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 초기 문명사의 전환과 김시습의 <유금오록(遊金鰲錄)>

        김풍기 ( Kim Pung-gi ) 한민족문화학회 2018 한민족문화연구 Vol.62 No.-

        고려 말 본격적으로 수입된 성리학 기반의 유교는 조선 건국과 함께 하나의 국가학으로 인정되었지만, 지식인들 사이에서 수용되기까지 많은 시간과 여러 논의가 수반되었다. 특히 기득권 세력인 불교와의 사상적 논쟁은 여전히 많은 관심을 필요로 한다. 그런 맥락에서 김시습의 시문은 다양한 논점을 제공한다. 여기서는 그의 <유금오록> 소재 시문을 대상으로 유불교체기의 문명사적 전환에 대한 김시습의 입장을 논의하고자 한다.그러나 유교화 과정은 16세기 전반에 이르러서야 완성되었다고 할 수 있다. 불교의 철학적 개념을 유교적 개념으로 바꾸는 일은 단기간에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었다. 그 과정에서 많은 지식인들이 논쟁을 벌였다. 김시습은 유교와 불교 교체기에 활동했던 중요한 인물이다. 정치적 사건 때문에 승려가 되었지만(그의 불교 이름은 ‘설잠’이었다), 그는 늘 유교 사회가 만드는 관료 생활에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불교 경전을 깊이 연구하는 한편 유교 경전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유교와 불교의 화해를 도모했다. 그 과정에서 김시습의 내면 풍경과 사상적 갈등은 한시로 표출되었다. 그러한 점을 가장 잘 보여주는 것이 바로 <유금오록>이다. 이 논문은 김시습이 엮은 시집인 <유금오록>을 통해서 불교를 어떻게 유교와 결합하고자 했는지, 승려로서의 심리적 갈등이 어떻게 작품으로 표현되었는지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With the founding of Joseon Dynasty, the process of Confucian transformation, which had been going on since the late 14th century, came to fruition. The Koryeo Dynasty, whose system had been fundamentally and philosophically operated based on Buddhism, was transformed into a Confucian-based nation by gentry(Sadaebu) class. Even though Neo-Confucianists owed much to the philosophical basis of Buddhism, they built their own world by condemning Buddhism as heterodoxy. Koryeo Intellectuals who studied in Yuan Dynasty after this dynasty had accepted Neo- Confucianism as a national study became a pioneering class that made Confucianism their philosophical basis.It is reasonable, nevertheless, to state that the process of Confucian transformation was completed in the first half of the 16th century. To transform the philosophical basis of Buddhism into Confucian one was not able to accomplish in a short period of time. Furthermore, intellectuals were inevitably confronted with lots of controversial and fierce arguments during this process.Kim Si-Seup, a scholar, writer, and also Buddhist monk, is an important figure during this transition period from Buddhism to Confucianism. Although he became a monk-his Buddhist name is 'Suljam' -due to some political matters, he was always interested in bureaucracy of Confucian society. In addition to studying Buddhist scriptures in depth, he, with a profound understanding of Confucian classics as well, pursued reconciliation between Confucianism and Buddhism. His inner reflection and ideological conflicts, in that process, were expressed in his poetry written in Chinese. It is 『Yugeumorok(遊金鰲錄)』, which is a collection of poems and whose title means ‘the record of rambling and savoring moments on Geumosan, that projects images of Kim Si-Seup’s inner world closely. Through 『Yugeumorok(遊金鰲錄)』, this paper, therefore, discusses how Kim Si-Seup strived to combine Buddhism with Confucianism as well as how he tried to depict his own inner conflicts as a monk into his works.

