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장애인 다수고용 사업장 표준모형 개발에 관한 기초 연구

        김종인(Jong-Ihn Kim),조주현(Joo-hyun Cho) 한국직업재활학회 2004 職業再活硏究 Vol.14 No.2

        최근의 장애인 재활 및 복지정책은 자립생활(independent living)과 고용 (employment)이라는 두 가지 개념과 철학으로 대변되고 있다. 우리나라 역시 장애인의 생산적 복지를 위한 점책들을 시행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다수고용 사업장은 중증장애인들에게 취업기회를 광범위하게 제공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개인적 및 국가적 측면에서의 실효성 역시 크다고 할 수 있다. 세계의 장애인복지국가들을 살펴보면, 국가에 맞는 장애인 다수고용의 독자적 모형들을 보유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미국은 민간주도의 Goodwill, 영국은 정부주도형인 Remploy, 스웨덴의 Samhall, 혼합형인 일본의 제3섹터가 바로 이들 나라들의 다수고용 모형이라 할 수 있는데, 이에 비하여 우리나라는 장애인 다수고용의 대표적인 모델도 없고, 다수고용사업 자체도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장애인 다수고용 사업장 표준모형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 사업장에 대하여 실제 현장에서 종사하고 있는 고용주와 직업재활사를 포함한 전문가의 인식이 어떠한지에 대하여 알아보고 모형 개발의 방안을 제시하고자 했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ee employer s and rehabilitation practitioner s perception of persons with disabilities-centered workshop and then, is to reveal the related variables, is to recommend issues on the policy. Out of 200 survey questionnaires sent to employers, 100 were returned. Out of 200 survey questionnaires sent to rehabilitation practitioners, 148 peoples received a questionnaires. The results of surveys are as fellows; First, in employer s perceptions. the form of workshop has investigated public and private mixed. The number of workers was 51~100. the percentage of severe workers was appropriate 21~40%. Most considerations on the workshop s magnitude revealed reasonable accommodations. Second, in case of rehabilitation practitioners perception, the form of workshop has investigated public centered models. Variables the number of worker and the percentage of severe workers were same. Most considerations on the workshop s magnitude revealed transportations. Third, the regression analysis yield the following findings. Familiarity of people with disabilities-centered workshop could predict differences between people with disabilities-centered workshop and standard workshop.

      • KCI등재후보

        장애인 의무고용률의 적정성 연구

        김종인(Kim Jong Ihn) 한국직업재활학회 2006 職業再活硏究 Vol.16 No.1

        본 연구는 우리나라 장애인 의무고용률이 1991년 장애인고용촉진및직업재활법 시행 이래 300인 이상 사업장에 2%이던 것이 2005년부터 50인 이상 2%로 확대, 조정된 것을 감안하는 것에 대한 적정성에 관한 조사연구이다. 이 적정성 연구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사업주와 재활전문가 두 그룹을 비교 조사 연구했으며, 우리나라를 비롯해 일본, 독일, 프랑스, 폴란드, 헝가리 등 의무고용제를 실시하는 나라의 의무고용률과 제도를 비교, 분석하기도 했다.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 의무고용률 2%가 적정하다는 응답자가 사업주에서는 78.10%로 나타났으며, 재활전문가는 의무고용률을 높여야 한다가 81.44%로 집계되어, 사업주에 비해서 재활전문가가 의무고용률 상향 조정을 더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에서 제시된 우리나라 적정 장애인 의무고용률은 3.18%로 계산되었는데, 산출 기준은 상시근로자 수와 실업자 수를 더한 값에서 제외율 상당 노동자 수를 땐 값이 분모가 되고, 장애인 노동자 수와 실업장애인 수가 분자가 된다는 것이다. 본 연구의 제언으로서 중증장애인에 대한 더블카운트 제도 도입과 장애인 고용률에 있어서의 장애의 정의 및 개념의 재설정, 한국형 장애인고용 사업장의 모델 개발과 의무고용률 재적용 등도 제시하였다. The pupose of this saudy was to investigate that adequacy of quota employment rate for workers with disabilities. The research which it sees the quota employment rate which is our country obstacle in the enterprise market above 1991 obstacle endurance Employment Promotion and Vocational Rehabilit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y Act. This enemy conditions characteristic research hazard our country and comparison investigation it researched the business proprietor and the re-bow specialist two group from the research which it sees. it began the quota employment rate of Japan. Germany. France. Poland and the country which executes Hungary back duty employment me and a system it compares and analyzes. it did. The quota employment rate 20% which is an obstacle enemy conditions did from the research which it sees from the answer back own business proprietor with 78.10% to appear. the re-bow specialist must raise duty employment rate with 81.44% to be added. it compared in the business proprietor and the re-bow specialist compared to is demanding a duty employment rate upward creation with the fact that. The price which draws out an exclusion ratio considerable worker surrender from the price which becomes worse the regular workers and an unemployed person possibility became denominator and the price which the worker possibility plus unemployed person possibility of being an obstacle has become the element compared to is demanding our country quota employment rate upward regulation with the fact that. The duty employment rate which is our country enemy conditions obstacle which is presented from conclusion it was calculated with 3.18%. production standard the price which draws out an exclusion ratio considerable worker possibility from the price which becomes worse a regular workers possibility and an unemployed person possibility becomes denominator. the possibility of being a worker possibility of being an obstacle and an unemployment obstacle it becomes the element it is a thing. As my Un of the research which it sees there was to employment rate which is a double counting system introduction and an obstacle against the middle growing impudent lover and re-set of justice and concept of obstacle. also the Korean elder brother obstacle endurance enterprise funeral model development and the quota employment rate volume back presented.

