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상호 혼성적 디자인으로서의 융합디자인 개념

        김지인 ( Kim Ji-in ),강혜승 ( Kang Hae-seung ),노승완 ( Roe Seung-wan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1 한국디자인포럼 Vol.32 No.-

        사회 각 분야에서 `융합`의 움직임이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디자인 분야에서도 융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기 시작했다. 본래 디자인은 예술, 기술, 산업과 밀접한 관계를 이루며 발전해 온 분야이므로 다른 분야와는 달리 현대적인 의미에서의 융합에 대한 재해석을 필요로 한다. 이에 융합과 관련하여 역사적, 사회적, 개념적 측면에서의 고찰의 과정을 거쳤다. 이를 통해 컴퓨터의 발달에 의한 인지과학분야의 형성은 학문에서의 융합적 움직임을 활발하게 했고, 정보기술의 발달에 힘입은 네트워크의 발달로 인한 사회적 변화가 융합의 사회적 확산을 촉진하는 기반이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현대사회의 탈경계, 탈중심, 탈장소, 혼성적 특성은 융합의 행위 및 결과물 자체 보다는 융합이 결과물이 사회·문화와의 관계에 있어 새로운 연결을 창출해낼 수 있는 잠재성 및 영향력이 융합의 개념에서 주요하게 다루어져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융합디자인의 개념을 `융합의 과정이 결과물의 특성 형성에 강한 영향을 미치는 디자인 행위로서, 그 결과물은 내·외부적으로 새로운 연결 및 절합 과정을 촉진시켜 사회·문화적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가능태로서의 성격을 가지는 디자인`으로서 파악했다. 나아가 결과물과 사회·문화와의 상호 관계성 중심으로 이해되어야 한다는 의미에서 `상호 혼성적 디자인`의 개념을 제시했다. As movements of `convergence` are prevailing in various fields of society, interests in convergence increases even in the field of design. Because design has been developed in close connections with art, technology and industry, however, the convergence should be reinterpreted, unlike other fields. In this current paper, the convergence are explored in terms of historical, social and conceptual aspects. This work showed that the convergence movements in academic fields was facilitated by the formation of cognitive sciences induced by the development of computer sciences, and that social diffusion of convergence movements was based on significants changes in society induced by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such as advanced network system. It implies that in the contemporary society, which has the characteristics of border-crossing, decentration, displacement and hybrid, the convergence can not be interpreted only in terms of convergence itself or the outcomes of convergence. Rather, we should focus on other characteristics of converged outcomes such as potentialities and influences that convergence gives rise to new social and cultural connections. Seen from this point of view, convergence design was defined as `design activities that process of convergence is strongly influence on characteristics of the outcomes, and these have characteristic ways of potentiality which brings social and cultural changes by giving impetus to the new networking and condivergence progress.` Being focused on interactions between converged outcomes and society and culture, the concept of `Inter-hybrid design` were suggested.

      • KCI등재

        디자인 대학원 작품논문 표절방지를 위한 교육 체계 및 콘텐츠 개발

        김지인(Kim, Ji In),박혜신(Park, Hye Sin),서인숙(Seo, Ihn Sook)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5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5 No.3

