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김수영과 김종삼의 동시(重詩)에 나타난 현실 인식 : 「나는 아리조나 카보이야」와 「오빤슈사인」을 중심으로

        김지녀 인천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3 인문학연구 Vol.40 No.-

        This study focuses on Kim Soo-young’s “I’m an Arizona Cowboy” and Kim Jong-sam’s “My Brother Is Shoeshine,” comparing and analyzing the perceptions of reality within their children’s verses. Initially,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verses by Jeong Ji-yong and Park Mok-wol, representative of the older generation post-liberation, were examined, revealing a focus on portraying the pure innocence of children rooted in traditional nature or daily life. However, the children’s verses of Kim Soo-young and Kim Jong-sam, emerging after the April Revolution in 1960, diverged significantly from their predecessors. Kim Soo-young, employed satire and humor to humorously depict the absurd reality in “I’m an Arizona Cowboy,” while Kim Jong-sam captured the lives of impoverished children with a calm tone in “My Brother Is Shoeshine.” Kim Soo-young advocated for a revolution in social structure, emphasizing the need for a fair foundation for children to engage with verses. In contrast, Kim Jong-sam maintained an ethical stance, portraying the lives of underprivileged children and expressing hope for them to rediscover their childlike hearts. Both poets encouraged children to confront reality, participate actively, and address negative societal aspects rather than disregarding ethical consciousness. Their approach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evolution of children's literature in the 1960s, reflecting the senses and ideologies of the new generation, thus expanding the scope and diversifying creative methods within children’s verses.

      • KCI등재

        아내 : ‘천사’와 ‘여편네’ 그리고 ‘사랑’의 의미 : 김수영과 김춘수의 시에 나타난 ‘아내’의 거리

        김지녀 우리문학회 2019 우리文學硏究 Vol.0 No.62

        This paper focuses on ‘the wife’ in the poems of Kim Chun-soo and Kim Su-Young. To the poets, the wife is “the other”. Therefore this paper analyzes th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s of the two poets regarding the wife. In addition, the paper shows how poets denote the meaning of love through the concept of the “wife.” Kim Chun-soo and Kim Su-Young expressed their concept of the wife in different ways. Kim Chun-soo frequently referred to ‘the wife’ in a poem that he wrote in his old age. This is because the death of his wife was a very significant event that influenced his poetry. Kim Chun-soo called his wife an ‘angel’. In his poem, the wife appeared in his reality through absence. Hence, he represented his wife as a sacred and sublime existence. However, he became increasingly more nostalgic about his wife. Thus, he expressed his desire to love his wife again with an eternal love. The wife also often appeared in Kim Su-Young’s poetry. In contrast to Kim Chun-soo, Kim Su-Young presents his wife as worldly in his poems. It is confirmed that he called his wife a 'Yepyeonne', which is an informal way to call out to one’s wife. The term 'Yepyeonne' was used in a poem when Kim Su-Young faced a problem in his life. This implies that Kim Su-Young was more economically incompetent than his wife. In his physical relationship with his wife, he presented his wife as being naked and wanted to look worldlier than his wife. Through this, Kim Su-Young could recognize and love the worldly the other and the world. This was Kim Su-Young's way of understanding and loving the other. and it was also a way to get 'freedom'. 이 논문은 김춘수와 김수영 시에 출현하는 ‘아내’의 양상을 중심으로 그 배면에 내재한 타자 인식의 차이를 분석하고 나아가 두 시인이 ‘아내’를 통해 어떻게 사랑의 의미를 찾는지 고찰했다. 김춘수는 시작 후기에 ‘아내’를 집중적으로 호명했다. ‘아내’의 죽음은 김춘수에게 후기 시세계를 장악한 가장 크고 결정적인 사건이었다. ‘아내’의 죽음은 김춘수를 말할 수 없는 고독과 슬픔, 그리움의 세계에 침잠하게 만들었지만 동시에 그에게 완전히 낯선 현실을 선사해주었다. 김춘수는 시에서 ‘아내’를 ‘여보’, ‘너’, ‘이 사람’, ‘천사’로 불렀다. 특히 죽은 ‘아내’를 ‘천사’로 명명했는데, 시 속의 ‘아내’는 부재의 방식으로 김춘수의 현실 세계에 개입하고 있었으며, 그 과정에서 ‘아내’는 초월적이고 숭고한 존재로 형상화되었다. 그렇지만 김춘수는 ‘아내’가 돌아오지 않는 저쪽의 세계에 있다는 현실을 자각하며, ‘아내’에 대한 그리움을 키웠다. 김춘수는 ‘아내’의 체온을 갈망하고 아내와 다시 사랑을 하고 싶다고 외치며 ‘아내’에 대한 사랑이 자신의 삶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끼치며 영원할 것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김수영의 시에서 ‘아내’는 시작 전체에 고루 분포되어 있었다. 김춘수가 아내를 성스런 존재로 형상화한 것에 비해, 김수영이 그린 ‘아내’는 지극히 세속적인 존재였다. 김수영이 ‘아내’를 ‘여편네’라고 자주 불렀던 사실이 이를 뒷받침한다. 주지하듯 ‘여편네’는 아내를 낮춰 부르는 말이다. ‘여편네’는 대부분 생활이나 경제적인 역할이 강조되는 시적 상황 속에서 호명되었다. 즉 김수영은 아내의 속물적인 면이 강하게 드러날 때, ‘여편네’라는 호칭을 사용한 것이다. 이런 선택은 ‘아내’의 속물근성을 비하하기 위함과 아내보다 생활적인 면에 무능력한 자기 자신의 수치심을 반어적으로 극복하기 위함이었다. 생활능력의 정도가 부부관계를 동동하게 만들지 못한다는 사실을 경험하면서 김수영은 아내보다 더 속물적인 방식으로 ‘아내’와의 육체적인 관계를 폭로하기도 했다. 하지만 그것은 김수영에게 오히려 더 큰 수치와 좌절을 경험하게 만들었다. 속물성에 대한 반성과 자의식이 강하게 작동했음에도 불구하고, 김수영은 도리어 속물적인 세계, 속물적인 타자들, 즉 아내로 대표되는 자본주의의 질서와 욕망을 인정하고 수용하면서 그 안으로 달려가 ‘사랑’과 ‘환희’를 발견했다. 이는 김수영이 근본적으로 자신과는 다른 타자, 다른 세계를 이해하면서 ‘자유’를 얻고 ‘아내’를 ‘사랑’하는 방법이었다.

