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Evaluation of Sutureless Cataract Surgery with Implantation of Foldable Intraocular Lens (IOL) through Clear Corneal Incision in normal Beagle Dog Eyes

        김준영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박사

        RANK : 247647

        한글초록:수정체나 수정체 막이 불투명해져서 실명에 이르게 하는 중요 원인 중에 하나인 백내장은 개에서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안내 질환 중 하나이다. 백내장의 치료방법으로는 수술적으로 백내장이 된 수정체를 제거하는 것이 유일하다고 대부분 받아들이고 있다. 수의안과학 분야에도 수정체유화흡입술이 발달함에 따라 개에서의 백내장 치료는 괄목할 정도로 발달 하였다. 이 기술을 이용하여 백내장 수술의 성공율이 높아짐에 따라 수의 안과학자들은 어떻게 하면 백내장이 된 수정체를 제거한 후에 보다 더 적절한 시력을 개에게 가질 수 있게 할 수 있을가를 고민하게 되었다. 물론 개가 정시안의 시력이 필요한지에 대한 논쟁의 여지는 여전히 있지만, 일부 연구에 따르면 광학상 초점이 맞지 않는 것이 개에서 시력의 정확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보고가 나오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투명 각막 절개를 통한 무봉합 백내장 수술이 개의 안구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지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투명 각막 절개를 통한 봉합 및 무봉합 백내장 수술을 굴절력의 상태와 안압 그리고 각막 절개창에서의 신생혈관의 생성을 이용하여 비교 평가 하였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접힘 인공수정체가 개의 백내장 수술에서 얼마나 유용한지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눈의 굴절력 상태, 그리고 안압을 평가하여 무수정체 안과 40 디옵터 (D)의 접힘 인공수정체를 삽입한 인공수정체 안을 비교 평가 하였다.본 연구를 위해 여섯마리의 건강한 비글 견을 이용하였으며, 이 여섯마리의 총 열두 안은 AS (봉합 수술을 한 무수정체 안), ANS (무봉합 수술을 한 무수정체 안), 그리고 PNS (무봉합 수술을 한 인공수정체 안)의 세그룹으로 나누어서 실험하였다. 임상적인 검사를 위해 신체검사와, 혈구 검사, 혈액화학검사 그리고 방사선 사진 검사를 실시하였고, 모든 개가 이들 검사에서 정상을 보였다. 눈 검사를 위해 눈물량 검사, 안압검사, 안저검사와, 세극등 생체 현미경을 이용한 검사를 실시하였고, 모든 개가 정상이었다. shallow-groove 투명 각막 절개와 인공수정체의 삽입 그리고 무봉합 백내장 수술 방법은 Fine (1992년)이 제시한 방법을 변형시켜 개의 안구에 적용한 김준영의 방법 (2005) 에 따라 실시 하였다. 3.0 mm 투명각막 절개를 각막 윤부에서 1mm 위쪽에서 실시하였다. Descemet 막에 절개도가 닿은 후에 야간 아래쪽으로 절개를 하여서 절개 구조가 다평면을 가지게 하였다. 수정체 유화흡입술을 실시한 후에 PNS 그룹을 위해 3.2 mm로 절개창을 넓힌 후 40 D의 접힘 인공 수정체를 인공수정체 주사기를 이용하여 삽입하였다. ANS와 PNS 그룹에는 투명각막 절개를 한 절개창에 기질층을 수화시켜서 스스로 폐쇄되도록 하였다. 굴절력에서는, 봉합을 하지 않은 무수정체 안이 약간의 근시 (0.94±0.42 D) (mean±S.E.)를 보인 반면에 봉합 유무에 상관없이 무수정체 안은 심한 원시 (18.39±0.44 D) (mean±S.E.)를 보였고 수술에 의해 변화된 구면화 대응치는 인공렌즈의 삽입여부에 따라 유의성 있게 차이가 있었다(P≤0.05). 봉합을 실시한 안구에서 1.33±0.33 D (mean±S.E.)의 난시가 유발된 반면에 무봉합 안에서는 난시가 유발되지 않았으며 수술에 의해 발생한 난시는 봉합 여부에 따라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다 (P≤0.05). 수술 후 안압 변화는, 총 28일간의 검사에서 봉합이나 인공수정체의 삽입이 안압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학적인 유의성이 없었다 (P>0.05). 신생혈관의 형성에서는, 봉합군과 무 봉합군 사이에 의미 있는 다른 점이 절개창에서 나타나지는 않았다. 결론적으로, 개에서 정시안을 회복하는 것과 수술 후 안압에 미치는 영향이 없는 점과 각막에서 의미 있는 신생혈관의 형성이 없는 것으로 볼 때, 투명각막절개를 이용하여 접힘 인공 수정체 삽입을 동반한 무봉합 백내장 수술은 효과적인 개의 백내장 수술 방법으로 사료된다 영문초록:Cataract, which is any opacity of the lens or lens capsule, is one of the major causes of blindness and one of the intraocular diseases that most frequently occur among dogs. Only the surgical removal of the cataractous lens has been widely accepted for its treatment. With the development of phacoemulsification in veterinary ophthalmology, however, canine cataract extraction has been remarkably developed as well. The increasing success rate of this technique has prompted veterinary ophthalmologists to look into how dogs can regain a considerable degree of their previous navigation vision after the removal of the cataractous lens. Although whether a dog with cataract requires emmetropia is still the subject of debate among veterinary