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금융 업무를 위한 내용 중심 한국어 교육 방안 연구 : 결혼 이민자를 대상으로

        김지민 韓國外國語大學校 KFL大學院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ed to prepare a plan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related to financial institution services which were insufficient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cusing on for married immigrants. This study conducted a demand survey on the need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about financial services for married immigrants and looked into how Korean language textbooks on the market are organized in relation to financial services. As a result, all of the subjects made married immigrants feel the need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about financial services, and only the content of current Korean textbooks has not been enough for smooth communication about as they have been serving financial services at financial institution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ed a plan for Korean education about specific financial services. In addition, it proposed a specific teaching-learning plan using step-by-step Korean language activities for ‘Installment savings’ in the 3rd week during the four weeks of classes. It is meaningful that this study examined financial services for married immigrants, which has not been dealt with. However, there are limitations since the subjects of the demand survey can't represent all married immigrants, and it is unfortunate that the class evaluation and instructional feedback on the teaching plan were not provided because it didn't carry out actual classes. Therefore, it is hoped that follow-up studies will provide a concrete and diverse education plan based on this study.

      • 한국 성인의 아침식사 실천률 관련요인

        김지민 경북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한국 성인의 아침식사 실천률 관련요인을 알아보고자 질병관리본부에서 수행한 국민건강영양조사 제6기 자료 중 3차년도(2015년)의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질병관리본부, 2015). 이 데이터는 총 7,380명 중 청소년과 노인을 제외한 성인만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만성질환 현재 유병인구를 제외한 결과 1,759명을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한국 성인의 아침식사 실천율 관련 요인을 봤을 때 남성에서 유효한 변수는 연령과 흡연이였으며, 연령은 남성과 여성 모두 20대보다 50대가 아침식사 실천률이 높았으며, 특히 여성의 경우 50대뿐만 아니라 40대에서도 20대보다 아침식사 실천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흡연에서는 여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지만 남성 비흡연자가 흡연자보다 아침식사 실천을 더 많이 하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의 아침식사 실천율 관련 요인에서 유효한 변수는 연령과 직업, 1년간 체중조절 여부, 우울감 인지율이였으며, 직업에서는 비육체적 노동자보다 무직인 사람이 아침식사를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의하였다. 1년간 체중조절 여부에서는 체중유지노력을 하려는 사람이 아침식사 실천률이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우울감 인지율에 있어서는 우울감이 없는 사람들이 아침식사를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의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아침식사 실천율을 높기 위해서는 연령, 흡연유무, 직업, 체중조절여부 및 우울감 인지율을 고려하여 대상자 특성에 맞는 맞춤형 보건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This study has analyzed raw data of the third year (2015) out of the Sixth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2015) carried out by th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in order to find out breakfast intake frequency for Korean adults. The data has been derived from 1,759 adults excluding the current prevalence population of chronic diseases, youth and old persons selected from a total of 7,380 survey targets. Considering factors related to breakfast intake frequency for Korean adults, effective variables of men include ages and smoking. For ages, both men and women in their 50s including women in their 40s showed higher frequency of eating breakfast than those in their 20s,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Although smoking in women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male smokers eat breakfast more than nonsmokers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Effective variables of factors related to breakfast intake frequency for women include age, profession, whether or not to have weight control for one year and the rate of depression recognition. In terms of profession, unemployed persons showed higher frequency of eating breakfast than non-physical workers with significant difference. From a viewpoint of whether or not to have weight control for one year, those who have made effort to control their body weight showed higher frequency of eating breakfast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or the rate of depression recognition, those who have no depression showed having much breakfast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As a result, it is thought that customized health programs for the subject persons are required to increase eating frequency of breakfast considering ages, smoking status, profession, whether or not to have weight control and the rate of depression recognition.

      • 유전 알고리즘과 셀 오토마타를 이용한 절차적 게임 콘텐츠 생성

        김지민 한림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게임 산업이 발전하면서 콘텐츠의 생성 속도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콘텐츠가 소비되고 있고 , 플레이어의 게임 숙련도에 적합한 레벨의 게임 콘텐츠들이 지속적으로 제공될 것을 필요로 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활용되는 방법이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을 이용한 절차적 콘텐츠 생성(Procedural Content Generation, PCG)이다. 디자이너의 개입과 관계없이 자동적으로 콘텐츠를 생성하려는 시도가 계속 되고 있으며, 여러 게임 장르에서 다양한 형태의 게임 콘텐츠를 생성하는데 사용되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절차적 콘텐츠 생성을 위한 두 가지 방법을 제안한다. 첫 번째 방법은 절차적 맵 생성을 이진 공간 분할과 셀 오토마타를 이용하여 생성하는 방법이다. 이진 공간 분할을 이용하면 원하는 공간의 수를 지정할 수 있으며, 셀오토마타를 이용하여 생성한 절차적 맵의 통로를 탐색하는데 걸리는 시간도 줄일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이진 공간 분할과 셀 오토마타를 이용하여 생성된 절차적 맵의 유용성을 보인다. 두 번째 방법은 유전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플레이어에게 적합한 난이도를 가지고 있는 다양한 종류의 몬스터를 자동 생성하는 절차적 방법이다. 몬스터들의 주요 속성을 유전자로 구성하고 다양한 종류의 몬스터 유전자들로 염색체를 만들어 이용한다. 생성된 몬스터와 플레이어의 전투 시뮬레이션으로 유전자를 평가하여 선택 후 교배한다. 제안 방법을 이용해 플레이어 적응형 몬스터들을 유전 알고리즘에 기반을 두어 절차적으로 생성하고, 염색체 개수에 따라 생성된 몬스터의 다양성을 비교해본다. As the game industry is blooming, the generation of contents is far behind the consumption of contents. With this reason, it is necessary to afford the game contents considering level of game player's skill. In order to effectively solve this problem, Procedural Content Generation(PCG)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AI) is one of the plausible options. Many researchers keep trying to generate automatic contents without game level designers' help in various game contents. In this paper, we propose two methods for procedural content generation. The first method is to generate procedural maps using binary space division and cell automata. Binary space partitioning allows you to specify the number of spaces you want, and it also reduces the time it takes to navigate the path of procedural maps created by using cell automata. In this way, we show the usefulness of procedural maps generated using binary space division and cell automata. The second method is a procedural method that automatically generates various kinds of monsters with appropriate difficulty using genetic algorithms. The major properties of monsters are composed of genes and various types of monster genes are used to make chromosomes. The combat simulation of the generated monster and player evaluates the genes, selects them, and crosses them. Using the proposed method, player adaptive monsters are generated procedurally based on the genetic algorithm, and the diversity of the monsters generat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chromosomes are compared.

