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김하연의 "Trio for Clarinet, Violin and Piano" 분석연구

        김하연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79

        본 논문은 김하연의 "Trio for Carinet, Violin and Piano"(2008)에 관한 분석 연구이다. 작곡가가 대학원 재학시 작곡한 이 곡은 단악장 형식의 3중주 작품이며, C부분을 축으로 하여 아치(arch)형태로 이루어져 있는 A-B-C-B'-A'의 5부분 형식으로 되어있다. A,B,C 각 부분은 서로 다른 빠르기로 이루어져 있으며 다양한 음색적, 리듬적, 선율적 요소를 통해 여러가지 분위기로 전개된다. A부분과 A'부분은 서로 모티브를 주고 받는 세 악기를 통해 익살스럽게 전개되며 B부분과 B'부분은 각각 클라리넷과 바이올린의 선율이 피아노의 두터운 화성의 구성 음으로부터 파생되는 방식을 통해 전개된다. C부분은 5개의 부분들 중에서 가장 느린 빠르기로 연주된다. 이 부분은 '몽롱하세 꿈을 꾸듯이'라는 나타냄말로 표현되어 있는데, 그러한 분위기를 나타내기 위헤 클라리넷과 바이올린의 선율에는 캐논(canon)기법이, 피아노에는 현을 뜯거나 글리산도(glisando)하는 주법이 사용된다. 이 곡은 하나의 아이디어가 곡 전체에 걸쳐 긴밀하게 연관되어 있다기보다는 각 부분이 다양한 아이디어로 이루어져 다채로운 분위기를 만들어 낸다. 음악적 내용은 독립적인 아이디어를 통해 다양성을 추구한 반면, 형식은 안정적인 아치 형태로 구성하면서 이 곡에 통일성을 부여한다.

