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상환경 기반 자율주행 운전능력 평가방안 연구

        김중효,김도훈,주성갑,오석진,Kim, Joong Hyo,Kim, Do Hoon,Joo, Sung Kab,Oh, Seok Jin 한국ITS학회 2021 한국ITS학회논문지 Vol.20 No.5

        세계 최대 차량공유업체 우버의 자율주행에 의한 보행자 사망사고에 이어 지난 4월에는 테슬라의 자율주행 교통사고로 2명이 사망하는 등 자율주행의 안전성 문제가 대두됨에 따라 자율주행 도입에 따른 도로 이용자의 안전성 확보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자율주행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실제로 자율주행자동차가 주행할 도로 및 교통 환경을 기반으로 다양한 상황에서의 자율주행 운전능력을 평가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양한 운전능력 시험방법 중 가상현실 기반 자율주행 운전능력 평가도구를 제시하고자 일반 운전면허시험 문제를 기반으로 UC-win/Road ver.14.0을 활용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복합적이고 다양한 주행환경에서 돌발상황에 대한 운전능력을 시험하고자 하였으며 자율주행 운전능력 시험평가의 최적의 도구로서의 실제 적용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Following the fatal accident of pedestrians caused by Autonomous Vehicle by Uber, the world's largest ride-hailing company, two people were killed in a self-driving car accident by Tesla in April. There is a need to ensure the safety of road users. Accordingly, in order to secure the safety of Autonomous Vehicle driving, it is necessary to evaluate Autonomous Vehicle driving technologies in various situations based on the road and traffic environment in which the Autonomous vehicle will actually drive. Therefore, this study used UC-win/Road ver.14.0 based on general driver's license test questions to present a virtual reality-based Autonomous Vehicles driving ability evaluation tool among various driving ability test method. Based on this, it was intended to test driving ability for unexpected situations in complex and diverse driving environments, and to confirm its practical applicability as an optimal tool for Autonomous vehicle ability test and evaluation.

      • KCI등재

        교통안전 특성을 고려한 장대터널 적정길이 제시

        김중효,이정환,권성대,하동익,Kim, Joong-Hyo,Lee, Jeong-Hwan,Kwon, Sung Dae,Ha, Dong Ik 대한토목학회 2014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34 No.1

        터널은 이동시간을 최소화 시킬 뿐만 아니라 친환경적인 도로건설을 위한 필수적인 시설물이라 하겠다. 최근에는 보다 높은 서비스수준의 제공을 위하여 터널 건설이 가속화 되고 있다. 그러나 터널을 주행하는 운전자는 좁고 어두운 터널의 특성상 심리적 불안감과 시야의 제약을 받게 된다. 더욱이 1,000m 이상의 장대터널을 통과하는 운전자는 단조로운 형태의 터널 내부를 장시간 통과함에 따라 졸음 등이 발생할 수 있으며, 보다 큰 심리적 압박감을 느껴 운전자 부하가 가중되게 된다. 이러한 운전자 부하는 장대터널 내부의 주행안전성을 크게 저하시키며 높은 사고위험성을 내포시키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장대터널 교통안전 특성을 고려하여 장대터널의 적정길이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장대터널의 교통안전에 영향을 미치는 교통안전변수를 분류하고 선정하였다. 교통안전변수는 교통사고변수와 속도변수로 분류하며, 해당 변수는 교통사고건수, 교통사고율, 주행속도, 개별차량 주행속도 차등으로 세부적인 분류를 하였다. 이상과 같이 분류된 교통안전변수가 장대터널길이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교통사고율이 유의한 결과를 나타냄에 따라 교통사고율을 교통안전변수로 선정하였다. 터널 길이에 따라 교통안전변수가 큰 폭으로 증가하는 지점은 사고발생가능성이 높은 지점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해당 지점을 선정하기 위해 교통안전변수의 분포표를 작성하였으며, 교통안전변수가 크게 증가하는 구간을 임계점으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해당 임계점에 도달하기 이전의 길이를 장대터널의 적정길이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장대터널의 적정길이를 통해 향후 장대터널에서 발생하는 교통사고 감소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unnel reduces travel time as and it is essential facilities for the eco-friendly road construction. In recent years, It has been accelerating the tunnel construction to provide a higher level of traffic service but a driver driving in the narrow and dark tunnel takes characteristically psychological anxiety and the restriction of the sight. Moreover, A driver passing through more than 1,000m long tunnel, as to pass inside the monotonous form of the tunnel for a long time can cause drowsiness and increase the driver load. This driver load can degrade road-holding of the inside of the long tunnel highly and pose a high risk of accidents. Accordingly, In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proper length of the Tunnel,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raffic accident. For this, this study is that the long tunnel that affects traffic safety traffic safety variables are selected and classified. Traffic safety variables are classified in detail as a variable of the traffic accident and velocity one, the applicable variables the number of the traffic accident, the ratio of the traffic accident, driving velocity, the individual vehicle velocity etc. Traffic safety variables are categorized as more than a pole length of the tunnel in order to examine its impact on correlation analysis. The results indicate significant results in traffic accidents in accordance with traffic accidents, traffic safety, selects the variable was Variable depending on the length of the tunnel traffic safety point of significantly increasing the possibility of an accident can be seen as a high point. And the point of the Distribution of selected variables in order to create a traffic safety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traffic safety variables was set at critical intervals. Before reaching the critical point and the corresponding length of the long tunnel was set at the proper length. In this study, the optimum length of the proposed long tunnel through the long tunnel that occur in the future to contribute to reducing traffic accidents would be able to be determined.

