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성인 지적장애인의 신체활동 참여제약요인과 극복을 위한 지원 요소 분석

        김춘종,오아라,구교만,서건우,김경진,김재화,윤석민 한국특수체육학회 2022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30 No.2

        This study tried to prepare basic data for the activation of physical activity of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by identifying the factors that limit the participation of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analyzing the factors that support overcoming the constraints.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162 persons including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guardians, related workers, and academic experts were recruited using purposive sampling. An open questionnaire was used for data collection, and it was categorized through inductive content analysis. The result is as follows. There were environmental and personal factors that restricted the participation of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physical activity. In order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environmental factors include program development for adults, expansion of related facilities, human resources support, local facilities, dedicated teachers, support for convenient facilities, improvement of awareness of the disabled, facility expansion,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support, expansion of call taxis for the disabled, It was found to be the expansion of low-floor buses, the provision of short-distance sports facilities, and the support of manpower. Regarding individual factors, 1:1 physical activity helper matching, small group activities, program recommendations tailored to the individual, braking of active assistants, counseling, development of physical activity programs for each level, provision of short time or various activities, desirable behavior practice, counseling and hospital treatment, Emotional support, the need for same-sex leaders, etc. Therefore, in order to participate in physical activity of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ppropriate support is required according to the constraint factors. 본 연구는 성인 지적장애인의 신체활동 참여제요인을 밝히고 제약요인에 대한 극복 지원 요소를 분석함으로서 성인 지적장애인의 신체활동 활성화에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유목적 표집방법(purposive sampling)을 이용하여 성인 지적장애인 당사자, 보호자, 관련 종사자, 학계 전문가 등 162명을 모집하였다. 자료수집은 개방형 설문지를 활용하였으며 귀납적 내용분석을 통하여 범주화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성인 지적장애인의 신체활동 참여에 제약이 되는 환경적 요인은 프로그램, 전용 시설 및 공간, 불안정한 공간, 장비기구, 활동보조인, 전문지도자, 정책 및 제도, 편경 및 시선, 교통수단이었으며 개인요인으로는 인지기능, 의사소통 능력, 문제행동, 의지 및 주의집중, 비용, 체력 및 건강이었다. 이에 대한 극복 지원 요소로는 먼저 환경요인에 대하여 성인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관련 시설 확충, 인력 지원, 근거리 시설, 전담교사 충원, 편의시설 지원, 장애인 인식 개선, 시설 확충, 정부 및 지자체 지원장애인 콜택시 확충, 저상형 버스 확대, 근거리 체육시설 마련, 인력 지원 등으로 나타났다. 개인요인에 대하여 1:1 신체활동 도우미 매칭, 소그룹 활동, 개인에 맞는 프로그램 추천, 활동 보조인력 제동 , 상담, 수준별 신체활동 프로그램 개발, 짧은 시간 또는 다양한 활동 제공, 바람직한 행동 연습, 상담 및 병원 진료, 정서적 지원, 동성 지도자 필요 등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성인 지적장애인의 신체활동의 참여를 위해서는 제약요인에 따른 적절한 지원이 필요하다.

      • KCI등재
      • KCI등재

        2020년 도쿄패럴림픽 대비 장애인 국가대표 선수들의 경기력 향상을 위한 체력지원 방안

        김춘종,변정균 한국스포츠학회 2019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 국가대표 선수들이 최고의 경기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체력지원 방안에 대한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를 토대로 2020년 도쿄패럴림픽에서 우리나라가 Top 10에 진입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 하기 위하여 K기관에서 장애인 국가대표 선수들의 체력을 지원하는 전문가 4명과 국내에서 특수체육을 전공하고 국외 에서 스포츠의학을 전공하고 있는 전문가 1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자료수집 및 분석은 연구 참여자들과 심 층면담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반구조화된 면접법(semistructured interview)와 비구조화된 면접법 (unstructured interview)을 혼합하여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녹음한 내용을 전사(transcription)하 였으며, 자료의 분석은 질적 연구 방법 중 하나인 귀납적 범주분석을 사용하여 영역별로 자료를 분류하였다. 분석 내용 과 과정에 대한 진실성과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삼각검증법(triangulation)을 활용하여 최종 결론을 도출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심층면담 분석 결과 최종적으로 4개의 핵심 주제어가 도출되었다. 2020년 도쿄패럴림픽 대비 장애인 국 가대표 선수들의 경기력 향상을 위한체력지원 방안의 핵심주제어는 첫째, 장애인 스포츠 종목 의 이해, 둘째, 선수 장애 유형 및 특성의 이해, 셋째, 기초체력 및 전문체력 측정, 넷째, 선수 맞춤형 개별화 훈련 프로그램 지원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basic data on physical fitness support for the Korea national athletes with disabilities to achieve their best performance. Based on this, Korea will enter the Top 10 in the Tokyo Paralympics in 2020. To accomplish this purpose, we conducted in-depth interview on four specialists who support the physical strength for the national players with disabilities in the K institution, and one specialist who studied sports medicine in united states and majored adapted physical activity in Korea.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were condu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the participant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by combining semi-structured interviews with unstructured interviews. The collected data were transcribed and the data were classified by using inductive category analysis which is one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he final conclusions were drawn using triangulation analysis to ensure the authenticity and validity. As a result of the in-depth interviews of the collected data, four key words were finally derived The main key words of the plan for physical fitness support for performance improvement of the Korean national athletes with disabilities in the Tokyo Paralympics 2020 are as followed. First, understanding the disability sports, second, understanding the type and characteristics of the athlete 's disability, third, measuring basic physical fitness and professional physical fitness, and fourth, supporting the personalized and individualized training program for each athlete.