      • 빅데이터를 활용한 국내 춤의 사회문화적 현상과 의미 탐색

        김하연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enhancing the value of dance in the culture and art industry and cultural enjoyment among the public by examining the phenomena and characteristics of dance revealed in Korean press reports, and analyzing sociocultural functions. For achieving this purpose, this study targeted press reports, which show information about a wide range of dance comprehensively and extracted the phenomena of dance using topic modeling, which is a kind of big data analysis technique. Moreover, sociocultural functions and meanings were finally looked into, based on literature reviews, and the research questions set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phenomena of domestic dance revealed in press reports? Second, what are sociocultural functions of domestic dance? The term of analysis for solving the research questions was a total of 11 years from January 2010 to December 2020. Considering the high influence of public opinions and the high news share, the articles with the key words ‘Choom’ and ‘Dance’ searched on the Naver News homepage that is reliable were coded into Python and web-scraping was conducted. A total of 19,648 data were gathered and 18,608 data excepting 218 ones that did not fit the study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After that, data preprocessing and morphological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NetMiner and then the phenomena were analyzed using topic modeling, which is one of big data analysis techniques. In order to inquire into sociocultural functions and meanings during categorization, content analysis was performed focusing on the definition of 『Dance』(original title: 『Dancing-The Pleasure, power and Art of Movement』), which theorizes sociocultural functions of dance in the whole world, and domestic preceding studies. The primary results obtained from mixed method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 of TF simple frequency analysis of all the documents showed that ‘Performance’ was the most frequent word, and it was followed by ‘Korea’, ‘Stage’, ‘Culture’, ‘Image’, ‘World’, ‘Art’, ‘Work’, ‘Music’, ‘Festival’ and ’Event’. Especially, ‘Culture’, ‘Image’ and ‘World’ meant dance as a pivotal role of global culture, ‘Video’, ‘Facebook’ and ‘Sympathy’ referred to major phenomena of dance with the advancement in science technology, and ‘Festival’ and ‘Event’ displayed the importance of dance phenomena in community festival culture. Second, according to topic analysis and content analysis of major phenomena of dance in press reports, they were categorized into ‘dance as a popular culture content’ and ‘dance as pure art’. In relation to ‘dance as a popular culture content’, ‘the ripple effect of dance art’ was classified into the topics; ⑥sports culture and dance, ⑨dance in musical, acting and play, ⑩promotion and dance in politics, ⑪the national impacts of SNS dance and internet meme, ⑭the voice and power of dance with a story, ⑮ entertainment and dance, ⑰issues of dance education in the COVID-19 era and ⑲ dance in the field of labor culture. ‘Global culture and related industry’ was classified into the topics; ①K-POP and i-dol stars’ dance, ②change in trend of international dance festivals, ⑦dance on video share platforms and SNS, ⑧development of digital dance industry for the 3rd and 4th industrial revolution, ⑬dance and regional tourist industry and ⑳laws ad institutions related to dance. ‘Health and social integration’ was classified into the topics; ③dance and art education in sociocultural environments, ⑫improvement in life quality through dance and ⑯dance for health. ‘Traditional succession and scientific meaning’ in ‘dance as pure art’ was classified into the topics; ⑤dance as a cultural heritage to succeed to tradition and ⑱professional art-related dance and operational project. ‘Dance as a convergence medium’ was classified into ④change in trend of dance as pure art. Third, sociocultural functions depending on the phenomena of dance in Korea are as below. ‘Dance as a popular culture content’ functioned as ①dance as a representation of cultural identity(change in trend of international dance festivals, dance and art education in sociocultural environments, improvement in life quality through dance, the voice and power of dance with a story, dance for health), ②dance as an expression of social order and power(promotion and dance in politics, dance in the field of labor culture, laws and institutions related to dance), ③dance as an expression of cultural custom(sport culture and dance, entertainment and dance), ④dance as a medium mixing cultures(dance in musical, acting and play, dance and regional tourist industry) and ⑤dance as an indicator showing who we are today and where we are heading(K-POP