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과점주주의 제2차 납세의무에 관한 연구 : 주주유한책임을 중심으로

        김진환 조선대학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47

        Abstract A Study on the Secondary Tax Liability of Oligopolistic Stockholders - Focused on the Stockholder's Limited Liability - by Kim Jin-Hwan Advisor : Prof. Seo Seong-Ho, Ph. D. Department of Accounting Graduate School, Chosun University Secondary tax liability of oligopolistic stockholders is the means of taxation that enables taxation authorities to respond to tax dodging practices of major taxpayers promptly and effectively. However, it might compromise legal stability and infringe on private property right as it may transfer liability for 3rd party's tax in arrear to secondary taxpayers. Such practice imposes secondary tax liability on oligopolistic stockholders of non-listed firms in spite of the principle of limited liability of stockholder set forth in the Commercial Code in order to secure power to tax, which results in legal contention between the Commercial Code and the tax law. If stockholder's limited liability is emphasized as in the current Commercial Code, stockholders might abuse legal personality to the extent of triggering dysfunction beyond the utility of stockholder's limited liability. Therefore, the principle of stockholder's limited liability needs to be modified on the assumption of several circumstances. For secondary tax liability scheme of oligopolistic stockholders set forth in tax law to be viable as a special legal arrangement restricting the principle of stockholder's limited liability, exception to the principle of stockholder's limited liability set forth in the Commercial Code must be provided for first. Otherwise, issues associated with the legal contention cannot be resolved. In addition, if a stockholder holds shares simply for the sake of investment, his or her limited liability must be honored, irrespective of the number of shares held. However, if he or she is a controlling stockholder or minority stockholder who holds stocks to exercise influence on corporate management, applicable system needs to be modified to endorse exception to the principle of stockholder's limited liability. Accordingly, conclusions of this paper are presented for simple investment cases and other cases. Firstly, proposed improvement for cases where stockholders hold stocks simply for investment is as follows: 1. If a stockholder holds stocks simply for investment, secondary tax liability of oligopolistic stockholders set forth in tax law should not be applied, as imposing secondary tax liability on oligopolistic stockholders runs the risk of being found to be unconstitutional for potential violation of the principle of anti-overrestriction in Section 37.2 of the Constitution, guarantee of the right to property in Section 23.2 thereof, the principle of equality in Section 11.1 thereof and the principle of no taxation without representation in Section 59 thereof. 2. Even if oligopolistic stockholders' secondary tax liability provision is nullified, it is deemed to be possible to secure tax claim by enforcing the following arrangements: (1) If income or property of incorporated entity is transferred to a 3rd party, the substance over from doctrine in Article 14 of the Framework Act on National Taxes and Article 52 of the Corporate Tax Act providing for anti-avoidance rule may be applicable. (2) In case of willful misconduct or gross negligence of a director or a person with executive authority who is not a director, shadow director or nominal director or tax liability incurred by a corporation without such misconduct or negligence, Article 399 and 401 of the Commercial Code may be applied mutatis mutandis to a person legally specified among oligopolistic stockholders or fictitious director to individual and specific extent for violation of the duty of due care and the duty of