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전(全)복강경하 원위부 위절제술의 초기 경험

        김진조,송교영,진형민,김욱,전해명,박조현,박승만,임근우,박우배,김승남,Kim Jin Jo,Song Gyo Young,Chin Hyung Min,Kim Wook,Jeon Hae Myoung,Park Cho Hyun,Park Seung Man,Lim Keun Woo,Park Woo Bae,Kim Seung Nam 대한위암학회 2005 대한위암학회지 Vol.5 No.1

        목적:최근 조기위암환자를 대상으로 복강경보조하 원위부 위적제술이 활발히 시행되고 있으나 전복강경하 원위부 위절제술은 복강 내 위장관 문합의 어려움 때문에 아직까지 활성화되어 있지 않다. 이에 저자들은 복강경용 선형 자동 문합기를 이용한 복강 내 위십이지장 문합술을 통한 전복강경하 원위부 위절제술의 초기 경험을 통하여 그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6월부터 9월까지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성모자애병원 외과에서 조기위암으로 진단되어 전복강경하 원위부 위절제술을 시행받은 환자 8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복강 내 위십이지장 문합에는 복강경용 선형 자동 문합기를 이용한 델타형 문합 밥법을 이용하였다. 대상 환자에 대한 수술 관련 사항(수술 및 문합에 소요된 시간), 수술의 경과와 임상병리학적인 결과를 통한 근치도를 조사하였다. 결과: 수술 시간은 $369.4\pm62.5$분, 문합에 소요된 시간은 $45.1\pm14.4$분이었으며 증례의 증가에 따라 점차 단축되었다. 문합에 사용한 자동 문합기의 수은 $7.1\pm0.6$개였다. 절제 림프절은 $31.9\pm13.1$개였으며 개복 수술로 전환한 예는 없었다. 수술 후 첫 가스 배출은 $2.8\pm0.5$일, 첫 유동식 섭취는 $4.1\pm0.8$일, 재원 기간은 $10.3\pm4.1$일이었다. 수술과 관련된 합병증은 없었다. 결론: 델타형 위십이지장 문합을 이용한 전복강경하 원위부 위절제술은 기술적으로 용이하였고 조기위암환자에서 복강경 수술의 장점을 최대화할 수 있는 최소침습수술의 하나라고 생각된다.0\%$), 위 중부 20예($21\%$), 위 상부 18예($9\%$)였다. 위암 환자 중 흡연력이 있는 경우는 56명, 없는 경우는 40명이었고, 음주력이 있는 경우는 45명, 없는 경우는 51명이었다. 환자군에서 MTHFR의 유전자 다형성은 C/C 18($19\%$), C/T 59($61\%$), T/T 19($20\%$)였고, 대조군에서는 C/C 116($40\%$), C/T 103$40\%$), T/T 68($24\%$)이었다(P=0.045). 암의 위치에 따른 MTHFR유전자형의 분포는 위 하부에서 C/C 16($28\%$), C/T & T/T 42($77\%$)이었고, 위 중부 및 상부에서 C/C 2($5\%$), C/T & T/T 36($75\%$) 이었다(P=0.006). 환자군 내에서 흡연력 유무에 따른 MTHFR유전 자형의 분포는 흡연력이 있을 때 C/C 13($23\%$), C/T & T/T 43($77\%$)이었고, 흡연력이 없을 때 C/C 5($12\%$), C/T & T/T 35 ($88\%$)였다(P=0.189). 환자군 내에서 음주력 유무에 따른 MTHFR유전자형의 분포는 음주력이 있을 때 C/C 12($26\%$), C/T & T/T 33($74\%$)이었고, 음주력이 없을 때 C/C 6($12\%$), Purpose: In Korea, the number of laparoscopy-assisted distal gastrectomies for early gastric cancer patients has been increasing lately. Although minimally invasive surgery is more beneficial, no reported case of a totally laparoscopic distal gastrectomy has been reported because of difficulty with intracorporeal anastomosis. This study attempts, through our experiences, to determine the feasibility of a totally laparoscopic distal gastrectomy using an intracorporeal gastroduodenostomy in treating early gastric carcinoma. Materials and Methods: We investigated surgical results and clinicopatholgic characteristics of eight(8) patients with an early gastric carcinoma who underwent a totally laparoscopic distal gastrectomy at the Department of Surgery, Our Lady of Mercy Hospital,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between June 2004 and September 2004. The intracorporeal gastroduodenostomy was performed with a delta-shaped ananstomosis by using only laparoscopic linear staplers (Endocutter 45mm; Ethicon Endosurgery, OH, USA). Results: The operative time was $369.4\pm62.5$ minutes (range $275\∼465$ minutes), and the anastomotic time was 45.1\pm14.4$ minutes (range $32\∼70$ minutes). The anastomotic time was shortened as surgical experience was gained. The number of laparoscopic linear staplers for an operation was $7.1\pm0.6$. The number of lymph nodes harvested was $31.9\pm13.1$. There was 1 case of transfusion and no case of conversion to an open procedure. The time to the first flatus was 2.8$\pm$0.5 days, and the time to the first food intake was $4.1\pm0.8$ days. There were no early postoperative complications, and the postoperative hospital stay was $10.0\pm3.9$ days. Conclusion: A totally laparoscopic distal gastrectomy using an intracorporeal gastroduodenostomy with a delta-shaped anastomosis is technically feasible and can maximize the benefit of laparoscopic surgery for early gastric cancer.