      • 17세기 시가의 향유방식과 허균의 문학

        김풍기(Kim Pung-gi)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4 江原人文論叢 Vol.12 No.-

        17세기의 황폐한 문화적 토대는 이전 시기의 문화적 성과를 제대로 이어받지 못하는 결과를 낳았다. 이 시기 음악사 연구가 미진한 것도 황폐한 문화적 환경과 함께 자료의 산실에 근거한다. 문제는 어떻게 그것을 극복할 것인가 하는 점이다. 필자는 이 시기의 개인문집을 중심으로 유흥공간의 묘사를 살핌으로써 상당 부분 보충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한다. 연희공간은 공적인 것과 사적인 것에 현저한 차이를 보인다. 범박하게 나눌 때, 공적 연회공간이 잘 짜여진 체제와 많은 인원을 동원하는 방식이라면 사적 연회공간은 술과 음악, 기생으로 구성되는 간단한 방식이다. 공적 연희공간에서는 악장(樂章)과 같은 공식적인 음악 중심의 연주가 이루어지는데 비해 사적 연회공간은 다양한 노래들이 연행된다. 그 과정에서 우리는 17세기에 불리웠던 우리말 시가의 현황을 짐작할 수 있다. 〈산자고〉나 〈최득비여자가(崔得?女子歌)처럼 정확히 어떤 것인지 그 실체를 짐작하기 어려운 것도 있지만, 〈관서별곡〉 〈관동별곡〉 〈장진주〉 와 같이 널리 알려진 시가가 연행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사적 연희공간에서의 악기 구성은 주로 북, 피리(퉁소), 거문고 등이었으며, 기생의 노래를 동반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허균의 기록 속에 등장하는 연회공간에서는 대부분 이들 중 최소한의 요건만을 갖추면 충분히 놀이가 지속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 같은 단편들을 모아서 재구성한다면 17세기 음악사와 시가사의 궤적을 복원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 논문은 그 첫걸음인 셈이다. In the devastated cultural foundation of the seventeenth-century Chos?n, cultural achievement of the previous centuries could not spread its root. The reason that extensive research was not done on the musical history of this period is that cultural environment of this time was too devastated and much of the original materials were scattered and lost. Now the issue is how to overcome this situation: centering on individual's anthologies of that time and exploring the portrayals of the amusement and entertainment space would provide some solutions to this. Space for entertainment displays distinctive differences between that of public and private. A simple way to distinguish between them is that the public entertainment space requires well-organized system and a good deal of people and the private entertainment space constitutes of drink, music and kisaeng (women entertainers). While music of diverse kind could be played in the latter, that which was composed to serve official purpose, such as akchang, was played in the former. In this settings, we could get a glimpse of some of the Korean songs recited in seventeenth-century Chosen. There are some of which that are unknown to the contemporary scholars or readers such as Sanjago or Choe Tukbi yojaga; but one could also see that relatively familiar songs like Kwanso pyolgok, Kwnadong py?lgok, Changjinju were recited. The music played in private entertainment space generally required instruments such as puk (drum), t'ungso (flute), k?mun'go (string instrument) and was accompanied by the songs by kisaeng. Ho Kyun's records illustrate that the minimum of these components were enough to maintain the entertainment. Collecting and reconstructing these fragments would enable to restore the history and trajectories of seventeenth-century music and poetry. This paper can be the first step to that path.

      • 허균의 문화적 토대와 독서 경향

        김풍기(Kim Pung-gi)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5 江原人文論叢 Vol.14 No.-