      • KCI등재

        역전파 알고리즘을 이용한 최적의 교통안전 평가 모형개발

        김중효,권성대,홍정표,하태준,Kim, Joong-Hyo,Kwon, Sung-Dae,Hong, Jeong-Pyo,Ha, Tae-Jun 대한토목학회 2015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35 No.3

        교통사고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차량과 도로 체계에 대한 공학적인 개선을 통하여 교통사고 원인을 제거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안정성과 효율성이 부족한 도로는 교통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할 가능성이 크고 이를 개선하는데 막대한 사회적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며, 부적절한 환경 요인으로 발생한 교통사고는 국가적으로 큰 피해를 발생시키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최근 인공지능 분야 중 활발히 연구 중인 역전파 알고리즘(Back-Propagation Algorithm : BPA)을 이용하여 신호교차로를 대상으로 최적의 교통안전 평가기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내 교통혼잡과 교통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신호교차로 지점을 대상으로, BPA를 이용하여 보다 신뢰성 높은 교통안전 평가 모형을 개발하고자 다음과 같은 일련의 방법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첫째, 신호교차로 교통사고와 교통상충간의 순위상관분석을 실시하여 교통사고 순위와 교통상충 순위가 통계적으로 유의함을 확인하였다. 이는 교통상충이 신호교차로 교통안전 평가 변수로 사용될 수 있음에 따라 설명변수로 입력되고 교통사고가 종속변수인 선형회귀모형을 개발하는데 이용하였다. 둘째, 신호교차로의 교통량과 진입 진출 차로수 차이 등을 교통사고의 설명변수로 간주하여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교통사고 예측모형을 개발하였다. 셋째, 교통량과 도로 기하구조 요소를 모형의 설명변수로 설정하고 교통상충을 종속변수로 하여 BPA를 이용한 최적의 교통안전 평가 모형을 개발하였다. 마지막으로, 교통사고 실측값, 다중회귀모형, BPA에 의한 교통사고 예측값을 평균제곱근오차 방법으로 모형의 적합도 비교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BPA에 의해 도출된 교통사고 예측값과 교통사고 실측값 사이의 평균제곱오차는 3.89로 계산되어 BPA가 다중회귀 모형보다 상대적으로 교통안전 평가능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실제 신호교차로 교통안전도를 평가하는데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고 추후, 교통안전정책 수립시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need to remove the cause of traffic accidents by improving the engineering system for a vehicle and the road in order to minimize the accident hazard. This is likely to cause traffic accident continue to take a large and significant social cost and time to improve the reliability and efficiency of this generally poor road, thereby generating a lot of damage to the national traffic accident caused by improper environmental factors. In order to minimize damage from traffic accidents, the cause of accidents must be eliminated through technological improvements of vehicles and road systems. Generally, it is highly probable that traffic accident occurs more often on roads that lack safety measures, and can only be improved with tremendous time and costs. In particular, traffic accidents at intersections are on the rise due to inappropriate environmental factors, and are causing great losses for the nation as a whole. This study aims to present safety countermeasures against the cause of accidents by developing an intersection Traffic safety evaluation model. It will also diagnose vulnerable traffic points through BPA (Back -propagation algorithm) among artificial neural networks recently investigated in the area of artificial intelligence. Furthermore, it aims to pursue a more efficient traffic safety improvement project in terms of operating signalized intersections and establishing traffic safety policies. As a result of conducting this study, the mean square error approximate between the predicted values and actual measured values of traffic accidents derived from the BPA is estimated to be 3.89. It appeared that the BPA appeared to have excellent traffic safety evaluating abilities compared to the multiple regression model. In other words, The BPA can be effectively utilized in diagnosing and practical establishing transportation policy in the safety of actual signalized intersections.