      • 전(全)복강경하 위절제술의 임상적 유용성

        김진조,김성근,전경화,강한철,송교영,진형민,김욱,전해명,박조현,박승만,임근우,박우배,김승남,Kim, Jin-Jo,Kim, Sung-Keun,Jun, Kyong-Hwa,Kang, Han-Chul,Song, Kyo-Young,Chin, Hyung-Min,Kim, Wook,Jeon, Hae-Myung,Park, Cho-Hyun,Park, Seung-Man,Lim 대한위암학회 2007 대한위암학회지 Vol.7 No.3

        목적: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복강경보조하 위절제술이 활발히 시행되고 있으나 전복강경하 위절제술은 복강 내 위장관 문합의 어려움 때문에 별로 시행되고 있지 않다. 이에 저자들은 복강경용 선형 문합기를 이용한 다양한 복강내 문합술을 통한 전복강경하 위절제술의 경험을 통하여 그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6월부터 2007년 5월까지 000대학교 0000병원 외과에서 위암 또는 위양성종양으로 전복강경하 위절제술을 시행 받은 환자 81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위절제술 후 복강 내 문합에는 복강경용 선형 문합기 만을 사용하였다. 대상 환자에 대한 수술의 결과와 임상병리학적인 결과를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수술 시간은 평균 287분이었고, 문합에 소요된 시간은 평균 40분이었으며 사용한 선형 문합기의 카트리지 수는 평균 7.5개였다. 수술 후 첫 가스 배출은 2.9일, 첫 유동식 섭취는 3.6일, 재원 기간은 10.3일이었다. 수술과 관련된 합병증은 11예(13.6%)에서 발생하였으나 수술로 인한 사망예나 개복수술로의 전환 예는 없었다. 75명의 위암 환자에서 절제된 림프절은 평균 38.1개였으며 병기는 I기가 72명, II기가 2명 그리고 IV기가 1명이었다. 위암 환자들의 평균 추적기간 16개월 동안에 5명의 환자가 사망하였으나 위암의 재발에 의한 사망은 없었다. 결론: 전복강경하 위절제술은 안전하고 기술적으로 용이 하였으며 위절제술이 필요한 환자들에 대한 좋은 최소침습수술 중의 하나라고 생각한다. Purpose: In Korea, the number of laparoscopy-assisted distal gastrectomies for early gastric cancer patients has been on the increase. Although minimally invasive surgery is more beneficial, no reported case of a total laparoscopic gastrectomy has been reported because of difficulty with intracorporeal anastomosis. This study attempts, through our experience, to determine the safety and feasibility of a total laparoscopic gastrectomy with various types of intracorporeal anastomosis using laparoscopic linears stapler in treating early gastric carcinomas. Materials and Methods: We investigated the surgical results and clinicopatholgical characteristics of 81 patients that underwent a totally laparoscopic distal gastrectomy at our department between June 2004 and May 2007. The intracorporeal anastomoses were performed by using laparoscopic linear staplers. Results: The mean operative time was 287 minutes, the mean anastomotic time was 40 minutes, and the mean number of laparoscopic linear staplers used for an operation was 7.5. The mean time to the first flatus, the first food intake, and discharge from hospital was 2.9, 3.6, and 10.3 days respectively. There were 11 cases of postoperative complications, but no case of postoperative mortality or conversion to an open procedure. In 75 patients with an adenocarcinoma, the mean number of lymph nodes harvested was 38.1 and the stage distribution was as follows: stage I, 72 patients; stage II, 2 patients; stage IV, 1 patient. During the mean follow-up period of 14 months, 5 patients died of other causes and there were no cases of cancer recurrence. Conclusion: A total laparoscopic gastrectomy with intracorporeal anastomosis by using a laparoscopic linear stapler was found to be safe and feasible. We were able to obtain acceptable surgical outcomes in terms of minimal invasiveness.

