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외상 후 발생한 비골 단축증의 수술적 치료: 증례 보고

        김지연,김갑래,이채호,Kim, Jiyoun,Kim, Gab-Lae,Lee, Chae-Ho 대한족부족관절학회 2021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Vol.25 No.4

        Pediatric ankle fractures can cause physeal injuries which can lead to the shortening of the fibula. This induces a lateral shift of the talus, valgus tilt, and instability of the ankle joint, which can result in an arthritic change in this joint. Patients with a shortening of the fibula may complain of constant pain and restricted movements in their daily lives and during sports activities. Ankle reconstruction with fibula lengthening Z-osteotomy can provide excellent results if arthritis is absent or minimal, especially in young and active patients. To the best of the authors' knowledge, this is the first report in South Korea regarding the treatment of fibula shortening following a growth arrest due to injury.

      • KCI등재

        족관절 화농성 관절염이 동반된 난치성 외과 점액낭염의 음압 창상치료: 증례 보고

        김지연,장지훈,정소학,Kim, Jiyoun,Jang, Jihoon,Chung, So Hak 대한족부족관절학회 2021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Vol.25 No.4

        A bursa is an obstructive sac filled with synovial fluid and usually occurs in any area of the body exposed to friction. The bursa of the ankle is not a normal anatomical structure and is caused by repetitive trauma, constant friction, or inflammatory disease of the ankle. Bursitis can occur in any bursa in the human body; however it rarely progresses to septic arthritis. We report a rare case of septic ankle arthritis following intractable lateral malleolar bursitis successfully treated with negative-pressure wound therapy.

      • KCI등재

        이트리아 안정화 지르코니아 바인더에 의한 열전지 전기화학적 특성

        김지연,Kim, Jiyoun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17 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Vol.30 No.5

        Thermal batteries, reserve power source, is activated by melting of molten salt at the temperature range of $350{\sim}550^{\circ}C$. To immobile the molten state electrolyte when the thermal battery is activated, the binder must be added in electrolyte. Usually, molten salts include 30~40 wt% of MgO binder to ensure electrical insulation as well as safety. However, the conventional MgO binder tends to increase ionic conductive resistance and thus the inclusion of the binder increases the total impedance of the battery. This paper mainly focused on the study of yttria stabilized zirconia (YSZ) as an alternative binder for molten salt. The chemical stability between the molten salt and YSZ is measured by XRD and DSC. And the sufficient path for ionic conduction on molten salt could be confirmed by the enhanced wetting behavior and the enlarged pore size of YSZ. The electrochemical properties were analyzed using single cell tests so that it showed the outstanding performance than that using MgO binder.

      • KCI등재

        디지털 리터러시의 정의적 영역 평가 도구 개발 방향에 대한 탐색적 연구

        김지연 ( Jiyoun Kim ),김종윤 ( Jongyun Kim ),서수현 ( Soohyun Seo ),옥현진 ( Hyounjin Ok ) 국어교육학회 2015 國語敎育學硏究 Vol.50 No.2

        디지털 기반 의사소통이 확산됨에 따라 디지털 리터러시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한 연구 성과도 축적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 연구들은 디지털 리터러시의 인지적 측면에 주목했을 뿐, 정의적 측면에 대해서는 간과해 왔다. 이에 연구자들은 디지털 리터러시 정의적 영역의 특성을 구체화하고, 디지털 리터러시의 정의적 영역과 관련된 기존의 평가 도구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20여 개의 기존 평가 도구를 검토한 결과, 현재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실제적인 평가 도구가 부재하다는 것, 디지털 리터러시의 정의적 영역을 규정하는 개념에 적합하도록 정의적 영역 전반을 다루면서도 이를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는 평가 도구 개발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디지털 리터러시는 학생들이 처한 리터러시 환경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므로, 이에 영향을 미치는 배경변인들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며, 디지털 리터러시의 정의적 영역 평가 도구는 병리적 현상의 진단과 처방에서 벗어나 이를 보편적인 시각에서 바라보고 평가하여 그 결과로 학생들의 상태를 설명해 줄 수 있어야만 할 것이다. The rapid societal change based on the digital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 influences the literacy environment, prompting researchers to explore the new aspects of literacy, namely, digital literacy. Yet, a multitude of literacy studies still have focused mainly on the cognitive aspects of literacy: the affective aspects of literacy do not get the full attention they deserve. As the main research of digital literacy focuses on the cognitive domain, so do the measure and assessment. As one approach to investigate the affective domain of digital literacy and its assessment, this study reviewed the existing assessment tools on the affective domains of literacy, such as reading attitude survey and reader self-concept questionnaire. The analytic result of the 20 available assessment tools revealed the need for developing a new assessment tool, which should consider Korean contexts, ground on more systematic theories, and be useful and straightforward to implement.