        연구윤리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연구윤리 교육이 확산추세에 있다. 그러나 현재의 연구윤리 교육은 단발성 특강형의 교육 중심으로 실행되고 있으며, 학과 특성에 적합한 교육 체계가 미비하다는 점에서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디자인 석사학위 과정에 있는 학생의 논문 지도에 있어 표절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연구윤리 교육체계를 구축하되 특히 예술계에서만 존재하는 작품논문이라는 형식에 적합한 교육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연구는 디자인학부 석사학위 과정학생 10명을 대상으로 총 17개월 걸친 참여관찰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연구윤리 교육 콘텐츠의 제작, 교육 및 자료수집, 교육 결과의 피드백 및 기존 콘텐츠의 수정보완, 수정 보완 된 콘텐츠를 적용한 연구 시행, 결과 분석 총 5단계에 걸쳐 단계적으로 이루어졌다. 각각의 단계에서는 교육을 통한 콘텐츠 활용도 검증, 심층면접을 통한 연구 결과의 학계검증, 연구윤리 교육 참여자들의 논문 작성 및 표절률 검사라는 객관적 검증 장치를 두었다. 연구 과정에서 학술연구윤리 교육 콘텐츠, 디자인 연구윤리 교육 콘텐츠 두 종류의 교육 콘텐츠가 개발되었으며 논문리스트 작성노트, 디자인 연구노트, 인용연습노트 총 3개의 활용 콘텐츠가 개발되었다. 결과적으로 연구주제의 구체화 과정에서 논문리스트 작성노트를 활용한 논문 주제 독창성 검증, 논문 텍스트 작성 과정에서 인용노트 활용을 통한 인용 관련 표절여부 검증 및 디자인 연구노트 활용을 통한 작품 표절여부 검증, 최종적으로 카피검사 시스템 활용을 통한 정량적 표절률 검사의 3단계에 걸친 작품논문의 표절 예방 검증 교육체계가 구축되었다. With the growing awareness of research ethics, the education for it is being disseminated. However, it is having a limitation given that the current education of research ethics is centered on special lectures in short-term period, and department-specific educational system is lack. In respect of teaching students about thesis in graduate school,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an educational system to prevent plagiarism in advance, matching the environment where there is thesis portfolio for graduation only in art school. Th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with ten graduate school students in design department for 17 months in total through participatory observation, and is consisted of five stages: making educational contents of research ethics, collecting data, giving feedback of the education and evaluating or revising existing contents, conducting a research after applying the correction, and analyzing the result. We put objective verification tools at each stage such as verification of contents utilization through education, academic verification of the research result through in-depth interview, and inspection of thesis portfolio production and plagiarism rate by educational participants in research ethics. In the process of the research, educational contents of academic research and design research ethics were developed and three kinds of utilization contents, thesis list-writing note, design research note, and reference note, were made. As a result, it has become to set up three phases of plagiarism prevention measures: verifying creativity of thesis subject by utilizing thesis list-writing note in the embodiment process, verifying plagiarism relating to reference and artwork by utilizing reference note and design research note in the process of making thesis artwork, and verifying quantitatively through copy inspection system.

      • KCI등재후보

        브랜드 터치포인트 휠 방법론을 통해 본 자연주의 화장품 브랜드의 서비스 디자인 전략

        김지인(Kim, Ji In),박혜신(Park, Hae Shin)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3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3 No.4