      • 전복강경하 원위부 위절제술 후 Uncut Roux-en-Y 위공장문합술과 B-I 위십이지장문합술의 비교

        김진조,김성근,전경화,강한철,송교영,진형민,김욱,전해명,박조현,박승만,임근우,박우배,김승남,Kim, Jin-Jo,Kim, Sung-Keun,Jun, Kyong-Hwa,Kang, Han-Chul,Song, Kyo-Young,Chin, Hyung-Min,Kim, Wook,Jeon, Hae-Myung,Park, Cho-Hyun,Park, Seung-Man,Lim 대한위암학회 2007 대한위암학회지 Vol.7 No.3

        목적: Uncut Roux-en-Y gastrojejunostomy는 잔위로의 담즙 역류와 Roux stasis 증후군을 예방하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원위부위절제술 후 전복강경하 uncut Roux-en-Y 위공장문합술(TLuRYGJ)의 임상적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게 되었다. 대상 및 방법: 본원에서 TLuRYGJ를 시행 받은 19영의 환자들과 같은 기간에 전복강경하 Billroth I 위절제술(TLB-I)을 시행 받은 11명의 환자들의 수술 후 6개월째 조사한 Visick 분류, 식습관, 위절제후증후군과 관련된 위장관 증상, 내시경 검사 소견 등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수술 후 6개월째에 조사한 위절제후증후군과 관련한 위장관 증상과 Visick 분류에서는 별다른 차이가 없었으나 TLuRYGJ 군 환자들 중 담즙 역류성 위염의 증상을 호소했던 환자는 한 명도 없었고 투약을 요하는 위 지연배출의 증상을 호소했던 환자가 한 명(5.3%)있었다. 수술 후 6개월째 위 내시경 검사 소견에서 TLuRYGJ 군에서 TLB-I군에 비해 담즙 역류성 잔위염이 더 적은 소견을 보였다. 결론: TLuRYGJ는 담즙 역류성 위염과 Roux stasis 증후군을 예방하는 데 효과적이었다. Purpose: An uncut Roux-en-Y gastrojejunostomy has been known to be effective in preventing bile reflux gastritis in the remnant stomach and the Roux stasis syndrome. Materials and Methods: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a totally laparoscopic uncut Roux-en-Y gastrojejunostomy (TLuRYGJ) after a distal gastrectomy, we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19 consecutive patients that underwent a TLuRYGJ at our institution, and 11 consecutive patients who underwent a totally laparoscopic Billroth I gastrectomy (TLB-I) during the same period. Results: Postoperative gastrointestinal symptoms related to the postgastrectomy syndrome and the Visick classification at six months after surgery were not different in the two groups; however, there was no case of symptomatic bile reflux gastritis and only one case of delayed gastric empting, for which medication was required, in the TLuRYGJ group. The endoscopic findings of the remnant stomach for bile reflux gastritis at six months after surgery were better in the TLuRYGJ group than in the TLB-I group. Conclusion: A TLuRYGJ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preventing bile reflux gastritis and the Roux stasis syndrome.