      • 장애인일자리사업 종합평가 연구

        김종인 ( Kim Jong-ihn ),박정남 ( Park Jung-nam ),정도선 ( Jung Do-sun ) 한국장애인개발원 2012 장애인복지연구 Vol.3 No.1

        장애인에게 공공의 일자리를 제공하는 목적으로 시작된 장애인일자리사업은 2007년 시범사업 시행 이후 매년 약 5,000명 이상의 장애인이 일자리에 참여하여 주도적인 삶을 살 수 있는 소양을 마련하도록 하고 있다. 사업의 만족도를 해마다 조사한 결과, 상당히 긍정적인 결과가 나오고 있었고, 본 연구를 통해 만족도 항목을 보다 구체화해서 조사하였을 때, 장애인이 일자리사업의 효과는 배치기관의 업무나 서비스에 기여할 뿐 아니라 장애인의 사회통합과 정상화 진입 가능성을 넓히고 소득보장 측면에서도 실제 도움이 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우리는 이러한 성과를 보다 과학적으로 규명해보고자 장애인일자리사업의 비용-편익분석을 실시하였다. 장애인일자리사업에서 비용을 구성하는 항목은 사업의 운영비용과 대체프로그램 소득 감소로 하고, 편익을 구성하는 항목은 장애인일자리사업으로 인한 소득증가, 조세증가, 공적지원금의 감소, 보호부담감소로 분석하였을 때, 2010년 한 해 동안 장애인일자리사업의 편익-비용 비율은 3.09로 나타났다. 즉, 2010년 한 해 동안 장애인일자리사업에 148억5천만원의 비용을 투입하였고, 그 결과 우리 사회에 458억8천만원의 편익을 되돌려 줌으로써 310억원의 사회적 순편익을 증가시키는데 기여했다고 나타난 것이다. 이는 사회적 관점에서 장애인일자리사업이 2010년 한 해만 고려하더라도 경제적 타당성이 매우 높은 사업이라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며, 참여자 관점에서는 편익-비용 비율이 2.94, 비참여자 관점에서는 편익-비용 비율이 4.8로 관점을 달리하여도 편익이 비용보다 매우 높은 결과를 볼 수 있었다. 이와 같이 비용대비 효과성이 높고 장애인의 욕구가 큰 사업을 지속시키고 발전시켜나가기 위해다음의 몇 가지로 정리하여 제언하였다. 첫째, 장애인일자리사업 중 장애인복지일자리의 근무시간과 행정도우미의 주당 근무일을 개선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장애인일자리사업의 근거가 되는 법률제정이나 법조항 신설이 요구된다. 셋째, 장애유형과 장애특성에 적합한 전문적인 일자리를 개발하여야 한다. 넷째, 기초생활수급자 장애인의 참여를 위한 근로유인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다섯째, 장애인일자리사업 참여 이후 안정적인 직업을 가질 수 있도록 고용전이대책이 제도적으로 마련되어야 한다. 여섯째, 현장지원까지 담당할 수 있는 장애인일자리사업을 전담하는 조직체계를 마련하여야 한다. 일곱째, 무장애환경의 조성으로 중증장애인에게 질 좋은 일자리를 마련하고 확대해야 한다. 여덟째, 장애인일자리사업에 많은 장애인이 참여하도록 홍보를 강화하여야 한다. 아홉째, 장애인일자리사업을 모델화하고 발전시켜 정책적으로 중증장애인을 위한 핵심정책으로 수립되도록 해야 한다. Our government decreated the Workplace Adjustment for People with Disabilities(WAPWD) Project in 2006. This project is namely「2010 ten million employment for people with severly disabilities」.Public area job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with the purpose of providing disability employment project launched a pilot project conducted annually since 2007 approximately 5,000 people participated in more job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to live a life that leading is to raise literacy. Satisfaction survey every year of business, significant positive results had been raised. In this study, project status, satisfaction, cost benefit, needs to investigate this business through a comprehensive evaluation. This project gave the participants are positioned to help organizations, the disabled for income security, social integration and has contributed to the normalization. We tries to explore these results in a more scientific work disability business cost-benefit analysis was carried out. Disabled items that make up the cost of jobs in the business of business operating costs and reduced income replacement programs, and benefit business items that make up a job due to a disability income growth, tax increases, reduction of public subsidies, protection analysis was to reduce the burden When the WAPWD Project for the year 2010 of the Benefit - Cost ratio was 3.09. As such, highly cost-effective disability and the needs of big business continues to evolve the way for the Analysis of survey results and analysis, expert interviews, we were able to find through, then some of them were suggested by a theorem. First, the Disabled Employment Promotion and Welfare of the Disabled and the Administrative Assistant of hours of work per week is necessary to improve the working day. Second, the basis of job creation projects that are disabled or provisions new legislation is required. Third, suitable for the type of disability and disability should develop a professional job. Fourth, the Basic Livelihood Security disability work incentives for participation measures must be in place. Fifth, the disability employment after participating business to have a steady job, employment transition measures should be made systematically. Sixth, on-site support to the disabled who can play that is dedicated to job creation projects shall establish an organizational structure. Seventh, the composition of fault-tolerant environment for people with severe disabilities and provide good quality jobs will be needed.

