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김삿갓의 자아 찾기, 웃음과 울음

        김준형 ( Kim Joon-hyeong ) 동방비교연구회 (구 한국동방문학비교연구회) 2016 동방문학비교연구 Vol.6 No.-

        김립은 `시`를 통해 자신의 존재 이유를 찾았다. 그의 시는 때로는 비유적으로, 때로는 직설적으로 세상에 대해 말한다. 욕설과 조롱의 시. 그 때문에 그는 학자들에게 비판을 받기도 했다. 그러나 우리가 주목해야 점은 욕설과 조롱 자체가 아니다. 오히려 그 이면에 담긴 김립의 사유가 더 중요하다. 노골적인 웃음 뒤에 감춰진 서글픈 자기 연민. 이 글에서 주목한 키워드다. 김립의 방랑은 개인적 분노에서 출발한다. 시간이 지나면서 그 분노는 사회로 향했다. 사회적 모순에 대한 분노가 크지만, 그는 아무 것도 할 수 없다. 그런 자신에 대한 부끄러움도 커졌다. 그의 시에 등장하는 사회에 대한 공격, 민중에 대한 애정, 자아 성찰은 이런 배경에서 만들어졌다. 특히 그의 시를 지배하는 웃음은 그 이면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한바탕 웃고 넘어가면 그만인 작품 뒤에 숨겨진 통곡. 그것은 탈출구조차 찾지 못한 김립 시의 실체이기 때문이다. 그의 시가 울분의 시대를 살았던 식민지 지식인들 사이에서 널리 애송되었다는 점도 그와 맥을 같이 한다. The Joseon Dynasty poet Kim Lib (金笠) found his raison d`etre through poetry. Popularly known as “Kim Sat-gat the Wandering Minstrel,” Kim Lib, or Kim Byeong-yeon (金炳淵, 1807~ 1863) as his real name, speaks of the world sometimes metaphorically or sometimes bluntly. Because he wrote poems of profanity and mockery, he was often criticized by scholars. But, what should be noted as important is not profanity or mockery per se but the poet`s personal reason behind his works. The keyword is sad self-pity hidden behind obvious laughter. Kim Lib`s wandering started from personal rage. As time passed by, the rage was directed towards society. He was angry against social contradiction but he could not do anything. His sense of shame toward himself grew larger. His attack against society, affection for people and self-examination appearing his poems were made from such a background. Laughter in particular that dominates Kim`s poems should be noted in this regard. Behind the poems inviting simple bursts of laughter are wails of pain. That is the true nature of Kim Lib who could not find his way out.

      • KCI등재

        <태평한화골계전>에 담은 일상에 대한 관심과 실천

        김준형(Kim, Joon-Hyeong)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18 동양한문학연구 Vol.51 No.-