      • KCI등재

        저작권 침해행위와 온라인서비스제공자의 형사책임 구조 : - 고의와 과실의 구별 필요성을 중심으로 -

        김지연(Kim Jiyoun) 대검찰청 2021 형사법의 신동향 Vol.- No.72

        온라인 플랫폼의 사회적 영향력이 증가하면서 온라인서비스제공자에게 더욱 강한 규제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그러나 온라인 플랫폼 제공행위가 가진 중립적 성격과 현실적으로 폭넓은 감시의무를 부여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점을 고려하여 이들에 대해 법적 책임을 넓게 인정하는 것은 책임주의 원칙에 어긋난다는 주장도 유력하게 제기되고 있다. 결국 어느 지점에서 사회적 균형을 찾을 것인지 고민이 필요하다. 온라인서비스제공자가 직접 저작권 침해행위를 하는 경우를 제외한다면 침해행위자와 공동정범이 성립하는 직접침해 사례, 플랫폼 제공행위가 침해행위로 취급되는 간접침해 사례, 침해행위에 대해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아니한 간접침해 사례, 과실 또는 무과실에 해당하는 사례로 유형을 구별할 수 있다. 각 사례는 법적책임 구조를 달리하므로 구별이 필요하다. 무엇보다 인식있는 과실은 불가벌인 과실책임에 해당하므로 미필적 고의와 구별할 수 있는 객관적인 판단기준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균형 있는 형사책임 판단기준의 적용은 온라인서비스제공자에게 자유로운 활동을 보장하고 저작권자의 권리보호에도 기여할 것이다. As the social influence of online platforms increases, voices demanding stronger regulations to online service providers are growing. However, considering that online platform has neutral nature and it is impossible to grant a wide range of monitoring obligations to online service providers in reality, it is also strongly argued that it is against the principle of accountability to broadly recognize legal responsibility for them. Ultimately, it is necessary to think about where to find social balance. Except for cases where the online service provider directly infringes copyright, there are four types of legal responsibility. One is the case of direct infringement where a co-principals of crime is established. The others are cases of indirect infringement : the act of providing a platform which is treated as an act of infringement, the act of taking no action against the act of infringement, the act by negligence or no negligence. Since each case has a different legal liability structure, we need to distinct them. Above all, since conscious negligence is unpunishable type of liability, it is necessary to present an objective judgment standard that can distinguish it from intention. The balanced application of criminal responsibility judgment standards will ensure free activities for online service providers and will contribute to the protection of copyright holders rights.

