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 唐代 고분벽화의 花鳥畵 등장과 전개

        金鎭順(Kim Jinsoon) 미술사연구회 2012 미술사연구 Vol.- No.26

        In the tomb murals of the Tang Dynasty there began to appear bird-and-flowers motifs as a new phenomenon that those of pervious dynasties had never witnessed. Although flowering plants and birds had often appeared in murals inside tombs even in the previous era of Northern and Southern Dynasties (南北朝時代), all of them were used as decorative symbols that hinted social backgrounds of figures or auspicious spaces rather than independent (stand-alone) materials for mural paintings. Changes in the concept of the afterlife of the Northern and Southern Dynasties and the development of painting arts during Tang Dynasty became the main causes for the appearance of bird-and-flower paintings during the Tang Dynasty. Buddhism began to be deeply rooted in the mainland China during the Northern and Southern Dynasties and the traditional view of the afterlife based upon the existing belief in immortality came to be converted into a buddhist concept of the afterlife. Therefore, the materials of mural paintings reflecting a belief in immortality came to disappear and only the materials describing lifestyles remained alone. In addition, mural paintings emphasizing the social status and power of tomb owners as the funeral rule became more strict and thus such traditions handed down to the Sui and Tang Dynasties. Another background for the emergence of bird-and-flower paintings (花鳥畵) in the mural paintings of the Tang Dynasty is the independence and development of bird-and-flower paintings that indicates one of the outstanding outcomes of pictorial arts in the Tang Dynasty. Such materials as peony and crane popular in the bird-andflower paintings of the Tang Dynasty were closely related to the social trend of the contemporary era. Nobles decorated the interior of their rooms with panel-screens on which peonies and cranes were depicted and they had also put up the same decorations in burial chambers in imitation of real houses after their death with a pray for lasting their wealthy lives in this world onto the next. The artistic trend of bird-and-flower paintings appearing in the tomb mural paintings of the Tang Dynasty can be remarkably distinguished into two different periods as of A.D. 750. The bird-and-flower motifs of the earlier period did not break away from background scenes of figures or decorative motifs adorning spaces. However, sorts of flower and tree gradually became more diverse and revealed more complicated forms of structure by adding such components as moving clouds and winged animals. By contrast, the bird-and-flower motifs of the latter period began to break away from background scenes of figures or decorative motifs adorning spaces and thus to be independently depicted. It is also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he bird-and-flower paintings in the latter period that both aristocratic taste and ordinary people’s taste came into fashion. It is important that the influence of the bird-and-flowers screen of the Tang Dynasty had continuously lasted the next periods and finally became the beginnings of bird-and-flowers screen tomb mural of the Five Dynasties (五代), the Northern Song Dynasty (北宋) and the Liao Dynasty (遼代).