capital adequacy. (3) Only if a person legally specified among oligopolistic stockholders abuses corporate system, incurring shortfall of national tax revenue, such shortfall may be collected directly by cancellation of injuring act set forth in national tax collection law. (4) It is necessary to add a provision to national tax collection law that imposes complementary tax obligation to a related party such as controlling stockholder who receives gains from corporation in illegal or unfair manner up to the extent of such gains. Secondly, if a stockholder holds stocks for a purpose other than simple investment, following improvements can be made: 1. It is necessary to amend the Commercial Code and stipulate piercing the corporate veil doctrine in the Commercial Code and the tax law. It is deemed to be necessary to stipulate such doctrine in the Commercial Code and the tax law to limit the principle of stockholder's limited liability in favor of equal taxation and tax claim and hold controlling stockholders liable for illegal corporate conduct directly. 2. Secondary tax liability scheme of oligopolistic stockholders in the Framework Act of National Taxes currently in effect can be improved as follows: (1) The scope of "Original Taxpayer" in Article 39 of the Framework Act of National Taxes should be extended to cover all corporations from equal taxation perspective in order to tax claim. Excluding only listed firms is a discriminatory provision favoring big businesses and violates the constitutional doctrine of equality. (2) To strengthen effective requirement for a person legally specified among oligopolistic stockholders, 'C' in Article 39.1.2 of the Framework Act on National Taxes can be nullified and 'A' and 'B' there in can be consolidated to define such person as an entity that exercises rights to majority shares of non-listed firm effectively and control such firm virtually. (3) It is desirable to add a provision in the national tax collection law to apply secondary tax liability to specific beneficiaries. However, if that is not possible, Article 39 of the Framework Act on National Taxes currently in effect needs to be amended to apply secondary tax liability to specific beneficiaries in a limited manner. (4) Current control requirement of oligopolistic stockholders needs to be alleviated to "biggest stockholder or biggest investor" by applying Article 19.2 of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Inheritance Tax and Gift Tax Act mutatis mutantis. (5) For now, secondary tax liability is imposed to oligopolistic stockholders unconditionally as long as relevant requirements are met. However, it is proposed that legal presumption provision that releases secondary tax liability if oligopo- listic stockholders prove that corporate gains and properties do not belong to them. (6) The scope of related parties who are oligopolistic stockholders needs to be reduced to cousins, immediate relatives by marriage, spouses and immediate lineal relatives of spouses. In case of married daughter, lineal relative relationship needs to be determined in reference to married daughter. (7) Joint and several tax liability provision applicable to those who borrow to her's names and who lend own names to avoid tax needs to be added. Secondary tax liability scheme of oligopolistic stockholders in the tax law currently in effect is intended to secure tax claim at the cost of breaching the principle of stockholder's limited liability in the Commercial Code and it may find acceptance and serve its purpose effectively only when its legal legitimacy is secured. In addition, needs to secure fiscal revenue of the state should not justify disregard by tax legislations of basic constitutional rights or no taxation without representation doctrine or founding principles of the Commercial Code which stipulates the foundation of economy in its enactment and interpretation. Therefore, this paper, with focus on changes in economy and society, proposes dual legislation approach toward limited liability doctrine in terms of the Commercial Code and highlights needs for specific legislation and interpretation based on fundamental doctrines in the Constitution and the principle of effective taxation in terms of the tax law. 