        사회적으로 웰빙을 추구하는 경향이 확산되면서, 화장품업계에서도 자연주의 화장품 브랜드가 증가 추세에 있다. 자연주의 컨셉을 브랜드의 아이덴티티로 삼는 대부분의 화장품 브랜드는 그린 컬러를 브랜드 컬러로 삼고있어 브랜드 컬러로서의 연상기능은 수행할 수 있는 반면, 차별화 기능의 수행은 미약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연주의 화장품 브랜드를 대상으로 브랜드접점에서의 브랜드 컬러 구현 상황을 분석함으로써, 차별화된 서비스 디자인 전략을 제시하고자 했다. 연구의 대상은 더페이스샵, 이니스프리, 네이처리퍼블릭의 세 종류의 브랜드로 삼았다. 각각의 브랜드는 구매전, 구매시, 구매후의 단계에서 조금씩 다른 브랜드 컬러의 접점을 형성하고 있었다. 연구 결과 구매전 브랜드접점은 이니스프리가, 구매시 브랜드 접점은 네이처리프블릭이, 구매후의 브랜드 접점은 이니스프리가 가장 다양한 브랜드 접점을 형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각 단계별로 가장 균형 있고 다양한 브랜드 접점을 형성하고 있는 것은 이니스프리임을 알 수 있었다. 서비스 디자인 전략으로서, 더페이스 샵은 단계별 터치 포인트의 다양화를, 이니스프리는 구매전 터치포인트의 접근성 보완을, 네이처 리퍼블릭은 구매후 터치포인트의 보완을 제안했다. 본 연구는 유사한 브랜드 컬러 사용에서 비롯되는 약점을 체계적인 서비스 디자인 전략으로 극복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To keep up with the widespread trend of the pursuit of well-being, cosmetic brands which boast nature for their brand identity are rising fast in the cosmetic industry. Such cosmetic brands often make green as the color which represent their brands. While such strategy has a advantage of associating a brand with nature easily, it also has a weakness in differentiating the brand with others. Therefore, by analysing usages of brand colors from the perspective of brand touch point,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service design strategy to differentiate a brand from other brands with similar nature concepts. The subject of study is three cosmetic brands, which are The faceshop, Innisfree, and Nature Republic. Each brand had different touch points in terms of brand color in the stages of pre-purchase, purchase, and post-purchase experience. The result showed that among the three, the brand which had the most diverse brand touch point in the stages of pre-purchase, purchase and post-purchase was Innisfree, Nature Republic, and Innisfree in order. Overall, the brand with the most well-balanced and diverse brand touch points was Innisfree. This research proposes the diversification of touch point in every stages for The Faceshop, the supplementation of accessibility of touch point in pre-purchase stage for Innisfree, and the improvement of accessibility of touch point in post-purchase stage for Nature Republic. By analysing usages of brand colors in different stages of services, this study tried to present the strategy to meet customers in diverse points. The suggested systematic service strategy would be a helpful method for a brand to overcome the weakness of having similar brand color with others.

      • KCI등재후보

        표준화된 BLS 교육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심폐소생술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 자기효능감 및 의도에 미치는 효과: 계획적 행위이론을 바탕으로

        김지인(Ji In, Kim),황신우(Shin Woo, Hwang),강지영(Ji Young, Kang) 한국간호연구학회 2019 한국간호연구학회지 Vol.3 No.4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ly the standardized BLS education program provided by the Korea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ssociation and to verify its effectiveness to help increase the intention of CPR. Methods : This study is a quasi-experimental study of the non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 subjects were first and second grade students, who were attending D university in Daegu, 67 in experimental group and 70 in control group.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a statistical program(SPSS 22.0). Results : As a result of the homogeneity test on the attitude, subjective norm, and self-efficacy of CPR, the two groups were homogeneou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ttitudes toward CPR in the experimental group from 69.0 points to 72.7 points(t=-2.39, p=.020). In addition, self-efficacy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74.3 points to 89.8 points(t=-4.00, p<.001). After educating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number of students who answered “Definitely I will do CPR” increased from 20.9% to 28.4%. Conclusion : There is a need for a standardized educational program that enhances self-efficacy that affects CPR intention and behavior in college students.

      • KCI등재

        학습윤리 교육 내용에 대한 연구 -디자인전공을 중심으로-

        김지인 ( Kim Ji I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7 기초조형학연구 Vol.18 No.6