      • KCI등재

        5세기 고구려 고분벽화의 불교적 요소와 그 연원

        김진순(Kim Jinsoon) 한국미술사학회 2008 美術史學硏究 Vol.258 No.258

        본 논문에서는 5세기 고구려 고분벽화에 나타난 불교적 제재들을 검토하고 이들의 연원에 대해서 밝혀 보고자 한다. 고구려 고분벽화의 불교적 모티프는 5세기보다 이전인 4세기 중반부터 고구려 고분벽화에 등장하기 시작한다. 그러나 관련 사례도 적을 뿐만 아니라 무덤의 벽화 내용도 인물 및 생활풍속 위주이기 때문에 이 시기의 변화는 계세적 내세관을 더욱 반영한다고 할 수 있다. 불교가 국가의 공식 종교로 선포되고 왕실의 전폭적인 후원 아래 사회 전체로 확산되어 가는 5세기에 이르러, 대다수의 고분벽화에서는 인물풍속적인 요소가 점차 약화되고 그에 대신하여 불ㆍ보살상, 연화문, 연화화생, 비천, 화염문 및 공양인 행렬도와 같은 새로운 불교적 소재들이 주류를 차지하게 된다. 5세기의 벽화고분 가운데 불교적 내세관을 반영하는 대표적인 예로는 집안일대의 장천 1호분, 산연화층, 귀갑층, 삼실층과 평양일대의 감신층, 덕흥리 벽화고분, 쌍영층, 안악 2호분 등을 꼽을 수 있다. 주목할 만한 점은 이들 고분의 불교적 요소가 감숙지역의 석굴벽화와 긴밀한 연관성을 보여준다는 점이다. 그 가운데 감신층을 시작으로 묘주 초상의 등 뒤에 출현하는 역삼각형의 등받이, 장천 1호분 불상의 화염 광배 뒤에 묘사된 보리수의 표현 등은 4세기 말 5세기 초 감숙지역의 석굴미술에서 매우 유행하였던 양식이다. 이러한 제재들이 중국의 화북지역이나 남방지역을 건너뛰어 고구려에서 먼저 나타난다는 사실은 바로 중원을 경유하지 않은 고구려와 감숙지역 간의 능동적인 문화교류를 암시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처럼 5세기의 고구려 고분벽화에 농후하게 표현된 불교적 내세관은 국가주도하에 적극적으로 추진된 불교 진흥 정책과 관련이 깊다. 고구려 왕신은 불교를 공인하였을 뿐만 아니라 이후 대규모의 사찰 영건 사업을 통해 불교문화의 확산과 정착에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였다. 특히 당시 불교문화의 발전은 다른 예술 전반에도 영향을 끼쳤을 것이며, 이러한 사회, 문화적 분위기가 5세기의 고구려 고분벽화 미술에도 그대로 반영되어 있는 것이다. 고구려에서 감숙 지역의 불교문화 유입할 수 있었던 데에는 당시 고구려가 처해 있었던 국제 정세와 적극적인 대외정책이 크게 작용하였다. 4세기 후반부터 5세기 전반까지 화북지역은 정채적 혼란에 휩싸여 있었다. 반면 중원의 서북쪽에 위치한 감숙 일대는 상대적인 정치, 경제적 안정을 구가하면서 인접한 실크로드를 통해 서역의 불교문화를 지속적으로 받아들이고 있었다. 고구려는 요동에서 중국 세력을 축출하는 한편 북방민족과 우호적인 관계를 수립하여 중국의 서북지역으로 직접 통하는 교통로를 확보하였고, 나아가 감숙 일대를 통해 실크로드를 경유해 온 새로운 문화적 요소를 받아들일 수 있었다. 여기에 중원의 전란을 피해 감숙과 요동으로 이주한 서역계 상인과 장인의 활약은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였다. 흥미로운 사실은 5세기 고구려 고분벽화에 농밀하게 보이는 불교적 정취가, 당시 세속적 생활상이나 도교적 신화로 채워진 남조의 고분벽화나 한문화의 전통을 그대로 계승한 북위의 그것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고구려만의 특징이라는 점이다. 북방민족 선비(鮮卑)에서 기원하여 한때 광활한 화북지방을 통일하였던 북위는 한화정책을 무리하게 추진하여 결국 민족 고유의 정체성을 상실하고 멸망에 이르게 되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고구려는 시종일관 그들의 문화적 정체성을 잃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개방적이며 진취적인 자세 또한 견지하여, 민족적 전통과 새로운 조류를 결합한 한 차원 높은 문화의 창조로 발전시켰던 것이다. This paper explores Buddhist themes and motifs appearing in mural paintings of 5th century Goguryeo tombs, and discusses their possible origins Buddhist motifs made their first appearance in Goguryeo tomb murals toward the middle of the 4th century. However, until then, they were relatively rare, and as mural paintings from this period, mostly centered on figures and everyday customs, were still immersed in the native view of afterlife, they could hardly be said to represent a Buddhist worldview, which took hold of the imagination of early Koreans only much later. Once into the 5th century, when Buddhism was declared the national religion and took root in Goguryeo society, under the strong support of the royal family, the thematic dominance of traditional figures and customs on tomb murals slowly faded, in favor of images of Buddhas and Bodhisattvas, lotus designs scenes related to the story of miraculous birth from lotus