ophthalmologists, a number of studies have reported that optical defocus is effective for enhancing the visual acuity of dogs. This study, therefore, has the following objectives: Firs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how effective sutureless cataract surgery with clear corneal incision is on canine eyes. Towards this end, suture cataract surgery was compared with sutureless cataract surgery with clear corneal incision in terms of the refractive error (especially in a cylindrical state) and of the alteration of the postoperative intraocular pressure (IOP) and neovascularization on the cornea at the incision site.The second object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how useful foldable IOLs are in canine cataract surgery. Towards this end, the refractive state of the eyes 28 days postoperatively and the IOP change after the same number of days were evaluated so as to compare aphakic eyes with pseudophakic eyes in which a foldable IOL was implante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six healthy Beagle dogs whose twelve eye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namely: AS (aphakic eyes with suture surgery), ANS (aphakic eyes with no suture surgery), and PNS (pseudophakic eyes with no suture surgery). For the clinical examination, physical examination, complete blood count, serum chemistry, and radiographic examination were conducted. The results were normal for all the dogs that were examined. For the ophthalmic examination, Schirmer tear test, applantation tonometry, monocular indirect ophthalmoscopy, and slit lamp test were conducted on all the dogs, and the results were normal for all of them. A shallow-groove clear corneal incision, foldable IOL implantation, and sutureless cataract surgery (Kim, 2005) were conducted, which were modified from the study of Fine (1992). A 3.0-mm clear corneal incision was made 1 mm beyond the limbus. After contacting Descemet’s membrane with a knife, the dimple-down technique was used for multiple-planes-of-incision construction. After phacoemulsification, for the PNS group, 40-D foldable IOL was injected with the use of an IOL injector into a 3.2-mm enlarged incision site. For the ANS and PNS groups, stromal hydration of the clear corneal incision was conducted to facilitate self-sealing.In the refractive error, although the pseudophakic eyes without suture were slightly myopic (-0.94 ± 0.42 D) (mean ± S.E.), the aphakic eyes with and without suture were hypermetropic, with 18.39 ± 0.44 D (mean ± S.E.). Furthermore, the surgically induced change of the spherical equivalent when the IOL was implanted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when it was not (P ≤ 0.05). Astigmatism was not induced in sutureless cataract surgery (for both the aphakic and pseudophakic eyes), but 1.33 ± 0.33 D (mean ± S.E.) astigmatism was induced in suture cataract surgery. Moreover, the surgically induced astigmatism in sutureless cataract surgery significantly differed from that in suture cataract surgery (P ≤ 0.05).In the postoperative IOP alteration, for 28 days, suture and IOL implantation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IOP (P > 0.05). In the neovascular formation at the cornea, no noticeable difference between the wounds of the suture and sutureless groups was detected