      •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가 이성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관계진솔성의 매개효과 검증

        김지민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이성관계 만족도의 관계에서 관계진솔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도, 인천, 충청도에 있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조사한 설문지 502명(남학생 185명, 여학생 317명)을 자료 분석에 사용하였다. 각 변인 사이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성별 평균 차이 검증과 상관분석, 그리고 Baron과 Kenny(1986)방식을 통한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첫째, 내현적 자기애, 관계진솔성, 이성관계 만족도에서 내현적 자기애가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내현적 자기애와 관계진솔성, 이성관계 만족도는 부적상관, 관계진솔성과 이성관계 만족도 간에는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내현적 자기애와 이성관계 만족도의 관계에서 관계진솔성 전체와 관계진솔성 각 하위변인이 모두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내현적 자기애와 이성관계 만족도의 관계에서 관계진솔성 전체 및 각 하위변인의 매개효과를 성차에 따라 검증한 결과, 남자 대학생은 관계진솔성 전체와 하위변인인 참자기를 드러내는 것에 대한 두려움이 완전매개효과, 나머지는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여자 대학생은 모두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가 지니는 의의와 한계점을 논의하였고,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ttempt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relationship authenticity in the relation of covert narcissism and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in university students. For thi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o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Gyeongi-do, Incheon and Chungcheong-do 502 of them(males 185, females 317)was used for analysis. Conduc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variable the analysis of mediating effect was conducted through verification and correlational analysis to average difference by sex and the analysis of mediating effect through Baron and Kenny(1986) method was conducted.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gathered data showed that, first, covert narcissism was higher in male students than female students. Second, covert narcissism, relationship authenticity and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had negative correlation. At the same time, relationship authenticity and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had positive correlation. Third, relationship authenticity and all sub-factors mediated partly the relationships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Fourth, the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sub-factors for relationship authenticity showed that there is a full mediating effect in fear of revealing the true self in male students. Female students's sub-factors for relationship authenticity all partial mediated. Finally, limitations of the result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key words : Covert Narcissism, Authenticity, Relationship Authenticity, Romantic Relationship,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 대학생의 수입 및 지출 실태와 경제적 자립에의 영향요인