blossoms, flying female angels, flames and processions of the faithful laden with offerings. Among 5th century tomb murals mirroring a Buddhist vision of life after death, the most representative are Jangcheon Tomb No. 1, Sanyeonhwachong, Gwigapchong and Samsilchong in Ji’an, and Gamsinchong, Deokheung-ri Tomb, Ssangyeongchong and Anak Tomb No. 2 in Pyeongyang. One notable thing about the Buddhist motifs in these Goguryeo tomb murals is their striking similarity to those found in mural paintings from the Buddhist grottoes in the Gansu Province of China. The back of the seat shaped like an inverted triangle against which the owner of Gamshinchong is portrayed and the details of the bodhi tree behind the flaming halo of Buddha on the mural of Jangcheon Tomb No. 1 are in the cave art style which was popular in the Gansu region between the late 4th century and the early 5th century. The fact that this style reached Goguryeo before northern or southern China suggests the existence of a lively cultural exchange between Gansu and Goguryeo, which, besides, may have been easier to access than regions lying beyond the Chinese Central Plain. The fact that the vision of life after death expressed on Goguryeo tomb murals took on an increasingly Buddhist undertone has much to do with Goguryeo rulers’ efforts to embrace the religion. In addition to proclaiming Buddhism the official religion of Goguryeo, its kings sponsored the construction of large temples to spread the new religion across its territories. The mural paintings of 5th century tombs therefore reflect this social atmosphere. Meanwhile, the heavy influence of the Buddhist art of the Gansu region observed on Goguryeo tomb murals from this period is largely explained by the regional political situation of the time and the Korean state’s proactive external policies. Between the late 4th century and the early 5th century, northern China was mired in political turmoil. Gansu, on the other hand, enjoyed peace and prosperity denied in the rest of region, due to its location northwest of the Central Plain, safely removed from the center of tumult. Buddhist art flourished in this region bordering the Silk Road, thanks to the continuous exchange with Central Asia. Around this time, Goguryeo gained the control of the Liaodong Peninsula, eradicating the Chinese presence from this region, and secured safe passages to northwestern China by befriending northern tribes. This provided Goguryeo with access to new and advanced cultural forms transmitted to the Gansu region via the Silk Road. The contributions of Central Asian merchants and artisans who had migrated to the Gansu and Liadong regions, fleeing the war in the Central Plain were also essential. Yet, the most remarkable thing about the Buddhist imagery manifested by 5th century Goguryeo tomb murals is that, influenced though it was by the Northern Wei Dynasty, it was quite distinct from the latter’s murals which espoused the style of Chinese southern dynasty tomb murals, and were replete wit