      • KCI등재후보

        시청각장애인의 의사소통을 위한 점어 및 점어기에 관한 기초 연구

        김수연(Kim Soo-Yeon),김훈(Kim Hoon),김종인(Kim Jong-Ihn)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019 시각장애연구 Vol.35 No.1

        시청각장애인은 시각과 청각의 복합적인 장애로 인하여 의사소통의 사각지대 속에 갇혀있다. 시청각장애인은 생각의 표출과 대화를 통한 타인과의 교감이 장애라는 장벽에 막히어 인간으로서 정체성조차 위협받는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시청각장애인의 언어로서 점어(點語)의 필요성과 기초 원리를 확립하여 시청각장애인의 의사소통에 기여하고자 한다. 점어는 국립국어원의 한국어 어휘 연구 자료를 바탕으로 시청각장애인의 삶에 꼭 필요한 언어들을 의미군(意味群)으로 범주화한 후 약속된 코드체계로 정의된다. 점어를 국어로 번역하여 스마트폰으로 전송하고, 국어를 점어로 번역하여 촉감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해주는 점어기를 통해 시청각장애인은 별도의 통역 없이 세상과 직접 소통할 수 있다. 시청각장애인의 언어로서 점어와 점어기에 관한 실험적 연구는 12명의 시청각장애 당사자들로부터 받은 평가를 바탕으로 향후 더 구체화되고 실용화될 계획이다. People with deaf-blindness are unfortunately locked in a deaf and blind spot of communication in our society. Their identity as a human being is even unstable because the barrier of disabilities blocks the expression of thoughts and communication with others. This study introduces the framework and the principle of the Braille Language – the language based on the braille which could be a basic means of communication for people with deaf-blindness. Braille Language is a kind of extension of the existing braille for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s. The most important expressions for the deaf and blind to live and communicate should be categorized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content (4th step), National Korean Language Institute (Han Song-Hwa, 2015)⌟ and ⌜A Study on the Selection of Basic Theme Vocabulary for Korean Elementary Learners (Kim Young-Seon, 2005)⌟. They are defined as a promised code system called “Braille Language System” after categorizing the languages necessary for the life of people with deaf-blindness into semantic group. The people with deaf-blindness can communicate directly with the world through “the Braille Language System”, which translates the Braille Languages into Korean and transmits them to the smart phone of the opposite, and translates Korean words into the Braille Languages and allows people with deaf-blindness to perceive them with tactile sense. In future research, the Braille Language System should be made in a form of more practical and functional and even attractive design not glove form so that it will be more popular for people with deaf-blindness. If Braille Language System can be upgrade to control smart phone owned by a deaf and blind person including input and output, then it will lead that person not only to communication but also to the access to the useful information through the various functions of the smart phone.

      • KCI등재

        발달장애인의 고등교육경험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박정훈(Jung-Hoon Park),김종인(Jong-Ihn Kim) 한국발달장애학회 2020 발달장애연구 Vol.24 No.3

        이 연구는 고등교육경험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설문조사의 조사대상은 고등교육기관, 특수학교 전공과, 보호작업장에 소속되어 있는 발달장애인을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고등교육기관 50명, 특수학교 전공과 28명, 보호작업장 훈련생 30명 총 108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자료 분석에 사용하였고, 분석방법은 첫째, 조사대상의 인구 사회학적 특성과 종속변수, 독립변수의 응답 분포를 알아보기 위하여 기술통계와 빈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세 집단의 고등교육 경험 유무가 여가생활 및 대인관계, 자기 결정 및 자부심, 사회참여 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기 위하여 일원 배치분산분석(one way ANOVA)을 실시하였다. 셋째, 세부적인 집단별 비교를 위하여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위의 분석을 통해 세 집단의 삶의 질과 관련하여 비교하였을 때 고등교육기관의 평균점수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여가생활 및 대인관계, 자기 결정 및 자부심, 사회참여 및 만족도를 합친 결과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llege education experience on quality of life. The survey was conducted on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o belong to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special school majors, and protective workplaces. 50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28 special school majors, and 30 trainees in protective workplaces total 108 people. The questionnaire was used for data analysis and the analysis method is as follows. First, descriptive statistics and frequency analysi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subjects, the distribution of responses of dependent and independent variables. Second, a one-way ANOVA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effects of three groups experience in college education on leisure lif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elf-determination and self-esteem, social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Third, ex post verification was conducted for detailed group comparison. When compared with the quality of life of the three groups, the average score of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was the highest, which is the result of the combination of leisure lif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self-determination and self-esteem, social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 KCI등재후보

        맹학교 이료용어의 개념정립을 위한 기초 연구

        이완우 ( Wan-woo Lee ),김종인 ( Jong-ihn Kim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5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6 No.1

        본 연구는 교육인적자원부의 제7차 교육과정 중에서도 맹학교 이료교과의 용어 개념 정립을 위한 기초 연구를 위한 것이다. 연구의 방향은 첫째, 한국.일본.중국 등 동양 3국의 맹학교 이료를 문헌을 중심으로 실제 활용도 면에서 분석.연구하였으며, 미국과 유렵의 맹인의 이료용어 사용도 함께 고찰하였다. 둘째, 맹학교 시각장애고등 학생과 시각장애 고등학교 이료담당 교사에게 맹학교 이료용어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이료교육 및 직업재활 정책 수립에 자료를 제공하도록 했으며, 이에 본 연구에서는 참여한 시각장애 학생 88.1%가 이료용어가 혼란스러워 개념 정립과 체계화의 필요성을 제시하였으며, 접근의 용이성 담보를 요청하기도 했다. 또한 이료교과서의 컨텐츠화와 교과서 과정별 이료용어집 정리, 점자.음성.전자 이료교과의 보급 등도 요구했다. 결론 및 정책적 제언으로서 이료용어에 대한 일반화와 보편화를 제시했다. This research is thing for basis research for a school for the blind Iryo-curriculum term concept thesis among ministry of Education & HumanResources Development 7th school curriculum of the republic of korea. Direction of research analyzes in aspect and studied actuality practical use laying stress on East 3 departments`` for a school for the blind Iryo term and the United States America and European literature such as the Korea, Japan, China firstly. Did so that execute question investigation about a school for the blind Iryo term to school for the blind sight obstacle high school student and sight obstacle teacher secondly and furnish data in Iryo education and vocational rehabilitation policy-making. Sight obstacle student``s 88.1% who take part in research that see hereupon presented concept thesis and necessity of systematization about Iryo-words, and request easy security of access. Also, thing that there are much contents of a Iryo text book and text book process Iryo-dictionary arrangement, Braillewriter type, voice, desire about diffusion etc.. of electron Iryo subject in investigation that see appeared.