      • KCI등재

        「라산스카」의 의미에 대한 시론(試論) - 김종삼의 시와 음악

        김지녀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3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60 No.-

        Kim, Jong-Sam has created Lassanska and has been adapting over 20 years, however, never revealed the meaning of 'Lassanska'. Thus many different views have been submitted on 'Lassanska' never clearly discovered ever. This research analyzed the poem at the level of form by suggesting 'Lassanska'as words-creating measures combined by Lassan & Friska, a music format constituting Hungarian Rhapsody of Franz Liszt. This suggestion is according to first, his integrity and innocence for the poetic dictions were very strong thus the created-words or unfamiliar foreign words, transferred to mother tongue by the desire for a pure language, were utilized for poetic expressions, second, fascinated by & familiar with the classical music and lastly, musical format used to be adopted for a title or subject matter of poems. A total of 6 pieces of ' Lassanska' were published, which are divided into 2 types of publications such as different poems under one title and separate publication of every single piece of poems. The former poems are analyzed according to tempo of verse, when slow & fast tempos are concurrently existing in one piece of poem,it appears the controlling effect of the emotions of sorrow all over the poem. Due to the nature of separate publication of the latter poems, it is required to view 3pieces of poems as a whole to focus on the pure sound of word itself which tends to emphasize its lingering sound. The emotions are gradually reduced in these poems,although the poems seem to be unfinished due to the rapid decrease of words,they are showing the effect of formulating a rhythm generated by movements of pure sounds thru the white space provided by the minimum of words. 이 논문은 김종삼의 연작시 「라산스카」의 시 형식을 음악 형식과의 관련 아래살펴보고자 한다. 김종삼은 20년이 넘도록 라산스카를 창작, 개작했지만, ‘라산스카’의 의미를 밝히지는 않았다. 이 때문에 ‘라산스카’의 의미에 대해 다양한 견해가제출되었지만 여전히 그 의미가 명확히 해명되지 않고 있다. 이에 이 논문은 ‘라산스카’를 프란츠 리스트의 「헝가리랩소디」를 구성하고 있는 음악 형식, 랏산(Lassan)조와 프리스카(Friska)조가 결합된 조어(造語)적 의미로 제안하고 김종삼의 시 「라산스카」를 형식적 차원에서 분석한다. 이러한 제안은 첫째, 김종삼이 시어에 대한 염결성이 매우 강했고 순수한 언어를 지향해 조어나 낯선 외래어를 모어로 전사해 시어로 활용했다는 점, 둘째, 고전음악에 심취해 그것과 관련된 지식이 풍부했다는 점, 마지막으로 음악의 형식을 시의 제목이나 소재로 차용했다는점에 근거한 것이다. 「라산스카」는 총 6편이 발표되었는데, 두 가지 방식으로 구현된다. 하나는 제목이 같지만, 내용이 서로 다른 시들의 경우이고, 다른 하나는 하나의 작품을 각각독립된 작품으로 분연해 발표한 경우이다. 전자의 경우에서는 시행의 템포에 주목해 작품을 분석한다. 이 경우의 작품들이 주로 리스트의 「헝가리랩소디」를 구성하는 음악 형식인, 랏산조와 프리스카조가 결합된 특징이 잘 드러나는데 느리고 빠른 템포가 한 작품에 동시에 작용할 경우, 시 전체에 흐르는 비애의 정서를 절제해주는 효과가 나타난다. 후자의 경우에서는 한 작품을 분연해 독립시켰다는 특성상, 세 편의 관계를 전체적으로 조망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는 시에 구현된 시행의 템포 조절에서 오는 리듬의 창출보다는 시의 언어 그 자체가 내는 순수한 소리에 집중하고 그 소리가 내는 여운을 강조하는 경향을 나타낸다. 이런 시들은 감정이 점차적으로 소거되는 양상을 보이며, 언어의 급격한 감소가 시를 미완의 형식처럼 만들고 있으나 그것은 최소한의 언어가 창출하고 있는 여백을 통해 순수한소리들이 운동하며 발생하는 리듬을 형성해주는 효과를 보여준다. 이러한 창작 방법을 통해 김종삼은 시에서 의미가 아닌 형식을 강조하는 의도를 드러낸다. 시를구성하는 언어적 자질의 중요성과 구성 방식을 음악 형식에서 차용함으로써 김종삼은 당시 시의 형식을 중요하게 강조했던 김춘수와 함께 한국 현대시에서 새로운언어, 새로운 시의 형식에 대한 아름다움을 추구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김종삼 시에 나타난 ‘심청’ 이미지와 전통 인식 연구