      • 고구려 고분벽화 연구 동향과 과제 -한국 학계의 미술사 연구를 중심으로-

        김진순 ( Kim Jinsoon ) 동양미술사학회 2019 동양미술사학 Vol.9 No.-

        고구려 벽화고분은 100년이 넘는 기간 동안 지속적인 발굴 조사와 학술 연구를 통해 현재까지 역사, 고고, 복식, 문화사, 미술사 등의 방면에서 적지 않은 논문들이 발표되었다. 고구려 고분벽화가 처음 발견된 1907년부터 1980년대까지 벽화고분에 대한 조사와 연구는 일제강점기 발굴을 처음 시작한 일본과 벽화고분이 위치한 북한과 중국에 의해 주도됐다. 한국 학계는 정치 이념과 지리적 문제로 인해 원천자료에 대한 접근이 불가능했고, 척박한 연구 환경으로 인해 고구려 고분벽화 연구가 활성화되지 못했다. 그러나 1980년대 중반에 이르러 일본을 통해 북한과 중국의 벽화관련 출판물들이 다량 유입되면서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들이 서서히 갖춰지기 시작했다. 특히 1990년대 초반 중국이 문호를 개방하고 2000년대 초에 남북 간의 화해무드로 인해 학술교류가 활성화되면서 벽화에 대한 실견과 원천자료에 대한 접근이 한 층 수월해졌으며 미술사 연구를 위한 토대도 전보다 탄탄해져 갔다. 1990년대 이전까지 미술사 분야의 연구는 벽화고분이 갖는 여러 가지 제약으로 인해 학계의 주목을 받기 어려웠으나, 이후 전문 연구자들이 배출되고 미술사의 양식론에 입각한 거시적, 미시적 관점의 다양한 논문들이 생산되었다. 게다가 회화이외에 공예나 불교조각를 전공하는 미술사학자들도 고구려 벽화 연구에 동참하여 전공 연구자가 아니면 다룰 수 없는 세부적인 주제들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고구려 고분벽화를 보다 다양한 관점에서 해석하는데 기여했다. 100여년에 걸친 고구려 고분벽화 연구는 그동안 다양한 주제에서 적지 않은 성과물들을 생산해냈지만 전공인력의 부족과 벽화 원천자료의 불완전한 공개 같은 문제들은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채 남아있다. 무엇보다도 아직까지 많은 고분의 벽화 자료가 제대로 정리, 발표되지 않아 벽화연구의 발전에 걸림돌로 작용한다. 남북교류를 통한 원천자료의 정리와 출판이 시급하며 벽화를 전공하는 미술사 방면 연구자들이 보다 적극적으로 배출되어 다양한 방면에 걸친 활발한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양식론에 입각한 연구결과물들이 보다 많이 쌓여 고구려 벽화고분의 편년을 해결하는 데 유용한 기준안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Many books and papers on Koguryo mural paintings have been published for more than 100 years in each academic field, including history, archeology, costumes, cultural history and art history etc through archaeological survey and academic researches. From 1907, when the tomb murals of the Koguryo tomb were first discovered, to the 1980s, the excavations and researches on tomb mural paintings were led by Japan which began to excavate Japa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then North Korea and China, both of which possessed mural paintings. Due to political ideology and geographical problems, the Korean academic community was unable to access the source data and publications on the tomb murals of Koguryeo. Therefore the research of Koguryo mural painting had been not activated due to the harsh research environment like that. However, by the middle of the 1980s, a large amount of mural-related publications from North Korea and China had been introduced through Japan, and basic data for research began to be gradually introduced. In particular, as China opened its doors in the early 1990s, academic exchanges became active, and the reconciliation moods of the two Koreas in the early 2000s made access to sources of murals become easier. As a result the foundation for research in art history became more solid. Until the 1990s, research on the field of art history was difficult to receive attention from academia due to various constraints of mural tombs. However, after that, a variety of papers with macroscopic and microscopic perspectives based on the style of art history were produced. In addition, art historians majoring in crafts and Buddhist sculptures contributed to the interpretation of the Goguryeo tomb murals in more various ways by analyzing the details. Over 100 years of research on tomb murals in Koguryo have produced a number of noteworthy achievements, but the problems such as lack of major researchers and incomplete disclosure of mural paintings remain unresolved. It is urgent to organize and publish the source data through inter-Korean exchanges, and researchers in the field of art history who major in murals are actively discharged and active research is needed in various fields. In addition, it should be possible to provide a standard that can be used to solve the chronology of Kokuryo mural tombs by accumulating more researches based on the Iconography.