국 문 초 록 과점주주의 제2차 납세의무에 관한 연구 -주주유한책임을 중심으로- 과점주주의 제2차 납세의무제도는 과세관청의 입장에서 주된 납세자의 조세회피에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대처하는 징수확보 수단이다. 그러나 제2차 납세의무자의 입장에서는 체납된 타인의 조세에 대하여 납부책임을 전가 받음으로써 법적 안정성을 해치고 사적재산권을 침해당할 우려가 있는 것이다. 이는 조세권 확보를 위하여 상법상 주주유한책임의 원칙에도 불구하고 비상장법인의 과점주주에게 제2차 납세의무를 부담시키는 것으로 상법과 세법간의 법적경합의 문제점이 발생되는 부분이다. 현행 상법에서처럼 주주유한책임만을 강조하다 보면, 주주는 법인격을 남용하여 주주유한책임의 효용성 이상의 부작용을 만들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주주유한책임의 원칙이 여러 가지 상황을 전제하여 수정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세법상 과점주주의 제2차 납세의무제도가 주주유한책임의 원칙을 제한하는 특별법규로서 그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상법상 주주유한책임의 원칙에 대한 예외규정이 마련되지 않고서는 법적 경합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할 수 없을 것이다. 주주의 투자목적에 따른 책임의 재조정으로써 단순투자목적인 경우에는 주식의 보유량에 상관없이 주주유한책임의 원칙이 존중되어야 하고, 지배주주 또는 소수주주이면서 그 투자목적이 회사경영에 있거나 회사경영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경우에는 주주유한책임의 원칙에 대한 예외규정을 인정하는 제도개선이 필요하다. 본 논문의 결론을 주주의 투자목적이 단순투자인 경우와 단순투자가 아닌 경우로 나누어 제시하고자 한다. 주주의 투자목적이 단순투자인 경우의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다. 주주의 투자목적이 단순투자인 경우에는 세법상 과점주주의 제2차 납세의무제도가 적용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과점주주에게 제2차 납세의무를 부담시키는 것은 헌법 제37조 제2항 과잉금지의 원칙, 동법 제23조 제2항 재산권 보장, 동법 제11조 제1항 평등의 원칙, 동법 제59조 조세법률주의를 위반함으로써 위헌의 소지가 있다. 그렇다면 과점주주의 제2차 납세의무제도를 폐지하더라도 다음과 같은 제도를 이용한다면 충분히 조세채권을 확보할 수 있다. 첫째, 법인의 소득이나 재산이 제3자에게 이전되었을 경우에 국세기본법 제14조의 실질과세원칙과 법인세법 제52조 부당행위계산의 부인규정을 적용하는 방법이다. 둘째, 이사 또는 이사가 아닌 업무집행지시자ㆍ배후이사ㆍ표현이사로서 악의 또는 중대한 과실이 있거나 악의 또는 중대한 과실이 없더라도 법인의 조세채무 발생에 대하여는 개별적이고 구체적인 범위 내에서 과점주주 중 법정한 자나 의제이사에게 상법상 선관주의의무 및 자본충실의무의 위반을 물어 상법 제399조 및 제401조를 준용하는 방법이다. 셋째, 과점주주 중 법정한 자가 법인제도를 남용하여 국세 등에 부족액이 생긴 경우에 한하여 국세징수법상의 사해행위취소제도에 의하여 직접 징수부족액을 징수하는 방법이다. 넷째, 법인의 소득이나 재산을 불법 또는 부당한 방법으로 분여 받은 지배주주 등 특수관계자에게 그 분여 받은 이익을 한도로 보충적 납세의무를 부담하는 규정을 국세징수법에 신설할 필요가 있다. 주주의 투자목적이 단순투자가 아닌 경우의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다. 우선 상법개정의 필요성과 상법과 세법에 법인격부인의 법리를 제한적으로 명문화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주주유한책임의 원칙도 조세형평이나 조세징수권 확보라는 공익을 위하여 제한할 수 있고, 기업의 불법행위에 대하여도 직접 지배주주에게 책임을 물을 수 있는 수단으로써 상법과 세법에 법인격부인의 법리를 제한적으로 명문화할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국세기본법상 과점주주의 제2차 납세의무제도의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세기본법 제39조의 “본래의 납세의무자”의 범위를 조세평등주의 입장에서 모든 법인으로 확대하여 조세채권을 확보하여야 할 것이다. 주권상장법인만 제외하는 것은 오히려 대자본가에게 특혜를 주는 차별적 규정이고 헌법상 평등의 원칙에도 위반되기 때문이다. 둘째, 과점주주 중 법정한 자의 실질적 요건 강화로 국세기본법 제39조 제1항 제2호의 ‘(다)목’은 폐지하고 ‘(가)목’과 ‘(나)목’은 통합하여 비상장법인의 과반수 주식의 권리를 실질적으로 행사하고 당해 법인의 경영을 사실상 지배하는 자로 규정한다. 셋째, 특정수익자에 한하여 제2차 납세의무를 적용시킬 수 있도록 국세징수법에 신설규정을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것이 여의치 않는다면, 특정수익자에 한하여 제한적으로 제2차 납세의무를 부담시킬 수 있도록 현행 국세기본법 제39조의 개정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넷째, 과점주주의 지배요건을 상속세 및 증여세법 시행령 제19조 제2항을 준용하여 “최대주주 또는 최대출자자”로 대체하여 완화하여야 한다. 다섯째, 과점주주에게 법정 요건만 충족되면 무조건 제2차 납세의무를 지우고 있는데, 과점주주가 자신에게 회사의 수익과 재산이 귀속되지 않았다는 사실을 입증한다면 제2차 납세의무에서 벗어날 수 있는 법률상 추정규정의 신설하자. 여섯째, 과점주주에 해당하는 특수관계자의 범위를 4촌 이내 혈족, 3촌 이내의 인척, 배우자의 2촌 이내의 혈족 및 그 배우자로 축소하고, 출가녀의 경우에는 출가녀 자신을 기준으로 친족여부를 판단하여야 할 것이다. 일곱째, 조세회피목적으로 한 주식명의대여에 대하여 명의차용자와 명의대여자에게 연대납세의무규정을 신설하자. 현행 세법상 과점주주의 제2차 납세의무제도는 상법의 주주유한책임원칙을 침해하면서까지 조세채권을 확보하려는 제도로서 그 법적 정당성을 확보되어야만 본 제도의 안착 및 실효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국가의 재정수입 확보가 아무리 중요하더라도 조세입법이 헌법의 기본권 보장이나 조세법률주의 정신 및 경제의 기본법인 상법의 이념 등을 무시하고 제정되고 해석되어져서는 안 될 것으로 생각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경제사회의 변화에 초점을 맞추어 상법분야에 대해서는 유한책임의 원칙에 대한 2원적구조로의 개선을 제안하였고, 세법분야에 대해서는 헌법의 기본원칙과 실질과세원칙 등에 기초하여 세부적인 입법 및 해석의 필요성을 주문하였다.

