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술치료사의 경력이 역전이 관리능력과 역전이 활용에 미치는 영향 - 내적상태인식의 중재효과를 중심으로 -

        김채연 한국미술치료학회 2016 美術治療硏究 Vol.23 No.6

        본 연구는 미술치료사의 경력이 역전이 관리능력과 역전이 활용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내적상태인식이 중재효과의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미술치료사 178명이며, 측정도구는 미술치료사 경력 질문지, 역전이 관리능력 척도지, 역전이 활용 척도지, 내적상태인식 척도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7.0 for Window를 사용하여 신뢰도 분석, 빈도분석, 상관관계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치료사의 경력 중 기관과 자격증을 제외한 나머지 변인들은 역전이 관리능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미술치료사의 경력 중 나이, 기관, 자격증을 제외한 나머지 변인들은 역전이 활 용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역전이 관리능력에서 미술치료사의 경력 중 자격증, 사례 수, 나이, 치료회 기 수가 내적상태인식과의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역전이 활용에서 미술치료사의 경력 중 치료회기 수와 사례 수가 내적상태인식과의 상호작용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sought to examine whether the awareness about the internal state plays the role of intermediary effect in the course of art therapists’ careers influencing counter-transference management ability and utiliz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78 art therapists, and the paper of art therapists’ careers, countertransference management ability measuring, countertransference utilization measuring and internal state awareness measuring were utiliz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PSS 17.0 for Windows and correlation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frequency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First, the other variables, except for the certificates and scholarly attainment among the art therapist careers, significandy influenced countertransference management ability. Second, among the art therapist's careers, the rest of the variables except for age, the certificates and scholarly attainment still had significant effects on countertransference utilization. Third, it was shown that the certificate, the number of cases, age, the number of treatment sessions among the art therapist careers about countertransference management ability, and the interactive effects with internal state awareness also had a significant meaning. Fourth, in countertransference utilization, the number of treatment sessions and cases in the art therapists’ careers were also proven to be significant to the internal state awareness and interactive effects.

      • KCI등재

        류마티스 관절염 백서 모델에서 작약감초부자탕의 효과: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김채연,이상현,황만석 한방재활의학과학회 2023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Vol.33 No.3

        Objectives This study was designed to review the effect of Jakyakkamchobuja-tang on rat model with rheumatoid arthritis. Methods We used seven databases (PubMed, EMBASE, Cochrane CENTRAL, China National Knowledge Infrastructure, Oriental Medicine Advanced Searching Integrated System,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National Digital Science Library) from their inception to May 2023 without language restrictions. Systematic Review Centre for Laboratory Animal Experimentation’s tool was used to evaluate the risk of bias. RevMan software (V5.4) was used for the meta-analysis. Results Five studies were selected following our inclusion criteria. The arthritis index decreased significantly (standardized mean difference=-2.06; 95% confidence interval=- 3.07 to –1.04; p<0.0001) in Jakyakkamchobuja-tang group. Also, serum cytokines in serum and paw swelling degree decreased in Jakyakkamchobuja-tang group. Conclusions Jakyakkamchobuja-tang may be effective in treating rheumatoid arthritis. Although there is a limitation that the design of drug dosage varies between papers, it can be expected to be applied as an alternative to Western medicine, and it is believed to contribute to the standardization of herbal treatment for rheumatoid arthritis.