        본 연구 목적은 디자인 전공 특성을 반영하여 디자인 학부 재학생을 대상으로 한 학습윤리 교육내용을 도출해 제안하는데 있다.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1)학습윤리 개념과 학습부정행위 유형, 디자인분야의 윤리적 쟁점 관련 선행연구를 고찰했다. 2)국내 미디어와 국제 지식재산권 분쟁정보 포털에서 판례를 중심으로 디자인 이슈와 분쟁사례를 수집, 분석했다. 3)디자인 대학 전공과목 현황 조사를 통해 전공 특성을 포괄한 학습윤리 교육 내용을 도출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디자인 분야에서의 윤리적 쟁점은 표절, 친환경·지속가능한 디자인, 사회에의 공헌 및 공유 가치창출 등의 세 가지 이슈가 도출되었다. 2)사례조사를 통해 친환경, 표절 관련 쟁점이 지속적으로 등장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법률적인 분쟁에서는 상표권, 디자인 특허, 저작권과 관련된 문제가 주요 이슈로 다루어지고 있었다. 3)디자인 대학 전공과목 조사 결과 직접적으로 지식재산권을 다루는 과목은 물론, 방법론 및 소재이론, 사회·문화적 관점과 연계한 과목, 이외의 기획수업에서 다양한 윤리적 쟁점과 연계한 교육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결론으로서 도출해낸 디자인 학습윤리 교육 내용은 다음과 같다. 1)타인의 디자인을 도용, 표절하지 않도록 디자인 지식재산권의 개념에 대한 이해를 도모 2)디자인 기획 단계 및 제작 단계에서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를 할 수 있도록 교육 3)디자인이 사회와 인간의 삶에 미치는 영향을 주지시켜 디자이너로서의 사회적 책임감 고양 4)이 외에 타 전공과 공통적인 부분으로서 과제물의 구매 및 양도, 대리 작성, 시험에서의 부정행위, 협동학습에서의 책임 불이행, 출결 및 시험, 학습공간에서 지켜야할 윤리에 대한 교육을 포함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contents of education in learning ethics for the design school students. The study methods are as below. 1)The concept of learning ethics, types of academic misconduct, ethical issues of design field were contemplated by considering previous studies. 2)Ethical issues in design practice were analyzed by gathering cases of design issues and conflicts mainly from domestic media and international intellectual property dispute information portal. 3)By researching the subject of design schools, characteristics of design were included in the course of deducing the contents of education in learning ethic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Ethical issues in the field of design can be drawn to three issues : plagiarism, eco-friendly·sustainable design, CSR and CSV. 2)With case studies, it was found that the issues of eco-friendliness and plagiarism is constantly emerging. Especially in legal disputes, issues related to trademark rights, design patents, copyrights were addressed as major issues. 3)According to the research on the subjects of design school, it could be seen that the class which directly handle intellectual property right, classes connected with methodology, material theory, and sociocultural point of view, research classes linked with various ethical issues were possible. Above this, it could be known that the class of Eco friendly, universal design practice in itself already connoted design ethics. As a conclusion, the contents of academic ethics of design are as below 1)Promoting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design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n order not to plagiarize other's work. 2)Training to consider the impacts of design on the environment both at the design planning and production stages. 3)Raising the social responsibility as a designer by being aware of the impacts of design of the society and human life. 4)In addition to the above, include education about ethics to be kept in the learning space, purchasing and transferring homework, cheating in examinations, breaching responsibilities in cooperative learning and attendance and examinations.

      • KCI등재

        학습윤리 교육 가이드라인 연구 - 패션디자인 전공 학생과 교수를 중심으로 -

        이지현 ( Ji-hyoun Lee ),박혜신 ( Hye-shin Park ),윤수인 ( Su-in Yoon ),김지인 ( Ji-in Kim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21 한국디자인포럼 Vol.26 No.4