        이 글에서는 태평한화골계전을 읽는 세 가지 전제를 마련했다. 첫째, 태평한화 골계전을 허구로만 읽을 수 없다는 점. 둘째, 태평한화골계전은 여말선초 문명 전환의 분위기를 반영한 최초의 매체 역할을 했다는 점. 셋째, 태평한화골계전 수재 이야기 대부분은 낙관적 분위기로 점철된 일상을 재현하되, 부정적 인물도 제시함으로써 실천을 통한 교정을 요구한다는 점 등이 그러하다. 문명 전환의 기운이 팽배하던 여말선초. 당대 문인들은 저마다 문명 재건에 대한 자각의 기류가 강했다. 자각의 기류는 문인들로 하여금 자신이 발 딛고 사는 지금의 일상에 주목하게 했고, 일상에 대한 관심은 당대를 사는 그들만의 자부심을 보여주려는 글쓰기로 이어졌다. 태평한화골계전은 그런 현상을 담은 최초의 저작 이었다. 새로운 미디어의 출현이라 할 만하다. 태평한화골계전에서는 책 안에서 교훈성을 강조한다. 장황한 변명은 미디어가 처음 출현할 때 위해론이 제기되고,그에 따라 ‘그럼에도 교육적 효과가 있다.’는 식의 대응논리가 마련되는 양상과 다름없다. 최초의 매체 태평한화골계전의 출현은 이후 여러 텍스트 산출에 영향을 미친다. 촌담해이나 어면순등은 그 결과라 할 만하다. 그러나 이후 텍스트는 일상에 대한 관심보다 이야기가 지닌 오락성을 위주로 했다. 문명 전환의 분위기가 얼마간 가라앉으면서 나타난 변화의 결과였다. 태평한화골계전에 수록된 일화 대부분은 편자가 살던 시대를 배경으로 제시했 다. 서거정이 당대 일상을 보여주기 위해 태평한화골계전을 저술했음을 확인케 한다. 실린 이야기도 실재했던 일이다. 허구로 보이는 일들도 사실에 기초했다. 게다가 오락성까지 확보했다. 이로써 보면 태평한화골계전은 역사 서술에서 일탈한 문학적 글쓰기이자, 문학적 글쓰기에서 일탈한 역사 서술이라 할 만하다. 태평 한화골계전에는 부정적 인물을 소재한 일화가 많지 않다. 풍자로 볼 만한 작품은 더욱 적다. 풍자를 드러냈다고 볼 만한 작품 역시 등장인물을 비판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사회 비판은 더 더욱 아니다. 단지 부정적 인물을 반면교사로 삼아 자신을 수양하려는 전제로만 작동할 뿐이다. 수양을 통해 현실을 개조함으로써 새로운 문명을 대응하려는 낙관론적 세계관이 반영된 결과였다. This study focuses on three factors. First, Taepyeonghanwhagolgyejeon can be understood as the emergence of new media. Second,  Taepyeonghanwhagolgyejeonis a historical writing and also literary writing. Third, Taepyeonghanwhagolgyejeondepicts everyday life just as it is and induces the practice of civilization. In late Goryeo and early Chosun when there was full of vigor for the transition of civilization, each of the literary persons revealed their own strong consciousness about restoring civilization. In fact, there was an atmosphere that they intended to show their own pride about the age they were living by describing everyday life in that period that they were leading their lives.  Taepyeonghanwhagolgyejeonwas the first work that dealt with such phenomena. In this sense, Taepyeonghanwhagolgyejeoncan be understood as the emergence of new media. Taepyeonghanwhagolgyejeondoes wordily mention that it contains didactic contents. This is not that different from the fact that when new media appear, people insist they would be harmful, and accordingly, logic to cope with it is established, for instance, saying ‘they may be effective in terms of education.’  Taepyeonghanwhagolgyejeonis about the people who lived in the same age when the writer lived. This allows us to know that the author wrote  Taepyeonghanwhagolgyejeonto talk about everyday life in that period. The episodes contained in it are all real. The writer obtains entertaining effects while delivering facts. In this perspective, we can say that  Taepyeonghanwhagolgyejeonis a literary writing deviating from historical statements and also historical statements deviating from a literary writing. There are not many negative persons in Taepyeonghanwhagolgyejeon. There are very few works dealing with satire. The works revealing satire are not intended to criticize either the characters or society, either. Negative persons are adopted to cultivate himself taking them as an example he can profit by. This is the result of reflecting an optimistic view of the world to change the reality through cultivation and create new civilization.

