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장생불사(長生不死)를 향한 염원 : 유불선(儒佛仙) 삼교일치(三敎一致)의 단학(丹學) 지침서 『성명규지(性命圭旨)』와 민화 유불선도(儒佛仙圖)와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김취정(Kim Chwijeong) 한국민화학회 2016 한국민화 Vol.- No.7

        인류는 장생불사(長生不死)를 꿈꾸어 왔다. 장생불사를 향한 염원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현실성을 추구한 유교보다는 불교나 도교 등의 신앙체계가 원용될 수밖에 없었다. 불로장생에 대한 염원과 관념체계는 도교의 신선 신앙과 관련이 깊다. 장생불사(長生不死)를 향한 염원을 현실화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한 책이 남아 있어 주목할 만하다. 그것은 바로 『성명규지(性命圭旨)』이다. 『성명규지』가 의미가 있는 것은 단지 심신 수련의 비법을 체계적으로 논술한 도교서(道敎書)이기 때문만이 아니다. 이 책의 특색은 도교의 수련 방법을 설명하면서 불교 고승의 어록이나 유교 성현의 명언집에서 관련 부분을 인용하여 도교적 방법의 정당함을 입증하려고 했다는 점에서 찾을 수 있다. 도교가 형성되고 전개되어 온 과정 자체가 여러 가지 종교와 사상의 특징을 포용하여 온 만큼, 유교, 불교, 도교의 삼교 통합관이 견지되어 온 것은 특별한 일이 아니다. 이 책에서 주목해야 할 점은 55점의 삽화이다. 유교 · 불교 · 도교 삼교(三敎) 통합관을 담고 있는 『성명규지』의 내용과 삽화는 유불선도 제작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성명규지』와 민화와의 관련성은 주목을 요한다. 『성명규지』 의 삽화와 그 내용과 주제에서 일치하는 민화가 제작되었기 때문이다. 이는 『성명규지』가 민화에 영향을 주었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것이며, 여기서 더 나아가 민화 유불선도에 영향을 주었을 가능성 또한 시사해 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성명규지』에 대한 내용을 상세히 살펴보고, 민화 유불선도에 『성명규지』내용과 그 삽도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Humans have kept on dreaming of the eternal life. To realize the aspiration toward the eternal life, people have to rely on the religions like Buddhism or Taoism rather than down-to-earth Confucianism. The aspiration and idea of the eternal life has deep relation with the belief in the Taoist hermit. A handed down book which shows the ways to realize the eternal life is noteworthy: Sengmyunggyuji(性命圭旨). It is worth not only because it systematically states secret methods of Taoist spiritual and physical training. The characteristic of this book is that when explaining Taoist training methods, it tries to legitimize them by citing from the quotations of the high Buddhist priests and from the analects of Confucian saints. As the process of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Taoism itself was embracing the characteristics of many religions and ideas, it is not eccentric to maintain the view of the consistency of three religions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What we specially have to note are the Sengmyunggyujis 55 pieces of illustration. It is probable that the content and the illustration of Sengmyunggyuji which states the view of the consistency of three religions had influenced on the production of the paintings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Especially, the relation of Sengmyunggyuji with folk paintings needs to be noted because the content and theme of folk paintings matches with the illustration of Sengmyunggyuji. This implies that Sengmyunggyuji had influenced on the folk paintings, and furthermore probably on the folk paintings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In this paper we are going to look at its content in detail and to discuss the possibility of its content and illustrations influence on folk paintings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 KCI등재

        근대기 평양지역 동양화단(東洋畵壇)의 형성과 전개

        김취정(Kim Chwi-jeong)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 2014 한국근현대미술사학 Vol.28 No.-