        연구배경 국내외를 막론하고 패션디자인 분야의 표절에 대한 우려가 큰 만큼 표절 문제를 근절하기 위한 노력이 시급한 상황이다. 이에 대해 누구보다 대학생들이 경각심을 가지고 표절 문제에 대해 적극적인 관심을 가져야 한다. 이를 위해 대학 교육에서부터 디자인을 위한 창의성 교육뿐만 아니라 디자인 학습윤리 교육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패션디자인 분야에서 요구되는 구체적인 학습윤리 교육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패션디자인의 표절과 관련된 사례의 유형을 고찰하고 패션디자인 전공 학생과 교수를 대상으로 패션디자인의 표절 인식 및 기준을 설문하여 그 결과를 통해 패션디자인 분야에서 요구되는 구체적인 학습윤리 교육 가이드라인을 제시한다. 연구결과 패션디자인 산업에 나타난 분쟁 사례를 분석한 결과, 의류 및 패션 제품 디자인에서 저작권 침해 관련 문제가 빈번히 발생하며 디자인이 상표로서의 역할을 한다는 인식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설문 조사를 분석한 결과는 첫째, 사례조사 결과와 마찬가지로 디자인에서의 저작권 침해 문제에 대한 인식 제고가 요구되며, 둘째, 절대적인 기준치를 수립하기 힘든 종류의 문제들에 대해 다양한 교육 방법을 동원해 기준점을 찾아 나가는 노력이 필요하다. 셋째, 수업 특성을 고려하여 교수가 명확하게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고, 넷째, 학습부정행위의 사전 예방과 관련해 학생의 교수에 대한 기대를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패션디자인 분야에서 학습윤리 교육에 포함되어야 할 내용은 2차적 저작물 작성, 이미지 무단 도용, 오마주나 패러디의 긍정/부정적 사례와 관련된 교육과 디자인의 상표적 사용에 대한 교육이 요구된다. 패션디자인 수업에서의 학습윤리 관련하여 수업 초반에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것을 제안하며, 학습부정행위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한 수업 방법으로는 디자인 단계에서 아이디어 스케치 및 디자인 전개과정 기록을 권장한다. Background Efforts to eradicate the plagiarism problem are urgently needed as there are many concerns about plagiarism in the fashion design field, both at home and abroad. In this regard, college students should be more alert and actively interested in plagiarism than anyone else. To this end, not only creativity education for design from university education, but also design learning ethics education is necessa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specific learning ethics education guidelines required in the field of fashion design. Methods In this study, the types of cases related to plagiarism in fashion design are reviewed, and specific learning ethics education guidelines required in the fashion design field are presented through the results of a survey of students and professors majoring in fashion design. Result The analysis of dispute cases in the fashion design industry shows a lack of awareness that copyright infringement-related problems occur frequently in clothing and fashion product design and that design acts as a trademark. The results of the survey, First, as in the results of the case study, it is required to raise awareness of copyright infringement issues in design, and second, efforts to find reference points using various educational methods for the types of problems that are difficult to establish absolute standards. Third, it is necessary for the professor to provide clear guidelines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class, and fourth,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student's expectations for the professors in relation to the prevention of learning irregularities. Conclusion In the field of fashion design, education on the trademark use of design and education related to secondary work creation, image theft, positive/negative cases of homage or parody is required. It is suggested to present guidelines at the beginning of the class regarding learning ethics in fashion design classes, and as a teaching method to prevent learning cheating in advance, idea sketches and design development process records are recommended at the design stage.

      • KCI등재

        미술 창작 분야의 학습윤리 교육을 위한 미술 표절 논란 사례 분석 연구

        이정우(Jung woo Lee),김지인(Ji in Kim),이지현(Ji hyoun Lee),광식(Kwang sik Kim),박혜신(Hye shin Park),윤수인(su in Yoon) 한국열린교육학회 2023 열린교육연구 Vol.31 No.4