      • KCI등재후보

        한대(漢代) 고분미술의 일월(日月) 도상(圖像) 연구 -복희(伏犧)·여왜(女媧) 일월상(日月像)을 중심으로-

        김진순 ( Kim Jinsoon ) 동양미술사학회 2020 동양미술사학 Vol.10 No.-

        본 논문은 먼저 한대 일월도상의 종류를 살피고, 그 가운데 가장 신격화된 도상이라고 할 수 있는 복희·여와형 일월상을 집중적으로 분석한다. 한대 일월상의 유형은 성좌형, 우인형, 복희·여와형이 있으며 이 가운데 성좌형과 복희·여와형 일월상은 하남, 산동·강소성, 섬서성, 사천성 등지에 고루 분포되어 있다. 우인형은 사천지역에서만 등장하여 지역적 특색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로 꼽을 수 있다. 일월신으로서의 복희 여와 도상은 하남성 낙양일대의 서한~동한 전기로 추정되는 채색벽화무덤에 그 기원을 두고 있다. 또한 선계의 신인 복희·여와가 일월신으로 출현하게 된 배경에는 서한시대에 유행하였던 황로사상과 음양사상이 자리하고 있다. 동한시대에 본격적으로 등장하기 시작하는 복희·여와형 일월상은 지역별로 상이한 특징을 보여준다. 하남성은 해를 가슴에 품고 있는 복희·여와형 일월 도상이 등장하는데 이는 양조형 일월상과의 연관성을 짐작케 한다. 이러한 형태는 산동성에서도 등장하고 있어 지리적으로 가까운 두 지역 사이의 밀접했던 문화 교류를 추정해 볼 수 있다. 또한 가장 사례가 적은 섬서성 지역의 복희·여와형 일월상은 기본적으로 하남성과 산동성을 중심으로 하는 중원지역의 영향을 받은 특징을 보여준다. 지방색이 강하며 다양한 형태를 보여주는 복희·여와형 일월상은 사천지역에서 활발하게 제작되었다. 이 지역은 일월신인 복희·여와가 다양한 지물을 들고 등장하는데 이는 하남지역에서 유행하였던 선인형 복희·여와 도상이 사천성의 복희·여와도상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쳤음을 알 수 있는 사례이다. 또한 복잡하고 다양한 교미형태는 산동성과의 영향관계를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이들 도상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복희·여와의 다양한 역할과 의미를 살펴보았다. 복희·여와는 창조신, 시조신, 일월신, 신선 등 다양한 모습으로 등장한다. 황로사상과 음양설이 발전하는 서한시대에는 음양을 대표하는 신으로 해와 달을 상징하고 천상계를 구성하는 중요한 선인이었으나, 동한 중기 이후 서왕모 중심의 선계가 개편되면서 서왕모보다 신분이 낮은 선계의 보조신으로 그 지위가 하락했다. 이에 따라 복희, 여와 도상에도 변화가 발생하였으며 이는 결과적으로 한대 고분미술의 다양성을 이루는 핵심적 요소로 작용했다. In this paper, we first examined the types of Sun and Moon Image of Han dynasty, and intensively analyzed sun and moon image of Bokhee & Yeowa type(伏犧·女媧形) among them, which are the most deified images. There are theree types of sun and moon images, the constellation type(星座 形), the immortal type(羽人形), the Bokhee & Yeowa type. Among these, the constellation and the Bokhee & Yeowa type are distributed throughout Henan (河南), Shandong(山東), Jiangsu(江蘇), Shaanxi(陝西), and Sichuan(四川). Bokhee & Yeowa, who are the Sun and Moon gods, has its origins in the colored tomb mural paintings which are believed to have been recorded in the late West(西漢後期) and early East Han(東漢初期) period, and located in Luoyang, Henan Province. Also, the Hwanglo(黃老) and yin-yang(陰陽) thoughts that were popular during the West Han era worked for the background of the appearance of the gods of Bokhee & Yeowa as Sun and Moon gods. Bokhee & Yeowa types, which are beginning to appear in earnest in the East Han era, show different characteristics by region. In Henan distirct, Bokhee & Yeowa type appears with holding the sun and moon in their chest. This form is also present in Shandong Province, which allows us to estimate the close cultural exchange between two geographically close regions. In addition, the sun and moon image of Bokhee & Yeowa type in Shaanxi Province, which has the fewest cases,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Central China(中原) centered on Henan and Shandong. Bokhee and Yeowa types, which are strong in local colors and show various forms, were actively produced in Sacheon. In this area, the deities of Bokhee and Yeowa appeared with various objects(持物). This is an example of the fact that the Bohee and Yeowa types, which were popular in the Hanan porvince, had a direct effect on Sichuan’s Bokhee & Yeowa types. In addition, the complex and diverse mating patterns(交尾形) showed the relationship with Shandong Provi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