        김지민 상명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study, I will examine the economic self-reliance of college students through their income, expenditure level, and economic attitudes. This study will suggest a theoretic basis and resonable method to study the economic basis for independence is to provide data. This survey was conducted on 318 college students, and they are attending or leaving of absence from college and living in Seoul and metropolitan a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64.00% of surveyed college students receive an allowance from their parents. On average, amounts of allowance are 278,900 won monthly. And 47.32% of surveyed college students earned their autonomy-granting. They On average, they earned 459,900 won monthly. Second, tutorial fee per semester averages 4,133,000 won and extra educational fee expenses 477,500 won monthly. On average, college students who live without their parents expense 58,300 won more about living cost. This study also examined the difference in expense according to earning or not and receiving scholarship or not. As a result, Receiving scholarship make no the difference to the expense. But earning or not make all difference. Third, this study analyzed that economic self-reliance of private educational expenditure ratio is about 20.02%, economic self-reliance of allowance ratio was 42.32%. The economic self-reliance of living cost without parents is 15.00%. Fourth, surveyed college students think about the liability of parent attitudes investigated. As a result, parents burden financially until university graduation of their children. Lastly, college students' age, economic activities, receiving scholarship, expectations for economic self-reliance may affect their economic self-reliance relatively. On the other hand, gender, parents' age and the number of family members, monthly income, the duration of financial support Students did not affect the economic self-reliance. This study analyzed the factors affecting the economic self-reliance. And I attempt to identify factors of college students economic self-reliance. 본 연구는 대학생의 수입 및 지출 수준과 경제적 태도를 통하여 경제적 자립의 구체적인 실태를 파악하고 이를 근거로 하여 경제적 자립 방안을 연구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서울 및 수도권 지역의 대학교에 재학 또는 휴학 중인 대학생 318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여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 대상 대학생 중에서 용돈을 마련할 때, 부모님으로부터 제공받는 경우가 64.00%로 가장 많으며 제공받는 용돈은 한 달 평균 278,900원이었다. 다음으로 경제활동을 통하여 수입이 있는 경우가 전체의 약 47.32%로 이들의 한 달 평균 소득은 459,900원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대학생의 한 학기 등록금이 평균 4,133,000원, 한 달에 필요로 하는 기타교육비 및 용돈이 평균 477,500원이다. 이외에 부모님과 동거하지 않는 경우는 생활비 등 추가로 지출되는 비용이 평균 58,300원이었다. 이와 함께 본 연구는 장학금 수혜 여부와 경제활동 여부에 따라 등록금과 기타교육비, 용돈, 생활비 지출비용의 차이를 조사하였는데, 결과로 장학금 수혜 여부에 따라 항목별 지출비용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경제활동 여부에 따라 용돈의 지출비용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대학생의 경제적 자립 정도를 살펴보면, 대학생 본인이 기타교육비를 분담하는 비율이 20.02%, 용돈을 분담하는 비율이 42.32%로 조사되었다. 부모님과 동거하지 않는 대학생 중에서 생활비를 본인이 분담하는 비율이 15.00%로 나타났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 장학금 수혜 여부와 경제활동 여부에 따른 기타교육비와 용돈, 생활비 본인분담비용의 차이를 조사하였는데, 장학금 수혜 여부에 따른 항목별 본인분담비용의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반면, 교육비 본인분담비용과 용돈 본인분담비용은 경제활동 여부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장학금 수혜 여부와 경제활동 여부에 따라 네 집단으로 분류하여 본인분담비용을 분석한 결과, 용돈의 본인분담비용에서 집단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나, 교육비와 생활비 본인분담비용에서는 집단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구체적인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사후검증하여 본 결과, 용돈의 본인분담비용은 경제활동 여부에 따라 집단 간의 차이가 있었다. 넷째, 조사대상 대학생이 생각하는 부모의 책임 한계에 대한 태도를 조사하여 본 결과, 부모님이 자녀에 대하여 계속적인 경제적 지원을 해야 하는 기간은 ‘대학 졸업까지’가 가장 많았으며 부모로부터의 분가하는 시기는 ‘혼인할 때부터’라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마지막으로 대학생의 경제적 자립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본인의 경제활동 여부, 연령, 장학금 수혜 여부, 경제적 자립에 대한 기대가 상대적으로 영향력이 높은 변인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대학생의 수입 및 지출 실태 확인은 대학생의 경제생활에 필요한 연간 비용의 규모를 보다 구체적으로 파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는 대학생의 경제적 태도를 포함하여 경제적 자립의 영향 요인을 살펴보았으며, 경제활동 여부․연령․장학금 수혜 여부․경제적 자립의 기대가 대학생의 경제적 자립에 중요한 변인임을 발견하였다는 점에서도 의의가 있다. 따라서 청년기 동안의 경제적 자립을 위해서는 대학생 스스로가 자신을 성인으로 인식하여 부모님의 의존으로부터 벗어나려는 노력과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자세가 필요하다고 본다. 또한 노동시장 진입단계에 있는 대학생들에게 보다 긍정적인 경험을 하기 위해서는 학교와 기업 그리고 정부가 연계하여 실질적으로 고용시장을 활성화시키는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鄕校建築의 造營規範에 관한 硏究