and dance of i-dol stars, dance on video share platforms and SNS, development of digital dance industry for the 3rd and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national impacts of SNS dance and internet meme). ‘Dance as pure art’ functioned as ①dance as classical art(dance as a cultural heritage succeeding to tradition, professional art-related dance and operational project) and ②dance as a creation by individual artists(change in trend of dance as pure art). Among the topics, ‘issues of dance education in the COVID-19 era’ was not included into the existing theories, and dance as an expression of religious worship included in the theoretical framework was not revealed in the major phenomena of domestic dance. This indirectly implies that the range of religious dance is shrinking. This study has significance by analyzing sociocultural phenomena and functions of dance in Korea using mixed methods research, looking into the history and meaning of dance enjoyed socially and providing basic data to improve dance culture. The big data analysis technique for investigating the phenomena of dance can be applied to research on diverse environments and cultures related to dance, and further research will need to target platforms involved in dance for reflecting the trend of the present time. Furthermore, there will be a need to reduce study subjects and themes for each topic for an intensive meaning search from social, policy-level and anthropological viewpoints.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한민국의 언론보도에 나타나는 춤의 현상과 특징을 파악하고, 사회문화적 기능을 분석함으로써 문화예술 산업과 대중들의 문화향유에 있어 춤의 가치를 높일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하여 넓은 범위의 춤에 대한 정보를 총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언론보도를 연구대상으로 설정하였으며, 빅데이터 분석 기법인 토픽모델링을 활용하여 춤의 현상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어 인류학‧사회학 관점에서 문헌연구를 진행해 최종적으로 사회문화적 기능과 의미를 탐색하고자 하며, 이를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언론보도에 나타나는 국내 춤(댄스)의 현상은 어떠한가? 둘째, 국내 춤(댄스)에 나타나는 사회문화적 기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분석기간은 2010년 1월부터 2020년 12월까지 총 11년으로 설정하였다. 여론의 영향력과 뉴스 점유율이 높아 신빙성이 있는 네이버 뉴스 홈페이지를 통해 ‘춤’, ‘댄스’로 검색되는 기사들을 파이썬(Python)언어로 자체 코딩화 하여 웹 스크래핑(web-scraping)을 진행하였다. 수집된 총 19,648건의 자료를 기반으로 연구에 부합하지 않은 자료 218건을 제외한 후 최종분석에는 18,608건을 사용하였다. 이후 넷 마이너를 활용해 데이터전처리 및 형태소 분석을 실시한 후, 빅데이터 분석방법 중 토픽모델링(topic modeling)분석을 통하여 현상을 도출하였다. 범주화 과정에서 사회문화적 기능과 의미를 탐색하기 위하여 전 세계를 대상으로 춤의 사회문화적 기능을 이론화한 『춤』(원제:『Dancing-The Pleasure, power and Art of Movement』)의 정의와 국내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내용분석을 수행하였다. 따라서 혼합방법 연구(mixed methods research)를 통한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문서에 대한 TF 단순빈도분석 결과, ‘공연’단어가 최상위로 나타났고, 그 뒤로 ‘한국’, ‘무대’, ‘문화’, ‘영상’, ‘세계’, ‘예술’, ‘작품’, ‘음악’, ‘축제’, ‘행사’ 순으로 나타났다. 그 중 ‘문화’, ‘영상’, ‘세계’의 단어는 글로벌 문화의 중추적인 역할의 춤을 의미했고, ‘동영상’, ‘페이스북’, ‘공감’은 과학기술발전에 따른 춤의 주요 현상을 나타냈으며, ‘축제’, ‘행사’는 공동체축제문화에서의 춤에 대한 중요성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둘째, 언론보도에 나타나는 춤의 주요현상을 토픽분석과 내용분석을 진행한 결과, ‘대중문화콘텐츠로서의 춤’과 ‘순수예술로서의 춤’으로 최종 범주화 되었다. ‘대중문화콘텐츠로서의 춤’ 중 ‘춤 예술의 파급력’은 토픽 ⑥스포츠문화와 춤, ⑨뮤지컬‧연기‧연극에서의 춤, ⑩정치에서의 홍보와 춤, ⑪SNS춤과 인터넷 밈의 국가 경제적 파장, ⑭이야기를 담은 춤의 목소리와 힘, ⑮유흥과 춤, ⑰코로나(COVID)-19시대의 춤 교육현장 이슈, ⑲노동문화현장에서의 춤으로 분류되었다. ‘글로벌 문화 및 관련 사업’은 토픽 ① K-POP과 아이돌스타의 춤, ②국제 춤 축제의 트렌드 변화, ⑦동영상공유플랫폼과 SNS에서의 춤, ⑧제3차‧4차 산업혁명에 따른 디지털 춤 산업개발, ⑬춤과 지역관광산업, ⑳춤 관련 법제도로 분류 되었다. ‘건강 및 사회통합’은 토픽 ③ 사회문화적 환경에서의 춤과 예술교육, ⑫춤을 통한 삶의 질 향상, ⑯건강을 위한 춤으로 분류 되었다. ‘순수예술로서의 춤’ 중 ‘전통계승 및 학술적 의미’는 토픽 ⑤ 전통을 계승하는 문화유산으로서의 춤, ⑱전문예술무용 관련 춤과 운영사업으로 분류 되었다. ‘융합 매개체로서의 춤’은 ④순수예술의 춤 트렌드 변화로 분류되었다. 셋째, 대한민국에 나타나는 춤의 현상에 따른 사회문화적 기능은 다음과 같다. ‘대중문화콘텐츠로서의 춤’은 ①문화적 정체성의 표상으로서의 춤(국제 춤 축제의 트렌드 변화, 사회문화적 환경에서의 춤과 예술교육, 춤을 통한 삶의 질 향상, 이야기를 담은 춤의 목소리와 힘, 건강을 위한 춤), ②사회질서와 권력의 표현으로서의 춤(정치에서의 홍보와 춤, 노동문화현장에서의 춤, 춤 관련 법제도), ③문화적 관습의 표현으로서의 춤(스포츠문화와 춤, 유흥과 춤), ④문화들이 혼성되는 매체로서의 춤(뮤지컬‧연기‧연극에서의 춤, 춤과 지역관광산업), ⑤오늘날의 우리가 누구이며, 어디를 향하고 있는지를 알리는 지표로서의 춤(K-POP과 아이돌스타의 춤, 동영상공유플랫폼과 SNS에서의 춤, 제3차‧4차 산업혁명에 따른 디지털 춤 산업 개발, SNS춤과 인터넷 밈의 국가 경제적 파장)의 기능을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순수예술로서의 춤’은 ①고전예술로서의 춤(전통을 계승하는 문화유산으로서의 춤, 전문예술무용 관련 춤과 운영사업), ②개인예술가들의 창조물로서의 춤(순수예술의 춤 트렌드 변화)의 기능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토픽 중, ‘코로나(COVID)-19시대의 춤 교육 현장 이슈’는 기존이론에 포함되지 않았으며, 이론적 틀에 포함된 종교적 숭배의 표현으로서의 춤에 대한 현상은 국내 춤의 주요현상에서는 나타나지 않아, 종교적 무용 활동의 범위가 축소되고 있음을 간접적으로 확인 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혼합방법 연구(mixed methods research)을 활용하여 대한민국에서 나타나는 춤의 사회문화적 현상과 기능을 분석함으로써 사회적으로 향유되는 춤의 역할과 의미를 파악하고 댄스문화 개선 방향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춤의 현상을 파악하기 위한 빅데이터 분석기법은 춤과 관련된 다양한 환경과 문화연구에 적용 될 수 있을 것이며, 후속연구에서는 현대시대의 트렌드에 맞게 춤과 연관성 있는 플랫폼으로 대상을 확장시켜 분석할 필요성이 요구된다. 아울러 각 토픽별로 연구 대상과 주제를 축소시켜 사회‧정책‧인류학적 관점에서의 집중적인 의미탐색이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 인지능력을 기반으로 한 치매예방 기능성 게임 앱 설계 및 구현