      • 청동기시대의 제의유적에 대한 연구 : 바위유적을 중심으로

        김진환 세종대학교 일반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object of this paper is about the characteristic and shapes of ritual-sites of the Bronze age and to arrange ruins and relics related to ritual-sites. Literally, Ritual means to overcome when human beings are faced with problems and it is not possible with a supernatural power when they do not solve by themselves Studies about Bronze age were not enough to analyze ritual-sites deeply and overall. There have been just symbolical meaning, character of Petroglyph and the skills of Dolmen. So I grasp the point of the shape of Stone and relics with analyzing Stone date among the recent previous data. This paper has been looking the peculiarity of condition of location, shapes, division matters, and excavated relics. The keys of condition of location are locational characteristics and the right to a view. And this paper is going to check the direct or indirect relationship with around ruins. The shapes of ritual-site are divided into each sort and analyzed by its shape. The condition of location of ritual-sites is one of the key point to reason the target or object of ritual. Firstly, these ruins are located in the top of a mountain, higher place of ridge, the foot bottom of a mountain and near a river or a sea. The common thing of the ritual-sites is good place to have a nice right to a view. Ritual-Sites can be analyzed by Stone-Sites which related to huge stones from Bronze Age. ⅰ) Natural stone or artificial stone ⅱ) Existence or non-existence of Petroglyph ⅲ) Existence or non-existence of ritual facilities The shape of Stone related to ritual-sites is classified to a natural stone, Petroglyph, existence or nonexis of Petroglyph and existence or nonexis of attached facilities. And it is also divided into natual stones, Petroglyph, ritual, Standing-stones and Dolmen. Space is giving a really important meaning to ritual. Stones of Bronze Age is been respected and we can suppose there have been a religious, periodical difference because of the ritual shape attaching artificial things. Ritual-sites are located with regular distance from other ruins. Sometimes, these places are divided naturally, topographically or put stones around alter or digging a circled trench. Space is giving very important meanings to Ritual-Site. Because it has a role like the midway bridge connecting the real world and it is also very sacred place. Relics has a important role giving a fact of ruin's character. Many sites also give a significant part to distinguish whether its character and an era of ruins. Also Ritual-Sites have no exception. When we analyzed excavated relics, there are artificially destroyed relics, incompleted stone tools and relics related to ritual. The thing destroyed relics artificially is not the meaning to demolish simply or use but it destructed for unusing next time with people's dearest wish. For instance, incompleted stone is not so practical but this is for Ritual service as a imitation form. When summarizes the front writing again, people who have stone worship on Bronze Age choose a good space for ritual in good view area. We