      • KCI등재

        중학생 관점의 통합체육 제약요인과 극복전략 분석

        김춘종,김도윤 한국특수체육학회 2022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3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onstraint factors and negotiation strategy of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middle school students who actually participate in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classe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n open-ended questionnaire was conducted on 200 coeducational middle school students in‘K’location, and a triangular verification method was used to secure validity and reliability. The collected data was established through a consensus process of researchers from a group of expert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The constraint factors of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were categorized into 6 sub-areas (various external factors, difficulties in class progress, difficulties in physical activity, psychological difficulties, communication difficulties, reverse discrimination) and 2 general areas (environmental factors, personal factors). Strategies to negotiation strategy were categorized into personal efforts, program improvement, leader efforts, class separation, facility improvement, parish improvement, incentive provision, and disabled student efforts. It was found that personal effort and program improvement accounted for 70.6% of the total as negotiation strategy. Regarding the provision of incentives and reverse discrimination, violations of students' right to learn appear, and accordingly, practical improvement measures are needed to strengthen the educational and policy system and leadership capabilities. For the completed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both the participants and the leaders must work together, and it is necessary to reflect the factors suggested by the participants in the operation of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이 연구에서는 통합체육 수업에 실질적으로 참여하는 중학생 관점에서 통합체육 제약요인과 극복전략을 분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K 소재지 남녀공학 중학생 200명을 대상으로 개방형 설문(Open-Ended Questions)을 실시하였고, 타당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삼각검증법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전문가 집단의 연구자들의 합의 과정을 거쳐서 내용을 정립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통합체육의 제약요인은 6개 세부영역(다양한 외부요인, 수업진행 어려움, 신체활동 어려움, 심리적 어려움, 의사소통 어려움, 역차별)과 2개 일반영역(환경요인, 개인요인)으로 범주화 하였다. 제약요인에 대한 극복전략은 개인적 노력, 프로그램 개선, 교사노력, 수업 분리, 시설 개선, 교구 개선, 인센티브 제공, 장애학생 노력으로 범주화 하였다. 개인적 노력과 프로그램 개선에 관한 내용이 극복전략으로 전체 70.6%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센티브 제공과 역차별에 대한 것은 학생의 학습에 관한 기본적인 권리에 대한 부분이 나타나며, 그에 따른 교육 및 정책 시스템과 지도자역량 강화를 위한 실질적 개선 방안이 필요하다. 완성된 통합체육을 위하여 참가자와 지도자 모두 함께 노력해야 하며 참가자가 제시한 요인들을 통합체육 운영에 반영 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중심축 반응훈련 원리를 적용한 배드민턴 놀이가 자폐성장애 아동의 놀이자발성 및 운동협응성에 미치는 효과