      • KCI등재

        부모의 양육태도와 생애주기별 자녀의 도전적 행동과의 관계 연구

        정희진(Hee-Jin Jung),김종인(Jong-Ihn Kim),송종은(Jong-Eun Song) 한국발달장애학회 2021 발달장애연구 Vol.2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발달장애인의 생애주기별 부모의 양육 태도를 알아보고, 양육태도와 장애 자녀의 도전적 행동과의 관계를 검증하여 장애 자녀의 성장 과정에 따라 양육 형태의 변화를 보다 효과적으로 적용하고자 수행하였다. 연구 방법은 서울 및 경기지역의 부모교육에 참여하는 부모님과 장애인 부모 모임 등에서 활동하는 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생애주기 기준은 발달장애 자녀의 연령을 아동기, 청소년기, 초기 성인기로 나누었으며, 총 151부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부모 양육 태도와 도전적 행동에 대한 아동기, 청소년기, 성인기의 생애주기별 차이를 분산분석 하였으며, 부모 양육 태도와 도전적 행동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부모 양육 태도 하위요인 8개와 생애주기별 도전적 행동을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보면 아동기는 부모의 간섭과 일관성 없는 태도가 발달장애 아동의 도전적 행동과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청소년기에서는 부모의 합리적 설명, 과잉기대, 성취 압력. 일관성 없는 태도와 도전적 행동과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성인기에서는 부모의 처벌적 양육 태도가 도전적 행동과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rearing attitude of parents by life cycle of the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llenging behavior of the disabled children according to the parenting type, and to apply the change in parenting pattern more effectively according to the growth process of the development disabilities. As for the research method,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parents who participate in parent education in Seoul and Gyeonggi areas, and parents who are active in groups of par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life cycle criteria of this study divided the age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to childhood, adolescence, and early adulthood. A total of 151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of ANOVA by life cycles in childhood, adolescence, and adulthood on parenting attitudes and challenging behaviors. The correlation between parenting attitude and challenging behavior was analyzed. The 8 sub-factors of parenting attitudes and challenging behaviors by life cycle were analyzed by regression analysis. Research results show that parental intervention and inconsistent attitudes in childhood are related to the challenging behavior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adolescence, parents rational explanations, hyperexpectations, and achievement pressures.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a relationship between inconsistent attitudes and challenging behaviors. In adulthood, it can be seen that the parents punishing parenting attitude is related to the challenging behavior.

      • KCI등재

        우리나라 직업재활시설의 예산지원모형개발에 관한 연구

        김종인,조성열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01 재활복지 Vol.5 No.2

        우리나라 장애인 직업재활시설은 1999년까지는 근로작업시설과 보호작업장, 생산품판매시설 등으로 나누어 운영이 되어 오다 2000년 1월부터는 근로작업시설, 보호작업시설, 직업훈련시설, 작업활동시설 그리고 생산품판매시설 등으로 분류되어 운영되고 있다. 하지만 이들 직업재활시설의 역할과 기능에 대한 개념정립이 되어 있지 않은 것은 물론 예산지원방식 또한 시설유형별 특징을 고려치 않고 별다른 기준 없이 예산이 지원되어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원래 예산이란 우리 몸의 동맥과 같은 것으로 예산이 적재적소에 잘 사용이 되면 큰 효과를 거둘 수 있는 반면 예산이 잘못 사용되면 낭비하고 마는 속성이 있다. 더욱이 직업재활시설은 유형별 시설에 따라 인건비, 관리운영비, 생산활동비 등 예산투입과 지원분야를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수익성, 효과성, 효율성은 전혀 다른 결과가 나올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직업재활시설의 예산사용실태를 분석하면서 시설유형별 예산지원모형을 개발하고자 했다. 본 연구를 통해 본 우리나라 직업재활시설의 현행 예산지원방식의 문제점으로는 현행 예산지원기준의 근거미비, 시설유형의 구분과 예산지원방식의 연계성 부재, 근로장애인 임금과 직업재활훈련생 훈련비에 대한 적절한 지원방식의 결여, 분리 위주의 직업재활정책의 조장 가능 등이 나타났다. 이들 문제점을 토대로 제시된 방안으로서 우리나라 직업재활시설 예산지원모형을 제시하면 3가지의 표준모형으로 요약할 수 있다. 표준모형(I)은 작업활동시설, 직업훈련시설, 치료 · 훈련중심의 보호작업시설 등이 여기에 속하며 이곳은 직업훈련교사를 겸한 직업재활사 등 인력지원을 전제한 예산지원모형이며, 표준모형 (II)은 생산중심의 보호작업시설로서 이곳은 적어도 장애인 근로자의 1/3이상에게 최저임금 이상을 주는 시설예산지원모형이며 표준모형(III)은 근로작업시설로서 이곳은 장애인 근로자의 2/3이상 최저임금 이상을 주는 시설로 나누어 예산지원모형을 제시했다. 이 예산지원모형에는 인건비, 관리운영비, 생산활동비와 함에 직업재활 장려금제도를 신설하여 장애인 훈련생이나 근로자에게 직접 지원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개발되었다. Our country's disabled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were run, separated among labor work facilities, sheltered workshop, and products selling facilities until they have been run from January, 2000, classified among labor work facilities, sheltered workshop, vocational training facilities, work activity facilities, and products selling facilities. However, the problems are raised not only because the definitions of roles and functions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are not made but also because budge is alloted without any consideration of features per the facilities classification and criteria. Now that the budget is our body's artery originally, it is of much effect to use budget with efficiency while it has the propensity of wasting the budget to put into wrong use. In addition, how to make up the budget input and support area such as labor cost, management and operation cost, and production activity cost per the facilities classification can get the wholly different result of profit, effect, and efficiency.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develop the model for budget support per classifications, analyzing the realities of spending budget. The problems of the way of the present budget support in our country's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shown in this study are following: the lack of evidence of budget supporting criteria, the absence of the division of the facilities classification and the association of the way of budget support, the lack of a proper support method for the wages of the disabled workers and training costs for vocational rehabilitation trainees, and the possibility of encouraging vocational rehabilitation policy mainly composed of the division. We can summarize the models for budget support into three standard models by schemes suggested on the basis of these problems. The standard model(Ⅰ) consists of work activity facilities, vocational training facilities, sheltered workshop mainly made of therapy and training. This model is the model for budget support premised on the support of human power such as vocational trainers or vocational rehabilitation specialist. The standard model(Ⅱ) consists of sheltered workshop centered on employment and production. This model is the model for facilities budget support paying more than the lowest wage to over a third of workers. The standard model(Ⅲ) consists of labor work facilities. This model presents the model for budget support, dividing the facilities paying more than the lowest wage to over two-thirds of workers. This model for budget support is developed with the direction of promoting productivity by establishing newly the promotion bonus with labor cost management and operation cost, and production activity cost and supporting the disabled trainees and workers directly.