        김지녀 한국시학회 2021 한국시학연구 Vol.- No.66

        This study analyzed the image of ‘Shimcheong’ appearing in Kim Jong-sam's poem. Kim Jong-sam pursued pure poetry. When he wrote poetry, he focused on exotic languages, unfamiliar images, and Christian worldviews. Interestingly, but why did Kim Jong-sam express'Shimcheong' in his poems? Kim Jong-sam continued to use ‘Simcheong’ images in poetry from 1965 to 1982. This study identified the reason why Kim Jong-sam used the ‘Simcheong’ image. To clarify this point, we analyzed poems in Kim Jong-sam's poems using images of “poor”, “simcheong,” “blind,” and “mother”. In the process, I was able to reveal that Kim Jong-sam's poems contained traditional filial piety. Through this study, I ultimately confirmed the ethics of others in Kim Jong-sam's poem. 본 논문은 김종삼 시에 나타나는 ‘심청’ 이미지와 그것에서 알 수 있는 김종삼의 전통 윤리 인식에 천착하였다. 그동안 김종삼은 현국 현대시사에서 순수시를 지향하며, 전통적인 시 언어보다는 이국적인 언어와 낯선 이미지, 기독교적 세계관 등을 시에 표출한 것으로 평가받아 왔고 많은 연구자들은 이점에 착안해 김종삼의 시적 특질을 규명해 왔다. 그런데 김종삼은 1965년부터 1982년까지 20여 년에 가까운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심청’ 이미지 또는 그와 유사한 소재를 시에 활용했다. 그간 중요하게 언급된 김종삼의 대표적인 시적 특질을 상기한다면 이 사실은 매우 흥미롭다. 서구적인 언어와 서양 음악과 미술 등에 큰 관심을 보였던 김종삼이 왜 ‘심청’을 호명했을까. 논문은 여기에서 출발했다. 이를 해명하기 위해 논문에서는 김종삼 시에 사용된 ‘가난’ ‘심청’, ‘장님’, ‘어머니’ 이미지 등이 사용된 시를 정리하고, 김종삼이 ‘심청’ 이미지를 호명한 이유를 탐색해 보았다. 또한 앞서 정리한 시 분석을 통해 그의 시에 나타나는 전통 인식의 문제, 그 중에서도 ‘심청’ 이야기에 내재한 ‘효(孝)/불효(不孝)’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였다. 그 과정에서 김종삼 시인의 타자를 향한 윤리성을 확인해볼 수 있었다.

