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기립자세 증진 운동이 파킨슨병 환자의 제자리 돌기 동작에 미치는 영향

        김주현,황병용,윤희종,Kim, Joo-Hyoun,Hwang, Byong-Yong,Yoon, Hui-Jong 대한물리치료학회 2007 대한물리치료학회지 Vol.19 No.5

        Purpose: The aims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shoulder lateral rotation and trunk extension exercises on standing posture improvement exercises using turning round in the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Methods: For twenty-one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shoulder lateral rotation and trunk extension exercises were performed for a total of three sets, ten times a set, three days a week for twelve weeks. To measure turning round, ink foot-print method was used. The number of steps and time were measured every week for before and after study (twelve weeks). Resul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Changes in steps and time on each week during twelve week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compared with before test(p<0.05). Conclusion: Standing posture improvement exercises can help perform turning round in the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 KCI등재

        논문 : 포스트예술 시대의 미학과 비평 -예술행동과 일상의 문화정치를 중심으로-

        김주현 ( Joo Hyoun Kim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13 시대와 철학 Vol.24 No.2

        본 논문은 포스트예술의 정치성을 거점 예술행동과 플래시 몹 등의 행동주의를 중심으로 논의한다. 이를 위해 예술의 종말 이후 ‘포스트예술’ 개념을 탐구한다. 예술 현장에서는 다중들이 참여하는 혁신적 작업들이 쏟아져 나오지만 정작 미학과 비평에서는 ‘개념 전환’ 선언 외에 진전된 탐구를 찾기 어렵다. 포스트예술 시대의 미학의 미비는 명분상 모더니즘을 다원주의의 ‘한’ 항목으로 존속시켰고, 포스트예술의 대안 미학이 마련되지 않은 상황에서 결과적으로 모더니즘은 지배 미학으로 남아있다. 2, 3장에서는 서양과 한국의 이론과 실천에서 ‘포스트예술’이 보수화되는 과정을 비판적으로 분석한다. 4장에서는 1980년대 서양의 행동주의 미술 비평의 원칙들을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한국의 동시대 거점 예술행동에 적용한다. 포스트예술 시대 행동주의 예술에 대한 메타비평은 미적 액티비즘과 일상의 문화정치를 공정하게 고려할 미학의 전환을 모색한다. 포스트예술 시대의 다원주의는 계층, 인종, 성별, 환경, 등 다양한 위치중 어떤 하나를 일반적으로 우세한 요소로 간주하지 않지만, 그렇다고 해서 예술과 정치를 분리하지도, 각 부문 영역의 모순을 저절로 말소하거나 무화시키지 않는다. 사회의 다원적 맥락과 관점은 예술의 의제이며, 이는 다중의 미시적이고 복합적인 직접 행동을 통해서만 해결 가능하다. 포스트예술의 미학은 비판적 다원주의로, 익명의 즉흥적 산발과 통섭, 그리고 모순의 중재와 탈주를 긍정적 미적 가치로 제안한다. This essay discusses the politics of post-art mainly in the perspective of ``aesthetic activism`` of such as direct-action arts and flash mob. I research the concept of post-art after ``end of art`` above all. There are many innovational works including numeral participants in the artistic practice while it is so hard to find advanced research except ``conceptual turn`` proclamation in aesthetics and criticism. A lack or shortcoming of aesthetics in the post-art era ostensibly maintains modernism as ``a`` part of pluralism, therefore modernism consequently retains its position of dominating aesthetics as an alternative of post-art does not appear. In the chapter 2 and 3, I critically analyze the appearance of ``post-art`` and the regression of conservative swing, and the course of theory and practise in the West and Korea. In the chapter 4, I analyze Korean direct art action in 2000s and I am going to critically review the principles of criticism of 1980s` western activist art, suggesting the theory of evaluation for aesthetic activism. Post-art requests the list of aesthetic values distinct from modernism, such as new media technology, multiple daily aesthetic activism, consilience of genre, ontological reiteration and division, quotation and emergent property. Moreover, ethics and politics are inner factors of aesthetics and criticism of post-art, even though pluralism of post-art era does not designate any dominant factor among various locations like class, race, gender, environment, etc. I hope this would be a chance to estimate the conversion of post-art aesthetics and criticism by taking a look at the complex aspects of multiple activist art in the perspective of critical pluralism.

