울기도 커져갔다. 또한 후기로 갈수록 공포가 점점 장식화 되어 제공의 형태는 더욱 복잡하고 화려하게 변화해 갔지만, 이와는 반대로 첨차는 개수가 많아져 그 형태는 점점 표준․단순화 되어갔으며, 이것을 중첩하여 설치함으로써 그 조형미가 돋보이도록 하였다.

      • 친환경 옥상 도시농업에서 방향식물과 공영식재에 따른 작물의 생육 및 해충방제 효과

        김한길 건국대학교 GLOCAL(글로컬)캠퍼스 일반대학원(GLOCAL)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Plant growth and Pest control Effects of Companion Planting with Aromatic Plants in Eco-Friendly Urban Agriculture on the Rooftop Kim, Han gil Department of Green Technology Convergence Graduate School of Konkuk Universit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plants growth, productivity and pest control effects of companion planting with aromatic plants on rooftop. Red pepper(Capsicum annuum) and Lettuce(Lactuca sativa) as experimental plants were planted with Rosemary(Salvia rosmarinus), Marigold(Tagetes patula), Korea perilla(Perilla frutescens), and Garlic chives(Allium senescens) in the ratio of 2 to 1. Soil temperature and moisture content were measured. Also, plant height, leaf length, leaf width, number of leaf, fresh and dry weight of plants, as well as fruit length, fruit weight, number of fruit, fresh and dry weight of fruit were calculated as well. As a result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il planted with Red pepper and aromatic plants, it was found that companion planting with Garlic chives created a favorable soil environment for Red pepper. The growth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red peppers showed the best growth when red peppers and garlic chives were planted together. The fruit productivity of Red pepper, as influenced by aromatic plants, also demonstrated high quality planted with Garlic chives. When lettuce and aromatic plants were planted together, soil measurements confirmed that the soil environment had a insignificant effect on the growth of lettuce when lettuce and garlic chives were companion planting. The growth and productivity of lettuce were also high overall planted with Garlic chives. As a result of growth measurement, the height and relative chlorophyll content of lettuce was the highest in companion planting with Garlic chives as well. fresh weight of lettuce leaves was analyzed to be the heaviest in companion planting with Korea perilla. Pest traces were gradually observed from 84 days after planting, and show low tendency with planted garlic chives.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judged that planting Garlic chives and plants is suitable for effective crop cultivation in rooftop urban agriculture. However, a proper crop management plan depending on rooftop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should be presented, and further research is needed, such as analyzing the ingredients by dividing the planting rate in detail in the future. 친환경 옥상 도시농업에서 방향식물과 공영식재에 따른 작물의 생육 및 해충방제 효과 본 연구는 옥상 도시농업에서 작물과 방향식물의 공영식재에 따른 작물의 생육 및 생산성, 해충 방제효과를 보고자 실시되었다. 작물은 고추(Capsicum annuum)와 상추(Lactuca sativa)를 사용하였고, 방향식물로는 로즈마리(Salvia rosmarinus), 메리골드(Tagetes patula), 잎들깨(Perilla frutescens, 부추(Allium tuberosum)로 작물과 방향식물을 각각 2대 1 비율로 식재하였다. 측정 항목은 토양의 온도 및 수분함량, 작물의 초장, 엽장, 엽폭, 엽수, 생체중, 건물중, 과실장, 과실경, 과실수, 과실의 생체중, 건물중, 해충 섭식흔적을 측정하여 함께 심은 방향식물 별 생육과 생리, 생산성과 해충 방제효과를 확인하고 분석하였다. 고추와 방향식물의 공영식재에 따른 토양 특성 결과 고추와 부추가 공영식재한 부추 처리구에서 식물이 생육하는데 유리한 토양 환경을 조성한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고추의 생육 및 생리 특성 결과 고추와 부추를 함께 식재 하였을 때 가장 우수한 자람세를 보여주었다. 이는 고추와 부추를 공영식재하였을 때 생육 및 생리와 관련하여 가장 효율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방향식물에 따른 고추의 과실 생산성 또한 고추와 부추를 공영식재 시 고추의 품질이 높게 나타났다. 상추와 방향식물의 공영식재에 따른 토양 측정 결과 상추의 생육에 주는 영향은 미미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생육 측정 결과 초장은 상추 부추 공영식재에서 크게 나타났다. 상추의 생리 분석 결과 상대엽록소함량은 부추 처리구에서 가장 높았고 잎들깨 처리구에서 가장 낮아 상추와 부추를 공영식재하였을 때 높은 상대엽록소함량을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상추의 생산성 분석 결과 엽장과 엽폭, 엽수는 부추 처리구에서 큰 값을 나타냈으며 상춧잎의 생체중은 잎들깨 처리구에서 가장 무거운 것으로 분석되었다. 해충 섭식흔적은 식재 후 84일부터 점점 관찰되었고, 부추와 공영식재한 실험구에서 해충의 섭식흔적은 낮은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보았을 때, 옥상 도시농업에서 방향식물과와 공영식재 할 경우 부추와 작물을 식재하는 것이 효과적인 작물 재배를 진행하기에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하지만 옥상의 환경 특성상 이에 맞는 작물 관리 방안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며, 추후 식재 비율의 구성을 다르게 하여 성분분석을 하는 등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라고 사료된다.

      • 강판과 고분자 코팅재로 보강된 조적벽체의 내진 보강 효과에 대한 연구

        김한길 부산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조적벽체에 대한 새로운 내진 보강 공법인 강판 코팅재 보강 공법을 제안하고 실험적 연구를 통해 제안된 공법의 면내 방향 내진 성능을 확인한 후, 해석적 연구를 통해 여러 가지 변수에 따른 강판의 전단 보강 효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강판 코팅재 보강 공법은 기존의 강판 보강 공법에서 미장 대신 코팅재 도포를 통해 벽체를 마감하는 공법으로, 면내·외 방향에 대하여 조적벽체를 내진 보강하는 동시에, 공사비와 공사 기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코팅재 보강 공법과 강판 보강 공법, 그리고 강판 코팅재 보강 공법의 내진 보강 성능을 확인하기 위해 면내 방향으로 정적 반복가력 실험을 진행한 결과, 코팅재 보강 공법을 적용할 경우 조적벽체의 연성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나 면내 방향에 대한 전단 강도는 향상시키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판 보강 공법을 적용할 경우와 강판 코팅재 보강 공법을 적용한 경우, 벽체의 전단 강도와 강성을 모두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강판 코팅재 보강 공법을 적용할 경우, 강판 보강 공법을 적용한 경우보다 더 높은 에너지 흡수 능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때 강판 보강 공법을 적용한 경우, 파손된 미장면 조각과 벽돌 조각이 낙하하였으나, 강판 코팅재 보강 공법을 적용한 경우, 코팅재가 미장면 조각과 벽돌 조각을 잡아주어 파편이 낙하하지 않았다. 또한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신뢰성이 검증된 FEM 해석 모델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변수에 따른 전단 보강 효과를 분석한 결과, 강판의 폭과 두께 및 벽체의 형상비가 증가할수록 강성과 보강 효과가 모두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판의 전단 보강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을 때, 벽체 형상비가 강판 설치 비율보다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조적벽체 양면에 4행 2열로 강판을 설치하여 얻을 수 있는 전단 보강 효과를 조적벽체의 형상비와 강판의 설치 비율에 따라 정량화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