      • KCI등재

        유아의 그리기표상능력과 기관적응능력ㆍ주의력결핍ㆍ사회성 간의 관계

        김채연,지성애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5 유아교육학논집 Vol.1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among young children’s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preschool adjustment, attention deficit, and sociality. The subjects used in this study were 200 five-year-old children who attend day care centers and kindergarten, and whose mean age is 70.51 months. For data collection, the study utilized ‘The Drawing Representation Inventory’, a ‘Korean version of ADHD Rating Scales (K-ARS)’ and ‘Bronson Social Behavior Inventory’ and ‘Preschool Adjustment Questionnaires’.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and negative correlations among young children’s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preschool adjustment, attention deficit, and sociality. Moreover, the results of this study also indicate that school adjustment is the predicted variable that has the most significant relative effect on young children’s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Also,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sociality is a variable that predicts young children’s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whereas attention deficit is a negative variable that predicts young children’s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본 연구는 만 5세 유아의 그리기표상능력과 기관적응능력, 주의력결핍 그리고 사회성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유아의 기관적응능력에 관한 기초정보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대상은 유아교육기관에 재원중인 만 5세 유아 총 200명으로 평균 월령은 70.51개월이었다. 그리기표상능력평가척도, 유아주의력결핍검사도구(K-ARS), Bronson사회성행동검사도구, 유아교육기관적응척도(PAQ)를 통하여 연구자료를 수집하고, 수집된 연구자료는 Pearson 적률상관과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유아의 그리기표상능력과 유아의 기관적응과 주의력결핍 및 사회성이 유의미한 정적 및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아의 기관적응능력이 그리기표상능력을 가장 강력하게 설명하는 영향력 있는 예측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이어서 사회성도 그리기표상능력을 설명하는 예측변인으로 밝혀졌다. 반면, 주의력결핍은 유아의 그리기표상능력을 부적으로 설명하는 예측변인으로 밝혀졌다.

      • KCI등재

        미술치료사의 자의식과 자기효능감에 관한 연구

        김채연,최외선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3 예술심리치료연구 Vol.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술치료사들을 대상으로 경력에 따라 자의식과 자기효능감이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나아가 자의식과 치료사 자기효능감이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미술치료 현장에서 3년 이상의 경력과 10사례이상 미술치료를 실시하고 있는 치료사 21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측정도구는 미술치료사의 일반 적 사항과 경력 질문지, 자의식 질문지, 상담자 자기효능감 질문지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9.0 program를 사용하여 신뢰도 분석과 빈도분석, 독립표본 t-test, 일원변량분석과 사후검증으로 Scheffe test,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치료사의 경력 중 자격증, 치료경력, 치료사례 수, 개인분 석 횟수에 따라 자의식에 유의한 차이가 있다. 둘째, 미술치료사의 경력 중 자격증, 치료경 력, 치료사례 수, 치료회기 수, 수퍼비전 횟수, 개인분석 횟수에 따라 자기효능감은 유의한 차이가 있다. 셋째, 자의식의 하위요인 중 공적자의식과 사회적 불안은 자기효능감과 유의 한 정적상관이 있다. 이러한 결과는 앞으로 미술치료사들이 자기 자신을 인식하고 이해한 것을 바탕으로 미술치료 현장에서 자신을 치료적 도구로서 잘 관리하고 활용하여 유능한 미술치료사로서의 자격을 갖출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rapists self-consciousness correlates with their self-efficacy and whether their working experience has something to do with the possible correlation. For this, 210 therapists who have more than three-year career and have been performing more than 10 cases of art therapy in the field were selected to analyze data. As for the measuring scale, only general matters, career questionnaire, self-consciousness questionnaire and consultant self-efficacy questionnaire were used. SPSS 19.0 program was used to perform reliability analysis, frequency analysis, one-way ANOVA and Scheffe test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for post hoc test.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elf-consciousnes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certificate, working years, number of therapy cases and frequency of individual analysis among art therapist's careers.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efficacy according to certificate, working years, number of therapy cases, number of therapy sessions, number of supervision and number of individual analysis among art therapist's careers. Third, public self-consciousness and social anxiety among the subfactors of self- consciousness h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self-efficacy. The findings suggest that based on art therapist's self-consciousness and self-understanding, they manage and utilize themselves very well as a therapeutic instrument in the art therapy field, who can have qualification as a competent art therapist.