        Since the period of Joseon Dynasty, Seoul has been the center of culture and art in the Korean peninsula. With regard to formative arts, Seoul was dominated in the quality, sophistication, and quantity in the comparison with other provinces. Such situations became changed in modern times. During the modern period, local artistic communities that could be compared with artistic communities in Seoul were established. Among local artistic communities, Pyongyang painting circle was the most characteristic. Pyongyang was the base city of art equivalent to Seoul during the modern period and left distinctive traces beyond the meaning of a local painting circle. Pyongyang was the most representative space of entertainment and culture and arts. The rich social and economical circumstances of Pyongyang became the background to establish Pyongyang painting circle and to increase artistic capability. Pyongyang was the place that had artistic capability to allow painting activities and to produce high quality painting works. The characteristics of Pyongyang painting circle can be found at the point that it kept a more close relationship with Seoul painting circle than local artistic communities. The painters in Pyongyang painting circle during the modern period actively involved in the distribution and sales of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and participated in art education and exhibition. It is noticeable that Pyongyang painting circle showed distinctive special aspects as it promptly accepted the new style of painting in comparison with other regions. The characteristics of supports for Pyongyang painting circle can be found in the wide objects and fields. The figures who continuously supported culture in local areas were rich and intelligent classes and had awareness to make a contribution to the growth of local culture and arts. Such points were deeply related to the fact that consumers for culture and arts in local artistic communities were limited in comparison with Seoul painting circle. This thesis is meaningful since it examines the history of the supports for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and the history of distribution, reveals the features of local artistic communities during the modern period, and based on that, allows to understand the situation of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during the modern period from all aspects.

      • KCI등재

        근대기 대구화단의 서화론 연구

        김취정 ( Kim Chwi-jeong )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2018 미술사와 시각문화 Vol.22 No.-

        전통 서화론(書畵論)은 동아시아의 보편적 서화 이해에 기반을 둔 것으로서 19세기 전반까지 서울화단에서 주도하였다. 19세기 후반에 이르러 서울화단의 전통서화론은 점차 쇠퇴하며 자취를 감추고 지방화단으로 계승되어 발전되는 경향을 보인다. 이러한 양상을 잘 보여주는 화단이 바로 대구화단이다. 근대기 대구화단 형성의 연원은 1922년 ‘교남시서화연구회(嶠南詩書畵硏究會)’ 개설 시점으로 올라간다. 석재 서병오(石齋 徐丙五, 1862-1935)가 설립하여 주도해 오던 교남시서화연구회는 1934년 이후 그의 제자 죽농 서동균(竹儂 徐東均, 1903-1978)이 이어받아 운영하게 된다. 현재에도 ‘교남시서화연구회’의 후신인 ‘죽농서단’이 대구 서화계에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근대기 대구화단은 조선 말기 맥이 끊겨 가던 문인화풍을 계승하여 발전시켰다. 대구화단에서 새로운 문인화의 경지를 이룰 수 있었던 것은 서화론에 대한 깊은 이해와 연구가 밑바탕에 있었기 때문이다. 근대기 대구화단의 서화론 중에서 중요하게 여겨진 것은 ‘사의(寫意)’, ‘서화일치(書畵一致)’, ‘신운(神韻)’, ‘천작(天作)’등이다. 특히 ‘사의’와 ‘천작’이 강조되어 왔는데 이는 ‘창의(創意)’와 그 궤를 함께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근대기 대구화단이 개성적인 문인화풍을 이룰 수 있었던 것은 창작의 세계에 도달하고자 하는 예술가로서의 정신이 살아 있었기 때문이다. 이 연구는 근대기 대구화단의 형성과 전개 과정을 조명하는 한편 대구화단의 서화론이 어떻게 계승되고 발전되어 왔는지를 살펴본 것이다. 또한 이 연구는 근대기 지방화단의 일면은 물론 조선 말기의 서화가 어떻게 근대기 서화로 이어졌는지를 밝히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Up until the early nineteenth century, the art world in Seoul played a central role in formulating the traditional discourses on painting and calligraphy based on East Asia’s universal understanding of the two highest forms of art. As the traditional discourses on painting and calligraphy, led by the Seoul art world, declined in the late nineteenth century, the provincial art communities succeeded the tradition and managed to develop them further. The Daegu art world is one good example of this development. The Daegu art world dates back to 1922 when the Gyonam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Poetry, Painting, and Calligraphy was established. The association, established by Seo Byeong’o (1862-1935), was taken over by his student Seo Donggyun (1902- 1978) in 1934. Even today, the Juknong Calligraphic Association established in honor of Seo Donggyun, the successor of the Gyonam Association, is active in Daegu. The Daegu art world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the style of literati painting that went out of fashion at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1392-1910). The reason why the Daegu art world came to revive the style of literati painting is that it possessed a profound understanding of the theory of painting and calligraphy. Among the main components of the theory are saui (writing ideas), sin’un (divine resonance),’ and cheonjak (heavenly creation or heavenly masterpiece).’ In particular, saui and cheonjak have been greatly emphasized, as they were closely related to artistic creativity. The Daegu art world achieved one of the most original styles of literati painting because it kept alive the artistic spirit for creativity. This essay sheds light on the formation and evolution of the Daegu art world in the modern period. It also explores how the Daegu art world’s theory of painting and calligraphy has developed. This research not only examines how regional art communities were formulated in modern Korea, but also highlights the evolution of painting and calligraphy from the late Joseon period to the modern era.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한국 근대화단과 나혜석