        본 연구는 미술 창작 분야의 학습윤리 교육을 위한 기초연구로, 미술창작 분야의 학습윤리 교육에서 활용할 수 있는 표절 유형과 유형별 고려사항을 파악하기 위해 미술 분야의 표절 관련 논란 사례를 고찰하고 사례별 유형화를 통해 미술창작 분야에서 구체화 된 유사성 판단요건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사실상 표절로 봐도 무방한‘현저하게 의도적인 유사성’ 유형에서는 동일 표현과 방법이 반복적으로 발생할 확률이 있는지에 대한 고려가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었고, 둘째,‘표현 대상의 동일성으로 인한 유사성’ 유형에서는 동일한 대상의 사실적 묘사로 인한 유사성인지 여부와 보편적 아이디어의 영역인지 여부를 먼저 고려해야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재료의 동일성으로 인한 유사성’ 유형에서는 단순히 동일 재료의 사용과 단순화된 추상적 형태의 유사성 및 제한적 성격의 재료 사용으로 제기된 문제인지 여부를, 넷째,‘대상과 구도의 보편성으로 인한 유사성’ 유형에서는 선행작에 존재하는 핵심적 창작 요소의 증명 가능성 여부를 먼저 고려해야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섯째,‘차용으로 인한 유사성’ 유형에서는 원저작물 대비 새로운 의미의 창작 성립 여부와 의도성 ․ 공공연함 여부에 대한 판단이 먼저 고려되어야 하고, 여섯째,‘변용된 유사성’ 유형에서는 전체적 관념과 느낌 중심의 판단을 중심으로 작가의 전후 맥락을 고려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This study is a basic study for learning ethics education in the art creating field, and to understand the types of plagiarism and considerations by type that can be used in learning ethics education in the art creating field, cases of plagiarism in the art field were considered. Through case-by-case categorization, similarity judgment requirements embodied in the art creating field were derived.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t was confirmed tha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whether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same expression and method occur repeatedly in the type of ‘significantly intentional similarity’ that can be seen as plagiarism. Second, in the type of 'similarity due to the identity of the object to be expressed',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necessary to first consider whether it was similar due to the factual description of the same object and whether it was an area of universal ideas. Third, in the 'similarity due to the identity of materials, it should be considered whether it is a problem raised simply by the use of the same material and the use of materials of simplified abstract forms. Fourth, it was confirmed that in the type of “similarity due to the universality of objects and compositions,” the possibility of proof of key creative elements existing in previous works should be considered first. Fifth, in the type of 'similarity due to appropriation', the judgment on whether a new meaning of creation is established compared to the original work and whether it is intentional and public should be considered first. Sixth, in the type of 'transformed similarity', it has been confirmed that a careful approach is needed considering the context of the author, focusing on overall concept and feeling-oriented judgment.

      • KCI등재후보

        연구논문 : AHP를 이용한 섬관광어메니티 평가요인의 우선순위 분석

        김지인 ( Ji In Kim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5 인문사회 21 Vol.6 No.2

        해양과 섬 관광개발정책에 대한 논의와 실행 증가와 달리 섬관광 활성화를 위한 섬 어메니티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도시나 농촌과 달리 섬이 관광요소로서의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섬 어메니티가 지니고 있는 구성요소를 제대로 연구할 필요가있다. 본 연구에서는 섬관광 어메니티 평가요인의 중요도와 우선순위를 분석하고자 AHP 분석방법을 사용해 섬관광 어메니티 평가의 내.외적영향요인들을 유사한 속성끼리 분류하여 구조화한 의사결정 모형을 설계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우선순위 선정에 필요한 최종요인을 추출하기 위한 선행연구 결과, 5개 평가영역과 17개 평가지표를 도출하였다. AHP 분석 결과, 5개 평가영역에서 고유성(0.308)이 가장 높았으며, 심미성(0.238), 친환경성(0.212). 기능성(0.125), 문화사회성(0.117)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섬관광 어메니티 평가 요인에 대한 표준과 기준을 제시하여 향후 섬관광 활성화 정책 및 사업의 계획 수립에 유용한 지표가 될 수 있는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섬관광개발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다양한 후속연구와 정책자료로 활용 될 수 있다. The Study on island amenity to facilitate island tourism seem much to be desired although much effort to develop the marine and island tourism policies has been exerted.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importance and priority when the policy on island amenity is assessed. Analyzing preceeding papers shows that five assesment aspects and sixteen evaluation indexes are considered to be accountable. The results of AHP are as follows: uniqueness(0.308), esthetics(0.238), environment-f riendly(0.212), functionality(0.125) and cultural sociality(0.117). It is expected that this s tudy can be used for follow-up research and policy data in terms of sustainability of development of island tour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