      • 시각중복장애학생의 교육적 지원 방안 모색

        김종인,이완우,이덕순,길태영,노언희,박성우 국립특수교육원 2005 연구보고서 Vol.- No.4

        본 연구는 시각장애 학교 교육에서 소외되고 있는 시각중복장애아의 현황과 교육 실태를 알아보고, 시각중복장애아의 교육적 질 향상을 위한 교육개선방안을 모색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를 위해 전국의 12개 시각장애 학교의 유치부 · 초등부 · 중학부 · 고등부 재학생 1284명 전수 및 담당 교사 405명 중 130명을 조사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통계처리는 SAS을 활용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사용한 설문지는 이덕순(1997)의 '시각장애학교 중복장애학생의 교육 현황에 관한 연구' 질문지를 기초로 하여 2005년 현재 전국 12개 시각장애학교의 중복장애 현황을 조사하였고, 중복장애아에 대한 학교의 교육적 배치, 교육 실태, 교육운영 지원과 중복장애아에 대한 교육적 대책을 모색하고자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따라서 본 설문지의 구성은 학교용과 교사용으로 구분하였으며 내용은 각각 중복장애아 현황 2문항, 교육복지지원실태 12문항, 교육실태 8문항, 교육운영지원 6문항, 교육대책 9문항으로 총 37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중복장애 현황 중복장애 현황을 보면 시각장애 학교 재학생 1284명 중 시각장애만을 지닌 학생은 960명 (74.7%)이고, 주장애인 시각장애 외에 다른 장애를 지닌 중복장애아는 324명으로 25.3%의 비율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의 우리나라 시각장애 학교 재학생 중복장애아 수의 경우 정확히 조사된 것은 없지만, 국립특수연구원 (1996)에서는 약1/3로 추정하고 있고, 실제로는 그보다 더 높은 비율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기 때문에 시각장애 학교에서 상당 수 차지하고 있는 중복장애아의 장애 영역에 맞는 교육과정 편성과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서는 매년 학교 교육계획을 수립할 때 중복장애아 수를 정확히 조사하여 그를 토대로 학교 교육과정을 편성해야 할 것이다. 장애 영역별 중복장애 분포를 보면 시각장애 학교 유치부 · 초등부 · 중학부 · 고등부 재학생 1284명 중 주장애가 시각장애인 장애 영역별 중복장애 분포를 보면 정신지체가 171명(13.31%), 언어장애가 12명(0.93%), 정서장애 52명(4.04%), 지체부자유 및 병허약이 26명(2.02%), 청각장애 5명 (0.38%), 학습장애 11명(0.85%), 기타(세 가지 장애 이상) 장애를 가진 학생이 47명 (3.77%)으로 나타났다. 이 중 정신지체 중복인 경우가 171명(13.31%)으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고, 그 다음이 정서장애, 기타(세가지 장애 이상), 지체부자유 및 병허약, 언어장애, 학습장애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청각장애가 5명(0.38%)으로 가장 낮은 비율로 나타났다. 또한 과정별 중복장애 분포를 보면 유치부의 경우 81명 중 30명(37.03%), 초등부 374명 중 146명(39.03%), 중학부 265명 중 63명(23.77%), 고등부 564명 중 85명(15.07%)이 중복장애아로 나타났다. 과정별 중복장애 분포를 보면 초등부 39.03%, 유치부 37.03%, 중학부 23.77%, 고등부 15.07% 순으로 중복장애를 보여 학령기 초반부의 저학년일수록 중복장애가 심한 것으로 나타나 이들 과정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이 재조정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남녀별 중복장애 분포의 경우 남학생이 210명(16.35%), 여학생이 114명 (8.95%)으로 나타나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중복장애 비율이 훨씬 더 높게 나타났다. 2. 중복장애아의 교육 실태 가. 중복장애아에 대한 학교의 교육적 배치 전국 12개교 중 중복장애아를 위한 특수학급이 잇음이 7개교(58.33%)로 나타나 있는 것으로 보아 많이 운영하고 있음을 알 수 있고, 5개교(41.67%)는 없다고 대답을 한 것으로 보아 아직도 중복장애아를 위한 특수학급 운영이 미비하게 나타났다. 이는 교사 배치나 예산 지원, 교육 프로그램 등의 제반 여건이 조성되어 있지 않는 상황에서 이러한 교육 여건을 필요로 하는 중복장애 특수학급을 배정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시각장애 학교의 중복장애아 비율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서 이들의 교육에 대한 제도적인 조치나 지원 방안이 수립되어야 할 것이다. 중복장애 특수학급을 운영하고 있는 7개교 중 정식으로 인가된 학급으로 운영되고 있는 학교는 1개교(14.28%)로 나타났고, 6개교(85.71%)가 비정규 학급으로 학교 내부적으로 자체 운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가 학급의 경우 교사와 예산이 지원되기 때문에 운영상 적절한 교육 여건을 제공하여 교육적 효과를 거둘 수 있는 반면, 비인가 학급의 경우 교사나 예산이 별도로 지원 되지 않아 중복장애아 교육을 효과적으로 하지 못하고 있으므로 이에 필요한 지원 방안으로 교사의 배정이나 예산 지원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중복장애 특수학급을 운영하고 있는 학교의 해당 교육과정을 보면 담당 교사가 개발한 교육과정으로 교육하는 학교가 3개교이고, 개별화교육 프로그램으로 교육하는 학교가 4개교로 나타나 중복장애아에 대한 학교 수준의 교육과정이 마련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 중복장애아의 교육실태 각 학급의 중복장애아를 지도하는 교사를 조사한 결과는 담임교사가 담당하는 학급이 55명(45.87%)으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고, 중복장애 담당 교사가 담당하는 경우가 47명(34.85%), 요육 교사나 양호 교사가 담당하는 경우가 2명(1.57%)으로 나타났다. 중복장애아에 대한 지도 정도를 보면, 아주 잘 이루어지고 있다라고 생각하는 응답자는 2명(1.55%)이며, 대체로 잘 이루어지고 있다가 46명(35.66%), 실시하지 않고 있다가 2명(1.55%)으로 나타났다. 지도는 하고 싶지만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가 76명 (58.91%)으로 가장 높은 응답율을 보여 시각장애 학교 교사들의 중복장애아 지도에 대한 교육적 관심도는 높게 나타나지만 제반 교육 여건이 잘 구비되어 있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교육 프로그램 운영을 보면 전체 응답자 130명 중 학교 자체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으로 교육하는 경우가 22명(16.92%), 담임(담당) 교사가 개발한 개별화교육 프로그램이 73명(56.15%)으로 나타나 73.07%가 중복장애아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으로 교육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간마다 임의로 지도하는 경우 28명(21.54%), 특별한 지도를 안하는 경우 2명(1.54%)과 같이 중복장애아에 대한 별다른 교육 프로그램이 없이 교육하고 있는 비율도 23.08%로 나타났다. 이는 시각장애 학교 중복장애아 교육 부재 실태를 단적으로 엿볼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이에 대한 개선책으로 다양한 중복장애아 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중복장애의 지도 중점부분은 일상생활 훈련이 102명(80.31%)으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이고 있다. 그 외 기타 8.66%, 교과위주, 점자지도가 5.51%로 나타났다. 다. 중복장애아에 대한 교육 대책 교사들의 중복장애아에 대한 교육적 조치 요구를 보면 '시각장애 학교 내에서 교육적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응답한 경우가 114명(86.36%)으로 가장 높은 빈도를 보이고 있어, 제도적으로 중복장애아를 적절하게 교육할 수 있는 제발 여건을 조성하여 이들의 교육적 방치 문제를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 밖에 '별도의 중복장애아를 위한 교육기관에서 교육해야 한다'고 응답한 경우도 5명(11.36%), 기타의견은 2.27%로 조사되었다. 