        김취정(Chwi-jeong Kim) 나혜석학회 2016 나혜석연구 Vol.9 No.-

        나혜석(羅蕙錫, 1896~1948)은 여성 작가가 거의 알려지지 않은 한국 문예계에서 도드라진 존재이다. 나혜석은 화가이자 평론가였으며, 소설가였고, 시인이었다. 아무리 그가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을 했다 해도 그의 본령은 미술이었다. 화가 나혜석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나혜석 예술관의 형성과 그것을 바탕으로 구축된 예술 세계의 실상은 무엇이었는가에 대한 고찰이 필수적이다. 나혜석의 생애에 있어서 주목할 만한 사건은 1927년 6월부터 1929년 3월까지 약 21개월간의 세계일주 여행이다. ‘독만권서 행만리로(讀萬卷書 行萬里路)’라는 말이 있다. 가슴 속에 독만권서(讀萬卷書)의 학식과 행만리로(行萬里路)의 기상을 담고서야 인생의 참뜻을 깨달을 수 있다는 의미이다. 나혜석은 ‘독(讀)’과 ‘행(行)’을 두루 실천한 인물이라 할 수 있다. 예술가는 세상의 온갖 틀을 벗어나 ‘완전 자유’를 누릴 수 있을 때에, 진정한 예술의 경지에 이를 수 있다. 여행은 일상에 갇혀 있던 눈과 귀와 가슴을 활짝 열고 옹색한 생각을 넓혀준다. 따라서 예술의 향상을 위해 여행은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나혜석의 예술관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친 것 중 하나가 바로 세계일주 여행이다. 나혜석에게 여행은 어떠한 의미였을까? 긴 시간 여러 나라를 여행하는 동안 나혜석이 보고 느낀 것은 무엇이었을까? 그리고 그 여행의 경험이 나혜석의 예술관 형성과 예술 세계 구축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을까? 본 연구는 이러한 의문점에서 시작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나혜석의 삶과 예술에 주요한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이는 세계일주 여행을 살펴봄으로써 나혜석의 예술관과 예술 세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나혜석은 진정한 자아를 찾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한 인물이다. 나혜석의 삶과 예술 세계는 근대 여성의 자아 형성과 실현 과정으로 볼 수 있다. 나혜석이 여행을 꿈꾸고 실천에 옮기는 여정을 살펴봄으로써 그의 삶과 예술을 이해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Hye-Seok Rha (羅蕙錫, 1896~1948) was a prominent presence in the male-dominated literary and artistic world of early modern Korea. She was a painter, critic, novelist, and poet. No matter how she had been versatile in various fields, her prime interest was surely to pursue an artistic career. To shed light on the painter, it is essential to analyze her artistic views and the reality of her artistic world built on them. One of the notable milestones in her life was the 21-month-long trip she made across the world from June 1927 to March 1929. There is a saying: “It is better to travel ten thousand miles than to read ten thousand books” (dú wàn juàn shū, xíng wàn lǐ lù, 讀萬卷書 行萬里路). It means that you can realize the true meaning of life through reading and travelling. In this sense, Rha was a person who had practiced both reading and travelling. An artist may attain the highest artistic level when she can achieve "total freedom" from the mundane world. Travelling helps you to open the eyes, ears and chest wider. Therefore, travelling is essential component in heightening the artistic level. Rha"s artistic formation also derives from her around-the-world trip. What impact does the trip have on her artistic views? What did Rha witness and feel while traveling around the world for a long time? And how did the experience of the trip affect Rha"s artistic formation and art world? This study looks at Rha"s artistic world through the prism of the around-the-world trip and its impact on Rha" s life and art. Rha was a person who had devoted herself to finding a true self. Rha"s life and art world can be seen as a process of a modern woman’s self-formation and realization.