        김지민 檀國大學校 大學院 1992 국내박사

        RANK : 247631

        鄕校는 人材를 養成하고 儒敎理念을 보급하여 民衆을 敎化하려는 목적으로 전국의 크고 작은 모든 고을에 세운 官學이었다. 최초의 설립은 12C 중엽으로 보고 있으며 전국적인 확산은 朝鮮初인 15C경에 이루어졌다. 현재 전국(南韓)에는 231個校가 남아 있는데 기능적으로는 釋奠祭享儀式만이 정기적으로 행하여지고 있다. 본 연구는 實證的 資料(文獻·現場)를 근거로 하여 향교건축의 造營的 意味를 찾고 거기에서 건축의 形態가 어떻게 規範化되어 나타났는가를 밝혀보기 위한 목적으로 작성한 것이다. 특히 鄕校가 儒敎를 바탕으로 설립된 일종의 官制的인 機官였기 때문에 당시대의 社會的 制度와 思想的인 측면을 우선하여 건축을 이해하려고 노력하였다. 本 論文의 硏究範圍는 다음과 같다. · 地域 ; 제주도를 포함한 南韓 全地域. 文獻만으로 解明될 수 있는 부분은 北韓 地域까지 포함. · 時代 ; 高麗時代(12C中)∼l9C末 · 對象鄕校 ; 全國에 散在한 231個校 本 論文의 構成體系는 ① 序論(硏究의 基本前提 樹立), ② 建築的 解析을 위한 理論接近(鄕校의 造營意味, 造營體制, 建築現況), ③ 建築의 基本構成(領域性, 建物性格 등), ④ 鄕校建築의 場所性, ⑤ 鄕校建築의 配置體系, ⑥ 鄕校建築의 造形的 特性, ⑦ 結論 순으로 이루어졌다. 이중 ⑤번은 筆者가 특히 관심과 노력을 기울인 부분이다. 本 論文에서 筆者가 밝힌 主內容은 다음과 같다. · 鄕校建築은 일면 儒敎라고 하는 宗敎建築이면서도 宗敎가 주는 신비감이나 뛰어나게 상징적 건축요소는 지니고 있지 않다. 같은 시기의 佛敎建築文化에서 흔히 보이는 화려함이나 치장적인 면도 없다. 오히려 절제된 單純性만이 반복되고 있다. 이는 儒敎가 실천을 중시하는 學問인 동시에 "仁"과 "禮"라는 基本 理念으로 백성을 敎化하는데 그 기본목표가 있었기 때문이다. 즉 文廟라고 하는 神的 매개체는 있으나 결국 學校라는 현실적 존재가 더 앞섰기 때문이다. 향교건축은 이러한 기본사상이 造營規範의 바탕이 되고 있다. 鄕校建築의 場所的 특성은 位置상 접근성이 용이하게 보통 邑의 중심에서 3∼4里 이내에 자리했고 방위는 北쪽과 東쪽을 주로 잡았다. 이는 향교가 官學으로서 지방 守令의 관리와 감독이 늘 따라야 했기 때문이고 그 다음은 지방민의 敎化事業(鄕射禮나 鄕飮禮 등)도 적극적으로 주도해야 했기 때문이다. 방위개념은 風水地理와 "左廟右社"라는 都城內 도시계획 차원으로 이해된다. 한편 他 건축과 달리 잦은 移建이 주목되는 부분인데 이로 인해 건축의 원형 고찰이 어렵다. 移建의 원인은 風水地理的 측면도 있으나 오히려 임진란으로 인한 燒失, 聖所 불결 등이 이건의 큰 사유가 되었고 현실적인 水害, 호랑이 출몰 등의 피해도 移建의 큰 동기가 되었다. 현존하는 鄕校建築의 配置類型은 크게 4가지 類型으로 분류된다. 즉 ① "前廟後學" 形式, ② "前學後廟" 形式, ③ "左廟右學" 形式 ④ "左學右廟" 形式 둥으로 이의 분류 기준은 크게는 領域, 작게는 進入體系에 두었다. 그 이유는 儒敎的 질서체계에서 領域性이 향교건축의 특성을 잘 반영하기 때문이다. ①번의 경우는 前·後 개념의 位階的 표현이고 ②번은 上·下 개념의 역시 같은 位階的 표현이다. ①번의 경우는 平地 건축의 典型的 規範으로서 주로 조선전기의 시대적 특성도 함께 한다. 후기로 갈수록 ②·③·④번도 출현하나 이는 향교의 機能 후퇴라는 공통점이 건축에도 나타난 것으로 여겨진다. 특히 경남지역에서는 平地 建築이면서도 ②·④번 유형이 다른 지방보다 많이 보여 특히 주목된다. ②번은 거의 90% 가까이 경사지형에 향교가 立地한 경우로서 역시 한국향교건축 배치 유형의 90% 정도를 차지한다. 이는 山地와 丘陵이 많은 한국의 지형 구조를 적절히 이용하면서 한편으로는 性理學의 근본개념인 敬의 空間을 높은 곳(向天性)에 두려는 象徵性도 함께 한다고 볼 수 있다. ③·④번은 視覺的, 그리고 領域的으로 位階性이 극히 떨어진 배치유형으로 전체 향교에서 약 7%정도를 차지한다. 주로 17C이후에 창건 내지는 새로 조성된 향교에서 보인다. 향교건축의 구성은 조선초(15C 中)까지 文廟區域과 講學區域이 분리되지 않은 "廟學同官"의 제도가 유지되었는데 여기에서 "同宮"의 의미는 ① 한 건물, ② 한 울타리(領域)로 해석된다. ①의 형태는 廟와 學이 未分化된 극히 초기적인 (12∼l3C) 형태이며 ②의 경우는 비록 廟와 學의 공간이 독립된 건물로 分化는 되어 있으나 한 境域內에 있음을 뜻한다. 물론 이러한 결론은 몇몇 문헌에 나타난 일부 향교의 事例 분석이기 때문에 절대적으로 받아들이기는 어렵고 당시에 또다른 건축형태가 존재했을는지도 모른다. 현재와 같은 儒敎的 秩序體系가 확립된 配置構造, 즉 廟와 學의 區域이 완전히 분리되고 그에 따른 空間的 位階性이 확립된 構造는 儒敎的 통치이념이 전국적으로 확산되고 아울러 鄕校制度가 체계화된 15C 말경 부터 지방의 작은 향교에 까지 확산된 것으로 여겨진다. 鄕校建築은 국가의 儒敎的 理念에 따라 불과 100여년(14∼15C)만에 동시에 이루어진 건축물이기에 소위 標準設計圖 같은 지침이 있을 법도 한데 그렇지 못해 특히 주목이 간다. 물론 공통분모도 많고 時代的, 地域的 차이가 타 건축보다 작은 것은 사실이나 중요한 건축 결정 요소에는 지방적 특수성이 꼭 따르고 있다. 즉 ① 前廟後學 配置의 지역적 분포로서 湖南地方이 월등히 많은 점. ② 영남지방 향교의 門樓構成과 "前齋後堂" 型의 講學區城 形成은 가장 독자성이 보이는 건축형태이다. ③ 향교건축 구성의 근본 요소는 아니나 養士齋나 司馬齋 같은 건물이 특히 전라도지역에 편중되어 나타나는 점이다. (곳에 따라서는 이들 건물이 境內에 건립되어 새로운 領域이 형성되기도 한다) 건물의 軸은 남북 자오선에 맞춘 권위적인 單一軸이 절대적으로 우세하고 축에 따른 對稱요소의 등장(동·서무, 동·서재)은 건축의 균형과 안정을 극대화 시키고 있다. 특히 경사지형에서의 바닥 레벨차는 결국 位階가 높아지는 것으로 이때의 單一軸은 더욱 강한 중심성을 갖게된다. 또한 문과 담을 집요하게 되풀이 하여 位階性을 더 한층 높이기도 한다. (홍살문→外三門(樓閣)→講學區域→內三門→祭享區域→높은 대성전 기단) 鄕校建物의 造形的 특성은 간결하고 장식적인 수법이 없다. 이는 鄕校가 민간의 신앙과는 전혀 관계가 없고 오직 儒敎思想에 심취된 爲政者들이 설립의 주체가 되어 건립한 官學이었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맞배지붕에 翼工式이 大成殿의 주 건축형태이고 明倫堂은 팔작지붕 내지 맞배지붕에 민도리양식이 대표적인 建築類型이다. Hyang-Kyo architecture is a representative Confucian architecture in Korea which has been constructed continuously from after the middle period of Koryo age to the late 19C when the modernization was begun in the Korea Peninsula and it has a rich historical and social natures. Moreover, it is very important that it is only existing traditional school architecture in Korea. Accordingly I think to reveal the construction rule of it is to find the orthodoxy of the Confucian architecture of Korea. This study investigates the meaning of the rule of Hyang-Kyo architecture based on the positive materials like literatures and field and is to understand how the architectural form was ruled. Particularly this study concentrates on the inquiry of placement system of Hyang-Kyo architecture rather than the aspect of architectural mode and the construction of the external space since Hyang-Kyo was a government school which is established on the basis of the Confucianism, this paper tries to understand its architecture from the historical and through aspects of those days. The resul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ing; 1. Although Hyang-Kyo architecture was a religious architecture of Confucianism, it didn't have a mystery and an excellent symbolic architectural factor which a religion gives. The reason is that the Confucianism emphasizes on the practice and at the same time has a basic goal which is to educate the people with the basic ideas, "Perfect Virtue and Courtesy". Hyang-Kyo has a divine agency, confucian shrine, but centered on a real existence, school. Such a basic thought of Hyang-Kyo is the foundation of construction rule. 2. Hyang-Kyo architecture is located within 3-4 ri from the center of Eup for an easy accessibility and its direction was mainly north and east because Hyang-Kyo as a