        허균의 독서는 자신의 상상력을 제약하는 성리학적 공부 방식에 비판적인 입장을 취하게 하였다. 모든 논의를 하나의 결론으로만 집결시키려는 중앙 집권적 독서 방식에서 벗어나는 효과적인 방법은 다양한 책을 읽는 일이었다. 하나의 절대적 결론으로 모든 것을 귀결시키는 독서와는 달리, 허균의 독서는 새로운 분야에 대한 호기심과 모험으로 가득했다. 그의 광범위한 독서를 그 이전의 詞章學과 연결되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면, 허균의 사장학적 독서는 질적으로 다른 차원을 형성하는 것이었다. 즉 조선 전기 문인들의 광범위한 독서가 단순히 독서의 흥미 차원을 충족시키기 위한 도구였다면, 허균의 경우는 자신의 삷을 바꾸는 도구였다. 그의 관심을 충족시키기 위해서 자연스럽게 명나라의 도서 시장을 주목하게 되었다. 그런 점에서 허균이 중국에 사신으로 가거나 중국 사신을 접대하는 임무를 수행한 것은 중요한 전환점이었다. 중국 서적을 읽고 얻은 새로운 지식과 안목은 허균을 새로운 사상적 혹은 문학적 지평으로 이끌었고, 중국 사신에게 얻은 서적과 당대 중국 문단에 대한 지식은 넓은 세계를 향한 새로운 발걸음을 재촉했다. 몇 가지 문제에도 불구하고 허균의 독서 형태에는 조선 후기를 준비하는 징후들이 발견된다. 첫째, 조선 전기 사장파 문인들의 독서 및 공부 방법을 이어 받으면서 그 내용을 다채롭고 충실하게 했다는 점이다. 둘째, 자신과 동시대 중국 문단에 대한 왕성한 관심과 함께 그들을 읽은 경험이 자신의 글쓰기 및 사유를 만들어 나가는 데에 중요한 자료로 삼았다는 점이다. 셋째, 藏書家의 출현을 예고한다는 점이다. Heo Kyun's reading experience turned him critical to the Neo-Confucian ways of studying under Chu Hsi's influence that limited his imagination. Reading diverse books was an efficient way to escape from the centralized reading that reduced all the discussions to one conclusion. In contrast to the type of reading that drew everything into one absolute conclusion, Heo Kyun's reading was filled with curiosity about and adventures into the new fields. If the connection can be found between his extensive reading and sajang-hak, the study of poetry and writing of the time, it could be said that his literary reading took it to a different level. For instance, if the literati of early Choson had done extensive reading simply for the sake of their interest and fun, for Heo Kyun, reading was a method which enabled him to change his life itself. In order to fulfill his interest, naturally, Heo Kyun paid attention to the book market of Ming Dynasty. In this sense, it was a significant turning point for him to go on a tributary mission to China or to undertake the mission of receiving the Chinese envoys. The new knowledge and perspective he attained through Chinese books led him to a new ideological or literary dimension; the books and information about the literary circle of China that he acquired from Chinese envoys hastened his steps toward the larger world. Despite some problems, Heo Kyun's reading experience reveal some symptoms indicating the shift: to a new era. First, he inherited the reading and study method from the literati of early Choson and diversified and enriched its content. Second, he used his interest about the literary circle of contemporary China and the reading experience as an important source for his writing and forming ideas. Third, it was a foreshadow to the emergence of book collectors.

      • KCI등재

        허균의 우정론과 그 의미

        김풍기(Kim Pung-gi) 韓國批評文學會 2010 批評文學 Vol.- No.37

        For most confucian scholars of Joseon, sharing the philosophical and intellectual vision was an important part of friendship. What bound them together was the congenial spirit as the fellow thinkers who follow the same path. Artistic taste or literary disposition was less of a matter in forming friendship. However, in reality, finding a friend who share the same intellectual vision was not an easy thing. For this reason, people preferred to communicate with the sages of the past through reading. This worked as the cultural basis to encourage “the idea of befriending the people from the past.” In comparison to this, Heo Gyun displays a different aspect. On the spiritual level, he also speaks of “the idea of befriending the people from the past.” At the same time, he shares friendship with the people of different social status with unreserved attitude in reality. He became friends with the sons of concubines who were lower in social standing and also ginyeo, the female entertainer/artist who held the lowest rank of society. Friendship with these underprivileged people or the minorities reveal a new form of relationship that was formed by Heo Gyun. He valued the common ground in artistic and literary taste and stressed the righteous spirit in friendship. In this sense, he displays the earlier form of the ethics of friendship that became more prominent among the confucian intellectuals in the 18th century Joseon.