      • KCI등재

        방각소설 <장풍운전>의 형성과 전개

        김준형 ( Kim Joon-hyeong ) 한국고소설학회 2017 古小說 硏究 Vol.43 No.-

        이 글은 장풍운전 의 형성 배경과 과정 그리고 그것이 방각본으로 어떻게 정착되고 전개되었는가에 주목하였다. 한문소설 <금선각>은 아동 교육을 위한 목적으로 창작하였다. 창작시기는 1722년 혹은 1782년이다. 교육적 효과에 대한 기댄 소설 향유 방식은 20세기까지 유지되었다. 소설을 읽으면서 문체를 습득하도록 한 의도가 여전히 유효했기 때문이다. 이런 상황은 국문 번역본의 실효성 문제로 이어진다. 문체에 주목한 한문소설을 두고 줄거리「story」전달에 초점을 맞춘 번역이 큰 의미를 갖기 어려웠기 때문이다. 문예미를 강조한 대목을 삭제함으로써 구성「plot」이 사라져 지루한 텍스트가 되어버렸다. 이런 상황에서 <금선각>의 전면적 재구성은 당연했고 그 결과물이 한글소설 <장풍운전>이다. 즉 <장풍운전>은 `한문본 <금선각>→ (문예문의 생략 및 축약) → 번역본 <금선각>→(일상 언어로 재구성) → <장풍운전>`의 과정으로 형성되었다. 방각소설 <장풍운전>은 아무리 늦어도 1804년에 서울에서 간행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순천시립뿌리깊은나무박물관에는 『십구사략언해』가 소장되어 있는데, 이 책의 배지가 경판 <장풍운전>이기 때문이다. 『십구사략언해』 판목은 1749년에 처음 쓰이고, 1804년에 증보판이 만들어졌으니 배지 역시 1749~1804년의 것이 틀림없다. 배지에 쓰인 <장풍운전>은 <금선각>의 지향을 준용하였는데, 이런 모습은 현전하는 판본에서 확인할 수 없다. 이로써 보면 초기 <장풍운전>은 <금선각>의 문체에 집중하였을 뿐, 지향까지 바꾸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그것이 후대의 상업적 출간과 맞물리면서, 내용을 축약 정리한 현전 방각소설과 같은 형태로 변모된 것이다. 또한 완판과 경판은 뿌리를 같이 한 모본에서 배태되었다. 이는 원본이랄 수 있는 <금선각>에 없는 내용이 두 본에만 공히 등장한다는 점, <금선각>과 다른 오류가 두 본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된다는 점 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뿌리를 같이 한 모본은 배지로 쓰인 <장풍운전>이거나 그 계통에 놓인 텍스트일 개연성이 높다. 완판은 39장본과 36장본이 있다. 완판은 `36장 경상대본[1857] → 36장 구주대본[중단본, 1881년 이전]` … (간접 영향) → (개판) 39장본 이태영본[1903] → (번각) 39장 서계서포본[1911]`으로 전개되었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background and process of establishing Jangpoongunjeon and how it was settled and developed as Banggakbon[the commercial woodblock printed ver-sion]. A Chinese-written novel, Geumseongag, was intended for children`s education. It was created in 1722 or 1782. The way of enjoying novels to gain educational effect lasted up to the 20th century. It was still valid to have students acquire the style reading a novel naturally. This led to the matter of effectiveness in the Korean-translated version. The translated version that merely delivered the synopsis of Chinese-written novels in which the style was highlighted could hardly have any significant meaning. As the parts where the beauty of literature was stressed were deleted, the plot disappeared, and it made the text boring. Geumseongag was reorganized entirely, of course, and the product of it is a Korean-written novel, Jangpungunjeon. In brief, Jangpoongunjeon was established in the following process: `the Chinese-written version, Geumseongag → (omission and reduction in literary sentences) → the translated version, Geumseongag → (reorganized in everyday language) → Jangpoongunjeon`. It seems that banggakbon Jangpoongunjeon was published in Seoul in 1804 at least. Suncheon City Museums own Sipgusaryageonhae, and it is because lining papers used to make the book`s cover were the very Seoul block printed Jangpungunjeon. Wooden printing blocks Sipgusaryageonhae was first written in 1749, and its revised version was made in 1804, so we can surely assume that lining papers were, too, from 1749-1804. We can also assume that text on the lining papers should have been similar to Jangpoongunjeon produced by reorganizing Geumseongag in everyday language. Meanwhile, contents written on the lining papers have elements that are also found in the complete Jeonju block printed version and Seoul block printed version. This proves that the Seoul block and the complete version were both developed from this book.

      • KCI등재

        고전소설의 주인공 조선후기 하층민의 삶과 이데올로기, <장풍운전>

        김준형 ( Joon Hyeong Kim ) 한국고소설학회 2012 古小說 硏究 Vol.33 No.-

        There are three different wars, that is war with Southern Barbarians, Western Enemies, and Manchuria in Changpungwoon- cheon. These wars closely connected with the structure of Changpungwoon-cheon. After the first war, the Chang`s family is prosperous. And the second war connected with consolidation of the family and the last war is synthetic of these facts. Then, why was the war treated very important? The lowest class of Chosun society could not rise to high position by themselves after 18th century. Only the war could make them rapid rise to high positions. Changpungwoon stands for the lowest class of Chosun society. The first war guarantees the real circumstances of novels. Changpungwoon separated from his family because of first war and became a entertainer who is the lowest class of Chosun society, and after all he became a butler of Lee, Yungyung`s house. It was dream of the lowest class during the late Chosun dynasty. Changpungwoon confront with the emperor through the second war in Changpungwoon-cheon. It looked Changpungwoon went with systems of the Middle Ages. But the real situation was opposite of systems of Middle Ages. Changpungwoon confront with the emporer and won. It connoted serious criticism toward the Middle Ages and its ideology.

      • KCI등재

        근대전환기 패설의 존재양상 - 1910~1920년대 패설집을 중심으로

        김준형(KIm Joon-Hyeong) 한국문학회 2005 韓國文學論叢 Vol.41 No.-

        This thesis aims to research the phase of Paeseul published from the 1910's to 1920's. Collections of Paeseul published in the 1910's moved toward two directions. The first groups were gathered stories existed the former period. These collections are 『Cheoldo Bakhwa』, 『GaeGwon Heehee』 and 『Sochun Soji』 etc. These are characterized to the belly laugh by intellectuals in the gloomy world. And others are 『Angchun Daeso』 and 『Ggalggal Wusum』. These collections were gathered stories of those days. In these, editors were cynically and aggressively smiled social irregularities. And collections of Paeseul published in the 1920's also moved toward two different directions. The first groups were 『Iksal Jumeoni』 and 『Iksal and Jaedam』. These collections gathered mainly funny stories and partly criticizing social problems. And others are 『Paldo Jaedamjib』, 『Gogum gidamjib』 and 『Sipsamdo Jaedamjib』. These collections were just gathered yellow-covered stories. And in the 1930's, newspapers and magazines, especially the 『Ungteolidul』, commercialized by casting funny characters.

