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야간조명 광도에 따른 벼 품종별 생육 및 수량 반응

        김충국,조현숙,서종호,최성호,변종영 韓國作物學會 2002 한국작물학회지 Vol.47 No.6

        산업의 발달로 농경지 주변에 야간조명이 증가되고 있어, 야간조명 광도에 따른 벼 생육 반응과 수량의 영향을 구명하고자 조생종인 흑진주벼, 중생중인 화성벼, 중만생종인 일품벼를 공시하여 야간조명 광도 1.0-20.0lux(0.3-5.1uW cm2)에서 수행한 시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간장과 수장은 야간조명 광도간에 큰 차이가 없었으나, 망장은 야간조명 광도가 높을수록 증가되었고, 특히 화성벼의 망장은 야간조명 광도 2lux 이하에서는 1.93cm이었으나, 10-20 lux에서는 4.09cm로 현저히 길어졌다. 2. 출수는 야간조명 광도가 높을수록 지연이 심하였으며, 품종별로는 야간조명 광도 2 lux 이하에 비하여 10-20 lux에서 흑진주벼는 3일, 화성벼는 5일, 일품벼는 9일이 지연되어, 일품벼 > 화성벼 > 흑진주벼 순으로 지연이 심하였다. 3. m2 당 수수는 야간조명 광도가 높을수록 현저하게 감소되어 화성벼와 일품벼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쌀 수량은 야간조명 광도 2 lux 이하에 비하여 10-20 lux에서는 조생종인 흑진주벼는 10.0%, 중생종인 화성벼는 17.7%, 중만생종인 일품벼는 20.7%가 감소되었다.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sponse of rice growth and grain yield to night illumination. Three cultivars Heugjubyeo (early maturing), Hwaseongbyeo (medium maturing), and Ilpumbyeo(mid-late maturing) were tested under different light intensities ranging 1.0 to 20.0 lux (0.3 to 5.6 1~mu~textrmW cm-2 ). Awn length of all cultivars became longer as night illumination intensity increased; 4.09 cm under 10-20 lux compared to 1.93cm under 2 lux in Hwaseongbyeo. However culm and spike length ere not affected by night illumination. Night illumination delayed flowering by 3 days in Heugjinjubyeo, 5 days in Hwaseongbyeo, and 9 days in Ilpumbyeo at 10-20 lux compared to that at 2 lux. Grain yield was reduced by 10.0% in Heugjinjubyeo, 17.7% in Hwaseongbyeo, and 20.7% in Ilpumbyeo at 10-20 lux compared to 2 lux condition.