      • BiFPN 기반의 RetinaNet을 이용한 객체 탐지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김준영 순천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47

        SNS가 발전함에 따라 다양한 데이터들이 수집되고 있다. 2010년대 이후 컴 퓨터 하드웨어의 발전으로 딥러닝 관련 연구가 전 세계에서 주목받고 있다. 딥러닝은 자연어 처리에서부터 컴퓨터 비전까지 안전, 의료, 국방 등 다양한 분야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활용되고 있다. 특히 컴퓨터 비전 중 영상처리 분야에서 인간의 시각 요소 분석을 컴퓨터가 대신 분석할 수 있도록 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영상처리 분야 중 딥러닝을 사용하여 영상 내 객체를 탐지하는 객체 탐지에 관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딥러닝 기반 객체 탐지는 스마트폰, 드론, 보안, 자율주행, 로봇, 제조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는 컴퓨터 비전 기술이다. 이러한 객체 탐지 기법은 사용 목적에 부합되는 결과를 제공하고 실시간으로 동작하기 위해 빠른 속도와 높은 수준의 정확률을 요구한다. 딥러닝을 활용한 객체 탐지 기법은 1단계 기반의 객체 탐지 알고리즘과 2단 계 기반의 객체 탐지 알고리즘으로 구분할 수 있다. 1단계 기반의 알고리즘은 빠른 속도가 장점이지만 비교적 낮은 정확도를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2단계 기반의 알고리즘은 높은 정확도가 장점이지만 가지지만 느린 탐지 속도를 포함하고 있다. 현재 딥러닝을 활용한 객체 탐지 기법은 1단계 기반의 알고리즘 장점과 2단계 기반의 알고리즘 장점을 결합한 새로운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객체 탐지 알고리즘의 성능 향상을 위해 1단계 기반의 RetinaNet 알고리즘에 BiFPN 구조를 적용한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FPN이 동일한 가중치를 부여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BiFPN 구조로 변경한다. 또한, ReLU 활성화 함수에 음수가 입력되면 학습이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SELU 활성화 함수를 사용하여 학습 중에 오류가 발생하지 않게 한다. 아울러 제안하는 알고리즘의 객체 탐지 모델의 성능평가를 위해 COCO 데이터 집합과 데이터 저장장치 이미지를 활용하여 기존 모델과 비교 및 평가한다.

      • 교사의 희망과 공감이 자아존중감, 직무만족도 및 훈육유형에 미치는 영향

        김준영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교사의 긍정적 심리적 속성인 희망과 공감에 주목하여 교사의 희망, 공감 및 불안이 자아존중감, 직무만족도, 훈육유형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또한 성별에 따른 차이를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및 수도권의 초·중·고 교사 358명을 본 연구의 대상으로 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희망과 공감은 자아존중감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고, 불안은 자아존중감과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이는 희망과 공감 수준이 높은 사람일수록 자아존중감이 높다는 것을 의미하고 불안이 낮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높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다음에 희망, 공감 및 불안은 모두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희망, 불안, 공감의 순서로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성별에 따른 희망 및 공감, 불안의 자아존중감과의 관계는 여교사의 경우가 남교사보다 더 높은 설명력을 보였다. 둘째, 희망과 공감은 직무만족도와 유의한 정적 상관을, 불안은 직무만족도와 부적 상관을 보였다. 이는 희망과 공감 수준이 높은 사람일수록 직무만족도가 높고 불안이 낮을수록 직무만족도가 높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다음에 희망 및 불안이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불안이 희망보다 직무만족도에 대한 설명력이 높았다. 마지막으로 성별에 따른 희망 및 공감, 불안의 직무만족도의 관계는 여교사가 남교사보다 더 높은 점수를 보였다. 셋째, 희망과 공감 수준이 높고 불안 수준이 낮은 교사는 희망과 공감 수준이 낮고 불안이 높은 교사에 비해 대화형의 훈육유형을 많이 사용했다. 반면에 희망 수준이 낮은 교사는 관대형을 더 선호했고 공감수준이 낮거나 불안 수준이 높은 교사는 비일관적인 훈육유형을 많이 사용했다. 또한 성별에 따른 차이도 보였다. 마지막으로, 이상의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본 연구가 가지는 이론적 의의와 실용적 의의를 논하였고, 제한점 및 후속연구의 방향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noticing teachers' positive properties such as hope and empath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teachers' hope, empathy and anxiety on self-esteem, job satisfaction and discipline styles and to review tendency of relation of these variables to self-esteem, job satisfaction and discipline styles with sex distinc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358 teachers in 3 elementary schools, 6 middle schools, 3 high schools. The results in the inquiry are followings. Firstly, it goes to show that hope and empathy have meaningful positive relations to teachers' self-esteem. That is, it is shown that the higher level of hope and empathy teachers contain, the higher self-esteem they obtain. On the other hand, anxiety leads to negative correlation with self-esteem. Namely, it also reveals that the lower level of anxiety teachers have, the higher self-esteem they get. In addition, if anxiety is controlled, hope has greater effects on self-esteem than empathy does. Finally, the result of test by sex distinction shows that psychological variables of hope, empathy and anxiety have effects on self-esteem of female teachers' much more than that of male teachers'. Secondly, it goes to show that hope and empathy have positive relations to teachers' job satisfaction. That is, it is shown that the higher level of hope and empathy teachers have, the higher job satisfaction they obtain. On the other hand, anxiety leads to negative correlation with job satisfaction. Namely, it also reveals that the lower level of anxiety teachers contain, the higher job satisfaction they get. In addition, hope and anxiety have influences on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anxiety has greater effects on teachers' job satisfaction than hope does. Finally, the result of test by sex distinction shows that psychological variables of hope, empathy and anxiety have effects on teachers' job satisfaction of female teachers' much more than that of male teachers'. Thirdly, there were differences in a preferable discipline style according to levels of hope, empathy and anxiety. Namely, teachers who had a high level of hope and empathy preferred a humane style. In contrast to the former, teachers who had a low level of hope preferred lax style and teachers who had that of empathy preferred a non-consistency style. On the other hand, teachers who had a low level of anxiety preferred a humane style. In contrast to the former, teachers who had a high level of anxiety preferred a non-consistency style. Finally, the result of test by sex distinction shows that male teachers' preferable discipline styles have nothing to do with levels of hope, empathy and anxiety. On the other hand, female teachers' preferable discipline styles have something to do with levels of hope, empathy and anxiety. Lastly, in the foundations of this inquiry, it is discussed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purpose of this study and is proposed upon the limitations and the new direction toward the further study.