      • KCI등재

        설치 미술의 존재론

        김주현(Joo-Hyoun Kim) 현대미술학회 2015 현대미술학 논문집 Vol.19 No.1

        본고는 데이비스의 예술작품의 존재론을 비판적으로 탐구함으로써 설치 미술의 존재론을 구성하고 재/제작된 박이소의 설치 미술의 충실성을 평가한다. 설치 미술은 중간 단계로 본보기, 인코딩, 지침을 포괄적으로 선접하여 경유하는 하이브리드 수행적 복수 예술작품이다. 필자는 설치 미술의 존재론을 구성하며 2006년 박이소 유작전의 재/제작에 참여한 조해준 작가와 인터뷰하였다. 박이소 설치 미술의 체현 수행 기록은 남아 있지 않고 물리적 구성물 역시 제대로 관리되고 있지 못하다. 따라서 박이소 유작 설치미술에 대한 충실성에 대한 판단은 유보할 수밖에 없다. 박이소의 설치미술을 제대로 감상하기 위해 아카이브가 절실히 요청된다. In this essay, firstly I critically research for an ontology of artworks of Stephen Davies. Secondly I suggest that the installation art is a hybrid performative plural artwork via inclusive disjunction of the exemplar, the encoding, the instruction for the instantiation. Finally I put off my decision whether installation artworks of Yiso Park’s Posthumous Exhibition are faithful. Because the heuristics of the performances of the re/productions and appreciations are forgotten and disappeared. To appreciate the installation artworks of Yiso Park properly, we should establish archive to provide the artistic identifying factors of the installation art, ie. the physical resultant and the informations of heuristics of performances.

      • KCI등재
      • KCI등재

        상실, 애도, 기억의 예술

        김주현(Kim, Joo Hyoun) 새한철학회 2016 哲學論叢 Vol.86 No.4

        낸 골딘의 친언니 바바라는 18세에 자살했다. 낸의 부모는 바바라의 죽음을 회피했고 낸은 슬픔 속에 끝없이 기억했다. 프로이트의 「슬픔과 우울증」에 대한 전통적인 독해에 따르면, 전자와 후자는 모두 바바라를 성공적으로 애도하지 못한 것이 된다. 그러나 애도는 반드시 성공해야 하며 사랑의 대상은 대체되어야 한다는 주장은 의문스럽다. 프로이트는 우울증을 위한 치료법을 찾고자 나르시시즘과 사디즘이라는 우울증의 두 양상을 분석했지만 ‘자아와 타자의 동일시’에서 병적 특성은 혼란을 야기한다. 반면 데리다는 성공적 애도를 확신하지 않으며, 그 과정이나 결과에도 의문을 제기한다. 상실한 사랑의 대상은 사랑하는 자의 삶 속에 살아있고, 애도의 작업은 내면화가 아니라 온전한 타자, 이방인으로 기억할 때 가능하다. 슬픔, 우울과 같은 일상의 감정이 꼭 정상/비정상으로 구분될 수 없으며 삶의 비극성에서 나온 다양한 부정적 감정들은 우리의 삶을 전환하고 격려하고 구성한다. 본고는 이를 위해 프로이트의 「슬픔과 우울증」을 다시 읽고, 데리다의 애도의 작업을 통해 타자와 유령이 함께 사는 슬픈 삶의 힘을 논의한다. 또한 그 사례로 낸 골딘의 사적 제의로서의 개인초상 사진을 탐구한다. 낸 골딘은 바바라가 아니라 스스로를 바꿈으로써 자신의 일상 속에서 바바라를 기억하고 함께 살아가게 했다. Barbara, the older sister of Nan Goldin, committed suicide at the age of 18. Her Parents got out of it and Nan constantly mourn and remember her. According to the traditional reading of Freud’s “Mourning and Melancholia”, both couldn"t achieve the successful morning. I suspect that if the mourning has to be successful, the lovers of object-loss have to adopt a new object. Freud analysed narcissism and sadism as two aspects of pathological melancholy in order to find a cure for it. Whereas, Derrida wasn’t convinced of a successful mourning or its process and result. He claims it is impossible for the lovers to remember the loved-loss in the way of interiorization. He thought the loved-loss continues to inhabit the lover, but as a stranger in constant mourning, In this essay, I assert that normal mourning do not differ from abnormal melancholy and the negative emotions faced with the tragic affairs transform, encourage, and constitute our lives. I reinterpret Freud’s “Mourning and Melancholia” and argue for the sad power of haunting with insight of Derrida’s work on mourning. Finally I search for the portraits and still photographs of Nan Goldin.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여성 공예와 한국 근대 자수