        김하연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opulation of elderly people in Korea is rapidly increasing, and it is expected to enter the post-aged society in 2026, and many problems are emerging. Among them, dementia is a representative disease that increases with age, but there are still not enough studies on dementia and also it is not founded full recovery method. Therefore, this paper proposed dementia prevention method based on cognitive ability, and implemented serious game app through this method, also verified the efficiency of this serious game app.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serious game app, a program was implemented with five cognitive abilities such as thinking, observing ability, comprehension, conceptual power, and memory ability. In the experiment, brain waves measured before, during, and after serious game play which is based on simple arithmetic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dementia to verify that the brain is activated. Through this experiment, it was confirmed the brain was activated and also five cognitive abilities were increased. Future research is to objectify and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serious game by introducing other experimental methods such as questionnaire and comparing it with the experimental method proposed in this study. 우리나라의 노인인구는 급격히 증가되어, 2026년에는 초 고령 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되며, 그에 따른 많은 문제점들이 대두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치매는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발생이 증가하는 대표적인 질환이지만, 아직까지도 치매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완치하는 방법 또한 찾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치매에 걸린 환자들이 아니라 경도 치매(경도, 인지, 장애, 치매) 전 일반인이 치매를 예방할 수 있는 인지능력을 기반 한 치매 예방 방안을 제안하고, 이를 앱으로 구현하고 구현된 앱의 효율성을 검증하였다. 제안하는 기능성 게임 앱의 효과성 검증을 위하여 5가지 인지능력인 사고력, 관찰력, 이해력, 발상력, 기억력을 기반으로 한 프로그램을 기능성 게임 앱으로 구현하였으며, 실험은 뇌파를 게임 전, 플레이, 게임 후로 측정하여 뇌의 활성화를 비교하고 분석한 결과, 활성화 정도가 높아짐으로써 뇌가 인지능력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연구로는 다변량 설문조사와 fMRI 같은 다른 실험방법을 도입하여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실험방법과 비교분석하여 제안하는 기능성게임의 효과성을 객관화하고 검증하는데 있다.