      • KCI등재후보

        가족의 의미망을 통해 본 야담

        Kim Joon hyeong(金埈亨)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05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10

        이 글은 가족 이야기를 통해 야담의 성격을 파악하기 위하여 씌어졌다. 야담집에는 현대 의미의 가족은 존재하지 않는다. 가족은 당시 이데올로기의 한 방편으로만 존재했다. 실제 야담집에서 가족의 의미를 담은 용어는 가인(家人)인데, 이 말은 크게 두 형태로 쓰였다. 그 하나는 한 집에 거주하는 모든 사람이며, 다른 하나는 친족의 개념이 강한 가문이다. 야담집에 쓰인 가족은 이 두 가지 의미에서 벗어나지 않는다. 그렇지만 이 둘은 이원적으로 존재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당시 사회에서 가구와 가문은 서로 떨어져서 존재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야담집에서 가족으로 편입하기 위해서는 애정보다 가문의 번성을 위한 조건이 더 중시된다. 따라서 가족으로 편입되기 위해서는 가문을 빛내야 하는데, 그 양상의 중심은 과거에 급제하는 것으로 요약된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야담에서 애정은 부정의 대상이 된다. 따라서 야담집에서 애정 이야기 역시 애정 이야기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과거 등을 통한 현달에 의해서만 비로소 가문에 복귀하는 형태로 나타난다. 이러한 양상은 패설과 일정한 차이가 있다. 패설은 정을 긍정하기 때문에 가상의 상황을 설정하는 것이 보통이다. 이는 현실을 부정하는 데서 나온 것이다. 반면 야담은 현실을 긍정하는 측면에서 이야기를 전개하기 때문에 현실성이 강하게 나타날 수밖에 없었다. This essay aims to research characters of Yadam by stories concerning family in Yadam books. There is no family, family just like the same meaning in present days in Yadam books. But there is the word, family member(家人). It has two meaning. The first, it means family members in a house, the second it means the family which includes blood relatives. There is no other meaning except these conceptions about family In Yadam books. The family member who separated from the original family has to pass the highest level state examination for reunion with his family. This mean that the social state is more important than the love. This character of Yadam book is different from the Paeseol. The love is more important than the social state. The story in Paeseol books affirms the false situation but that of Yadam books deny the fictional world. That is the main reason why the story in Yadam books lays stress on the social state.

      • KCI등재
      • KCI등재

        서울과 지방의 경계, 조선후기 아산의 문학적 형상화 양상

        김준형(Kim, Joon-hyeong) 우리문학회 2014 우리文學硏究 Vol.0 No.41

        이 글은 지방으로서의 아산의 문학적 형상화 양상에 주목하였다. 아산은 서울과 지방의 경계에 위치한 길목으로, 서울과 가까우면서도 결코 서울에 편입될 수 없는 지방의 특성을 그대로 드러난다. 실제 아산의 문학적 형상화 양상은 크게 두 가지 모습으로 나타난다. 그 하나는 주체와 타자, 상반된 두 현상이 공존하는 모습으로 나타난다는 점. 다른 하나는 서울에 대한 비판과 동경이 공존한다는 점이 그러하다. 전자는 이호빈이 편찬한 ??신정 아주지??에서 볼 수 있다. 이 책에서는 중앙 이데올로기에 순응한 인물을 많이 수록하였는데, 이는 아산이 문물의 고장임을 강조하기 위한 의도였다. 하지만 그것은 다른 시각에서 보면 결코 그럴 수 없던 정황이 반영된 한 결과일 터다. 후자는 ??요로원야화기??에서 볼 수 있는데, 서울 사람을 비판하면서도, 그 이면에 서울에 대한 동경을 담고 있는 데서 그 면모가 드러난다. 아산 사람들도 이런 속성을 반영하듯, 주류적인 속성과 주변적인 속성이 모두 나타난다. 문학적으로 형상화된 토착민 맹사성과 외지인 이지함을 보는 시각에서 그 양상은 더욱 분명히 드러난다. 아산 사람들은 같은 고을의 위대한 인물 맹사성은 비판하면서도 애써 감싸주었고, 외지인 이지함은 칭송하면서도 한편으로는 문학적으로 독살을 한다. 이런 현상은 단지 아산 지역에 한정된 문제가 결코 그 지역에만 한정되지 않고 보편적인 틀로 이끌어낼 수도 있음 직하다. 결과와 과정, 그리고 그 안에 존재하는 수많은 변이 동인들. 우리가 타자를 보는 시선이 그러하다. This thesis aims to research the literary figure of Asan in Yadam during the late Chosun dynasty. Asan was located between Seoul, the capital city of Chosun, and provinces. There were two different literary figures of Asan in Yadam. It reflected the characteristics of boundary line. It is as follows; First, There was the literary figure which the subject and the other were conflicting in Yadam. There were stories described as the subject"s view, and also were stories described as the other"s eye in Yadam. Those were contradictory, but those coexisted. Second, there were yearning and criticism for Seoul in Yadam, These phenomena appear to Asan people"s attitude toward Seoul. This is the characteristic of boundary line. The boundary could be included in Seoul, and also it could be the around area. These characteristics were showed in Jiham Lee and Sasung Maeng"s story in Yadam. Lee is an outsider but Maeng is an insider.