        김주현(Kim Joo Hyoun) 한국여성학회 2009 한국여성학 Vol.25 No.3

        본 논문은 1920-30년대 근대 한국의 자수를 통해 서구 근대 가부장제 미학의 ‘순수예술(fine art)’ 개념과 그에 기반한 미적 평가 틀이 현실을 살아가는 다양한 개인들의 미적, 예술적 경험을 얼마나 설득력 있게 해명하고 추동하는지를 탐구한다. 근대 한국 자수는 포스트식민(한국), 하위 장르(공예), 여성주의의 관점에서 대안적 미학 패러다임의 필요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라고 할 수 있다. 바느질과 자수는 가부장제의 긴 역사 속에서 다양한 위치의 여성들에게 부과되었던 행위라는 점에서 다층적인 성차 관점에서 검토되어야 한다. 페미니즘 미학을 논의하기 위해 여성 예술을 단일한 범주로 보편화하는 시도는 부적절하며 이론적, 실천적인 오류에 직면하게 된다. 본 논문은 공예와 예술을 넘어서 페미니즘 관점에서 ‘예술’ 개념을 변경하고 새로운 평가 기준을 제공하는 대안적 미학 패러다임을 모의하기 위한 첫 번째 단계로서 ‘한국’, ‘여성’, ‘공예’, ‘예술’ 각 개념에 대한 비판적 분석에 초점을 맞춘다. 이 분석에서 핵심적으로 비판의 대상이 되는 것은 미적 순수성과 디자인의 독창성, 개인의 자율적 예술 의지, 미적 의미의 고정성이다. In this essay I want to look at some exemplary moment in the history of the concept of fine art before suggesting the positive form in the feminist perspective in my subsequent essay. I suspect how convincing explanation about the concrete aesthetic and artistic experiences the western modernism and patriarchal aesthetics provide. I focus on Korean modern embroidery between 1920 and 1940. Korean modern embroidery is a crucial example to show the necessity of the alternative aesthetic paradigm of post-colonialism(Korea)/sub-genre(craft)/gender politics(feminism). It is inappropriate to generalize the women's art in the perspective of the universal feminism and will make bad effect for the feminist movement. The needlework and embroidery should be researched in the various orders of gender differences. I mainly concern about each concept of ‘Korea’, ‘women’, ‘craft’, and ‘fine art’ by destructing the basic values supporting the western modernism and patriarchal aesthetics; ‘aesthetic purity’, ‘uniqueness of design’ and ‘art will of the isolated artist’, etc.

      • KCI등재

        미술대학 글쓰기 교육 체계

        김주현(Kim, Joo Hyoun) 한국미술교육학회 2015 美術敎育論叢 Vol.29 No.4

        본고는 미술대학을 중심으로 교양교과목인 ‘예술 계열 글쓰기’의 현황을 선행 연구를 통해 비판적으로 검토한 뒤, 교양-전공이 연계된 글쓰기 교육 방안을 제시한다. 대안 마련의 출발점은 글쓰기 교육의 필요성과 특수성을 인지하는 것이다. 미술대학 전공자에게 글쓰기는 취업과 소통의 도구일 뿐 아니라, 작품의 내적 구성 요소이다. 시각 문화 연구와 맥락주의 예술 존재론은 작품의 시각적 문식성, 상호텍스트성을 강조한다. 따라서 미술대학의 교양과 전공 글쓰기는 미술 영역과 실천적 추리의 융합 전공자가 교수해야 한다. 본고는 미술대학 글쓰기 교과의 3단계 연계 체계를 제안한다. 우선 교양 필수 교과인 ‘기초 글쓰기’는 통합 교육하고, 두 번째 단계로 교양 필수, 혹은선택 교과인 계열별 글쓰기, 곧 ‘예술 계열 글쓰기’는 전공별 분반으로 분리․심화 교육한다. 혹은 미술대학의 전공기초 교과목으로 ‘미술 글쓰기’를 개설한다. 세 번째 단계로 전공 필수, 혹은 선택 교과로 3, 4학년 과정에서 ‘비평 및 현장 글쓰기’ 교과목을 이수하게 한다. In this essay I critically analyse ‘Writing in the field of fine arts’ through the preceding researches and then suggest the writing education system linked between liberal arts and major subjects. Above all, I argue the necessity of the education of writing in the fine arts.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and contextualist ontology of artworks place the emphasis on the visual literacy and inter-textuality. So the teachers of ’Writing in the field of fine arts’ of liberal arts and major subjects are the specialists of the practical reasoning and fine art. My proposal is the connected education of 3 steps: The first step is the completion of the integral and basic writing class of liberal arts. The second step is the completion of the major related writing class of liberal arts. The final step is the of major specialized writing class in the college of fine art.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