      • 현대 미디어에 나타난 예수의 고난과 부활 : 영화<패션 오브 크라이스트>(2004)와 <몬트리올 예수>(1989)를 중심으로

        김준영 서울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현대 미디어에 나타난 예수의 고난과 부활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오늘날 미디어는 더 이상 수단과 방법이 아닌 메시지가 되어, 인간의 삶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런 상황은 교회도 마찬가지이다. 교회도 다양한 미디어를 사용하며, 영향을 받고 있다. 특별히 오늘날 현대 미디어는 ‘예수가 누구인가?’에 대한 질문에 답하고 있는데, 교회에서는 이런 미디어들을많이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미디어에 대한 진지한 물음이 상대적으로 부족하다. 그 결과 미디어에 나오는 <예수 이미지>를 확대 재생산 하여 무분별하게 사용하는 경우가 많고, 그에 영향을 받고 있다. 그러므로 실제로 현대 미디어가 예수를 어떻게 그리고 있는지 연구하고, 그 정당성을 찾는 본 연구는 중요성을 갖는다. 마가복음과 몰트만을 통해 보았을 때, 교회는 전통적으로 예수의 고난과 죽음을 하나님의 사역으로 보았고, 예수의 십자가를 종말론적으로, 구원론적으로 이해하였다. 예수의 부활은 실제로 예수가 살아나신 것으로 이해했고, 이역시 하나님이 하신 일로, 새 창조의 시작이자 구속 사건의 완성이자, 희망의근거로 보고 있다. 현대 미디어 중에 영화는 오늘날 더욱 그 영향력과 중요성이 커지고 있으며, 예수상을 다양하게 그리고 있다. 예수는 영화 산업의 시작에서부터 중요한 주제 중 하나였다. <패션 오브 크라이스트>를 통해 본 예수의 고난은 전통적인 교회의 이해와 비슷한 점도 있지만 육체적 아픔, 그 자체에 매우 집중하고 있다. 전통적으로 교회는 예수의 고난과 그 의미에 집중하지만 고통의 세기에는 집중하지 않는다. <몬트리올 예수>는 예수의 부활을 생명과 화합, 희망으로 보고 있어 전통적인 교회의 해석과 같이 하지만 예수가 부활 했다는 사실 을 인정하지 않고 있다. 이처럼 현대 미디어가 그리는 예수의 고난과 부활은 전통적인 교회의 이해와 유사한 점도 있고, 차이점도 있다. 우리가 이러한 내용을 파악하여 미디어를 분별하여 사용할 때, 우리는 미디어의 숲에서도 길을 잃지 않을 것이다 This thesis aims to analyze the Passion and the Resurrection of Jesus Christ in the modern media. The modern media is not a ‘tool’ to communicate, but becomes now the ‘message itself’. The modern media has increasingly a strong influence on the various social fields including church. Actually the many various media are been using so frequently in the modern churches. However the church seldom ask what the media is, and what it should be. As a result it brought the misuse of the media in the churches. Especially in the churches the various jesus-images are used, but man seldom pay attention to their meaning. Just the many images of Jesus Christ consume indiscreetly, and it is not a good effect for the churches. Accordingly it is so important to analyze the Jesus-images in the media. Traditionally the church has understood the passion of Jesus Christ as the “God’s Doing” in the viewpoint of the eschatology and soteriology. In this point the gospel of mark and J. Moltmann stand in the same line. Also the resurrection is interpreted as “God’s Doing”, “starting of new creation”, “finishing of salvational history”. The Film is influential in the modern media. And from the beginning of the movie industry many Jesus-Films are produced. In the movie <Passion of the Christ> the passion of Jesus is described as “the victory from power of satan”. But it is focusing only on the physical pain. Consequently, it lacks it’s soteriological meaning. The movie <Jesus of montreal> depicts the resurrection as “life”, “harmony”, “hope”. But this movie does not agree that Jesus rose from dead actually. In this point, there are som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the understanding Jesus between the church and the modern media. Therefore, it is so important to recognize it accurately. And this helps us to use the media discriminately. Accordingly we can’t lost the way in a so-called ‘media-jungle’.