      • KCI등재

        공감각의 신경기전에 대한 연구

        김채연 한국심리학회 2011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30 No.1

        공감각은 한 양태의 감각 자극이 연관된 감각 경험과 다른 양태의 감각 경험을 동시에 야기하는 특수한 현상이다. 공감각의 진위 여부 및 지각적 실재성에 대한 정신물리학적, 인지심리학적 연구 성과들이 축적되면서, 다양한 신경과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공감각의 신경기전을 밝히려는 시도가 증가되어 왔다. 본 논문은 최근 20여 년간 발표된 공감각의 신경기전에 대한 연구 성과들을 다양한 측면에서 조망한다. 공감각의 신경기전과 관련된 연구 주제는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된다. 첫 번째는 공감각의 발생 원인을 규명하는 것이고, 두 번째는 공감각 경험이 실제 감각 경험을 주관하는 뇌 영역 및 뇌 정보처리 과정과 연관되는지 탐구하는 것이다. 본 논문은 첫 번째 주제와 관련하여 대표적인 신경 모델들을 비교해보고, 유전학적 접근 연구들을 소개한다. 또한 두 번째 주제와 관련하여 다양한 뇌기능 영상화 방법 및 사건관련전위를 이용한 최근 연구 성과들을 소개하고 비교, 논의한다. Synesthesia is a condition under which a sensory stimulus in a certain modality elicits perceptual experience in another modality along with perceptual experience in the relevant modality. Attempts to unveil neural mechanisms of synesthesia have increased with the accumulation of psychophysical and cognitive psychological studies investigating the authenticity and perceptual reality of synesthesia. This work reviews research on the neural mechanisms of synesthesia for last 20 years or so. First, this work compares representative neural models on synesthesia and introduces genetic approaches to synesthesia to investigate the cause for synesthesia. Second, this work discusses a number of brain imaging and ERP studies to explore whether synesthetic experiences are mediated by the shared neural mechanisms and neural information processing stages underlying real sensory experiences.

      • KCI등재

        조부모의 손자녀 양육 참여 인식 및 실태와 양육지원 요구 분석

        김채연,이민경 국제차세대융합기술학회 2022 차세대융합기술학회논문지 Vol.6 No.8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grandparents' perception, current status, and needs of grandchildren rearing.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76 grandparents who are participating grandchildren rearing in Seoul metropolitan region. For this purpose, the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ased on the prior research. The questionnaire is composed of 23 questions with following areas: ‘the grandparents’ perception of grandchild rearing’, ‘current status of grandchild rearing’, ‘the needs of grandchild rearing’.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and chi-square( 2) using SPSS 25.0 program.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grandparents are aware of the importance of performing various roles during grandchildren rearing when replace the vacancy of the primary caregiver. Also, it was found that grandparents play the most import role in meeting the basic needs of their grandchildren.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grandparents experience physical and psychological exhaustion during grandchildren rearing. Furthermore, there was a demand for policy support and systematic education in order to support grandpar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not only serve as a basis for policy that support grandparents, but also provide meaningful information for the development of grandparents' support programs. 본 연구는 손자녀를 양육하고 하고 있는 조부모를 대상으로 손자녀 양육 인식과 실태, 양육지원을 위한 요구를 밝히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수도권 지역에서 손자녀 양육을 하고 있는 조부모 176명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설문지를 구성하고 배부하여 연구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설문지는 ‘ 조부모의 손자녀 양육 인식’ , ‘ 조부모의 손자녀 양육 실태’ , ‘ 조부모의 손자녀 양육 요구’ 로 총 3개 영역으로 구분하였으며, 총 문항 수는 23문항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과 카이-자승분석( 2)을 통해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조부모의 일반적 배경, 배경변인에 따른 조부모의 손자녀 양육 인식 및 실태, 요구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조부모는 손자녀 양육에서 다양한 역할 수행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며, 주 양육자의 공백을 대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부모는 손자녀의 기본적인 욕구충족을 위해 가장 많은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조부모는 손자녀 양육 시 신체적, 심리적 소진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나아가 조부모의 손자녀 양육 지원을 위해 정책적 지원과 체계적 조부모교육이 필요하다는 요구가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조부모의 손자녀 양육 지원 정책의 기초가 될 뿐 아니라 조부모 양육지원 프로그램 개발에 의미 있는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영유아 장애통합반 필요성, 운영, 효과성 및 전문성에 대한 담당교사 인식 비교