      • 보행자작동신호기 도입 확대 방안에 관한 연구

        김중효(Kim, Joong-Hyo),이호원(LEE, Ho Won),주두환(Ju, Du-Hwan),정준하(Jeong, Jun-Ha) 대한교통학회 2015 대한교통학회 학술대회지 Vol.72 No.-

        2013년판(2012년 통계) 경찰청 교통사고통계에 따르면, 전체 교통사고 사망자 5,392명중 ‘차대사람’ 교통사고 사망자는 1,977명으 로 전체 교통사고 사망자의 36.7%를 차지하였다. 또한 ‘차대사람’ 교통사고 사망자 1,977명 중, ‘횡단중’ 사망자수는 1,003명으로 50.7%에 달하였으며, 전체 교통사고 사망자의 18.6%에 달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횡단보도에서의 교통안전 대책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와 같이 ‘횡단중’ 사망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보행자의 안전한 도로횡단과 차량의 원활한 소통을 위하여 보행자작동신호기 설치 확대 방안 마련이 연구 목적이다. 따라서 현장조사를 통해 보행자작동신호기 설치 유무에 따라 차량 및 보행자의 신호위반율을 조 사하였고, 보행자작동신호기 설치 전・후의 교통사고 건수를 조사하였다. 또한 경제성 분석을 통해 전국에 설치할 경우의 편익분석을 실시하였다. 차량 및 보행자의 신호위반 현장조사는 보행자작동신호기 설치 유‧무에 따른 차이점을 비교하기 위하여 서울시 중심과 외곽지역을 중심으로 실시하였다. 보행자작동신호기 설치된 8곳을 중심으로 150m이내에 발생한 ‘차대사람’ 교통사고를 조사하였다. 보행자작동신호기 설치 전・후 각각 3년간 교통사고 발생건수를 비교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보행자작동신호기가 설치된 지역의 차 량운전자가 설치되지 않은 지역의 차량운전자보다 차량신호를 잘 지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보행자의 신호준수율은 보행자작동신 호기 설치 유무에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8개 지점을 중심으로 보행자작동신호기 설치 전・후 각각 3년간의 교통사고건 수 비교는 설치 전 총 8건에서 설치 후 총 2건으로 감소하였으나, 샘플수가 충분하지 않아 신뢰성에 한계가 있었다. 그러나 보행자 작동신호기 설치가 교통사고 감소에도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경제성 분석을 통해 전국 단일로 횡단보도에 보행자작동신호기를 설치할 경우, 초기비용은 설치 후, 1년 이내에 회수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1단계로 보 행자작동신호기가 설치 되어야 할 횡단보도를 파악하고, 전국의 모든 단일로 횡단보도에 우선 설치할 것을 제안하며, 2단계로 기존 음향신호기 중 노후화 등으로 교체예정인 곳은 점진적으로 일체형으로 대체하고, 3단계로 CBD지역을 제외한 모든 횡단보도에 설치 할 것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후보