      • 슈퍼비전 경험이 사회복지사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광주지역 중심으로

        김하연 초당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사회복지사의 소진과 관련하여 소진을 감소시키기 위한 대응 방안에 하나로서 슈퍼바이저의 지지가 중요한 변수로서 지적되어 오고 있다. 그러나 사회복지 실천 과정 및 현장의 특성으로 사회복지사의 소진을 경험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사회복지사의 소진 예방 및 감소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슈퍼비전 경험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크게 셋 가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는 사회복지실천 현장에서 활용되고 있는 슈퍼비전 경험을 슈퍼비전의 하위 요인인 행정적 슈퍼비전, 교육적 슈퍼비전, 지지적 슈퍼비전 경험이 사회복지사의 소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둘째 생활시설과 이용시설의 근무하는 사회복지사의 슈퍼비전 경험은 어떠한지 살펴보는 것이다. 셋째는 생활시설과 이용시설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의 슈퍼비전경험이 사회복지사의 소진예방 및 감소전략을 모색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광주지역 시설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생활 시설과 이용시설로 구분하여 조사하였으며 총 197부를 빈도 및 백분율, t검증, f검증, 상관관계, 회귀분석 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활시설과 이용시설에 근무하는 조사 대상자의 슈퍼비전과 슈퍼비전 하위요인 모두 그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생활시설 보다 이용시설에 근무하는 조사 대상자의 슈퍼비전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슈퍼비전 경험과 슈퍼비전 만족도가 정적 상관관계로 보여 슈퍼비전 경험 수준이 높을수록 슈퍼비전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슈퍼비전 장애 요인에 대해 생활시설에서는 슈퍼바이저의 시간부족으로 이용시설에서는 사회복지사의 과다업무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슈퍼비전의 활성화 방안에서는 생활시설에서는 슈퍼비전 정례화 및 구조화가, 이용시설에서는 슈퍼비전 관련교육의 기회와 슈퍼비전의 정례화 및 구조화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다섯째 생활시설과 이용시설에 근무하는 조사 대상자 모두 슈퍼비전 경험이 높을수록 소진이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회귀분석 결과 조사대상자의 슈퍼비전 경험이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슈퍼비전 경험과 소진은 유의한 상관관계인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생활시설에 근무하는 조사대상자는 슈퍼비전 하위 요인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보다 전체적인 슈퍼비전 경험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 더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제언하였다. 사회복지사의 슈퍼비전의 실천을 위해서는 첫째 사회복지 기관에서 구조화된 슈퍼비전교육이 정규적으로 평가 도입할 필요가 있다. 둘째 생활시설에서는 집단 슈퍼비전 뿐 만 아니라 일대일 슈퍼비전 및 동료집단 슈퍼비전에 대한 교육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셋째, 모든 사회복지사에게 슈퍼비전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고 특히 기관장과 슈퍼바이저들의 슈퍼비전 인식 개선을 위해 단체나 학교에서의 보수 교육을 실시될 필요가 있다. 넷째 슈퍼바이저에 대한 정기적 보수교육을 통해 슈퍼바이저의 질적 향상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 슈퍼비전의 제도화를 통해 사회복지사의 소진 예방 및 감소뿐만 아니라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는 서비스의 질을 향상 시킬 수 있는 것이다. 후속 연구를 위해서는 첫째 슈퍼비전 경험은 객관적인 지표로 측정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교육적 슈퍼비전과 소진의 인간관계를 밝힐 수 있는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이상의 제언이 수행될 경우 사회복지기관에서 이루어지는 슈퍼비전의 활성화가 체계화됨과 더불어 슈퍼비전을 통해 사회복지사의 소진, 감소 또는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된다.

      • 프로스포츠구단의 소셜미디어 속성이 구단이미지, 구단만족 및 구단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김하연 동의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프로스포츠구단이 제공하는 소셜미디어의 속성이 구단이미지, 구단만족 및 구단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과관계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2012년 국내 프로스포츠 구단이 제공하는 소셜미디어를 사용해 본 경험이 있는 팬들을 모집단으로 설정하여 프로야구구단 중 SK와이번스, 한화이글스, NC다이노스 그리고 프로축구구단 중 FC서울, 수원삼성, 대전시티즌으로 선정하였다. 각 구단의 소셜미디어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에게 구글(Google)문서도구로 작성된 설문지를 소셜미디어 활용하여 무작위로 배포하였다. 회수된 428부 중 이중응답이나 불성실한 설문을 제거한 후 392부를 실제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PC 17.0버전을 이용하여 기술분석(Descriptive Analysis),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 신뢰도 검증(reliability analysis), 상관관계 분석(correlation analysis), 단순회귀분석(simple repression analysis),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통해 분석되었다. 위와 같은 과정을 거쳐 밝혀진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스포츠구단이 제공하는 소셜미디어의 속성은 유희성, 상호작용성, 편의성, 정보제공성, 실시간성이 구단이미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프로스포츠구단이 제공하는 소셜미디어의 속성 중 실시간성을 제외하고 편의성, 유희성, 상호작용성, 정보제공성이 구단만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구단이미지는 구단만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구단이미지와 구단만족은 구단충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CXCR4 길항제인 AMD3100의 다발성 골수종 세포의 증식 촉진