      • KCI등재

        언어치료청각재활 전공 학생의 실시간 원격수업 경험에 대한 포커스 그룹 질적연구

        김지연(JiYoun Kim),탁평곤(PyungKon Tark),이수복(SooBok Lee)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21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6 No.3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 대유행 하에서 수행된 zoom을 활용한 실시간 원격수업 경험과 관련하여 언어치료청각재활을 전공 한 학생들의 인식을 살펴보고 향후 비대면 원격수업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찾고자 하였다. 방법: 포커스 그룹 인터뷰는 언어치료청각재활을 전공하는 10명의 학생(각 5 명)을 대상으로 2회 진행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2020년 1학기부터 2학기까지 실시간 원격수업을 수강한 언어치료청각재활학과 2, 3학년 학부생들이었다. 포커스 그룹 인터뷰의 질문지는 상호작용, 강의 내용, 강의 시스템, 전반적인 의견 등의 4영역 21개 질문으로 제작하였고 집단별로 90분간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자료분석은 강의 경력이 10년 이상인 언어치료청각재활학과 교수 3명이 실시하였고 내용분석은 Krippendorff (2003)가 제안한 절차에 따라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 참여자들의 실시간 원격수업 경험을 오픈 코딩하여 분석한 결과, 190개의 의미단위, 44개의 하위범주, 10개의 핵심범주가 도출되었다. 그리고 10개의 핵심범주는 3개의 차원인 개인적 차원, 환경적 차원, 교육적 차원으로 구분되었다. 연구결과는, 코로나19 기간 동안 학생들의 비대면 원격수업에 대한 다양한 의견과 욕구를 확인하였다. 첫째, 개인적 차원에서는 실시간 원격수업의 학습 효과는 전적으로 학습자의 의지에 달려있다고 여겼다. 둘째. 환경적 차원에서는 갑작스럽게 실시간 원격수업을 도입하면서 학교 시스템뿐만 아니라 학생 개개인이 원격수업에 대한 준비가 미흡했다고 인식하였다. 세 번째, 교과적 차원에서는 수업 시간 중에 이해하지 못한 내용에 대해 바로 인터넷 검색을 하거나 채팅창을 이용해서 수업 중 교수님께 바로 질문을 할 수 있는 편리함과 더불어 원격수업의 평가 및 관리 체계에 대한 불만족을 언급하였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코로나19 이후, 교수자와 학생의 안전보장과 질 높은 비대면 원격교육을 제공하기 위해 원격수업을 위한 교수학습법 개선이 필요하며 언어치료청각재활 분야의 창의융합형 실무전문가 양성을 위한 교육체제 구축 등의 다각도의 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Objectives: This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erceptions of students who majored in Speech Therapy and Audiology Rehabilitation in relation to the real-time online learning experience using zoom conducted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nd to find a way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non-face-to-face lectures in the future. Methods: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twice with 10 students (5 each) majoring in Speech Therapy and Audiology Rehabilitation. The questionnaire for the focus group interview consisted of 21 questions in 4 areas; including interaction, lecture content, lecture system, and comprehensive opinion, and the interview was conducted for 90 minutes for each group. Results: As a result of open-coding and analyzing the real-time online learning experiences of the study participants, 190 semantic units, 44 subcategories, and 10 core categories were derived. And the 10 core categories were divided into three dimensions: the personal dimension, the environmental dimension, and the pedagogical dimen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confirmed the various opinions and desires of students for real-time online learning during the COVID-19 period. Conclusion: This study will provide a basis for building an effective real-time online teaching method and practical training system for field practice, and will further improve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education in the department of Speech Therapy and Audiology Rehabilitation

      • KCI등재

        말속도와 강도 변조에 따른 경도 마비말장애 환자의 말 용인도 변화

        김지연(Kim, Jiyoun),성철재(Seong, Cheoljae) 한국음성학회 2015 말소리와 음성과학 Vol.7 No.1

        This study examined whether speech acceptability was changed under various conditions of prosodic manipulations. Both speech rate and voice loudness reportedly are associated with acceptability and intelligibility. Speech samples by twelve speakers with mild dysarthria were recorded. Speech rate and loudness changes were made by digitally manipulating habitual sentences. 3 different loudness levels (70, 75, & 80dB) and 4 different speech rates (normal, 20% rapidly, 20% slowly, & 40% slowly) were presented to 12 SLPs (speech language pathologists). SLPs evaluated sentence acceptability by 7-point Likert scale. Repeated ANOVA were conducted to determine if the prosodic type of resynthesized cue resulted in a significant change in speech acceptability. A faster speech rate (20% rapidly) rather than habitual and slower rates (20%, 40% slowly) resulted in significant improvement in acceptability ratings (p <.001). An increased vocal loudness (up to 80dB) resulted in significant improvement in acceptability ratings (p <.05). Speech rate and loudness changes in the prosodic properties of speech may contribute to improved acceptability.

      • KCI등재

        운율 변조 양상에 따른 청자의 연령 지각

        김지연(Kim, Jiyoun),성철재(Seong, Cheoljae) 한국음성학회 2014 말소리와 음성과학 Vol.6 No.2

        The normal aging process on speech production and these changes are perceived by listeners. This study examined whether age perception changed under various conditions of prosodic manipulations in normal listeners, comparing the prosodic changes according to age and sex in adulthood. The older and younger voices were resynthesized by manipulation of the speaking rate and pitch to shift the perceived age of the groups toward each other. Two-way repeated ANOVA were conducted to determine if the prosodic type of resynthesized cue resulted in a significant shift in perceived age of young and old voices. The manipulation of the speaking rate resulted in a significant shift in perceived age for the older and younger groups. A significant shift in age estimates was not observed for the younger male group when pitch was manipulated. There were significant gender-by-age group interactions for prosodic manipulation type. Age-related changes in the prosodic properties of speech may ultimately influence speech perception.