      • 복강 내 위장관 연속 손바느질에서 매듭 대용으로서의 Pledget의 유용성

        김진조,송교영,김성근,전경화,진형민,김욱,전해명,박조현,박승만,임근우,박우배,김승남,Kim, Jin-Jo,Song, Kyo-Young,Kim, Sung-Keun,Jun, Kyong-Hwa,Chin, Hyung-Min,Kim, Wook,Jeon, Hae-Myung,Park, Cho-Hyun,Park, Seung-Man,Lim, Keun-Woo,Park, Wo 대한위암학회 2007 대한위암학회지 Vol.7 No.3

        목적: Pledget은 주로 심혈관계 수술에서 매듭을 보강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PTFE 재질의 섬유조각이다. 연구자들은 복강경 수술에서 복강 내 매듭짓기의 횟수를 줄임으로써 복강 내 위장관 연속 손바느질을 기술적으로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pledget을 매듭의 대용으로 이용하였다. 대상 및 방법: 본원에서 전복강경하 uncut Roux-en-Y 위공장문합술을 시행 받은 32명의 환자들을 복강 내 문합의 방법에 따라 3군으로 나누어 각 군간의 수술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복강 내 문합에서 기본적으로는 선형문합기를 사용하였지만 A군에서는 공장공장문합부와 위공장문합부의 문합기가 들어간 구멍을 pledget을 이용한 손바느질로 막았고, B군에서는 공장공장문합부의 문합기가 들어간 구멍을 기존의 손바느질로 막았으며, C군에서는 문합기가 들어간 구멍을 모두 선형문합기로 막았다. 결과: A군에서의 손바느질의 양이 B군에 비해 훨씬 더 많았음에도 불구하고 문합시간은 두 군 사이에 별다른 차이가 없었으며 C군의 문합시간보다는 A군의 문합시간이 더 길었다. 사용한 선형문합기 카트리지의 수는 세 군중 A군에서 가장 작았다. B군에서는 복강 내 손바느질 도중에 봉합사가 끊어지는 예가 2예 있었으나 A군에서는 그러한 예가 한 예에서도 발생하지 않았다. 결론: Pledget은 복강 내 위장관 연속 손바느질에서 매듭의 수를 줄여 문합시간을 단축하는 데 유용하였다. Purpose: Pledget is a PTFE felt that is usually used for suture reinforcement in cardiovascular surgery. In order to minimize the difficulty in intracorporeal continuous gastrointestinal suturing by reducing the number of tied knots, we have used pledget as substitute for a knot (pledget suturing). Materials and Methods: Thirty-two consecutive patients who underwent totally laparoscopic uncut Roux-en-Y gastrojejunostomy after distal gastrectomy in our institution were enrolled in this study, and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method of intracorporeal anastomosis. Basically, intracorporeal anastomosis was performed by several firings of linear staplers; however, the entry holes for the stapler at the jejunojejunostomy and the gastrojejunostomy were closed by pledget suturing in group A (8 patients), the entry hole for the stapler at jejunojejunostomy was closed by conventional suturing in group B (8 patients), and all of the entry holes for the stapler were closed by stapling in group C (16 patients). The surgical outcomes of each group were compared to each other. Results: The anastomotic time in group A was not longer than in group B, although there were more sutures used in group A, but it was longer than in group C. The number of stapler cartridges used in group A was the smallest among the three groups. In group B, there were two cases of a break of suture material during anastomosis, there were no such cases in group A. There was no complication related to anastomosis in all of the groups. Conclusion: Pledget was found to be useful for minimizing the difficulty in intracoproreal continuous gastrointestinal suturing and reducing the number of stapler cartilages used in intracorporeal anastomosis.

      • 위암의 근치적 절제술 후 발생한 골 전이

        김진조,송교영,진형민,김욱,전해명,박조현,박승만,박우배,임근우,김승남,Kim Jin Jo,Song Kyo Young,Chin Hyung Min,Kim Wook,Chun Hae Myung,Park Cho Hyun,Park Seung Man,Park Woo Bae,Lim Keun Woo,Kim Seung Nam 대한위암학회 2005 대한위암학회지 Vol.5 No.1