      • 석촌 윤용구(石村 尹用求, 1853~1939)의 괴석도(怪石圖)

        김취정(Kim, Chui-Jeong) 인물미술사학회 2015 인물미술사학 Vol.- No.11

        石村 尹用求(1853 1939)는 南寧尉 尹宜善의 아들로 고위관직을 두루 역임하였다. 그러나 그는 관료로서의 삶에 만족하지 않고 隱逸을 추구하였으며, 1894년부터 이를 실행에 옮겼다. 1907년 이후 윤용구는 장위산 기슭에 머물며 書畵에 전념한다. 그는 開化期 서울畵壇의 書畵家이자 주요 後援者로서 當代 書畵史에 뚜렷한 자취를 남겼다. 그는 당대 화단에서 유행한 畵目의 형성과 성행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윤용구는 개성적 화풍을 구사한 문인화가로서, 자신만의 독특한 회화세계를 정립하였으며, 본인이 형성한 화풍을 반복적으로 구사하였다. 이는 그가 근대기에 새롭게 변화된 화단의 경향을 적극적으로 수용한 것에서 비롯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같은 점은 南啓宇(1811~1890)와 洪世燮(1832~1884)의 작품세계에서도 엿보이는 것으로서, 개화기 문인화가로서의 윤용구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생각해 보게 한다. Yun Yong-gu (pen-name: Seokchon, 1853-1939) was the son of Yun Ui-seon (pen-name: Namnyeongwi), and served in various positions as a high-ranking government official. However, he became dissatisfied with his life as a civil servant, and chose to become a hermit in 1894. From 1907, Yun remained at the foot of Jangwisan Mountain and concentrated on writing and painting. As Seoul’s major writer-painter and arts patron during Korea’s enlightenment period, he left clear footprints in the art history of that era. To be more specific, he played a major role in forming and promoting painting styles during that period. As a writer-painter Yun created his own artistic world, and developed and repeatedly used his own styles of painting. Under these circumstances, he would have also adopted the new artistic trends of the enlightenment period. Similar trends can also be seen in the works of Nam Gye-u (1811-1890) and Hong Se-seop (1832-1884), reminding us of Yun Yong-gu’s importance as a representative writer-painter of the enlightenment period.

      • KCI등재후보

        소동파(蘇東坡) 적벽부(赤壁賦)의 민화적 수용 양상 고찰

        김취정(Kim, Chwi-jeong) 한국민화학회 2022 한국민화 Vol.- No.16

        소동파(蘇東坡)의 적벽부(赤壁賦) 관련 고사(故事)를 재연하는 행사를 여는 것은 조선 문인들의 놀이문화, 즉 풍류(風流)였다. 책거리 그림 속에 펼쳐진 책에 「적벽부」의 내용을 써 넣는 경우가 적지 않게 남아 있다. 이러한 민화의 수요층들도 소동파의 적벽부에 대해서 알고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 논문은 소동파 적벽부의 민화적수용 양상 고찰을 살펴보기 위한 연구이다. 즉, 소동파의 적벽부 내용이 수용된 사례나 요소가 있었는지, 그리고 있었다면 그 양상이 어떠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소동파의 적벽부 관련 고사의 재연은 뱃놀이보다는 문주회(文酒會)가 중심이다. 문주회라 하여 술자리만 있어서도 안 되며, 문, 즉 시문이나 부를 짓고 노래하며 모임을 함께하는 벗들과 함께 서로 문으로써 교류가 가능할 때 소동파 적벽고사의 온전한 재연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당시 민화 수요층에서는 쉽지 않은 것이었기에, 적벽부 관련 고사를 재연하는 풍류도 민간에는 이루어지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다. 민화의 제작과 감상이 성행하던 시기에는 언문 소설을 비롯하여 민들이 재미있게 즐길 수 있는 책들을 책대여점인 세책방(貰冊房)을 통해 직접 접하거나 삼국지연의(三國志演義)와 같은 이야기들을 전해주는 이야기꾼들의 입을 통해 들을 수 있었던 친근한 이야기 장면들을 시각화한 그림에 대한 수요는 많았던 것 같다. 그러므로 적벽부 관련 민화는 당대 문화의 유통과 소비라는 측면에서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It was the play culture of Joseon literati, that is, Pungryu(風流), that Joseon scholars held an event to reenact the historical events related to Chibifu(赤壁賦) of Su Dongpo(蘇東坡). There are not a few cases where the contents of the Chibifu are written in the open book in the picture of Chaekgeori. Therefore, it is presumed that the folklore consumers also knew about the Su Dongpos Chibifu.This thesis is a study to examine the pattern of the folk painting, acceptance of Su Dongpos Chibifu. In other words, I would like to examine whether there were cases or elements in which the contents of Su Dongpos Chibifu were accepted, and if so, what the pattern was. The reenactment of Su Dongpo Chibifu - related tales is centered on munjuhoe(文酒會) rather than boating. Munjuhoe was not just a drinking party, but a complete reenactment of Su Dongpos the story of Chibi(赤壁故事), when exchanges are possible by meeting with friends who write poetry, sing, and gather together. Since this was not easy for the folk folklore demanding class at the time, it is highly probable that the folk painting of reenacting the ancient history related to the Red Cliff(赤壁) was not done in the private sector. At a time when folk tales were more popular, it was a familiar story scene where people could directly access books that people could enjoy, including novels in Korean spoken language or Unmum(諺文), through book rental shops(貰冊房), or through the mouths of storytellers who told stories such as Three Kingdoms Jiyeonui(三國志演義). It seems that there was a lot of demand for pictures that visualized them. Therefore, folk tales related to Chibifu should be looked at in terms of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of the culture of the time.