        김춘종,송호준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5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중심축 반응훈련 원리를 적용한 배드민턴 놀이가 자폐성장에 아동의 놀이 자발성과 운동협응성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는데 있다. 연구 대상은 S시에 소재한 특수체육 센터를 이용하는 자폐성장애 아동 중 연구에 참여를 원하는 8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12주간 총 24회기 (50분/회)를 실시하였다. 사전 • 사후평가로 CPS검사와 MABC-2평가를 실시하였으며,수집된 자료는 SPSS 18.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중심축 반응훈련 원리를 적용한 배드민턴 놀이가 자폐성장애 아동의 놀이자발성 및 운동협응성 향상에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폐성장에 아동의 놀이자발성과 운동협응성 향상에 대한 연구는 지속적으로 필요하다. 또한 자폐성장에 아동의 동기를 활용한 활동 중재 연구도 필요하다. The study investigated effect of intervention of badminton play that applies pivotal response training principle on play spontaneity and motor coordination of child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The study subjects were 8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who want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among children with autistic disorder using special athletics center located in S city. Exercise was done during 12 weeks - 24 sessions in total, 50 minutes each session. For analysis of collected data, CPS test and MABC-2 assessment were carried out before and after study. SPSS 18.0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analysis aimed to know effect of intervention of badminton play that applies pivotal response training principle on child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As the study result, it was found that intervention of badminton play that applies pivotal response training principle was effective for play spontaneity and motor coordination of child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It would be necessary to study play spontaneity and motor coordination of child with autistic spectrum disorder. The study used response intervention principle. Also it would be necessary to further study intervention using motivation of child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 KCI등재

        노인의 신체활동 변화에 의한 우울 분석: 코로나19 영향을 중심으로

        김춘종 한국특수체육학회 2022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3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epression of older adults who experienced changes in physical activities due to COVID-19, in order to provide basic data for understanding depression of older adults and to establish strategies for overcoming such depression. In order to achieve this research objective, the raw data of the 2020 Community Health Survey was used and research subjects were older adults over the age of 65. Decision tree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data analysis SPSS 25.0 and the method for expanding the tree structure was set as CHAID that selects independent variables most strongly associated with the dependent variable.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leep disorder was found to be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categorizing depression risk groups of older adults who had decreased physical activities because of COVID-19, and it was followed recipients of basic livelihood assistance and walking. Cases for increased ratio of depression risk groups of senior citizens were sleep disorder, recipients of basic livelihood assistance, and walking 0 to 3 times a week. Meanwhile, there was lower depression among older adults who had no sleeping disorders, were not recipients of basic livelihood assistance, and who walked 4-7 times a week. Second, for senior citizens who had increased physical activities due to COVID-19, sleep disorders we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for categorizing depression risk groups of older adults, followed by period of residing in their city or town, social gatherings (friends, neighbors), walking, and recipients of basic livelihood assistance. Cases for increasing the ratio of depression risk groups of older adults were having sleeping disorders and when residing in the city or township for less than 10 years. Meanwhile, even if they had sleeping disorders, elderly depression dropped when engaging in walking activities (60 minutes or longer a day, 4 days or more a week). Therefore, even if sleep disorder is an important factor for categorizing depression risk groups of older adults, regular walking had a positive impact on depression of older adults. 이 연구는 코로나19에 의해 신체활동이 변화한 노인을 대상으로 우울 위험요인들 간 상호작용을 분석하는 데 있으며, 이를 통해 노인 우울을 이해하고 중재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20년 지역사회건강조사(Community Health Survey)의 원자료를 이용하였으며, 만 65세 이상 노인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분석 SPS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의사결정나무분석(decision tree analysis)을 실시하였고, 나무구조로 확장시키는 방법은 종속변인과 강하게 연관된 독립변인을 선택하는 CHAID(Chi-squared Automatic Interaction Detection)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코로나19에 의해 신체활동이 감소한 노인의 경우 우울 위험군을 분류하는 데 가장 중요한 독립변인은 수면장애였으며, 다음으로 기초생활수급자, 걷기 실천으로 나타났다. 노인 우울 위험군의 비율이 증가하는 경우는 수면장애가 있으면서, 기초생활수급자이고, 걷기 실천을 주0~3일 참여하는 경우이다. 반면 수면장애가 없으면서, 기초생활수급자가 아니고, 걷기 실천을 주 4~7일 참여할 경우 노인 우울이 감소하였다. 둘째, 코로나19에 의해 신체활동이 증가한 노인의 경우 우울 위험군을 분류하는 데 가장 중요한 독립변인은 수면장애였으며, 다음으로 시ㆍ군구거주 기간, 사회적만남(친구, 이웃), 걷기 실천, 기초생활수급자로 나타났다. 노인 우울 위험군의 비율이 증가하는 경우는 수면장애가 있으면서, 시ㆍ군구거주 10년 미만인 경우이다. 반면 수면장애가 있더라도 걷기 실천 수준(일일 60분 이상, 주 4일 이상)을 충족할 경우 노인 우울은 감소하였다. 따라서 노인 우울 위험군을 분류하는 데 수면장애가 중요하게 작용하였으나, 규칙적인 걷기 실천으로 노인 우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