        목적: 위암의 근치적 절제술 후 발생하는 골 전이는 드물며 이에 대한 보고는 산발적인 증례보고에 머물고 있어 그 특징에 대해서는 잘 알려진 바가 없다. 이에 저자들은 위암의 그치적 절제술 후 발생한 골 전이의 형태와 치료의 효과 그리고 예후를 알아보기 위해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9년부터 2002년까지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강남성모병원과 성모자애병원에서 위암으로 근치적 절제술을 시행 받은 후 골 전이가 확인된 29명의 환자들의 의무기록을 조사하여 이들의 임상병리학적인 특징을 분석하였다. 결과: 환자들의 성비는 남자는 19명 여자는 10명이었으며 평균연령은 $53\pm12$세였다. 원발암의 병리학적 특징은 Borrmann 3,4형이 많았으며 미분화형이 많았고 병기는 주로 3,4형이 많았으며 미분화형이 많았고 병기는 주로 3,4기였다. 골 전이가 가장 많이 발생한 부위는 척추였고 그 다음으로 골반, 늑골 그리고 두개골의 순으로 나타났다. 재발 후 치료는 16예($55.2\%$)에서 시행하였다. 지발 후 치료를 받은 환자들의 생존기간의 중간값은 7개월($0\∼75$개월)로 치료를 받지 않은 환자들(2개월)에 비해 길었으나(P=0.019) 치료방법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P=0.388). 결론: 위암의 근치적 절제술 후 발생하는 골 전이는 Borrmann 3,4형에서 미분화형에서 그리고 3,4기의 진행된 암에서 많이 발생하였다. 이들의 예후는 매우 불량하나, 재발에 대한 치료를 적극적으로 시행하는 것이 생존율의 향상을 도모하는 길이라 사료된다. Purpose: Bone metastasis is not a common event in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Therefore, most studies of bone metastasis in such patients have been in the form of case reports, so the clinical features of the bone metastasis are not well understood. To clarify metastatic patterns, the efficacy of radiation or chemotherapy, and the prognosis, we analyzed 29 cases of patients with bone metastases after curative surgery for gastric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Twenty-nine (29) gastric cancer patients with bone metastasis who underwent curative resection from January 1989 to December 2002 at the Departments of Surgery, Kangnam St. Mary's Hospital and Our Lady of Mercy's Hospital,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were analyzed. Results: Nineteen (19) patients were males and, 10 patients were females.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was $53\pm12$ years. There were more Borrmann type-3 and type-4 cancers and more undifferentiated histologic types. Most of the original cancers were stage III or IV. The most frequently involved bone was the spine. Treatment after recurrence was done in 16 patients ($55.2\%$). The median survival time after recurrence of the patients who received treatment was seven (7) months ($0\∼75$ months in range), which was significantly longer than that of the patients who did not received treatment (P=0.019).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according to the treatment modality (P=0.388). Conclusion: Bone metastasis after a curative resection of gastric cancer tends to occur in Borrmann type-3 and type-4 cancers, cancers with undifferentiated histology and, in stage III/IV disease. The prognosis of bone metastasis is dismal, and aggressive treatment is the only way to prolong survival.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원위부 위암에서 위절제술 후 위재건술식에 따른 잔위기능 및 영양 증상학적 삶의 질 비교

        김성근,김영균,허윤정,송교영,김진조,진형민,김욱,박조현,박승만,임근우,김승남,전해명,Kim, Sung Geun,Kim, Young Kyun,Heo, Youn Jung,Song, Kyo Young,Kim, Jin Jo,Jin, Hyung Min,Kim, Wook,Park, Cho Hyun,Park, Seung Man,Lim, Keun Woo,Kim, Seun 대한위암학회 2007 대한위암학회지 Vol.7 No.1