      • 람전(藍田) 허산옥(許山玉, 1924~1993)과 전주지역

        김취정(Kim, Chwi-Jeong) 인물미술사학회 2014 인물미술사학 Vol.- No.10

        전주는 문화와 예술의 중심지이다. 1950·60년대의 전주는 다른 지역에 비해 매우 월등한 문화적 발달을 이루었다. 이때부터 전주는 전국적으로 예술의 도시로 명성을 얻고 있었다. 전주에는 예술가와 후원자가 서로 교류하는 장이 존재하였으며, 이 공간을 통해 예술의 창작과 유통, 소비가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허산옥은 해방 이후 1980년대까지 전주가 예향으로서 맥을 잇도록 한 대표적 인물이다. 허산옥은 전주 문화예술계의 대모라고 할 수 있다. 허산옥은 문예 후원자이자, 화가였으며, 당대 대표적 풍류 공간이던 행원의 경영자였다. 허산옥이 보여준 문예활동은 근대기 문예사의 한 페이지를 뚜렷하게 장식하고 있으며, 그가 전통 예술의 계승과 발전에 기여한 공로는 매우 크다. 허산옥은 전주의 문예 후원자와 예술가로서 뿐만 아니라, 여성으로서 당대 여류 예술가들에게 문예활동에 대해 직간접적으로 격려를 아끼지 않았던 인물로서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 허산옥이 당대 문예에 기여한 바에 대해서는 제대로 알려진 바가 없으며, 그 당시 활동하였던 문화인들과 이 지역 거주자들이 구술한 단편적인 언급에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전주의 문화예술의 양상을 밝히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써 근대기 전주의 문예 공간으로서의 행원(杏園)을 살펴보고, 전주예단(全州藝壇)에서의 허산옥(許山玉)의 역할과 그 의미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Jeonju is the center of culture and art. In 1950’s and 60’s, Jeonju was established a distinctive cultural development in comparison with other cities and achieved a nationwide fame in art. Jeonju had a space where artists and art enjoyers communicated each other and through the activities, the creation,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of art were actively engaged. Heo, San-ok was a representative person who descended Jeonju to artistic city from the 1945 Liberation to 1980’s. Therefore, Heo, San-ok can be considered as a godmother of literature and art in Jeonju. He was a supporter of literature, painter and manager of Hangwon, a most representative Poongryu place at that time. Literary activities observed in Heo, San-ok’ life have a marked effect on modern literary and Heo, San-ok makes a hugh contribution to the succession and growth of traditional art. Heo, San-ok should be noticed not only as a supporter of literature and artist in Jeonju but a person who encouraged female artists and their literary activities directly or indirectly. On the other hand, Heo, San-ok has been little known for the contribution to literature at that time and addressed in short oral testimony by persons in artistic careers at that time and local residences. Under the circumstances, this thesis attempts to examine Hangwon as a literary space in Jeonju city in the modern period as a part of research to disclose the aspect of literary activities in Jeonju city in the modern period and to explore the role of Heo, San-ok at Jeonju-yedan and the mea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