      • KCI등재
      • KCI등재

        권위를 생성하는 글쓰기와 변계량의 문장의 문학사적 의의 -조선의 전통과 중화주의의 길항-

        김풍기 ( Kim¸ Pung-gi )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2021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53 No.-

        변계량의 시문 창작 능력은 조선 초기의 문인들 중에서도 손에 꼽을 만하다. 그의 시 창작 능력에 대해서는 일부 선행 연구가 있지만, 문장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형편이다. 그의 문집을 살펴보면 대부분의 글들이 공식적인 차원에서 지어진 작품이므로 문학사적 의의를 논의하기가 어려웠다. 그러나 공식적인 글쓰기가 가지는 관용성이 언제나 문학적으로 불필요한 것 혹은 논의의 가치가 없는 것은 아니다. 특히 변계량이 당면했던 조선 초기의 상황에서 공적 글쓰기는 새롭게 개국한 조선 왕조와 국왕의 권위를 만들어 내고 수식함으로써 건국의 명분과 수성(守成)의 기초를 닦는 역할을 수행했다고 여겨진다. 그의 문집에 보이는 다양한 문체의 글들은 조선이 공적 차원에서 필요로 했던 것들인데, 변계량은 그 글들의 모범을 제시하여 이후의 공적인 글들을 쓰는 모델의 역할을 수행했던 것이다. 이 같은 맥락에서 볼 때 변계량의 공적 글쓰기는 여러 방면에서 글쓰기를 공적 차원으로 끌어들였고 이 점은 조선, 초기 문학사에서 주목 받아야 한다고 판단된다. 유교 경전을 토대로 한 글쓰기, 불교 분야와 관련된 글쓰기, 제도의 운용 과정에서 소용되는 글쓰기, 역사적 정통과 관련된 글쓰기 등 그의 많은 글들이 사적 차원보다는 공적 차원에서 창작되었다. 글쓰기의 제도화가 동반되지 않으면 글쓰기를 통한 새로운 시대를 여는 일은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점을 감안할 때 변계량의 작업이야말로 조선과 국왕이 자신의 국가적 미래를 다지기 위한 가장 중요한 사업이었을 것이다. Byeon Gye-ryang's creating skills of poetry is one of the best among the writers in the early Joseon Dynasty. While there exist, in part, some prior studies on his capacity of writing poetry, those on his sentences themselves are insufficient. When looking into his works, it is difficult to discuss the significance of his works with reference to literary history because most of his writings were made at the official level. However, the very characteristics of formal writings are not always literary unnecessary or worthless of discussion. In particular, in the early Joseon dynasty, when Byeon Gye-ryang was facing, it is considered that formal writing granted and demonstrated the authority of the newly established Joseon Dynasty and its kings,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providing the country with justification and laying the foundation for succeeding to what the ancestors had achieved. The various writing styles in Byeon Gye-ryang's collection of works were what the Joseon Dynasty needed at the public domain at that time, and by presenting those kinds of writing examples, his styles came to be a model for formal writing later. After all, Byeon Gye-ryang's formal writings led writing itself to the public level in many aspects, which deserves proper attention in the literary history of the early Joseon Dynasty. Many of his writings, such as those based on the Confucian scriptures, related to Buddhism, useful in the process of operating national systems, and regarding historical orthodox respectively, were created at the public level rather than the private one. It is the case that the opening of a new era, for which the function of writing could be served, would not take place without institutionalization of writing. Hence, Byeon Gye-ryang's writing would be the matter of great importance for Joseon Dynasty and its kings so as to strengthen the country’s future prosperity.