      • KCI등재

        감자 고랭지 재배 시 표고 및 파종시기에 따른 괴경의 비대반응

        김충국,옥현충,정진철,허온숙,서종호,정광호,김시주 한국작물학회 2012 한국작물학회지 Vol.57 No.4

        감자 괴경의 비대 반응을 해석하여 재배기술을 개선하고자 2005년에 표고별 괴경의 비대반응을 분석하기 위하여 대관령(표고 800 m)과 진부(표고 600 m)에서 수미와 대서 2품종을 노지에서 시험하였다. 또한 파종시기별 괴경의 비대반응을 구명하고자 대관령(표고 800 m)에서 4월 19일부터 5월 19일까지 10일 간격으로 4시기에 노지에 파종하여 시험을 수행하였다. 표고에 따른 비대반응을 보면 총 건물중은 표고 800 m에 비하여 표고 600 m에서 전 생육기간 동안 높게 유지되었으며, 생육초기인 7월 6일(파종 후 58일)에 증가 정도가 가장 컸다. 총 건물중이 최고에 달한 시기는 표고 800 m에서는 파종 후 110~112일이었으며, 표고 600 m에서는 파종 후 108~111일로 표고 및 품종간에 큰 차이는 없었다. 주당 괴경 건물중은 표고 800 m에 비하여 표고 600 m에서 7월 6일(파종 후 58일)은 적었으나 7월 21일(파종 후 73일) 이후부터는 높게 유지되는 경향이었으며, 2지역 모두 7월 6일(파종 후 58일)부터 8월 8일(파종 후 91일)에 주당 괴경 건물중의 증가정도가 컸다. 주당 괴경 건물중이 최고에 달한 시기는 표고 800 m에서는 파종 후 118~125일이었으며, 표고 600 m에서는 파종 후 118~124일로 표고 간에는 유사하였다. 괴경당 건물중은 표고 600 m에 비하여 표고 800 m에서 증가되었다. CGR은 표고 800 m에 비하여 표고 600 m에서 생육초기인 7월 6일(파종 후 58일)에 증가 정도가 가장 컸다. 파종시기별 괴경의 비대반응은 괴경 건물중(수확시기)은 총 건물중과 동일한 경향으로 수미는 4월 29일 파종 시 가장 증가되었으며, 대서는 수미에 비해 10일이 빠른 4월 19일 파종 시 가장 증가되었다. 괴경의 건물중은 6월 30일부터 8월 8일에 증가정도가 가장 컸다. 주당 괴경 건물중이 최고에 달한 시기는 4월 19일 파종 시는 파종 후 139~144일, 5월 9일 파종 시는 파종 후 121~126일, 5월 19일 파종 시는 파종 후 111~113일로 파종시기가 늦을수록 단축되었다. Field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improve the cultural practice of potato by analysing its tuberization patterns. Tuberization patterns affected by different altitudes was analyzed at two potato cultivation regions, Jinbu (600 m) and Daegwallyung (800 m) using two potato cultivars, 'Superior' and 'Atlantic'. To analyse tuberization patterns affected by different planting time, seed potatoes were planted at every 10 days from April 19 to May 19 in Daegwallyung. Total dry weight was greater in plant grown at the altitude of 800 m than 600 m during the entire growth period and the highest increase was observed at the early growth period, July 6, comparing to other growth period. The total dry weight was the greatest at 110~112 days after planting (DAP) at the altitude of 800 m and 108~111 DAP at 600 m.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altitudes and between cultivars. Tuber dry weight per plant at the altitude of 600 m was lower than 800 m on July 6 (58 DAP), but it increased rapidly from July 21 (73 DAP). At both altitudes, the increase of tuber dry weight per plant from July 6 to August 8 was higher than the other growth period. The time of growth period at which tuber dry weight per plant was the highest was similar at both altitudes that was 118~125 DAP at the altitude 800 m and 118~124 DAP at the altitude 600 m. Dry weight per tuber at the altitude 800m was higher than 600 m due to the number of tubers per plant. A higher increase of crop growth rate (CGR) was shown at the altitude 600 m on July 6 (58 DAP), comparing to at 800 m. The highest tuber dry weight per plant of each cultivar was shown when the planting time was April 29 for 'Superior' and was April 19 for 'Atlantic'. Both the tuber dry weight of plant and the total dry weight were lower at a later planting time. Dry weight per tuber increased quickly during the period between June 30 to August 8. Tuberization period was shortened as the planting time was delayed.

      • 콩과녹비작물 이용 옥수수 무경운 직파재배 시 화학비료 절감 효과

        김충국,성기영,조현숙,전원태,정광호,최봉수 한국작물학회 2010 한국작물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10 No.04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하여 친환경적인 저투입 기술의 요구가 확대되고 있어 콩과녹비작물을 이용하여 화학 비료 절감과 토양유실을 경감시키고자 녹비작물이 생육하고 있는 상태에서 옥수수를 무경운 직파하여 연구 를 수행하였다. 옥수수는 일미찰 품종을 ‘09. 4. 24일 인력 점파기로 파종하였으며, 콩과녹비작물은 헤어리베 치와 크림손클로버를 이용하였고, 질소는 표준시비량의 100, 50, 0%를 시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헤어 리베치 이용 후 질소를 표준시비량의 100, 50, 0%를 시용하고 옥수수를 재배할 경우 관행에 비하여 옥수수의 출사기는 각각 9, 11, 13일 지연되었으며, 질소 시비량이 적을수록 옥수수 출사기의 지연과 엽색도 값의 감소 정도가 컸다. 옥수수 이삭의 상품수량은 관행에 비하여 각각 9, 17, 19% 감소되었으며, 질소 시비량이 적을수 록 수량의 감소정도가 컸다. 크림손클로버 이용 후 질소를 표준시비량의 100, 50, 0%를 시용하고 옥수수를 재배할 경우 관행에 비하여 옥수수의 출사기는 각각 16, 18, 21일 지연되었으며, 질소비료의 절감량이 많을수 록 지연되었고 엽색도 값은 감소되는 경향이었다. 옥수수 이삭의 상품수량은 관행에 비하여 각각 50, 55, 57% 감소되었으며, 질소 시비량이 적을수록 수량의 감소가 컸다. 녹비작물의 종류, 시비량, 옥수수의 생육 및 수량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보면 헤어리베치가 크림손클로버에 비하여 효과가 우수하였으며, 헤어리베치 이용 시 질소를 무시용할 경우 옥수수 수량은 관행 대비 81%로 무비 재배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 KCI등재

        콩의 생육단계별 야간조명에 따른 생육 및 수량 반응

        김충국,서종호,조현숙,김시주,허일봉 韓國作物學會 2001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Vol.46 No.6