government school has been supervised by the local chief and it has leaded the education work for the people. The concept of the direction should be understood as the aspect of city planning, geomancy and "Shrine in the Left and Society in the Right", in the castle town. On the one hand, since Hyang-Kyo architecture has been changed frequently, it is difficult to investigate its original form. 3. The placement types of existing Hyang-Kyo architectures are divided into four; (1) "Shrine in the front and school in the back", (2) "School in the front and shrine in the back", (3) "Shrine in the left and school in the right", and (4) "School in the left and shrine in the right". And other classification standards are territory in a large way and access system in a small way. The reason is that the territoriality in the Confucian order system reflects in the character of Hyang-Kyo architecture well. Type (1) is the locational expression of the front, the middle and the back and (2) is fine, medium and poor. Type (1) is the typical rule of the flatland architecture and has a historical character of the early period of Yi-Dynasty. As it passed to the late period, type (2), (3) and (4) appeared, but it shows that the common point which the function of Hyang-Kyo has been gone back was seen in the architecture. Especially, Kyungnam areas show the flatland architecture and more type (2) and (4) than other areas. In the type (2), Hyang-Kyo was located on the inclined area of 90% and it occupies 90% of the placement types of Korean Hyang-Kyo architectures. This type uses the Korean topographical structure which has many mountains and hills properly and has a symbolism which the space for the respect, the basic concept of Sung Confucianism, should be located on a high area. Type (3) and (4) are placement types which lack a visual and territorial location and occupy only 7% of the whole Hyang-Kyo architectures. They are found in Hyang-Kyo which was constrcuted after 17C or built newly. 4. The construction of Hyang-Kyo architecture was maintained by "the same building of shrine and school" system which is not seperate the Confucian shrine and school until the early Yi-Dynasty and "Dong-Kwan" means (1) one building and (2) on territory. The form of (1) is very early form (12-13C) which shrine and school are not divided and in the form of (2), although shrine and school are divided as a seperated building, they are in one territory. Since these results were case analyses by a few literatures, it is difficult to accept absolutely them and in those days, another architecture forms may exist. It is considered that the current placement system which the Confucian order system is established, namely the areas of shrine and school are completely seperated and the spacial hierarchy is established, was extended to the small Hyang-Kyo in the local from the late 15C. 5. Since Hyang-Kyo architecture was constructed in 100 years (14-15C) according to the Confucian ideology, we expect that there was a guide like a standard plan, but that it is not exist can be our concern. It is true that Hyang-Kyo architecture has many common things and the historical and typical differences are more smaller than other architectures, but an important architectural decision factor contains the local specialities as following; (1) the placement of shrine in the front and school in the back is rich in Chonnam area. (2) The upper of a castle gate of Hyang-Kyo in Kyungnam areas shows the most excellent originality. (3) The buildings like Yangsajae ans Samajae which are not essential factors of Hyang-Kyo architecture are biased in the Chonnam areas and in some areas, they are build in the precincts and then creat a new territory. 6. In the axis of building, the single axis which is set with the meridian of the south and north is superior and the appearance of the symmetrical factors according to the axis maximizes the balance and stability of the architecture. Especially since the level difference of floor in the inclind area makes the position high, the single axis gives a strong centrality. Also the position is heightened by repeating th gate and well. (Hongsalmun) -- Woisammun -- school area -- Naesammum -- shrine area -- heigh Daesungjun) 7. The formative character of Hyang-Kyo architecture is that it is simple and doesn't use an ornamental skill. It shows that Hyang-Kyo is not relative to a popular belief and it is only a government school constructed by the administrators who are fascinated with the Confucianism thought. The main architectural forms of Daesungjun are counter-roof and Ik-Kong Mode, Mindori Mode and Paljakjib in Myungryundang are representative. 8. The building construction of Hyang-Kyo has Daesunjun and Myungryundang fundamentally and DongㆍSeomu, DongㆍSeojae, NaeㆍWoisammun, many-storied building, Jaekichung, Yangsajae and administrator, etc. are attached according to Hyang-Kyo in Chonnam and there is Hyang-Kyo which has Daesungjun and Woisammun (Dongbok, Chonnam). The building except a few Hyang-Kyo were reconstructed newly after the late Yi-Dynasty (18-19C).