      • KCI등재

        필담의 문화사: 조선후기 동아시아 문화 교류의 한 방법

        김풍기(Kim Pung-gi) 韓國批評文學會 2011 批評文學 Vol.- No.42

        이 논문은 조선과 중국의 지식인들이 교류했던 중요한 방식인 필담의 형성과 그 의미를 다룬 것이다. 말이 달라 대화를 할 수 없었지만 중세 공동문어(共同文語)인 한문을 이용하여 그들은 학문적 교분을 나누었다. 필담은 현장에서 이루어진 초고를 바탕으로 필담집으로 편찬된다. 그 과정에서 여러 가지 변개가 이루어진다. 필담 현장에서도 필담 내용을 삭제하거나 원고를 소각하는 등 상당한 변개가 이루어지는데, 이는 대부분 팔담 내용이 시국에 저촉되거나 공개되면 곤란했기 때문이다. 또한 글자를 하나씩 써나가는 동안 필담자는 자신의 생각을 정리할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하고 문학성을 가미한 문장을 구사하게 된다. 이 역시 필담이 말의 구비성에서 벗어나는 계기가 된다. 필담의 일차 자료가 만들어지면 그것은 재가공된다. 그 과정에서 필자는 일차 자료가 제공하는 정보에 일정한 변화를 준다. 필담집의 편찬에 필요하지 않는 자료는 채택하지 않음으로써 자연스럽게 사장되도록 만들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자료의 재배치라 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편찬자는 주제를 독자들에게 전달한다. 필담집이 필담 일차 자료보다 훨씬 정제된 형식과 문식성을 획득하는 것도 이 과정에서 이루어진다. 필담집이 편찬되어 유통됨으로써 필담집 편찬자는 주변의 지식인들과 그 결과물을 공유하면서 새로운 생각을 교환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통해 외부의 지식을 접하고 자신의 사유를 창조적으로 펼치는 자료로 삼았던 것이다. 그런 점에서 조선 후기 지식인들에게 필담의 역학은 주목되어야 한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formation and meaning of written conversation, which was an important form of cultural exchange for Joseon and Chinese intellectuals in order to communicate with one another. While they could not communicate through spoken language due to their differences, they could communicate through the common written language, Classical Chinese. These written conversations were compiled into a collection of written conversation. During this process, various modification and revision occurred. Sometimes parts of these written conversations were deleted or the manuscripts were burnt on-site, mostly because the contents might be too sensitive to be revealed or in conflict with the political climate of the time. The ones involved in written conversation could take time to recollect their thoughts and converse in a more literary language. When the primary material of written conversations was collected, it went through an editing process. During this process, the writers revised and modified the information that was provided by the primary material. They not only go through a careful selection process, but, most importantly, rearrange the materials. Through this, the compiler delivers a theme to the readers. This is when the written conversation acquires a more refined form and rhetorical embellishment. By having the collection of written conversation compiled and circulated among the intellectuals, the compiler shared thoughts and ideas with other intellectuals. In doing so, he could come in contact with the outside knowledge and use it as a source to express his thoughts creatively. Hence, due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role of written conversation among the intellectuals of late Joseon.

      • KCI등재

        조선 후기 제례(祭禮)에 나타난 제수(祭需) 진설(陳設)의 사례 연구 -『장절공묘소정식절목서(壯節公墓所定式節目序)』를 중심으로-

        김풍기 ( Kim Pung-gi ) 한민족문화학회 2021 한민족문화연구 Vol.73 No.-

        이 논문에서 필자는 조선 후기 제례가 변화해가는 방식을 통해서 종중이 형성되어 가는 과정을 살피고자 한다. 아울러 제수(제사 음식)를 진설하는 방식을 다른 사례와 비교하여 그 특징을 살피려는 것이다.18세기 후반이 되면 문중 개념이 보편화된다. 문중은 동일한 조상을 모시는 사람들의 총칭이다. 그들은 동일한 조상에게 제사를 지냄으로써 결속한다. 그러나 시조를 모시는 일은 많은 문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분란의 소지를 없애기 위해 문중 구성원들의 동의를 얻어서 규칙을 만든다. 그 규칙이 문서화되고, 그 문서에 의해 조상에 대한 제사가 이루어지는 것은 대체로 18세기 후반에서 19세기 전반이다.이러한 사례를 전형적으로 보여주는 것은 바로 『장절공묘소정식절목서(壯節公墓所定式節目序)』이다. 장절공(壯節公)은 신숭겸(申崇謙)의 시호이다. 고려의 개국공신인 신숭겸을 조상으로 모시는 평산신씨 가문은 1803년 이 문서를 통해서 묘를 관리하고 제사를 지내는 모든 것들을 규칙으로 정했다.『수호절목』에는 제사 음식을 차리는 방식이 그림으로 그려져 있다. 그것은 조선 초기부터 사대부들 사이에 중시되어 온 『주자가례』를 기반으로 하고, 율곡 이이의 『격몽요결』에 나오는 방식을 따르고 있다. 그렇지만 신숭겸의 제사에서는 이들보다 훨씬 확대된 방식의 제사 음식이 차려졌으며, 그것은 강원도 내의 다른 가문과도 차별성을 가진다. 특히 강릉김씨 가문의 음식이 바닷가의 성격을 반영한다면, 신숭겸의 경우는 내륙지방의 음식을 반영하고 있다.『수호절목』은 조선 후기 한 가문의 시조를 제사지내는 형식을 전형적으로 보여주는 문서로, 이를 통해서 우리는 문중이 결속하는 방식으로서의 제례를 분명하게 확인할 수 있다. This paper covers the process of the formation of Jongjung(the families of the same clan) by examining the ways of the ancestral rites being chang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It intend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arranging the ritual food as well, comparing the manners in some cases.In the late 18th century, the concept of Munjung, the general term for a group of families who worship the same ancestors, became common. While it was possible for them to bond together by holding memorial services for the same ancestors, however, since it was likely to cause many relevant problems, rules were established via the consent of the members of Munjung so as to eliminate the possibility of troubles.A typical example of these records is 『Jangjeolgongmyosojeongsikjeolmokseo』(壯節公墓所定式節目序). Jangjeolgong (壯節公) is Shin Sung-gyeom (申崇謙)’s posthumous name. The clan of Pyeongsan-Shin family, who holds Shin Sung-gyeom in veneration, one of the national contributors of Goryeo Dynasty, set the rules in 1803 for managing tombs and performing ceremonies through this document.『Suhojeolmok』 typically shows the form of a ritual ceremony for the progenitors of a family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through this document, we can clearly confirm the rites as a way of strengthening the families’ unity.