      • KCI등재

        『覺睡錄』에 나타난 性과 그 의미

        김준형(Kim Joon-Hyeong) 국어문학회 2005 국어문학 Vol.40 No.-

        This Thesis aims to research the sex, the image of an intellectual and the nation mentioned in the <Gaksurok> written in the early 20th century. There are 25 stories in ??Gaksurok??. They are all about distorted sexes. The reason why the editor collected distorted sexes is for overthrowing the morals. And it means that the editor requested the morals which is beyond general conception of morals. The editor sneered the ruling ideology and ironically expressed himself. The reason why there are many stories about sex is related with worries and complexes of intellectuals in the early 20th century.

      • KCI등재

        조선후기 거지, 문학적 시선과 전승

        김준형(Kim Joon Hyeong) 동악어문학회 2011 동악어문학 Vol.56 No.-

        조선전기 거지는 전쟁이나 자연재해로 인해 임시적으로 만들어졌다면, 조선후기 거지는 서울의 상업도시로 변화하면서 만들어진 존재들이었다. 당시 조정에서의 거지 정책은 두 가지로 요약되는데, 구휼과 분리가 그것이다. 문학 작품에 그려진 거지도 시대별로 달리 나타난다. 허균이 쓴 〈장생전〉에는 거지보다는 이인에 초점을 맞췄다. 반면 성대중이 쓴 〈개수전〉에는 거지 그 자체에 초점을 두었다. 허균은 개인적인 차원에서 거지를 다룬 반면, 성대중은 실재 거지들의 삶을 그려 사회적 원망(願望)을 담았다. 이런 글쓰기의 변모는 변화하는 사회를 반영하며 나타난 한 현상이었다. 거지를 소재로 한 작품 가운데 이인에 초점을 맞춘 작품이 조선 초?중기의 현상이라면, 생활 주체로서 거지를 담담하게 기술하는 방식은 조선 후기의 특징으로 보아도 무방하다고 보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거지를 바라보는 시각은 크게 두 가지 양태로 나뉜다. 그 하나는 동정의 대상으로 보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혐오의 대상으로 보는 것이다. 전자는 거지를 가엾고 불쌍한 존재로 이해하는 한편, 후자는 나태하고 게으른 존재로 이해한다. 혐오의 시선은 거지를 도덕적 해이로 환치시킴으로써 거지 문제를 개인적인 차원에 머물게 했고, 동정의 시선은 거지 자체에 대한 동정 보다 거지를 통해 권력층을 비판하는 도구로 쓰였다. This paper purposes how the begger in the late Chosun Dynasty is reflected in the literature. There is great differences between a begger in the later and earlier Chosun Dynasty. The begger in the earlier Chosun Dynasty had made by a war and a natural disaster as a passing phenomenon. The other hand, the begger in the later Chosun Dynasty had made by a change in situation of commercial city of Seoul. Therefore, the begger in Chosun Dynasty reflects the conflicting social structure. There are clear two main policies for the begger. The one is a relief and the other one is a separation. The beggers in the literatures are different between different ages. 〈Jangseang-Jeon〉 by Heo-Guen focuses in the a prodigy instead of a begger itself. On the other side, 〈Gaesu-Jeon〉 focuses on the begger itself. Also there are two main viewpoints how to look the begger in the later Chosun Dynasty. The one is an object of compassion and the other one is an object of disgu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