이중 중복장애아의 교육 형태에 대한 요구에서는 '별도의 중복장애학급을 편성해야 한다'는 의견이 67명(56.30%), '시간제 특수학급을 편성해야 한다'는 의견이 30명(25.21%)으로 81.51%가 장애특성을 고려한 개별적인 교육수준에 맞추어 교육할 수 있는 특수학급 형태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밖에 보조 교사 지원이 15명(12.61%)으로 중증 중복장애아의 교육 보조를 요구하고 있으며, 기타의견은 5.58%로 나타났다. 또한 중복장애아 교육에 필요한 지원책으로 예산지원(43.09%), 교육과정편성(22.76%), 전담교사배치(17.07%), 보조교사 배치(16.26%)순으로 나타났으며 중복장애아의 교육과정 편성에 있어서의 요구를 보면 별도의 교육과정에 61명(48.80%)이 응답을 하였고, 학교 수준의 개별화 교육과정이 45명(36%), 현 교육과정 속에 재편성해야 한다는 의견이 16명(12.80%)으로 현행 교육과정으로는 중복장애아 교육을 적절히 수행하지 못함을 시사하고 있어 교육과정의 재편성이 요구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교육과정 편성 시 그 주안점을 어디에 둘 것인가를 보여 주고 있는데, 응답자의 76.81%인 53명이 일상생활 훈련을 중점 영역으로 들었고, 그 다음으로 치료 · 재활 교육 8명(11.59%)의 순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중증 중복장애아의 일상생활 훈련과 치료 · 재활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시각장애 학교 중복장애 학생의 교육에 대한 정책적 함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복장애 영역별 특성과 수준을 고려한 교육적 조치와 지원체계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시각과 정신지체, 시각과 정신장애, 시각과 지체부자유, 시각과 청각 등 중복된 장애 영역별로 판별과 배치 기준, 교과 교재 개발 및 재구성 등을 제도적으로 마련하여 교육의 수월성, 효과성, 효율성을 거둘 수 있게 해야 할 것이다. 둘째, 중복장애아동의 교육은 그 다양성과 필요성의 현실적 문제를 인식하여 그에 맞는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또한 그 장애 아동이 개인간차(個人間差)와 개인내차(個人內差)를 고려한 교육이 필요성이 있는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시각중복장애학생과 단순시각장애 학생의 원활한 수업과 교사의 학습 지도를 위하여 시각장애 학교의 중복장애 특수학급 설치의 의무화와 더불어 전담교사 및 보조교사 배치가 요구되는 바이며, 중복장애아를 위한 자체 교육과정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며 이를 위하여 예산 지원, 시설 설비 등의 제반 지원 방안이 제도적으로 확보되어야 한다. 셋째, 시각중복장애학생의 특성 연구의 실시로 기본적인 일상생활훈련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단순시각장애 학생을 비롯한 시각중복장애학생에 대하여도 획일적인(안마, 침구등) 교육과정 보다는 진정한 사회통합을 위한 밑거름으로 다양한 접근의 직업재활교육도 함께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직업훈련 강화 및 직업개발도 필요할 것이다. 넷째, 연구과정에 나타난 하나의 문제였던 것은 시각장애 학교의 시각장애인 교사가 시각중복장애학생 지도에 현실적 애로점이 크다는 사실을 발견한 것이다. 이 문제를 해결 · 보완하기 위해서는 보조교사제 도입 및 시행 등도 요청하는 바이며, 또한 이 문제는 향후 계속적인 연구에서 깊이나 넓이를 더하는 연구가 있기를 바란다. 주지한 바와 같이 본 연구는 시각장애 학교 내에서의 중복시각 장애학생의 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연구로서 위와 같은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내용을 바탕으로 시각장애 학교에서의 시각중복장애학생의 교육적 질 향상에 대한 노력과 자원이 필요하다 할 것이다. This research searches blind multiple disabilities present condition and education actual conditions that is estranged in sight disability booklore, and allowed purpose of research to be effective for educational quality elevation of blind multiple disabilities and grope education improvement way. Infancy department, primary grade departments of national 12 blind disability school for this research, of 130 people of seat of learning, rise department student 1,284 people whole and 405 charge teachers to investigation caravan do. Because figure processing of this research inflected SAS and questionnaire that use by this research applies 'Diagnosis of education for the disability greate box Estimation Judging and choice standard (article 9. The second clauses connection)' of Promotion the Acts of Special Education enforcement ordinance and Education for the disability greate box diagnosis Tool(article 2, The third clauses connection) of estimation' of Promotion the Acts of Special Education enforcement regulations, investigated each child's multiple diabilities present condition, and After reference question earth that use in 'Special school student's multiple disabilities actual conditions and education present condition' of Jeong-ryeol Park, Gyu-sik, Lee (1984) and question earth that use in 'Multiple disabilities student diagrace and disability to this research, used question magazine that supplement correction through preliminary investigation. Composition of questionnaire divided as school and teacher and contents were consisted of 37 item all by multiple disablilties present condition 2 item, education cloth support actual condition 12 item, education actual condition 8 item, education operation support 6 item, education countermeasure 9 item. Through this research, the net result findings is as following. 