      • KCI등재
      • KCI등재

        명승 구성의 방식과 유형화의 길 :

        김풍기(Kim Pung gi) 한국언어문학회 2018 한국언어문학 Vol.104 No.-

        A subject s gaze is inevitably inherent in a process of discovering and appreciating any scenic spot. Landscape is not just recognized by natural objects themselves, but by the efforts of the subject who interprets the arrangement of natural objects from a new and different perspective and endows meaning to them. When the subject s interpretation and efforts get some social consensus and create various meanings, appeal, and emotions to the audience, people, only then, acknowledge a spot as a scenic place. Therefore, the subject s point of view is essential to the formation of the landscape. The initial perception of Gyungpodae and its surrounding landscape can be found in the records of An Chuk, a scholar and poet of late Goryeo Dynasty. Before An Chuk, people would generally accept a place as a beautiful landscape only when it draws people s eyes in a unique and unusual shape. But An thought that any place could be meaningful enough to appreciate even though it was just simple and still. In a transition to Joseon Dynasty, the landscape formation around Gyeongpodae, which An suggests through his own interpretation, arouses the Confucian scholars appreciation and, that way, Gyeongpodae is definitely recognized as the scenic place among the intellectuals of Joseon Dynasty. The landscape that people can look out over from Gyeongpodae is repeatedly and considerably reproduced, mainly focused on the image of the open sea and the serene lake. However, these landscapes are difficult to differentiate from similar ones in other regions. It is the elements reflecting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that give the differentiation to such a landscape of Gyeongpodae. By tracing Sa-seon, that is, four hermits, An Chuk emphasizes, as a cultural element of landscape formation, the specific images of Taoist hermits in the Silla Dynasty, which are later passed down in the Yeongdong area of Gangwon province. In this way, Gyeongpodae gains locality. Also, it acquires Arcadian imagery like Xanadu by being tinted with some Taoist images. Another element that shows regional characteristics is an old episode of Hongjang. This anecdote, which owes to Taoist images of Gyeongpodae, shows various amusements of taste and gallant spirit that the intellectuals of those days enjoy. Gyeongpodae becomes highly celebrated for a certain scenic spot by pre-modern intellectuals who dream of a Taoist ideal on the basis of Confucianism. Yet, it results in standardized typification of this place. In poetry depicting Gyeongpodae, materials and ways of expression are repeated similarly and typically. This tendency makes it possible for those who have not visited Gyeongpodae to share its archetypal images. As the perception of the subject becomes fixed to the language, the typification of the landscape gets increasingly intensifi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