        김채연 국제차세대융합기술학회 2021 차세대융합기술학회논문지 Vol.5 No.5

        본 연구는 영유아 장애통합반 운영을 하고 있는 담당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고 장애영유아 담당교사와 비 장애영유아 담당교사 간의 장애통합반 운영에 대한 이해를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S시에 소재한 장애아통합어린이집 내 장애통합반에서 근무하는 장애영유아 담당교사 75명, 비장애영유아 담당교사 75명 총 150 명이었다. 영유아 장애통합반 운영에 대한 담당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설문지를 구성하고 배부하여 연구 자 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 독립표본 t-검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영유아 장애통합반 운 영에 대한 인식이 전반적으로 낮고, 장애통합교육의 필요성, 효과성, 담당교사 전문성에 대한 인식은 전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에서도 비장애영유아 담당교사에 비해 장애영유아 담당교사의 인식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장애통합교육을 운영하는 담당교사에 대한 정책적 지원 근거가 될 뿐 아니라 담당교사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의미 있는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eacher’s awareness towards managing inclusive class for young children and to reveal the understanding of it between teachers who are responsible for special needs and teachers who are responsible for non-special needs.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150 teachers who work at inclusive Daycare center in S city. 75 of them were responsible for special needs and 75 were responsible for non-special needs. Questionnaires were developed and distributed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the level of teacher’s awareness toward managing inclusive class for young children was low and the level of teacher’s awareness toward the need for inclusive education, effects of inclusive education, and professionality of teachers were high. Second, teachers who are responsible for special needs had higher awareness than teachers who are responsible for non-special need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meaningful information on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program for teachers from inclusive class as well as the basis for policy.

      • 유아의 정서적 실행기능과 주의력결핍, 기관적응, 그리기표상능력 간의 관계분석

        김채연 한국유아교육학회 2015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Vol.2015 No.-

        본 연구는 만 5세 유아의 정서적 실행기능과 주의력결핍, 기관적응, 그기기표상능력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유아의 정서발달에 관한 기초정보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대상은 유아교육기관에 재원중인 만 5세 유아 총 162명으로 평균 월령은 68개월이었다. 역보상 과제와 스티커찾기 과제를 사용하여 정서적 실행기능을 측정하였고, 유아주의력결핍검사도구(K-ARS)를 사용하여 주의력결핍 정도를 측정하였고, 유아교육기관적응척도(PAQ)를 사용하여 유아의 기관적응능력을 측정하였으며, 마지막으로 그리기표상능력평가척도를 사용하여 유아의 그리기표상능력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연구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 Pearson 적률상관과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유아의 정서적 실행기능과 유아의 주의력결핍, 기관적응, 그리기표상능력 간에 유의미한 정적 및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아의 주의력결핍의 하위 영역인 충동성이 유아의 정서적 실행기능을 가장 강력하게 설명하는 영향력 있는 예측 예측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이어서 기관적응능력의 하위요인 중 정서상태가 추가적으로 유아의 정서적 실행기능을 설명하는 예측변인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유아의 정서적 실행기능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고 적절히 개입하여 유아의 사회 정서적 발달을 도모하는 기초정보들을 제공한 것으로 보며,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후속 연구의 준거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신경미학의 현황-발전과 전망

        김채연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2015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Vol.27 No.3