      • 이미지의 해체와 조합을 이용한 기억의 보관과 방법 연구 : 나의 작품을 중심으로

        김지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2018년부터 현재까지의 나의 작품세계에 대한 연구를 다루었으며‘기억의 보관과 방법’에 대해 고민하고 그 해결방안을 모색해 나가는 과정 속에서 나타난 회화작품을 분석한 것이다. 이 주제를 토대로 작품의 제작 배경과 목적, 내용, 조형적 특성과 재료기법에 관하여 분류하고 앞으로 진행될 작업의 이론적, 재료적 기반을 마련하였다. 세상을 살아가면서‘나’는 누구인지, 왜 지금 이 일을 하고 있는지 문득 나의 존재에 대해 자각하거나 고민에 빠질 때가 있다. 나에 대한 정의를 내리기에 앞서 과거에 어떤 삶을 살아왔고 어떠한 경험과 기억을 가지고 있는지, 그 결과가 현재의 나의 모습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 정체성에 대해 탐구해 볼 필요가 있다. 자신의 쌓아온 경험과 기억은 앞날을 살아가는데 있어서 갈림길에 놓였을 때 현명한 선택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인생의 지표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기억은 한 사람의 인생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지만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무작위로 사라지고 있다. 이에 대해서 기억을 보관할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이번 연구를 통해 나는 어떠한 기억을 보관하고 있으며 기억의 보관은 어떠한 형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지 밝혀보았다. 먼저‘기억의 보관’에 관한 사전적 정의를 통해 그 개념을 파악하고 동양의 철학자들에 의해 기억이 어떠한 의미로 풀이되고 있는지 ‘마음’과 연관 지어 설명하였으며 우리의 삶 속에서 기억이 어떻게 보관되고 있는지 SNS에서 사진을 게시하고 보관하는 행위를 예시로 들어 설명하였다. 또한 역사적으로 기억의 보관이 일어나고 있는 이유와 그 가치에 대하여 철학적, 미술사적 접근을 통하여 알아보았다. 구체적인 방법으로 동양과 서양의 철학자들이 내린 기억의 정의를 살펴본 뒤 그 내용을 바탕으로‘기억의 보관’에 관한 의미를 다시 정의 내렸다. 이어서 이전 시대의 답습과 복고에 대한 열망이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구체적인 형태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미술사 속에서 발견할 수 있는 그림을 사례로 가지고 와 고찰해보았다. 크게 동양과 서양으로 그 양상을 나눌 수 있으며 동양 중에서도 특히 원나라 시기‘의고사상’을 통해 그 당시 회화기법이 답습으로 이루어졌음을 논증하였다. 이어서 서양의 르네상스 시기에서는 미의식의‘부활’의 모습에 대해 대리석 조각을 사례로 가지고 왔으며 미의 내용적 유사함을 비교하여 답습과 복고의 흔적을 확인하였다. 이어서 나의 자아탐구를 통하여 어떤 기억을 가지고 있는지 알아보았다. 그 기억은 크게 여행과 유아기로 나뉜다. 각 기억들이 시각화 된 작품을 살펴보며 그림을 그리게 된 내용과 과정 그리고 기억을 보관하는 것의 가치에 대해 고찰하였다. 그 다음으로는 기억의 보관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기억을 형상화하는 과정을 통해 기억의 모양을 정하고 이 기억이 어떻게 보관되어야 하는지 물리적인 포장과 개념으로써의 포장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전자는 포장재를 사용하여 포장하는 방식에 대해 아이디어스케치를 제시하였고 후자는 기억 이미지를 선택, 추출, 가공, 재조합하여 새로운 기억 이미지를 만들어내는 방식을 제시하였다. 이때 언캐니의 표현 양식이 나의 작업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고찰하였다. 또한 화면을 구성하고 그 안에 대상을 배치한 결과를 중앙 집중식 구도와 불규칙한 나열 구도로 나누어 설명하였다. 이를 증명하기 위한 실험으로‘아이트래킹’을 시도해보았다. 스마트폰의 시선추적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그림을 감상한 후 시선이 그림의 어느 지점에 얼마나 오래 머물렀는지, 또 시선이 그림 안에서 어떤 순서로 이동하였는지에 대한 결과를 비교하였다. 마지막으로 작품을 제작하는데 있어서 사용한 재료와 기법의 특징을 연필, 종이, 채색기법, 마감처리로 나누어 분석하였고 앞서 설명한 내용적 부분과 형식적 부분을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해서 재료를 어떻게 다루어야 하는지 그림 제작 과정과 함께 연구하였다. 나의 작업은 동양의 재료를 사용하면서도 바니쉬와 미디엄을 통한 질감표현과 마감처리를 하여 독특한 분위기를 자아내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키치적 표현 양식이 나의 작업에 어떻게 응용할 수 있는지 고찰하고 반짝이는 질감의 마감 처리와 그 기법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은‘기억의 보관과 방법’이라는 주제를 통해 나를 알아가는 과정 속에서 나라는 추상적 개념이 조형언어로 어떻게 표현되는지에 대해 연구한 결과물과 다양한 시도들을 정리하고 분석하기 위한 기회로 삼았으며. 그 안에서 나라는 존재에 대한 끊임없는 모색을 통해 연구 가치를 도출하는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focuses on my works from 2018 to 2020 presenting the theme of‘the storage of memories’. Through this paper, I explore and organize the subject and context of my works and lay the foundation for following works. Humans live together with memories. Memories are accumulation of the data that you have collected throughout your life, that defines who you are at the moment and also tells you what choices you will make in the future. In this regard, this paper examines the reason why one should store memories that fade away frequently regardless of one’s will and presents the methods of storing them. In addition, I present my memories that are stored and show the methods of storage. Memories embodied in my works are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One is the memory of traveling and the other is of childhood. By decomposing and combining images, the theme of‘the storage of memory’is metaphorically expressed. The aim here is to recombine scattered and receding images of memory and preserve the moments. This paper is structured as follows: In Chapter 1, I elaborate on how I arrived at the theme of‘the storage of memories’and briefly present the structure and direction of this paper, including the purpose of my works and artistic expressions in them. Chapter 2 examines the definition of the concept, ‘the storage of memories’from a philosophical and aesthetic perspective. Based on this definition, I redefine the concept from my point of view and review artworks throughout the history of art that can be considered as examples of memory storage. In art history, the storage of memories is represented in forms of restoration and resurrection. I examine the paintings from the Yuan Dynasty and sculptures from the Renaissance period as examples. Then I show the contents of my storage of memories. The memories I have can be divided into memories of traveling and memories of childhood, and my works are created by dismantling the images I experienced at the time into pieces and combining them again on the screen. I present my works one by one and elaborate on the meaning and the content of each work. Chapter 3 deals with the way memory images are dismantled and reassembled. As the existing image is dismantled into pieces, the shape and size of the image are distorted an through reassembling, listing and overlapping, new figures arise on the screen. Images represented through this process are uncanny, encompassing features of both abstract art and figurative art. Chapter 4 deals with the compositions of the artworks and materials. My paintings are categorized into two groups of style, which are‘the centralized composition’and‘the irregularly-listed composition’. After the making of the artwork, I checked whether the artwork falls into one of the two groups through an eye tracking analysis. Subsequently, I explain the work materials such as pencils, paper, coloring, and finishing materials used in the making process of my works. Finally, I conclude by organizing the works embodyinig the theme of‘the storage of memories’and further discussing on the direciton of my artworks.