        콩의 생육단계별 야간조명 처리가 생리적 특성에 미치는 영을 분석하여 생육단계별 피해정도를 알아보고자 유한신육형인 신팔달콩 2호와 검정콩 1호, 무한신육형인 무한콩을 공시하여 유묘기, 화아분화 전기, 화아분화 후기, 개화기, 협 신장기 및 종실비대기의 6 시기의 야간에 각각 15일간씩 20~30 Lux(0.05~0.08W m2 , 0.24~0.36 u ㏖ S1 m2 )의 조도에서 시험을 수행한 결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개화기는 야간조명처리시 대조구에 비하여 2~8일 지연되었으며, 생육단계별로는 화아분화 전기에 야간조명시 7~9일이 지연되어 개화지연정도가 가장 컸다. 2. 경장은 대조구에 비하여 협신장기 이후 처리를 제외한 모든 처리에서 증가되었으며, 절수는 신팔달콩 2호 및 검정콩 1는 화아분화 추기 이전에 야간조명 처리시 증가되었으나, 무한콩은 화아분화 후기 이후 처리시 증가되었다. 3. 유한형 품종의 협수는 유묘기의 처리를 제외한 모든 처리에서 대조구에 비하여 감소되는 경향이었다. 4. 수량은 모든 생육단계의 야간조명 처리에서 감소되었으며, 감소 정도는 대조구에 비하여 화아분화 전기는 7~11%, 화아분화 후기에는 6~8%, 유묘기에는 5~8%, 개화기에는 3~8%이었다. This experiment conducted to know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stress effect on different growth stage of soybean by night illumination. Soybean variety, Shinpaldalkong 2, Keumjungkong and Muhankong were treated by night illumination with 20~30 Lux (0.05~0.08W m-2 , 0.24~0.36 ~mu ㏖ S-1 m-2 ) for 15 days at six different growth stage, seedling, pre-floral initiation, post-floral initiation, pod filling and seed ripening stage. Night illumination delayed flowering to 2~8 days compared to control. Delay of flowering by night illumination severely effected at the pre-floral initiation stage. Stem length was increased all the night illumination treatments except the pod filling stage. Number of nodes in Shinpaldalkong 2 and Keumjungkong 1 were increased until before post-floral initiation stage but in Muhankong were increased until after post-floral initiation stage by night illumination treatments. Number of pods were decreased all the night illumination treatments except seedling stage compared with control. Yield decreased all the treatments and severe the loss rate degree showed the order of prefloral initiation, post-floral initiation, seedling and flowering stage.

      • KCI등재

        생육단계별 한발처리가 콩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金忠國,高文煥 韓國作物學會 1997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Vol.42 No.1

        토양수분 부족이 콩의 생육 및 수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비가림 비닐하우스 안의 베드에서 우리나라 기상여건상 토양수분 부족의 유발가능성이 높은 영양생장기인 신장기에 제 3 복엽기부터 30일간 단수(FNS)와 생육중기인 착협시부터 30일간 단수(BPS), 생육후기 인 입비대시부터 30일간(BSS) 토양수분 부족을 유발시켜 시험을 수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지상부의 건물중은 FNS 단수처리시 감소율이 가장 컸으며, BPS와 BSS 단수처리시는 대조구와 큰 차이가 없었다. 2. 엽록소 함량은 FNS와 BPS 단수처리시 처리종료 직후에는 현저히 감소되었으나, 수확기에는 회복이 되어 대조구와 유사하였다. 3. 한발처리 종료직후의 토양깊이별 뿌리 분포는 단수처리시 대조구에 비해 지표면 가까이에서 분포되 었으며, 뿌리혹 수와 뿌리혹의 건물중은 BPS 단수처리시 감소가 가장 심하였다. 4. 개체당 협수, 개체당 입중 및 수양은 단수처리시 대조구에 비해 현저하게 감소되었으며, BPS 단수처리시 감소율이 가장 심하였다.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know the growth and yield of in response to the drought stress at the different soybean growth stage. Drought stress was given to the soybean plants on early vegetative growth at fourth-node stage(FNS), mid-growth at beginning pod stage(BPS) and late growth at beginning seed stage(BSS) for 30 days, which are high availability in soil water stress on climate condition of Korea. Dry weight was decreased severely by water stress at FNS, and BPS and BSS has no difference compared to control. Chlorophyll content of leaf severely decreased at the end of water stress of FNS and BPS, but was recovered at the harvest stage. Drought-stressed root distributed mainly near the soil surface and number and dry weight of root nodule were decreased severely by drought stress at BPS. Number of pod, seed weight and yield were decreased by drought stress and showed the highest yield loss at BP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