      • KCI우수등재

        현대사회의 과실책임과 주의의무위반

        金智娟 ( Kim Jiyoun ) 법조협회 2021 法曹 Vol.70 No.1

        현대사회가 가진 가장 큰 특성은 기술개발에 따른 신속한 변화이다. 새로운 기술은 생활의 한 부분을 차지하게 되고, 사회구성원들은 새로운 환경 속에서 자신의 자리를 재정립하는 일을 끊임없이 반복하고 있다. 그 과정에서 현대 과학기술의 불완전성과 미숙한 운영이 불러온 사고는 인명 피해로 귀결되고 오늘날 과실범 처벌의 필요성을 더욱 강하게 요구하는 계기가 되었다. 현대사회가 도래하면서 과실책임은 형사책임 논의의 전면에 빈번히 등장하고 있다. 다양한 형태의 기술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인명 피해 사고들은 누구에게, 어떤 범위에서 주의의무를 인정할 것인지 고민을 불러온다. 과학기술이 일상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지만 때로는 기술자조차 기술의 한계를 미처 다 파악하지 못한 경우가 존재하므로 기술을 사용하는 사람들에게 객관적 예견가능성이 존재하는지 판단하기 위해서는 사안의 특성, 제반정황, 기술에 관한 인식 정도 등을 고려한 일련의 기준이 필요하다. 다양한 과실 사례의 기저에는 개별 사안의 특수성을 넘어서는 어느 정도 일관된 판단기준과 법감정이 존재한다고 볼 수 있다. 그 지점을 분별하는 작업은 현대사회 과실범 인정기준에 관한 이론적 기초를 확립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개별 기술별로 주의의무를 유형화하는 일은 관여자들로 하여금 주의의무의 범위를 어느 정도 예측가능 하도록 하고, 장기적으로는 사고 가능성을 낮추는 역할을 할 것이다. 과실범에 있어서 형사처벌 대상이 되는 주의의무위반의 범위를 정하는 일은 어느 정도 입법정책적 요소에 강하게 영향을 받는다는 인상을 주고 있다. 그러나 과실범 처벌유무가 정책적 결정에만 온전히 의존해서는 안 될 것이다. 형사상 불법과 책임이 존재할 때에만 형벌이 존재할 수 있으며, 누구든지 명확성의 원칙에 따라 처벌대상과 범위를 예상가능해야 한다. 형사처벌 대상으로서의 주의의무위반의 범위를 확인하는 과정을 통해 현대사회에서 새롭게 자리매김 중인 과실범에 관한 이론적 깊이를 더하고, 향후 과실로 인해 빚어질 다양한 사고에서 형사책임 영역을 구별하는 기준을 설정하는 일은 과학기술사회에서 형사법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The biggest characteristic of modern society is rapid change according to technology development. New technology becomes a part of life, and members of society are constantly re-establishing their place in a new environment. In the process, accidents brought about by the imperfections and inexperienced operation of modern science and technology resulted in damage to lives, and became an opportunity to demand more strongly the necessity of punishment for negligence liability today. With the advent of the modern society, criminal negligence liability frequently appear at the fore of criminal liability discussions. The accidents that occur in the process of using various types of technology raise the question of who and to what extent to consider that there is a violation of the duty of care. Although science and technology are commonly used in everyday life, sometimes even technicians are unable to grasp all the limitations of technology. Therefore, a series of criteria that take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the issue, the general situation, and the degree of recognition about technology is needed to judge whether objective predictability exists for people who use technology. It can be seen that the basis of various cases of negligence is that there is a somewhat consistent standard of judgment and legal sentiment beyond the specificity of individual cases. The work of discerning that point will help to establish the theoretical basis for the recognition standards for negligence in modern society. Categorizing the duty of care for each individual technology will make the scope of the duty of care more predictable for the participants and will play a role in lowering the probability of accidents in the long run. It gives the impression that to some extent, determining the scope of violations of the duty of care subject to criminal punishment for negligent offenders is strongly influenced by the elements of legislative policy. However, the presence or absence of punishment for negligent offenders should not be entirely dependent on policy decisions. Punishment can exist only when criminal illegality and liability exist, and anyone should be able to predict the object and scope of punishment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clarity. Adding the theoretical depth to the newly established negligence liability in the modern society through the process of identifying the scope of the violation of duty of care as the subject of criminal punishment, and setting the criteria for distinguishing the areas of criminal responsibility from various accidents that may arise due to negligence are important because they are provide a direction for criminal law to proceed in the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society.