        목적: 하부 위암의 절제술 후 각각의 재건술에 따른 환자의 위배출시간과 영양상태, 덤핑 증후군의 발생정도를 비교하여 환자의 증상과 삶의 질을 개선하는 방법을 찾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6월부터 2002년 7월까지 원위부 위암으로 절제술을 시행한 환자 중 2003년 1월 한 달간 외래에서 술 후 6개월 이상 경과한 환자 12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위십이지장문합술을 받은 환자(이하 B-I군)는 51명, 위공장문합술을 받은 환자(이하 B-II군)는 71명이었다. 위배출검사는 동위원소 검사법을 이용하여 T1/2값을 얻어 비교하였고, 식사 횟수와 양, 체중감소 정도를 비교하였다. 수술 후 복부증상을 비교하였으며, 덤핑증후군은 Sigstad score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수술 후 6개월의 T1/2값은 B-I군에서 지연되어 있었다($159.4{\pm}31.0min$). 12개월 후에는 B-I군의 위배출시간이 빨라져 B-I군과 B-II군 사이의 위배출 시간의 차이가 없어졌다. 식사 횟수는 각 군 간의 차이가 없었고 일회식사량은 수술 전과 비교해 보았을 때 6개월째는 각군간의 차이가 없었으나 12개월에는 B-I군이 B-II군에 비해 식사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P=0.038). 수술 후 체중은 B-I군이 B-II군에 비해 체중감소가 의미있게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P=0.023). Sigstad dumping score는 B-I군에서 6개월째에는 7.6점, 12개월째에는 3.4점으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덤핑 증후군의 빈도가 감소하나 B-II군에서는 시간의 경과해도 덤핑 증후군의 빈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원위부 위암환자에서 근치적 수술이 가능한 한도에서는 Billroth I 술식이 체중감소가 적고, 복부 증상도 적게 나타났으며 덤핑증후군의 빈도도 낮아 환자의 삶의 질을 개선하는데 B-II 술식보다 유용한 술식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e proper reconstruction technique to use after a distal subtotal gastrectomy for a gastric carcinoma, there has been a subject for debated what is the proper reconstruction techniqu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gastricemptying time and the quality of life following both B-I and B-II reconstructions after a distal gastrectomy for a gastric adenocarcinoma. Materials and Methods: We studied 122 patients who had undergone a distal gastrectomy for a gastric adenocarcinoma between June 1999 and July 2002 at our hospital. 51 patients underwent B-I group, and 71 patients underwent B-II group. To evaluate the gastric-emptying time, we analyzed the T1/2 time by means of radionuclide scintigraphy using a gamma camera after ingestion of an $^{99m}Tc$-tin-colloid steamed egg. The nutritional status was measured by the weight change. Postgastrectomy syndrome was evaluated using an abdominal symptoms survey. Dumping syndrome was measured using the Sigstad dumping score. Results: The gastric-emptying time was somewhat delayed in the B-I group after a 6 month period, but there was no difference after 12 months between the two groups. There was less weight loss in the B-I group than in the B-II group (P=0.023). Fewer abdominal symptoms were occurred in the B-I group than in the B-II group. Dumping syndrome occurred less frequently in the B-I group than in the B-II group (P=0.013). Conclusion: In our study, the Billroth I reconstruction led to less weight loss, a better nutritional status, and a better quality of life than the Billroth II reconstruction. We concluded that after a distal subtotal gastrectomy, the Billroth I reconstruction would be considered when the procedure is oncologically suitable.

      • 위의 위장관 간질 종양의 임상적 특징 및 예후

        김민형,허훈,김신선,김성근,전경화,송교영,김진조,진형민,김욱,박조현,박승만,임근우,전해명,Kim, Min-Hyung,Hur, Hoon,Kim, Sin-Sun,Kim, Sung-Keun,Jeon, Kyung-Hwa,Song, Kyo-Young,Kim, Jin-Jo,Jin, Hyung-Min,Kim, Wook,Park, Cho-Hyun,Park, Seung-M 대한위암학회 2006 대한위암학회지 Vol.6 No.3