      • 3D프린팅 조형설치물 유형분류 및 경향분석에 관한 연구

        김지민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4차 산업혁명의 도래로 제조업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으며 3D프린팅의 도입이 더욱 활발해지고 있다. 과거 절삭 가공 방식의 시대는 지나가고 3D프린팅 기술이 새로운 조형 방식을 가져왔으며, 이에 따라 제조업뿐만 아니라 예술계에서도 조형설치물의 새로운 제작 방식으로 각광받고 있다. 이와 같은 흐름 속에서 3D프린팅 기술은 타 분야와 융합되고 있으며, 다양한 분야의 디자이너들에게 새로운 표현의 도구로 활용되어 혁신적이고 실험적인 3D프린팅 조형설치물이 전 세계적으로 끊임없이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3D프린팅 조형설치물이 앞으로 점차 확대될 것으로 보고, 조형설치물의 사례 유형을 분류·분석하여 나타나는 경향성을 제시함으로써 이 시대에 적합한 방향으로 향후 예술 및 건축분야에서 등장할 3D프린팅 기술의 조형적 활용과 가치를 높이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2013년부터 2020년까지 나타난 3D프린팅 조형설치물의 사례를 수집·조사하여 유형을 분류하고, 각 유형에서 나타나는 경향을 분석하였다. 본 논문의 2장 이론적 고찰에서는 3D프린팅 기술의 개념, 방식, 활용 및 영역의 확장에 대하여 고찰하였고, 3D프린팅 조형설치물과 기존 조형설치물의 제작 방식을 비교하여 3D프린팅 조형설치물의 발전 방향에 대하여 정리하였다. 3장 3D프린팅 조형설치물 유형 분류에서는 3D프린팅 조형설치물을 다룬 정기 발행 간행물과 3D프린팅 관련 사이트에서 조사한 사례를 바탕으로 유럽,미주,아시아,기타 지역으로 정리하였다. 그 다음 각 조형설치물에서 나타나는 특징에 대해 정리하고 대표되는 특징을 키워드로 정리하여 분석 요소를 도출한 뒤 1차적인 사례 유형분류를 진행하였다. 또한 1차 사례 유형분류를 바탕으로 2차 세부 유형분류를 진행하였다. 4장 3D프린팅 조형설치물 유형별 경향 분석에서는 재료·디자인·출력방식·결합방식·제작자로 분류된 사례 유형별 측면에서 나타나는 경향성과 방향을 분석하였으며 지역별 비교를 통한 경향분석과 해외와 국내 조형설치물 비교를 통한 경향분석을 추가하였다. 3D프린팅 조형설치물 유형분류를 통하여 경향을 분석한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까지 3D프린팅 조형설치물의 재료는 플라스틱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능적·심미적 측면이 모두 두드러지는 비정형 디자인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또한 이러한 조형설치물은 Freeform FDM방식을 통하여 일체식 조형설치물로 등장하였다. 따라서 4차 산업혁명 기술이 가져온 타 기술과 3D프린팅 기술이 융합된 새로운 조형 방식이 도래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둘째, 연도별 변화에 따른 3D프린팅 조형설치물의 경향을 종합하였을 때, 재료는 자연재료와 재가공 재료의 활용이 증가하여 환경 친화적인 흐름으로 나아가는 추세였으며 이에 따라 플라스틱은 감소하였다. 또한 디자인은 2016년 이후 알고리즘 비정형 디자인으로 변화하였다. 또한 대형 FDM방식이 로봇 공학과 융합하여 다축 적층의 Freeform활용이 급증하고 있는 흐름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럽·미주 지역의 3D프린팅 조형설치물 유형은 재가공 재료, 알고리즘 비정형, Freeform FDM, 일체식이 가장 많았고, 아시아 지역은 가공재료 중 플라스틱, 유닛 비정형 디자인, 소형 FDM, 모듈식이 가장 많았다. 이는 지역별 3D프린팅 기술역량 및 인프라 조성에 따른 차이로 인해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논문에서 언급된 사례들은 비교적 3D프린팅 기술이 발달한 해외 사례 비중이 높았으나 앞으로 3D프린터의 보급과 확산이 더욱 가속화되면 국내 사례도 다양하게 등장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논문이 국내 3D프린팅 조형설치물 제작 연구의 기초적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추후 관련 연구가 이어지기를 바란다. With the adven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manufacturing paradigm is changing and the introduction of 3D printing is becoming more active. In the past, cutting processing has passed and 3D printing technology has brought about a new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ly, not only manufacturing but also art world are attracting attention as a new manufacturing method of installations. In this flow, 3D printing technology is being fused with other fields, and innovative and experimental 3D printed installations are constantly appearing worldwide as they are used as a new expression tool for designers in various fields. This study aims to increase the utilization and value of 3D printing technology that will appear in the future in the art and architecture field in the appropriate direction for this era by suggesting the tendency to appear by classifying and analyzing the case types of the installations. Therefore, this study collected and investigated the cases of 3D printed installations from 2013 to 2020, classified the types, and analyzed the trends in each type. In Chapter 2, the theoretical study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the concept, method, application and expansion of 3D printing technology, and to compare the production method of 3D printed installation and existing installation to summarize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3D printed installations. In Chapter 3, Classification of 3D Printed Installations was organized into Europe, Americas, Asia, and other regions based on the publications and 3D Printing-related sites dealing with 3D Printed Installations. The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installation were summarized and the representative characteristics were summarized as keywords to derive analysis elements and then the first case type classification was conducted. Also, the second detailed type classification was conducted based on the first case type classification. In chapter 4, the tendency and direction of each case type classified as material, design, output