        The field of neuroaesthetics has developed rapidly for last ten years or so, since the advent of an influential theoretical model of artistic appreciation and multiple primary research papers in 2004. This review responds to the growing interest in neuroaesthetics in and outside Korea, and seeks 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accumulated research outcomes. For that, this review discusses major findings from several early neuroaesthetics works and moves on to the new tendencies of recent neuroaesthetics as follows; 1) classification of the sub-processes of art appreciation and more careful experimental design by introducing control tasks, by focusing on artistic expression more than portrayed objects, by exploring the neural substrates of moderating factors of aesthetic experience such as learning and expertise, by considering the contextual effect modulating aesthetic experience, and by examining what DMN does for art appreciation. Tendencies such as 2) extension to the other types of art including dance and architecture, and 3) usage of various research methods will also be discussed. Next, this review considers some potential limitations of neuroaesthetics in terms of the narrow definition of ‘beauty’ and the tendency of relying on subjective experiences. Based on these, this review seeks for an updated research direction of neuroaesthetics. 미적 경험에 대한 영향력있는 이론적 모델과 fMRI를 이용한 다수의 실험적 연구가 발표된 2004년 이후 지난 10년 간, 신경미학 분야는 눈부신 성장을 이뤄왔다. 본 개관논문은, 신경미학에 대한 국내외적인 관심에 부응하며, 그간 놀라운 속도로 축적된 다양한 연구 성과들에 대한 이해를 도모한다. 이를 위해 첫째, 초기 신경미학의 주요 연구 성과들을 간단히 논의하고, 그 바탕 위에서 둘째, 최근 신경미학의 새로운 경향에 대해 다음과 같은 측면에서 논의한다. 먼저 최근 연구들은 예술 감상의 하위과정들을 세분화하여, 연구를 좀 더 정교하게 계획하려고 한다. 이는 미적 판단 과제와 대비되는 통제 과제를 도입하고, 표현 대상보다 예술적 표현 그 자체에 주목하며, 학습과 전문성 등 미적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인지과정과 그 뇌 기전을 탐구하고, 미적 경험을 조절하는 맥락효과와 이에 따른 신경반응을 검토하고, 지각과 정서(보상) 처리 관련 신경 네트워크 이외에 디폴트모드 네트워크가 예술작품의 감상에서 수행하는 역할에 대해 검토함으로써 구체화된다. 이어 본 논문은 미술 이외의 예술장르와 연관된 최근 신경미학 연구들을 검토하고, 연구 방법의 다각화 경향을 소개한다. 마지막으로, 신경미학에서 ‘아름다움’에 대한 좁은 정의와 주관적 경험에 의존하는 경향에 대한 비판에 대해 논의한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 신경미학 분야에서 기대되는 새로운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미술치료사의 자의식과 발달수준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김채연,최외선,김갑숙 한국미술치료학회 2014 美術治療硏究 Vol.2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therapist factors required to prepare for qualifications as an art therapist from examining the effects of art therapist's self-consciousness and development levels influencing self-efficacy. The research subjects were 210 therapists who have more than three-year career and have been performing more than 10 cases of art therapy in the art therapy field and as for the measuring scale, the self-consciousness questionnaire, consultant development level questionnaire, and consultant self-efficacy questionnaire were used. SPSS 19.0 program was used to perform reliability analysis, frequency analysis, Pearson's product-moment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elf-consciousness, development level and self-efficacy of art therapists were found to be higher than the intermediate level. Second, the self-consciousness and development level and self-efficacy of art therapists respectively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Third, it was found that private self-consciousness and social anxiety influenced the development level and public self-consciousness, social anxiety and development level had influences on self-efficacy. In addition, the public self-consciousness, social anxiety and development level of self-consciousness directly influenced self-efficacy and private self-consciousness and social anxiety had indirect influences on self-efficacy through development level.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revealed the factors required to be prepared for professional and capable art therapists and provided information on what efforts should be made and what points should be developed to improve therapy performances.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술치료사들을 대상으로 자의식과 치료사 발달수준이 치료사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미술치료사로서의 자격을 갖추는데 필요한 치료사 요인을 밝히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미술치료현장에서 3년 이상의 경력과 10사례이상 미술치료를 실시하고 있는 치료사 210명이며, 측정도구는 자의식 질문지, 치료사 발달수준 질문지, 치료사 자기효능감 질문지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9.0 program를 사용하여 신뢰도 분석과 빈도분석,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치료사의 자의식, 치료사 발달수준, 치료사 자기효능감 수준은 중간 이상의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미술치료사의 자의식과 치료사 발달수준 및 치료사 자기효능감은 각각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셋째, 자의식 중 사적 자의식과 사회적 불안은 치료사 발달수준에 영향을 미치고, 공적 자의식과 사회적 불안, 치료사 발달수준은 치료사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의식의 공적 자의식, 사회적 불안, 치료사 발달수준은 치료사 자기효능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고, 사적 자의식과 사회적 불안은 치료사 발달수준을 통해 치료사 자기효능감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문적이고 유능한 미술치료사로서 자격을 갖추는데 필요한 치료사 요인을 밝혀, 치료성과를 위해 치료사 스스로 어떠한 노력을 기울이고, 어떤 부분을 발전시켜야 하는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주는데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