      • KCI등재

        족관절 골절 수술 후 내고정물의 제거 시기와 요인에 대한 연구결과

        김지연(Jiyoun Kim),김갑래(Gab-Lae Kim),전영헌(Young-Heon Jeon),이동우(Dong-Woo Lee) 대한정형외과학회 2023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8 No.6

        목적: 족관절 골절은 성인에서 자주 발생하는 골절 유형 중 하나이며 흔히 수술 시 내고정을 위해 금속 내고정물을 삽입한다. 일반적으로 금속 제거술은 초기 골절 수술 1년 후에 시행된다. 하지만 환자 각각의 의료 환경이 다르고 개인의 여러가지 다른 상황이나 여건에 따라서 금속 제거술이 상이한 시기에 시행되고 있다. 골절 수술 이후 금속 제거술의 적절한 시기와 요인에 대하여 국내에서 시행된 연구가 부족한 상황으로, 본 저자들은 금속 내고정물의 제거 시기와 요인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7년 1월부터 2021년 1월까지 본원에서 수술받은 족관절 골절 환자 502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환자의 의료 기록과 단순 방사선 촬영 혹은 컴퓨터 단층 촬영(computed tomography)을 조사하여 골절 유형에 따라 분류하였다. 각 환자의 금속 제거술 시기를 확인하였고, 금속 제거술을 받은 환자들이 수술 당시 호소하는 주요 증상과 금속 제거술 이후 수술 관련 합병증 발생 유무, 증상의 호전 여부를 확인하였다. 결과: 502예 중 347예(69.1%)에서 금속 제거술이 시행되었다. 금속 제거술을 시행하기까지 경과한 시간은 평균 9.3개월이었다. 나이, 초기 수상 당시 골절의 양상 혹은 수술 기법의 차이에 따른 금속 제거술의 시기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초기 수술 후 늦은 시기에 금속 제거술을 시행(476–1,117일)한 환자군과 결합인대에 내고정물을 삽입한 환자군에서 관절가동범위 제한이 다수 확인되었다. 결론: 결합인대에 내고정물을 삽입한 환자군에서 금속 제거술을 통해 관절가동범위 향상을 꾀할 수 있었다. 금속 제거술의 수술 관련 합병증 발생 빈도가 높지 않은 것을 고려하였을 때, 환자의 여건이 되는 한 골유합 확인 후 조기에 금속 제거술을 시행함으로써 관절의 구축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Ankle fractures are one of the common fractures occurring in adults and often require internal fixation devices to be inserted to aid in the healing process. Typically, surgery is performed one year after the initial fracture surgery to remove the device. However, the timing and factors for hardware removal surgery vary depending on the patient’s specific medical circumstances and various other factors. There is a lack of domestic research on the appropriate timing and reasons for hardware removal surgery after fracture surgery. Therefore, the authors conducted a study to examine the timing and factors for the removal of the internal fixation devices. Materials and Methods: Our study consisted of a retrospective review of 502 patients who underwent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for ankle fractures over a period of four years from 2017 to 2021. We checked the time to hardware removal surgery for each patient. For those who underwent hardware removal surgery, the timing of metal removal surgery for each patient was determined, and the presenting symptoms at the time of the surgery, the occurrence of surgical complications related to metal removal, and the improvement of symptoms after the procedure were assessed. Results: Among the 502 cases reviewed, hardware removal surgery was performed in 347 cases (69.1%). The average time elapsed until hardware removal surgery was 9.3 months. Age, initial fracture pattern, or surgical technique did not show significant variations with respect to the timing of hardware removal surgery. A significant number of cases in the patient group that underwent hardware removal surgery at a later stage (476–1,117 days) after the initial surgery and in the group that had a syndesmotic fixation with implants, showed restricted joint mobility. Conclusion: In the group of patients who had a syndesmotic fixation with implants, the removal of metal allowed for an improvement in joint mobility. Hardware removal surgery has a relatively low frequency of associated surgical complications. Hence, performing early hardware removal surgery after confirming bone union can be beneficial in preventing joint stiffness as long as the patient’s condition permits i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