        교통상충기법을 이용한 도로 안전성 평가에 관한 연구

        김중효 ( Kim Joong-hyo ),박정순 ( Pakr Jung-soon ),현철승 ( Hyun Chul-seng ),주두환 ( Joo Doo-hwan ) 한국도로교통공단 2015 교통안전연구 Vol.34 No.-

        신호교차로 안정성을 평가하고자 할 때 일반적으로 교통사고 자료를 이용한다. 그러나 사고자료를 확보하고 분석하는데 다소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며 자료의 신뢰성에 문제가 제기되고 있어 교차로의 안전을 진단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현실적인 문제를 극복하고 대체하고자 그간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왔는데 가장 폭 넓게 사용되는 도로의 평가 중의 하나가 “교통상충기법”이다. 그러나 교통상충기법에 있어서 상충에 대한 명확한 기준과 판단의 부족으로 자료의 객관성에 문제점을 보이고 있어 최적화된 분석방법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교통공학 이론을 배경으로 객관적이고 비교적 정확한 기준을 정립하여 교차로 안정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이에 실제 상충과 사고자료와의 순위상관관계분석으로 교차로 전체의 상대적인 위험도를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사고건수 유형별 위험순위와 유의한 상충측정기준은 다음과 같다. 첫째로, 추돌유형상충은 선행차량 제동에 대하여 추종차량의 급제동이 요구되는 상황으로 안전차두 시간 1.30초를 측정기준으로 하였다. 둘째로, 측면충돌유형상충은 차로변경 행태와 관련하여 차로변경 차량에 의해 차로변경 대상차로에서 주행하던 차량이 감속 등의 회피조작을 필요로 하는 상황으로서, 안전시간 1.30초를 측정기준으로 하였다. 또한 위 두 항목을 기준으로 측정된 상충수의 합은 교차로 전체의 사고건수 위험순위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남으로써, 교차로 전체의 상대적인 위험정도를 판별할 수 있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이와 동일한 방법으로, 상충기법 연구가 보다 객관적으로 수행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추후 교차로의 상대적인 위험수준을 평가할 때에도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analysis of the number of traffic accident has been the most direct measure of safety for a signalized intersection. But The engineers sometimes use alternative measures to the number of traffic accident because there are problems of collection time and limitation on accuracy for accident data. One of the most widely used alternative measures is the Traffic Conflict Techniques. The TCT, However, has the lack of clear criteria for conflict. Being based on transportation theory, this study makes an objective and relatively accurate conflict measurement criteria. Also, in this study, related risk level of intersection is measured by the rank correlation analysis with the real accident data. As a result of this study, a conflict measurement criterion that is significant with risk rank of accident by case is as follows. : First, rear-end conflict occurs when the first vehicle brakes while approaching or passing through the intersection, placing a second, following vehicle needed sharp brakes. The measurement criterion of safety time headway is 1.30sec. Second, related to lane-change behavior, sideswipe conflict occurs when the first vehicle changes from one lane to another, thus placing a second, following vehicle in the new lane passing the critical point of lane change. The measurement criterion of safety time is 1.30 sec. The sums of conflict numbers measured by the criteria of two conflict types are also significant with risk rank of a intersection accident number. In conclusion, these two types of criteria will ascertain the relative risk level at a signalized intersection. With this method, conflict studies will be accomplished more objectively and relative risk level at a signalized intersection will be estimated with more speedy treatment.