        김하연 忠南大學校 大學院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AMD3100, an antagonist of the chemokine receptor CXCR4, is about to be used clinically for the peripheral mobilization of haematopoietic stem cells (HSCs), especially in patients with lymphoma and multiple myeloma. However, AMD3100 has been shown to activate a G protein coupled with CXCR4 and thus acts as a partial CXCR4 agonist in vitro. I explored whether AMD3100 affects the proliferation and survival of myeloma cells. AMD3100 markedly inhibited the stromal cell-derived factor-1 (SDF-1) mediated chemotaxis of myeloma cells, and it stimulated the proliferation of myeloma cell lines and CD138+ primary human myeloma cells (~2-fold increase), which was inhibited by pre-treating the cells with pertussis toxin (PTX). Additionally, AMD3100 enhanced the proliferation of U266 and ARH77 cells induced by interleukin-6 and partially reversed the AG490-mediated growth inhibition and the apoptosis induced by serum deprivation in RPMI8226 cells. AMD3100 on its own induced the phosphorylation of Akt and MAPK p44/p42 in RPMI8226 and U266 cells and, and this was inhibited by PTX.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MD3100 can induce the phosphorylation of the signaling molecules and stimulate the proliferation of myeloma cells, most likely through a mechanism via CXCR4.

      • 전북지역 일반소비자와 HACCP 지정업체 종사자의 식품 구매 시 식품위생지식 활용도 및 실천도

        김하연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효과적인 위생안전 관리 시스템으로서 HACCP가 도입되면서, HACCP를 적용하는 업체가 증가하고 있으나, 식품사고는 여전히 증가되는 추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HACCP 종사자와 일반 소비자 간의 식품 위생 및 실천도를 비교하여 HACCP 교육에 관한 향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2009년 4월 15일부터 4월 30일까지 전라북도의 일반소비자 208명, HACCP종사자 88명에 대하여 일반정보 9문항, 식품위생지식 33문항, HACCP 이해에 관한 8문항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평소 섭취하고 있는 식품의 위생상 안전성에 대하여, '안전하다'라고 응답한 소비자는 15.9%이었으며, HACCP종사자는 42%가 안전하다고 응답하였다(p<.01). 안전하지 못하다고 생각하는 이유에 대해 분석한 결과, '저급, 수입농산물, 불량원료 등 식품원료 때문에'가 30명(35.3%)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 결과는 대다수의 사람들이 평소 섭취하고 있는 식품에 대해 전반적으로 깊은 신뢰를 가지고 있지 않음을 보여준다. 두 집단간의 식품위생지식에 있어서는 HACCP종사자(m=4.6)의 경우 소비자(M=4.3)에 비해 세척/소독을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상대적으로 식품위생지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p<0.01), 실천도에 있어서는 차이가 없었다. 즉, 작업장에서의 HACCP교육이 실제 가정에서까지 실천으로 이어지지 못하는 단순한 지식전달의 획일적 교육에 그치고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HACCP에 대한 인식문항에 있어서, HACCP종사자의 경우 47.7%, 소비자의 경우 10.1%가 잘 알고 있다고 응답하였으며(p<0.001), HACCP를 잘 알지 못하는 233명 중 117명은 '국가 차원에서의 홍보부족'이 HACCP의 낮은 인식의 원인이라고 응답하였다(p<0.001). 본 연구결과 우리나라 소비자의 식품 위생 관련 지식과 실천도는 매우 낮으며 HACCP인식 또한 낮게 조사되었다. 따라서, 식품위생 지식 및 HACCP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해서는, HACCP 관련종사자들이 모든 영역에서 실천 가능한 맞춤형 교육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 이며, 정부의 HACCP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HACCP is effective system as the hygienic safe management and the company applied HACCP is coming to be many, the foodstuffs accident is more increasing.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perceptions and practices of consumers on food hygiene in order to collect some information for the development of HACCP education program. Total 296 consumers were asked to answer for survey constituted with 9 questions of generic information, 33 questions of food hygiene knowledge and 8 questions of HACCP perceptions during April, 2009. Survey respondents were 208 people of ordinary consumers and 88 people of employees of HACCP certified industry in JeonBuk Province. The statistical data analysis was completed using the SPSS program. About hygienic safety of the foodstuffs which intakes as usual, the ordinary consumer (15.9%) showed a low-end trust compared with the employees of HACCP certified industry (42%) (p<0.01). The major reason is appeared with low quality, imported agricultural products and defective materials. In the survey of food hygiene knowledge, employees of HACCP certified industry were familiar with food hygiene knowledge than ordinary consumers, but the practical degree of two groups did not have a difference (p<0.01). This result shows the HACCP education is not connected with a practice. In the survey of HACCP perceptions, employees of HACCP certified industry and ordinary consumers answered to knowing well with 47.7% and 10.1%, respectively (p<0.001). Respondents of 117 people from 233 who do not know well about HACCP answerd the cause was lack of national publicity (p<0.001). Results of this research, the consumer’s food hygiene knowledge and practice are very low and perceptions of HACCP were also low. The higher food safety perception, the better food safety practices of consumers. These results suggest that national publicity and the systematic education of the HACCP system must be made for the employees and everyone else who are related.