        목적: 본 연구에서 수술로 절제된 위의 위장관 간질 종양 (GISTs)환자들의 임상적 특징과 치료방법 및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밝혀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2년부터 2002년까지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 교실에서 GISTs로 진단 받고 수술을 시행한 환자의 파라핀 포매조직을 이용하여 CD117 (c-kit) 면역조직화학염색상 확진된 7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의 나이, 성별, 위치, 크기, 세포분열지수을 파악하고 Ki67, p53 면역화학 염색을 시행하였으며 c-kit 유전자의 변이 여부를 확인한 후 이들 인자의 예후인자로서의 가치를 평가하였다. 결과: 대상 환자 76명의 평균 나이는 55.9세였으며 남자가 34명이었고 여자는 42명 이었다. 평균 추적검사 기간은 42개월이었다. 환자들은 복통(27명, 36%)과 출혈(20명, 26%)을 주소로 내원한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위의 상부 1/3에 종양이 위치한 경우가 47명(62%)으로 가장 많았고 수술방법은 종양의 위치보다는 크기와 유의한 관계를 보였다(P<0.05). GISTs 분류상 고위험군에 해당하는 환자군이 중등도 위험군과 저위험도군에 비하여 의미있게 무병기간이 짧았고(P=0.05) 종양의 크기가 5 cm 이상 큰 경우(P=0.017), 유사분열의 수가 5/50 HPF 이상 많은 경우(P=0.042) 그리고 Ki67 과발현된 경우(P=0.046), c-kit 유전자의 변이를 보이는 경우(P=0.037)가 예후가 좋지 않았다. 결론: 종양의 크기가 5 cm 이상 큰 경우, 유사분열의 수가 5/50 HPF 이상 많은 경우 그리고 Ki67이 과발현된 경우와 c-kit 유전자의 변이를 보이는 경우가 환자의 예후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 인자였다. 이런 예후 인자를 보이는 환자들에 있어서 수술 후 추적검사 과정에 있어서 보다 세심한 관찰이 필요하겠다. 예후와는 관련이 없었다.27^{kip1}$도 다른 인자에서는 통계적인 유의성이 없었다. 의 상관관계는 $p21^{Waf1/Cip1}(+)$과 $p27^{kip1}$의 상관관계는 $p21^{Waf1/Cip1}(+)/p27^{kip1}(+)$ 보이는 경우(53.3%)와, $p21^{Waf1/Cip1}(-)/p27^{kip1}(-)$ 보이는 경우(76.5%)가 많았다(P<0.05). $p21^{Waf1/Cip1}$과 $p27^{kip1}$ 복합 검사에서는 $p21^{Waf1/Cip1}(+)/p27^{kip1}(+)$인 경우에 T1-2 (87.5%)가 많았고 $p21^{Waf1/Cip1}(-)/p27^{kip1}(-)$인 경우에는 T3-4(58.1%)가 많았다(P<0.05). 또한 Lauren 분류에서는 $p21^{Waf1/Cip1}(+)/p27^{kip1}$인 경우가 장형 (100%)에서만 나타났으며(P<0.05), $p21^{Waf1/Cip1}(-)/p27^{kip1}(-)$인 경우는 미만형인 경우(87.0%)가 장형(54.9%)의 경우보다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다(P<0.05). 5년 장기 생존율에 있어서는 각각의 $p21^{Waf1/Cip1}$과$p27^{kip1}$의 발현 유무에 따른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고 복합 검사에서도 $p21^{Waf1/Cip1}(+)/p27^{kip1}(+)$의 경우에 생존율이 높았지만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결론: 저자들의 경우에는 $p21^{Waf1/Cip1}$과$p27^{kip1}$은 서로 비슷한 발현 형태를 Purpose: Gastrointestinal stromal tumorsm (GISTs) are the most common mesenchymal tumors that arise anywhere in the tubular GI tract. The prognosis for GSTIs is important because f GISTs may metastasiwx in the liver or the abdominal cavity in an early stage. For the reason we examined the tumor size, the mitotic number, ki 67, p53, and c-kit mutation as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 for GISTs. Materials and Methods: A retrospective study was conducted in 76 patients who had been re-evaluated for confirmation of diagnosis between Jan 1998 and Dec. 2001. at Catholic University of medicine.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urner size, mitotic indices, ki 67, c-kit mutations and the 5-years survival rates. Tumor size (${\geq}5\;cm$) and mitotic index (${\geq}5/50\;HPF$) were statistically related to a significantly poor prognosis (P=0.017 and P=0.042, respectively). c-kit mutations in exon 11 were found in 7 cases c-kit mutation was observed more frequently in high risk patients,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kit mutation and survival (P=0.037). Elevated ki 67 was noted in 34 out of the 76 cases. High risk patients showed elevated ki67 index more frequently and there was significant relation with the survival rate (P=0.0417). Conclusion: We think that tumor size, mitotic index, Ki 67 and c-kit mutation are as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s for GISTs, but more research is nee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