      • KCI등재후보

        고속도로 야간 안전대책에 관한 연구

        김중효 ( Kim Joong-hyo ) 한국도로교통공단 2013 교통안전연구 Vol.32 No.-

        야간의 교통사고는 치사율이 매우 높으며 조명이 되지 않은 곳의 도로환경에서는 운전자에게 상당한 불안감과 위험상황을 조성한다. 일반적으로 야간의 교통사고는 주간의 경우보다 치사율이 매우 높기 때문에 운전에게 도로교통 상황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도록 충분한 시각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그러므로 야간에 주행하는 운전자들의 안전성과 쾌적한 운전행동을 유도하기 위한 안전시설이 절대적이다. 최근 들어 교통량이 급증하고 있는 가운데 가로등에 의한 고속도로 조명의 역할과 중요성이 점차 커짐에 따라 시설확대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고속도로와 같이 주행속도가 빠르고, 도로선형이 급변하는 곳에서 조명시설의 중요성과 역할은 매우 크다. 야간의 조명시설은 교통사고와 운전자의 주행속도 등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효율적인 조명시설 설치가 필요하다. 하지만, 조명시설의 설치는 과대한 비용이 소모되고 유지·관리에도 어려움이 따르므로, 조명시설의 무분별한 설치는 피해야 하기 때문에 조명시설에 대한 기준의 적합성과 시설에 대한 적정여부를 조사해야 한다. 결론적으로 도로의 기능과 교통특성을 고려하여 보다 효율적인 조명시설을 설치해야 한다. 이에 따라, 도로의 기하구조별로 조명시설 설치구간과 미설치구간의 세부적인 교통사고 특성 분석과 운전자의 속도 변화 등을 고려한 조명시설과 교통안전성과의 관계를 나타낼 수 있는 적정한 공학적인 자료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고속도로 구간의 조명시설 설치구간과 미설치구간 간의 도로 및 교통특성, 사고현황을 분석하여 조명시설이 교통안전에 미치는 영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자전거도로 위험도 분석 및 예측모형 개발

        김중효 ( Kim¸ Joong-hyo ) 한국도로교통공단 2014 교통안전연구 Vol.33 No.-

        우리나라의 교통정책은 지금까지 산업화정책을 뒷받침하기 위해 자동차 위주로 발전해왔다. 이와 같은 자동차 위주의 정책에 따라 많은 사회적 이익을 양산하였지만 반면에 교통체증 및 도로 공급의 불균형, 대기오염 등의 사회적 역기능이 초래되는 상황이 발생되고 있고 최근 에너지 부족 문제 등으로 인한 친환경적인 교통수단의 대체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자전거 이용시설이 충분히 갖추어 있지 않고 관련 규정이 제대로 정비되어 있지 않아 자전거 이용활성화에 한계가 존재하며 녹색성장 친환경 수단 체계를 구축하는데 다소 어려운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자전거 도로 위험도 예측모형을 통하여 도로의 위험도를 분석하고 효율적인 자전거 운영체계 설정과 현실적인 개선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더불어 장래 자전거 이용에 대한 수요 증가 및 정책의 활성화를 감안할 때, 자전거 이용시설 설치 및 관리에 관한 정책을 마련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자전거도로 계획시 자전거 이용자의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자전거 이용의 활성화를 증대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더불어 도로관리자가 안전하고 쾌적한 자전거도로 조성 등 자전거이용자 안전시설을 설치하고 최적의 방안을 수립하는데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Transport policy has developed the vehicle mainly to support the industrialization policy in Korea, so far, It is a condition that the results in dysfunction, such as traffic jams and road supply imbalances, air pollution, eco-friendly transportation, social bike recently due to energy shortages the emerging need of this case. However, the situation is somewhat difficult problem in traffic safety and convenience of bicyclists to build eco-friendly green growth, this means that The system does not use a bike insufficient maintenance related regulations, it is not sufficiently equipped bicycle facilities. Therefore, It is to establish a diagnosis and to overcome the risk of problems with the bike road through a realistic alternative to actual field survey of the recent development in terms of bicyclists, the bicycle safety evaluation model based on the generated traffic accident three years of this study, The analysis of the operational aspects of the bicycle accident diagnosis and cause real problems with high impact factors affect the proposed bicycle accident affected the improvement of the road bike. The increasing demand and the policy for the use of bicycles with the future, and to provide a basis to establish standards for the installation and management in the bicycle facilities. the safety of road bike bicycle plan for future users and it is expected to be determined, It is to be able to contribute and it is increased activation of bicycle utilizing the user facilities for bicycles safe and comfortable road bike road administrator to install and manage.