can know that The shape of Ritual-Site can change by space, topography, purpose of worship, regional difference. relics what was excavated in ritual-site is destoried relics on purpose, incompletion stone tool, an impractical tool. This is different relics what was excavated in another-site like a house-site, tomb-site. People in Bronze age had known important about nature power by development of farming-culture. This is not refigious analysis, We can know an idea or life of people at that time. And it is important data that can remake life of people on Bronze age. this paper have a point that attempt over interpretation because do not have enough to studise and excavation site. If it will be find many Site and will have synthetic study through comparison and investigation, We will can understand think and Mind of people on Bronze Age. 이 논문은 청동기시대의 여러 유적에서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는 유구와 유물 중 제의행위와 관련된 유적을 정리・검토하여 청동기시대 제의유적의 여러 형태와 성격을 연구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청동기시대 제의유적에 대한 이제까지의 연구는 유물의 상징성이나 암각화의 성격, 고인돌의 제의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는 정도만 이루어졌다. 연구가 보다 더 심층적이고, 종합적인 분석이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이에 필자는 최근 발굴조사된 자료 중에서 바위유적의 자료를 정리 및 분석하여 이들 유적이 갖는 입지조건과 형태, 유적의 구획문제, 출토유물을 통해 그 성격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입지조건은 유적의 지리적인 위치 즉 유적의 위치한 입지적 특성, 조망권 등이 중심이 되며 아울러 주변 유적과의 직・간접 관계도 알아보고자 한다. 제의유적의 형태는 각 유적을 종류별로 구분한 다음 형태에 따라 살펴보았다. 제의유적이 입지하는 곳은 산정상부와 같은 높은 곳이거나 물과 인접한 곳에 있으며, 이곳들의 공통점은 주변 지형을 잘 볼 수 있어 조망이 우수하다. 제의유적에서의 입지는 다른 유적보다 더 입지가 매우 중요하다. 이는 제의의 대상이나 목적을 추론하는데 입지에 많은 영향을 끼치기 때문이다. 제의행위와 관련된 바위유적의 형태는 자연바위와 인공구조물, 암각화의 유물, 부속시설의 유무의 기준으로 분류하면 크게 자연바위, 암각화, 제단, 선돌, 고인돌 등으로 나뉠 수 있다. 청동기시대의 바위는 우상시 되고 있으며, 이는 순수한 자연바위에서 점차적으로 인공을 가미하여 제의유적의 형태가 시대, 지역적인 차이가 생기는 것을 추론해 볼 수 있다. 제의유적은 주변유구와 일정한 거리를 가지고 떨어져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공간을 단순히 자연・지리적 지형조건으로 공간을 분리하거나, 제단 주변에 돌을 돌려 만들거나, 아님 환호와 같이 땅을 파서 구획하는 경우가 있다. 제의에 있어서 공간의 의미는 매우 중요한 것이다. 현실세계와 또 다른 세계를 이어주는 중간다리의 역할을 하며, 매우 신성한 공간이기 때문이다. 제의유적에서 출토된 유물을 분석해 보면, 인위적으로 파괴된 유물, 미완성 석기, 제의와 관련된 유물 등을 들 수 있다. 인위적으로 유물들은 파쇄시킨 것은 단순히 사용을 하거나 폐기시키기 위해 파괴시킨다는 의미보다 사람들의 염원을 담아 제의행위에 사용한 후 다음에 사용하지 않기 위해 파쇄시킨 것으로 볼 수 있다. 미완성 석기와 같은 경우 이런 석기 자체가 실용적이지 못하고 있으나, 이것은 제의행위를 위해 실용적 보다는 모형품형식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상을 요약하면, 청동기시대의 제의유적은 바위숭배 사상을 바탕으로 당시 사람들이 사는 공간에서 숭배의 대상이나 목적과 부합하면서 조망이 좋은 곳을 찾아 제의행위를 하는 공간을 설정하였다. 또한 제의유적의 형태는 유적이 입지하는 주변지세와 숭배의 대상 또는 시기, 지역적 차이에 따라 형태가 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제의유적에서 출토된 유물은 다른 유적에서 출토된 유물과는 달리 인위적으로 파괴시키거나, 완성되지 않은 것으로 사용하여 비실용적인 유물들이 많이 있다. 이는 청동기시대 바위유적에 대한 제의행위의 성격을 알려면 제의유적의 입지조건, 형태, 공간분리, 출토유물을 종합적으로 분석하면 당시 사람들의 제의행위가 하는 것을 조금이나마 그림이 그려질 것이다. 청동기시대 사람들은 농경문화가 정착되면서 자연의 힘에 중요함을 알고 인간의 힘으로 안되는 초자연적인 힘을 우상숭배로 인해 이루려는 염원이 담겨 있다. 이것은 단순의 종교 신앙적인 해석이 아니라 그 때 당시의 사람들의 생활과 관념에 대해 알 수 있고, 보다 더 당시사람들의 삶을 복원하기에 많은 자료로 이용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아직 자료가 많이 보고되지 않은 상태에다가 많은 연구가 진행되지 않아 다소 무리한 해석을 시도한 면도 있다. 향후 많은 유적이 찾아지고 종합적인 비교・검토가 이루어진다면 보다 더 많은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당시 사회의 생활관과 정신 세계관까지 이해 할 수 있을 것이다.