      • KCI등재

        김춘수의 초기시 「VOU」와 모더니티의 문제

        김지녀 한국시학회 2022 한국시학연구 Vol.- No.72

        본 연구는 김춘수가 시작 초기에 쓴 「VOU」란 시에 나타나는 ‘음향’ 이미지를 중심으로 김춘수가 모색한 시적 모더니티가 김춘수 시 전반에 걸쳐 어떻게 반복되고 변주하는지를 분석했다. 먼저, 해방기 김춘수·김경린·조향의 문학적 이념 및 활동의 공유 과정 속에서, 김춘수의 시 「VOU」 창작 배경이 현실 참여적 성격의 모더니즘과 거리를 두며 순수 문학을 의도하되 기성 세대의 시 언어와는 다른 시적 모더니티를 모색하기 위한 시도였다는 점을 파악할 수 있었다. 「VOU」는 전통적 서정성을 배제하며, ‘VOU라는 음향’이 환기하는 이미지들의 우연한 결합과 소리 감각의 다양성을 구체화했다. 본래 일본 모더니즘 동인회의 이름 ‘VOU’는 어느 국어에도 속하지 않고 아무 의미를 가지지 않는다는 점을 의도했는데, 이점은 김춘수의 시 「VOU」를 해석할 때도 유효했다. 흥미로운 사실은 1940년대 중후반 창작한 「VOU」의 미적 특질이 1960년대 후반 「처용단장」 1․2부, 1970년대 후반 시집인 『남천』, 1990년대 초반 「처용단장」 3․4부, 2000년대 초반 『쉰한 편의 비가(悲歌)』의 시편들에서 반복적으로 출현했다는 점이다. 다시 말해서 김춘수의 시에서 일정한 의미나 관념을 탈각한 ‘음향’ 이미지는 의미나 이미지 소멸을 통한 리듬, 리듬을 만들어내는 음성적 소리 자질에 대한 언어 해체, 나아가 ‘말놀이’라는 기표의 유희성으로 변주되면서 반복되었던 것이다. 이런 시적 실천의 과정은 궁극적으로 김춘수의 ‘무의미’ 시론으로 응집되었다고 할 것이다. 이상의 분석을 토대로 하여, 본 연구는 김춘수의 초기시를 단순히 미숙한 시 형태가 아니라 순수시에 대한 시적 이념이 배태되었던 시적 기원으로 접근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할 수 있었다. 또한 「VOU」에 나타난 시적 모더니티가 김춘수 시 전반에 걸쳐 변용되는 방식으로 반복된다는 점에서, 김춘수의 시작 전체에서 감지할 수 있는 시적 변화를 단절이나 변증법의 과정이 아닌 차이에 기반한 반복과 순환의 관점에서 접근해볼 가능성을 타진해볼 수 있었다.