      • 어린이 교통사고 예방을 위한 교통안전시설 연구

        김중효(Kim, Joong-Hyo),홍순진(Hong, Soon-Jin),이호원(LEE, Ho Won),주두환(Ju, Du-Hwan) 대한교통학회 2015 대한교통학회 학술대회지 Vol.72 No.-

        어린이의 주요 활동무대가 집과 학교 주변에서 이루어지며 대부분의 어린이 교통사고가 생활도로 중심에서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 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집 주변 반경 500m 이내에서 발생하는 어린이 교통사고는 경미한 부상정도가 아니라 사망사고의 비중이 절대적으로 높다는 점에서 더욱 중요하게 인식되어야 하는 부분이다. 2005년 어린이 교통사고를 집으로부터의 거리로 산출 하였을 때, 부상사고는 반경 500m 이내에서 20% 정도임에 비하여 사망사고는 전체 사망사고의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만큼 교통안전에 무방비 상태가 집 주변 생활도로임을 알 수 있고 사고의 심각도가 높은 곳 또한 생활도로임을 알 수 있다. 일반적으로 주택가 주변도로와 학교 주변 어린이보호구역을 포괄하는 개념을 통학로라고 할 수 있는데, 어린이 교통사고의 안 전 확보와 사고 예방을 위해서는 이러한 통학로를 중심으로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근원적인 문제는 결국 국내의 어린이 주 활동 공간인 생활도로의 개념이 정립되어 있지 않고 관련 규제·제도 및 시설정비도 생활도로 여건에 맞게 정비되어 있지 않으며, 보행자 중심이 아닌 차량중심의 도로체계가 유지되고 있는 상황으로 사고위험에 항시 노출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도시부 생활도로의 안전도 제고를 위하여 생활도로의 개념 및 대상지역을 설정하고, 국내·외 생활권 교통안전 정책을 비교하여 국내 생활권에서 보행자 중심의 교통정책을 전개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어린이 보호구역이외에서 발 생한 사고통계와 현장조사를 통하여 어린이 교통사고 특성을 분석하고 어린이 주 통행로에 안전시설 설치상 문제점을 진단하여 최 소한의 근원적인 위험을 해소할 수 있는 실질적이고 근본적인 개선안을 시설적인 관점에서 제시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후보

        일반국도 평면교차로 교통사고 특성분석에 관한 연구 - 국도 13호선(대전~담양) 구간을 중심으로 -

        김중효 ( Kim Joong-hyo ) 한국도로교통공단 2011 교통안전연구 Vol.30 No.-

        최근 확장된 4차로 이상의 국도는 설계속도가 80kmhr이상으로 설계 시 기존의 설계속도가 낮은 국도 및 지방도에 진출입로의 개선 없이 국도에 교차로를 연결함으로써 교통사고의 위험성이 취약한 실정이다. 또한, 접근차량의 흐름과 단절을 통제하는 지점인 교차로는 교통안전시설물이 설치되어 있어도 교차로 영향권 내에서 합류, 분류, 회전교차, 엇갈림 등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교차로에서 후미추돌 사고와 교차로 내측 사고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특히, 국도의 전체 교통사고 중 약 36.6%가 일반국도의 교차로에서 발생하고 있어 일반국도의 교차로에 대한 교통사고 문제점 분석에 따른 교통안전대책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 2차로 도로에서 4차로 도로로 확장된 일반국도 평면교차로에서 교차로 지점별로 교통 사고 자료를 수집하여, 교차로에서 발생하는 교통사고를 중심으로 도로 기하구조, 교통신호운영 측면에 대한 문제점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교통사고의 심각성, 교차로 사고 위치별, 사고 유형별로 교통사고특성을 분석한다. 최종적으로 일반국도 평면교차로의 교통소통과 안전을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일반국도 교통안전관련사업의 활용할 경우 비용/효율성을 극대화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