1. Multiple disabilities present condition If see multiple disabilities present condition, a student who have blind disability of 1284 blind disability school student was expose that Student with multiple disabilities that is 960 people (74.7%), and has other disability beside blind disability that is main disability shows ratio of 25.3% to 324 people. The case of the recent our country blind disability school Student with multiple disabilities trick, there is no examined correctly thing, but is presumeing by about 1/3 in national education for the disability circle(1996), and when establish school education plan every year for program development with correct training courses bias in Student with multiple disabilities sacred ground that is occupying many in blind disability school because is trend that is increading by higher ratio than him actually, must inspect correctly Student with multiple disabilities number and organize school training courses on the basis of him. If see diability area multiple disabilities distribution, of main disability of seat of learning rise department student of 1,284 sight disability school infancy department primary grade department blind disability person disability area multiple disabilities distribution mental retardation 171 people (13.31%), language impairment 12 people (0.93%), emotional disorder 52 people (4.04%), lineage lack of freedom and disease weakness 26 people (2.02%), difficulties 5 people (0.38%), studying disability 11 people (0.85%), a student who have other (more than three disability) disability by 47 (3.77%) appear. Case that is mental retardation redundancy of this showed the highest ratio by 171 (13.31%), and the next time was expose by order of emotional disorder, other (more than three disability), lineage lack of freedom and disease weakness, language impairment, studying hitch and difficuties appeared by the lowest ratio by 5 (0.38%). Also, in infancy department's case if see process multiple disabilities 30 people (37.03%) of 81 people, 146 people (39.3%)s of 374 primary grade department, of 63 people (23.77%)s of 265 seat of learning, 85 (15.07%)s of 564 rise department by Student with multiple disabilities appear. If see process multiple disabilites distribution, primary grade department 39.03%, infancy department 37.03%, of that readjustment of educational programs about these process nees becuase multiple disabilities appears by serious thing is school age flag opening part department's lower classes seeing multiple disabilities as seat of learning 23.77%, rise department 15.07% period of ten days know can. And, in the case of man and woman multiple disabilities distribution, 210 people (16.35%), girl student of boy student appears by 114(8.95%) and multiple disabilities ratio of boy student appeared than girl student much higher. 2. Student with multiple disabilities education actual conditions A. Education arrangement of school about Student with multiple disabilities Can know that see and is operating much that it appears by 7 opening of a schools (58.33%) that class for physically disability and mentally retared children for Student with multiple disabilities of 12 opening of a schools is, and 5 opening of a schools (41.67%) sees that answer that is not and appeared as class for physically disability and mentally retared children operation for Student with multiple disabilities is unprepared yet. Can know that is because this is not easy to assign multiple disabilities class for physically disability and mentally retared children which need these education situation in situation that all sorts situation of teacher arrangement or budget support, educational programs etc. is not make up. Therefore, systematic action or support way about their education may have to be established in trend that Student with multiple disabilities ratio of blind disability school is increasing gradually. School which is operated into class approved between 7 opening of a schools that is operating multiple disabilites class for physically disability and mentally retard children formally appeared by 1 opening of a school (14.28%), and 6 opening of a schools (85.71%) appeared school that operate itself interiorly into rain formality class. In the case of certification class, while can offer suitable education situation at operation and gain educational effect because budget is supported with teacher, but in case of class if is rain instigation or budget being not supported separetely, because is not doing Student with multiple disabilities education effectively, teacher's assignment or budget support may have to be readied by necessary support way hereupon. And school which educate by training courses that charge teacher develops if see relevant training courses of school which is operating multiply disability class for physically disability and mentally retared children is 3 opening of a schools, and school which educate by particularization education program was expose that training courses of school level about Studuent with Multiple disabilities are not readied apearing by 4 opening of a schools. B. Student with multiple disabilities education actual conditions Result that investigate artfulness which guide Studnet with multiple disabilities of each class that teacher in charge takes charge by 55 (45.87%) the