      • 수학 문제 해결 과정의 이해 전략에 관하여

        김준영 건국대학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한글초록:본 연구는 평준화된 집단의 고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문제 이해 전략들이 문제 해결력과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통계적인 유의미성을 조사 분석해 봄으로써 문제 해결력을 신장시키고, 수학 교과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 함양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실질적인 방안을 찾고자 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학생들의 문제 해결력에 보다 효과적인 문제 이해 전략은 무엇인가?1-1 Polya가 제시하는 문제 이해 단계의 전략 중에서 학생들의 문제 해결에 보다 효과적인 것은 무엇인가?1-2. Polya의 문제 이해 전략을 조합하여 제시하였을 때 학생들의 문제 해결에 보다 효과적인 것은 무엇인가? 2. 문제 이해를 중점에 둔 문제 해결 지도 후에 학생들의 수학적 태도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이와 같은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 대상은 인천광역시 남구에 소재하고 있는 I 고등학교 1학년 4개 학급에서 보충수업을 하지 않은 학생을 제외한 65명을 선정하여 13명씩 다섯 집단으로 무선 배치 후 이 다섯 집단에게 문제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는 다섯 가지의 전략, 즉‘구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구하고 문제에서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말에 밑줄 긋기’,‘문제를 식이나 그림으로 표현해 보기’,‘문제를 분해해보기', '구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구하고 문제에서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말에 밑줄을 그은 후에 문제를 식이나 그림으로 표현해보기’,‘문제를 분해한 후 문제를 식이나 그림으로 표현해보기’등을 제시하였다. 연구 절차로는 먼저 본 연구자가 수학 성적의 평균과 표준편차로 동질 집단인지를 알아보고 한국교육개발원에서 개발한 검사지로 수학적 태도 검사를 실시한 후 각 집단 별로 문제 이해 전략에 따른 문제 해결력 검사지를 10문제씩 4차시에 걸쳐 실시하였다. 문제 해결력 검사가 끝난 후에 사후 수학적 태도 검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각각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첫째, Polya가 제시한 문제 이해 전략에 따른 집단간에 문제 해결력에 있어서 보다 효과적인 것을 알아보기 위하여 평균을 비교하여 보았을 때는‘문제를 분해하기’가 효과적으로 보였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Polya의 문제 이해 전략을 조합하여 제시하였을 때 학생들의 문제 해결에 보다 효과적인 것은 무엇인가? 둘째, Polya의 문제 이해 전략을 조합하여 제시해본 결과 ‘문제를 분해한 후 문제를 식이나 그림으로 표현해 보기’집단과‘구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구하고 문제에서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말에 밑줄 그은 후에 문제를 식이나 그림으로 표현해 보기’ 집단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문제 이해에 중점을 둔 문제 해결력 검사가 수학적 태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따라서 고등학교 수학과에서 문제 이해 전략에 따라 문제 해결력이 달라짐을 알 수 있다. 특히‘문제를 분해해보기’전략은 학생들의 문제 해결에 많은 영향력이 있으며, 이는 문장제 문제의 길이가 문제 해결력에 많은 영향을 끼치기 때문이라 여겨진다. 또한‘문제를 분해해보기’전략은‘문제를 식이나 그림으로 표현해 보기’전략과 함께 사용되었을 때 문제 해결력에 보다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 비 맥스웰 전자 분포를 가지는 플라즈마에서의 볼츠만 관계식