      • 한국 도서지역 지석묘의 성격

        김진환 목포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청동기시대 대표적인 묘제인 지석묘는 농경을 바탕으로 하는 사회의 산물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도서지역은 농경에 적합한 환경이 아니며 바다라는 자연환경을 이용한 생활을 하였을 것이다. 도서지역의 지석묘는 농경에 적합한 환경이 아닌 가운데 축조되었다면 이 지역의 지석묘 축조의 문화적 배경은 무엇이며, 이에 따른 연안지역 지석묘 문화와의 관계를 알아보고자한다. 공간상 한반도 서해와 남해의 도서지역으로 한정하였으며, 지석묘가 조사된 도서를 서해중부, 서남해, 남해 등 3개 지역으로 나누어 도서지역의 자연환경과 지석묘 자료를 정리․분석하고, 인접 연안지역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서해중부 도서지역의 지석묘는 강화도 북부지역에 밀집분포하며 그 외 도서지역에서는 1~2개군이 확인된다. 전형적인 탁자식 지석묘는 확인되지 않으며 1기만 독립되어 위치하는 지석묘 비율이 높고 산기슭과 구릉에 주로 입지한다. 탁자식 지석묘와 각형토기주거지와 각형토기문화를 대표하는 유물의 존재로 대동강을 중심으로 하는 각형토기문화권으로 추정된다. 지석묘 축조 시기 상한은 각형토기와 공반 유물로 보아 청동기시대 전기부터 지석묘가 축조되었음을 알 수 있으며, 하한은 뚜렷하지 않으나 영종도에서 확인되는 청동기시대 주거지가 역삼동 2기로 송국리문화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아 청동기시대 중기 중반으로 추정할 수 있다. 서남해 도서지역의 지석묘는 진도와 안좌도, 압해도, 완도, 고금도를 중심으로 분포한다. 진도를 중심으로 북쪽의 신안군과 동쪽의 완도군의 지석묘문화가 상이성을 가진다. 신안군은 탁자식 지석묘와 주형지석을 갖춘 지석묘가 분포하며, 각형토기문화의 유경식 Ⅰa식 석검이 확인되며, 전남 서해안과 영산강유역의 지석묘의 영향으로 부장유물이 적은 박장일 것으로 추정된다. 완도군은 군집의 밀도가 높으며 개석식과 기반식만이 확인되며, 지석묘의 구조(대형개석, 묘역)와 출토유물(유경 Ⅱ식)에서 남해안지역 지석묘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판단된다. 진도를 중심으로 위치한 지리적 환경으로 인한 인접지역과의 문화접변의 결과로 상이성을 보인다. 진도는 지석묘의 입지지형과 주형지석을 가진 지석묘의 존재로 보아 신안군의 도서지역과의 유사성이 상정되고, 지정학적 위치와 지석묘의 밀집분포 양상 등으로 일정한 규모의 정치세력이 존재했을 가능성이 있으나 발굴조사가 전무한 실정으로 속단할 수는 없다. 지석묘 축조 시기는 전기에 해당하는 유물이 확인되기는 하나 명확한 자료가 없어 상한과 하한을 정하기 어려우며 서해안지역에서 지석묘가 성행한 송국리단계에 많은 지석묘가 축조된 것으로 여겨진다. 남해 도서지역의 지석묘문화는 지석묘의 입지와 형식 구조에서 구릉과 산기슭 입지 비율이 높은 점, 개석식 지석묘와 소군집이 많은 점, 다양한 하부구조(묘역시설, 다단토광, 다중개석, 부장공간), 동검, 유병식석검과 채문토기, 적색마연토기의 부장, 옥의 출토 등을 특징으로 한다. 세분하면 전남 동부 도서지역은 비파형동검과 유구석부, 채문토기, 이중구연토기 등이 서해안지역과 연관되고, 경남 남해안지역은 옥과 적색마연토기, 공열토기 등이 존재하며, 두 지역간은 빈번한 교류를 통하여 서로의 특징을 고르게 섞여 나타나고 있다. 지석묘 축조의 시기 거제 농소유적의 채문토기로 보아 청동기시대 중기전반에서 점토대토기단계인 후기까지 인 것으로 보인다. 인류학에서 도서문화란 인간집단이 도서생태계에 가담하여 도서문화의 특성에 적응하는 과정에 지니게 된 문화라고 한다. 이러한 도서문화의 분화에 작용하는 요인은 조상의 역할, 고립의 역할 그리고 한정된 영토 세 가지이다. 우리나라 도서지역은 연안지역과 유사한 자연환경을 지니며, 대부분이 근해에 위치하여 접근성도 높아 잦은 교류가 가능하다. 그리고 섬이라는 한정된 영토를 가질 뿐 큰 차이를 찾을 수 없다. 문화는 같은 시기에 발생하고 소멸하는 것이 아니라 각각의 문화로 발전하는 양상을 보인다. 또 오랜 시간 공존하면서 영향을 주고받아 다양한 문화로 발전하거나 소멸한다. 우리나라 도서지역은 섬이라는 지리적 특수성으로 인하여 인접지역과는 다른 문화가 발전하거나 특이성을 지닌 것으로 보아왔으나 우리나라 도서지역의 지석묘문화는 독자적인 문화로 발전하거나 소멸된 것이 아니라 주변 지역과 연관되어 발전하고 소멸되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Dolmens which are one of representative grave system in the broze age have been known as products of agricultural society. However,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of islands are not suitable to agriculture and they are thought be lived using the natural environment that is the sea.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know the cultural background of building dolmens in this area where had bad conditions to farm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ackground and dolmens existing in islands. To know this, firstly the scope of the investigation is limited to the islands of the west and the southern sea in korea. secondly, to collect the efficient data, the investigated islands are divided to three regions which are the middle-west, the southern-west and the southern sea. Lastly, the data was analyzed to know the relation with the near coastal area. The dolmens in the islands of the central western are mainly distributed in the northern area of GangHwa Island, and one or two of them are existed in the other of there. There are no the typical table-style, dolmen and many independent dolmens where around the foot of the mountain and hills. the top-shaped pottery culture area regarding Taedong River as the central area was estimated because of existing the artifacts representing table type dolmen, the top-shaped dwelling