      • 1인 가구를 위한 서비스디자인 개발 방안

        김하연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전 세계적으로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는 1인 가구의 영향력은 문화, 경제, 사회 전반적인 부분에서 급속도로 비중이 증가하고 있다. 그에 따라, 많은 기업들과 정부는 1인 가구를 위한 맞춤형 상품들을 제공하고 있다. 주택의 경우도 역시 1인 가구를 위하여 모든 시스템을 갖추고 소비자가 몸만 들어가서 살 수 있을 정도로 경제적 효율성이 높은 맞춤형 공간을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맞춰진 상품들의 제공은 1인 가구가 생활함에 있어 부족함이 없을 수 있으나 이로 인하여 사회적으로 가장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는 외로움과 같은 정신적인 문제를 가중시킨다. 부족함이 없거나 넘치지 않는 상품들로 인하여 오히려 사람들과의 교류단절을 가속화시켜 사회적 고립감과 소외감으로 인한 문제가 생길 수 있는 것이다. 또한, 1인 가구는 많은 역할을 스스로 수행하고 있어 물질적 제공보다는 무형의 서비스에 대한 필요가 요구된다. 그렇기 때문에 새롭게 대두되는 1인 가구의 거주 공간에서는 그들 역할의 일부를 대신해주고, 때로는 대화를 할 수 있는 대상이 필요하다. 즉, 그들의 특성에 맞춰 제공되는 유무형의 서비스디자인 개발방안이 적극적으로 필요한 시기이다. 본 연구는 거주공간에서의 서비스를 1인 가구에게 제공함으로서 1인 가구의 생활의 편의 상승과 서비스 활용을 통한 공동체의 교류활성화까지 유도하고자 하는 목적을 지닌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서비스디자인 제안은 1인 가구에 대한 기본 제공서비스, 서비스의 다양한 제공방법, 공동체의 자발적인 서비스 활용방법 3가지로 분류하였다. 첫째, 1인 가구들은 기본적으로 제공되어야 하는 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명확했다. 이를 잘 활용하면 기본 제공서비스로 인하여 거주 만족도를 높이고, 공급자 입장에서는 분양시에 다른 주택과 차별화된 요소를 부각시킬 수 있다. 둘째, 서비스 제공방법을 통하여 기존에 1인 가구 주택을 분양하는데 있어서 공급 촉진의 일환으로 적용하였던 홍보용 서비스 제공과는 달리 실질적으로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공급자는 운영의 효율성을, 수요자는 생활의 편리를 보장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 서비스의 제공방법을 거주공간 주변의 환경과 연계하여 서비스 제공요소를 변형하여 활용하면 1인 가구의 생활의 편의상승을 유도할 수 있다. 셋째, 1인 가구들은 공동체 교류의 필요성을 인식하면서도 공동체 교류방법에 대하여 친목 이외의 방법은 검토하지 않았던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방법은 친목에 대하여 강요하는 불편함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생활에 있어 필요한 부분을 서로 해소해 주는 방법을 활용함으로서 자연스럽게 공동체의 교류까지 활성화 시킬 수 있는 부분을 서비스를 통하여 제안하고자 했다. 이와 같은 서비스디자인은 생활의 편의 상승을 통하여 1인 가구의 삶의 질을 상승시키는 역할을 하며, 서비스를 활용한 공동체 교류 활성화는 현재 폐쇄적인 1인 가구의 거주공간에서 공동체 문화를 형성하는 요소로 작용 할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은 1인 가구의 사회적인 불편함과 문제점을 가장 가까운 거주공간에서 해소할 수 있는 새로운 대안으로 활용되는 것에 기여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