      • KCI등재

        백석 시의 공간 구조 연구- 「여우난곬族」과 「南新義州 柳洞 朴時逢方」의 '방'을 중심으로

        김지녀 상허학회 2006 상허학보 Vol.16 No.-

        The aim of this dissertation is to reveal the structure and meaning of the room which is constructed in the poem of Paek S?k. To poem of the Paek S?k the room or the house is applied frequently. Those subject matter or the material which is simple from his poem or with background is used but the meaning comes to be wide does in space of the recognition dimension which passes over it. The persona against the outside world of the persona experiences from that room and subject transfiguration process it in method of own depending on form. When it is like that observing the space structure of the room which appears in poem of the Paek S?k, grasping the relationship of the objects which are located to that place the Paek S?k actuality with what kind of type and contents structure, is a possibility of observing and becomes the method which is effective. In this study, I analyze two poems which set the room in poetic space. Because two works initially and are the poem which represents a postscript because very different is become accomplished in contents and type and they are. In the second chapter, I analyze the structure of the room of「여우난곬族」who is a early poem of the Paek S?k. The room of「여우난곬族」of the Paek S?k is become accomplished with horizontal structure. That room is space of family commonness and it is a space of hometown. That room is joint space of the family and observatioing the persona of childhood, it is a place which collects the space of the life which the family occupies. Being important the court rank whose all individuals and the things which are arrayed in that room are specific it coexists it is a point without with horizontal relationship. This poem horizontal structure is confirmed even from array of the poetic word which secures a concreteness. and The horizontal structure of this poem is emphasized even with the method which is actualized the hour of past. When it arranges, the room of「여우난곬族」function does in the space where it magnifies the person and the world which oneself experiences horizontally. In the third chapter, I analyze the structure of the room of「남신의주유동 박시봉방」which the Paek S?k writes in postscript. The room is visible the transfiguration with perpendicular structure from horizontal structure. That room compared to the above family or the others the regiment it is a space on the other direction which it does not do and it is a space of the individual. The persona the of adult lies down to the room and it reflects it feels shy one field of past and. It finally the place where it changes the space structure of the room with perpendicularity direction, it is symbolized with 갈매kal-mae tree. The array of conceptional poetic word emphasizes the perpendicular structure of this poem, and it is embodied even with the method which expresses the hour of present time with past tense. The space structure change of like this room leads and vagrancy process of the Paek S?k it becomes accomplished consecutive. At above, The space structure of the room which appears at Paek S?k's poem was constructed in what kind of method and are transfigured, and the cause tried to observe it probably is what. Like this method does the white stone an actuality recognize confronts how and it means becomes the approach which is effective. 이 논문의 목적은 백석의 시에 구축된 방의 구조와 의미를 밝히는 것이다. 백석의 시에는 방이나 집이 자주 활용된다. 그것들은 그의 시에서 단순한 소재나 제재 또는 시의 배경으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그것을 넘어서는 인식 차원의 공간으로 그 의미가 넓어지기도 한다. 그 방에서 화자는 화자의 외부 세계에 대한 체험과 그것의 주체적 변용 과정을 자기 나름의 방식으로 형상화한다. 그러므로 백석의 시에 나타나는 방의 공간 구조를 살필 때, 그곳에 위치하는 대상들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은 백석이 어떠한 형식과 내용으로 현실을 구조화하는지 살필 수 있는 유효한 잣대가 된다. 이 논문은 '방'을 공통적으로 시의 공간으로 설정하고 있는「여우난곬族」(1935. 12)과「南新義州 柳洞 朴時逢方」(1948. 10)을 분석의 대상 텍스트로 삼는다. 두 작품은 초기와 후기를 대표하는 시이면서도 매우 다른 내용과 형식으로 이루어져있기 때문이다. 백석의 초기 작품인「여우난골족」의 '방'은 수평적인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그방은 가족 공동의 공간이며 고향의 공간이다. '방'은 유년의 화자를 통해, 가족이 점유했던 삶의 공간을 수렴하는 곳이다. 중요한 것은 그 방에 나열되는 모든 개체와 사물들이 특정한 위계없이 수평의 관계로 공존한다는 점이다. 이 시의 수평적 구조는 구체성을 확보한 시어의 나열에서도 확인된다. 그리고 과거의 시간을 현재화하는 방법으로도 강조된다. 정리하면「여우난곬족」의 '방'은 자신이 경험하는 사람과 세계를 수평적으로 확대하는 공간으로 기능한다. 백석의 후기 작품인「남신의주 유동 박시봉방」의 '방'은 수평적인 구조에서 수직적인 구조로의 변모를 보인다. 그 방은 더 이상 가족이나 타인들이 연대하지 않는 타향의 공간이며 개인의 공간이다. 성인의 화자는 방에 누워 과거의 일들을 반성하고 부끄러워한다. 그것은 결국 방의 공간 구조를 수직적인 방향으로 바꾸는데, 시에서 그것은 '갈매나무'로 상징된다. 이 시의 수직적 구조는 관념적인 시어의 나열과 현재의 시간을 과거화하는 방법으로 구현된다. 이러한 방의 공간 구조 변화는 백석의 유랑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여우난곬族」과「남신의주 유동 박시봉방」의 사이에 위치한「山宿-山中吟」의 '방'은「여우난곬族」과 같은 수평적인 구조 속에서 타인의 삶을 내면화하는 공간이다. 그리고「힌 바람벽이 있어」의 '방'은 「남신의주 유동 박시봉방」의 '방'과 유사한 면이 있지만, 화자가 구축하고 있는 공간의 구조가 '힌 바람벽'이라는 수평의 축으로 이루어지고 있어서 수직적 공간 구조가 형성되기 전의 예비 단계로 파악할 수 있다. 이상으로 백석 시에 나타나는 방의 공간 구조가 어떤 방식으로 구축되고 변모하는지, 그리고 그 원인은 무엇인지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방법은 백석이 현실을 어떻게 인식하는가에 대한 유효한 접근이 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