and the top-shaped pottery culture area. It is to be known that the top limitation time for building dolmen is from Early bronze age because of the top-shaped pottery and associated relic and the bottom one is able to be thought Middle bronze age with the fact that the shelters of bronze age in Yeongjongdo Island is the secondary stage of Yeoksam-dong which means it is affected from the culture of Songguk-ri. The dolmens in the southern west islands are distributed with Jindo Island, anjwa Island, Aphae Island, Gogeum Island as the center. The dolmen culture in Sinan-gun which is northern side from Jindo Island is different from the one in Wando Island which is east side from the one. Table type dolmen and the dolmen with the stone base of Pillar-shaped are distributed in Sinan-gun and the canedⅠa type stone daggers of the top-shaped pottery culture are discovered in this area. It is estimated that the hand-clapping which has funerary relic with the affection of the dolmen culture of Jeollanam-do the west coast and Yeongsan River. The crowding density of Wando-gun is high and there only are the cap stone type and go board type. The dissimilarity is made from the result of acculturation with the close area because of the geographical environment with Jindo Island as the center. It is proposed that Jindo Island is similar to the islands of Sinan-gun with considered being the dolmen having the stone base of Pillar-shaped and the geographical feature of them. Some of political influences could be there with considering geopolitical position and the aspect of close distribution. However, it is impossible to easily conclude because there are no investigations about that. The time to build dolmen is difficult to set with no data though some of early artifacts. many dolmens are considered to be made in the Songguk-ri stage time when dolmen was popular. The features of dolmen culture in southern sea islands are high positional portion of hill and the foot of a mountain, many cap stone type dolmens and minor communities, multiple substructure(the boundaries of a grave, multistage pit, multiplex cap stone, spatial funerary), bronze daggers, caned type stone daggers, painted pottery, funerary of red grinding pottery, excavation of jade. Departmentally, aoning Type Bronze Dagger and groove with a stone axe, pottery with eggplant design, pottery with double mouth rim are related to the Jeollanam-do eastern islands and Gyeongsangnam-do southern area has jade and red grinding earthenware, excavation, pottery with rim-perforated. Each mixed features are watched in the two areas because of frequent interchanges. The time to build dolmen is considered from the middle bronze age to late bronze age which is the roll-rimmed pottery stage based on the pottery with eggplant design of Geoje Nongso site. Island culture means the culture mde in the process of mass of human's adaptation to the features of islands' culture. The three factors of dividing island culture are the role of ancestors, isolation and limited territory. Islands in korea have similar natural environment to coastal area's and most of them are close to the sea so it is possible to make frequent exchanges because of good accessibility. There is no big differences except one, limited territory, between them. Culture is not born and died in the same time but developed independently to each cultures. And the cultures develop to various ones or become extinct with interactions. Generally, it is thought that islands in korea develop the different culture from the neighboring areas. However,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dolmen culture in korean islands was developed or died as not independent culture but the type which is related to other surrounded area.