method, combination method, and producer were analyzed, and the trend analysis through comparison of regions and the trend analysis through comparison of overseas and domestic installations were added. The conclusion of the study which analyzed the tendency through the type classification of 3D printed installations is as follows. First, plastics are the most used materials for 3D printed installations so far, and they are shown to be atypical designs with functional and aesthetic aspects. In addition, such installations appeared as integrated installations through Freeform FDM method. Therefore, it was found that a new method that combines other technologies brought by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and 3D printing technology is coming. Second, when the trend of 3D printed installations was combined according to the change of year, the use of natural materials and recycling materials increased, and the trend toward the environment-friendly flow was progressed, and the plastic decreased accordingly. Also, the design has changed to algorithm atypical design since 2016. In addition, the large FDM method has been fused with robotics, and the use of freeform of multi-axis laminates has increased rapidly. Third, recycling materials, algorithm atypical, freeform FDM, and integral type were the most common types of 3D printed installations in Europe and the Americas, and in Asia, plastic, unit atypical design, small FDM, and modular type were the most. This was analyzed due to differences in 3D printing technology capability and infrastructure creation by region. The cases mentioned in this paper are relatively high in overseas cases where 3D printing technology has developed, but if the spread of 3D printers are accelerated in the future, domestic cases will appear in various ways. It is expected that this paper will play a basic role in the production of 3D printed installation in Korea, and it is hoped that related studies will continue in the future.

      • 일렉트릭 베이스 기타 녹음 시 변조에 대한 처리 연구

        김지민 수원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rough the history of popular music, Electric Bass Guitar has held the important position. Along with drum set, it has been the center piece of various rhythm and played by many performers in the live stages and the recording studios. Electric bass guitar is recorded to set the microphones in front of amplifiers or directly injected to console. There has been many studies and tries to achieve better recording of electric bass guitar.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proceeded like study of microphones to record, study of audio processing, study of audio mixing and study of applications for recording, while only few studies have been found on subjects of nature and characters of electric bass guitar itself from the perspective of sound. Since the better recorded signal can make more ideal output through the audio mixing and mastering process, along with various studies for recording it would be important to study the essential nature and characters of electric bass guitar. It is difficult to define 'good sound' in a few words due to the trend of the times and individual psychological factors. In other words, the meaning of good sound is very subjective. However, the sound which is free of noise and distortion would be the essential of good sound. Thus, it is studied the acoustical characters of electric bass guitar to create better sound and better audio source in consideration of the nature and characters of electric bass guitar in this research. Also, the changes of the harmonic structure according to the playing style were analyzed and studied in focusing on the notes which the modulation is occurred. In addition, the structural character and the acoustical tendency of an electric bass guitar which can affect to sound. The study was dealt with how we can apply the result to the recording and mixing at the recording studios that is processed to the modulated note based on the analyzed result. Through the whole experiments, try to minimize the modulated sound which can be ocurred from an electric bass guitar, and study to realize better electric bass guitar sound. There must be variables and characters which are not included in this study, I hope there are diverse studies and experiments about the subject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