        김준영 한양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낮은 압력과 다양한 인가 전력 조건에 의해 만들어진 RF 유도 결합 플라즈마에서 볼츠만 관계식에 대한 실험적인 연구가 수행됐다. 측정된 전자 에너지 분포 함수는 낮은 인가 전력에서 높은 비율의 낮은 에너지 전자 그룹을 가졌으며, 반면에 높은 인가 전력에서는 높은 비율의 높은 에너지 전자 그룹이 관찰 되었다. 이러한 이중 맥스웰 전자 에너지 분포 함수에서, 반경 방향의 전자 에너지 분포 함수가 방전 소스의 중심부터 벽면 근처까지 측정되었다. 측정된 플라즈마 변수들을 이용하여 유효 전자 온도와 차폐 전자 온도가 계산되었다. 계산된 전자온도들은 볼츠만 관계식에 대입되었으며, 실험 시 측정된 반경방향의 전자밀도 구배와 비교가 이루어졌다. 또한 압력을 변경하여 방전 소스의 중심부터 벽면에서부터 이온 평균 자유 행로만큼 떨어진 부분까지 전자 에너지 분포 함수를 측정했다. 플라즈마 전위를 양극성 전위와 전 쉬스 영역까지 측정 할 수 있었으며, 두 전위 모두 차폐 전자 온도에 의해 지배 받는다는 것이 밝혀졌다.