      • 북한의 선군정치(先軍政治) 연구

        김진환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mid-1990s, the economic difficulties of North Korea degenerated, people's escape at the boundaries of a country continued, and North Korea kept confronting with the United States. On these phenomena, the theories such as 'collapse of the state' and 'crisis of the system' was spread among the observers inside and outside world. By 2000, however, North Korea has been recovering fast the political and economic stability, further, it has initiated actively the improvement of relationship with the western countries including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cess that North Korea had overcome the serious crisis in the 1990s and entered the 'stable orbit' successfully. The study focused on the 'The Military-oriented Leadership' of North Korea in the 1990s. The Military-oriented Leadership performed many functions that Kim Jong-il and the Korean Workers' Party retained the survival of the North Korean system and accomplished the stability of the system. It also was characterized that the military works became more important as the operational method to strengthen the system, and the military led to solve the present assignments. By the 1990s, the conditions of the Military-oriented Leadership chosen by the Korean Workers' Party was three as follows: the historically established 'united party-military relationship', economic difficulties and people's turmoil, and a threat to survival from an outside world. The Military-oriented Leadership emerging among the circumstances both inside and outside North Korean system has been institutionalized in the paky and the state organizations by the decisions at the first meeting of the 10th Supreme People's Assembly on September in 1998, and then, it has settled as the operational method of the system. The Military-oriented Leadership was carried out for the survival, stability, and strengthening of the system. First, corresponding that the United States has continued to threaten and restrict toward North Korea, the Korean Workers' Paky made the political and historical position of the military more higher and propelled the development of strategic weapons, the showing-off of the military forces, and the normalization of relationship with the western countries. Secondly, when a foundation of materials and thought was swung by the economic disorder and people's complaints, the role of the military in economy was strengtened and the military's initiative on political thought was stressed. Third, the party suggested the construction of the 'great strong state' and declared 'modernization of economy' under the aim to strengthen the North Korean system through the Military-oriented Leadership Under the Military-oriented Leadership, however, as 'militarization of society' has been more serious, it is possible that 'moderniration of economy' contrasts with 'militarization of society'. Therefore, the party will seek the change of the operational method to strengthen the system when the first aim of the Military-oriented Leadership, that is, the survival and stability of the system was accomplished. The core of the change is to mollify militarization of society and prepare the ways for activation and modemization of economy. Finally, this study was done by the documents research and the comparative historical approach on North Korea. North Korean system is characterized by unifying leader-party-people and the united relationship of party-military. Also, it is defined as the socialist system which a function as a 'economy-organizer' of the state has been gradually emphasiz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