      • 조선업 특성을 고려한 스마트 안전관리 시스템 적용 우선순위 연구

        김준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조선업은 2000년대 들어 안전경영시스템, 행동관찰 프로그램 도입 등을 통해 안전관리 수준을 제고한 결과, 재해율이 지속적으로 감소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동일 유형의 중대재해가 근절되지 않고, 2014년 이후 재해율과 사망만인율은 다시 증가하는 추세로, 기존의 안전관리 기법을 보완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최근 산업계에서는 사물인터넷, 인공지능 등 4차 산업혁명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안전관리 시스템을 도입하여 사람에 의존하는 안전관리를 보완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반면, 조선업에서는 아직 적용이 미미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조선업 사고사례 원인분석 및 종사자 설문조사를 통해 조선업 특성에 맞는 스마트 안전관리 적용 우선순위를 제시하였다. 최근 10년간 조선업에서 발생한 197건의 중대재해를 분석하여, 현재 산업계 적용 중이거나 개발이 가시화된 스마트 안전관리 기술을 적용하였을 경우 동일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지에 대한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직접 원인 제어를 통한 사고 예방 가능성은 중장비 관련 사고가 약 83%로 가장 높았고, 밀폐구역 작업의 경우 질식/폭발 분위기 등 위험상황을 약 87%의 확률로 사전 감지함으로써 중대재해 예방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조선업 종사 중인 선주사, 원청사 및 협력사의 안전관리자, 생산관리자, 현장근로자 총 28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스마트 안전관리에 대한 이해도, 적용 시 예상되는 애로사항, 적용필요 분야 및 상세 기술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였다. 스마트 안전관리 이해도가 높을수록 필요성 및 기대효과 또한 비례하여 높게 평가하고 있어, 원활한 현장 정착을 위해서는 이해도가 낮게 나타난 협력사, 특히 현장근로자를 중심으로 인식개선이 선제되어야 한다. 스마트 안전관리 시스템을 조선업에 적용함에 있어 예상되는 애로사항으로는 선박 내 통신 음영구역 과다와 정형화되지 않은 작업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적용이 가장 시급한 분야로는 밀폐구역 질식/폭발 사고, 중장비 안전사고, 추락사고 예방 활동으로 확인되었다. 과거 사고사례 분석 및 설문조사 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조선업에 필요한 스마트 안전관리 시스템 적용 우선순위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장비 충돌방지 시스템 적용이 필요하다. 운전수의 사각지대를 확인하고, 중장비 위치 정보 및 주변 객체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위험단계에 따라 경보, 중장비 감속 및 제동을 통해 사고 발생의 원인인 중장비 움직임 자체를 통제해야 하다. 이 때, 시스템 오작동 시 2차 재해의 우려가 높으므로, 시스템의 높은 정밀도와 신뢰도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둘째, 밀폐구역 내 가스농도를 무인 측정하고, 그 결과를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실시간 공유할 수 있는 밀폐구역 관제시스템을 적용하여야 한다. 특히, 밀폐구역 내 통신 음영구역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Mesh Network 기술이 접목된 저전력 기반의 무인가스농도 측정기 개발이 선행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중/장기적인 측면에서 스마트 조선소로의 변환을 위해 정합성 높은 양질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빅데이터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빅데이터 구축에는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한데, 이를 가속화하기 위해서는 조선업 관련 협회나 정부 기관의 주도 하에 안전관리 데이터 코드를 통일화하여 조선업 전반에 걸쳐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호 호환하여 활용해야 한다. In the 2000s, incident rate of shipbuilding industry had continued to decrease based on efforts for enhancing safety management level through introducing safety management system, behavior based programs and so on. Nevertheless, the same type of fatal incidents has not been eradicated, and incident rate including fatalities have been on the rise again since 2014. So, it is necessary to apply advanced safety management system to support existing safety management techniques. Recently, industry is making efforts to supplement human-dependent safety management by introducing smart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ies such as the Internet of Things(IoT) and Artificial Intelligence(AI), while shipbuilding industry is still insignificant. This study presented priority of the smart safety management system considering shipbuilding industry’s nature through analysis of causes of fatalities and a survey of workers in the shipbuilding industry. By analyzing 197 fatal incidents that have occurred in the shipbuilding industry over the past 10 years, the possibility of preventing the same incidents was evaluated when applying the smart safety management technologies that are currently being developed or has been visualized in the industry. As a result, possibility of preventing heavy mobile equipment related incidents was the highest at about 83% by controlling direct causes. And, it was found that the effect of preventing confined space entry related incidents was the highest at about 87% by detecting hazardous atmosphere that can cause suffocation or explosion in advance. In addition, total 286 personnel which consist of safety managers, production managers and field workers of owners, shipbuilders and subcontractors were surveyed to collect their opinions on understanding, expected difficulties, priority and required technologies in the smart safety management application. The result of survey came out that higher understanding of smart safety management system, higher needs and expected effects are evaluated in proportion. So for smooth field settlement, awareness improvement should be preemptive, especially for subcontractors’ field workers who show low understanding. Expected difficulties in applying the smart safety management system to shipbuilding industry were communication problems inside shading areas and non-standardized works. And the most urgent areas to be applied were preventative activities for confined space, heavy mobile equipment and fall from height related incidents. By comprehensively analyzing the results of past incidents review and survey, the conclusions on the priority of applying the smart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the shipbuilding industry are as follows. First, heavy mobile equipment anti-collision system is necessary. Equipment movement should be controlled – warning alarm, deceleration and stop sequentially based on risk level; by checking operators’ blind spot, equipment and surrounding objects information in real time. It is very important to secure high precision and reliability of the system because there is a high risk of secondary incidents caused by system malfunction. Seco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comprehensive confined space control system which includes unmanned gas monitoring and wireless networks. In particular, in order to solve communication shading problems in confined spaces, development of a low-power and unmanned gas monitor with mesh networks technology should be preceded. Finally, it is required to build safety big-data by collecting high-quality and consistent information for converting to smart shipyard in long-term point of view. However, it takes a lot of time and efforts to build the big data. In order to accelerate this, data codes should be unified under the leadership of shipbuilding-related associations or government agencies to collect compatible data among shipbuilding compan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