highest ratio show, and case that 47 people (34.85%). Therapeutic take care teacher or nurse-teacher takes charge of case that multiple disabilities charge teacher takes charge appeared by 2 (1.57%). If see map true path about Student with multiple disabilities, respondent who think that is consisting excellently is 2 people (1.55%), 46 people (35.66%) while is consisting well on the whole, appeared by 2 (1.55%) while is not enforcing. Map wants to do, but educational interest degree for blind disability school teachers' Student with multiple disabilities map apears high becuase seeing the highest response rate as 76(58.91%) while is not consisting well, but can know that all sorts education situation was not equip well. Also, case that educate by program that develop in school itselves among 130 whole respondent if conduct educational programs operation was expose that 73.07% is educating to educational programs about Student with multiple disabilities bacuase particularization education program that 22 people (16.92%), teacher in charge (charge) teacher develops appears by 73 (56.15%), and ratio that is educating without alternative educational programs about Student with multiple disabilities with 2 (1.54%) when did not 28 people (21.54%), special guidance when guide voluntarily in time appeared by 23.08%. That this does as can look furtively by to weigh blind disability school Student with multiple disabilities education elements actual conditions, various Studuent with multiple disbilities educational programs may have to be developed by reform measure in reply. And map emphasis portion of multiple disabilities routine training by 102 (80.31%) the highest ratio show. Among others etc. 8.66%, subject putting first, Braillewriter type map appeared by 5.51%. C. Education countermeasure about Student with multiple disabilities If see educational action request about teachers' Student with multiple disabilities, case that respond that must take educational action within blind disability school may have to show the highest frequency by 114 (86.36%), make up all sorts situation that can educate Student with multiple disabilities properly systematically and improve their educational leaving alone problem. It is 5 people (11.36%) that respond that must educate him in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Student with multiple disabilities and other silk is 2.27%. Request about Student with multiple disabilities education form of this was expose that opinion which opinion which must organize special multiple disabilities study must organize 67 people (56.30%). part-time class for physically disability and mentally retared children prefers trainable class for physically disability and mentally retared children form depending on individual education level that 81.51% considers disability special quality by 30 (25.21%), and assistance teacher support requires serious illness Student with multiple disabilities education assistance by 15 (12.61%) him and other silk appeared by 5.58%. Also, do budget support (43.09%), course of study bias (22.76%), complete charge teacher ship by necessary support policy in Student with multiple disabilities education (17.07%), opinion which was expose by assistance teacher arrangement (16.26%) period of ten days and 61 (48.80%) responded in special training courses if see Student with multiple disabilities request in training courses bias and particularization training courses of schoool level must reorganize in 45 people (36%), present training courses current training courses are previewing that do not achieve Student with multiple disabilities education properly by 16 (12.80%) and can know that reorganization of training courses is required. Also, at training courses bias the essential point is going to put to where show, 53 people that is respondent's 76.81% lifted routine training by emphasis area, and is the next time treatment Expressed emphasis sacred ground by order of rehabilitation education 8 (11.59%). Is this serious illness Student with multiple disabilities routine training and treatment Emphasize the importance of Rehabilitation education. With study finding of something wrong, political intent contents about blind disability school multiple disabilities student education are as following. First, must ready educational action and support system that consider multiple disabilities area special quality and level. Must do as can ready distinction and arrangement standard, subject teaching material development and reconfiguration etc. systematically by duplicate disability area such as blind and mental retardation, blind and mental disorder, blind and lineage lack of freedom, blind and hearing and harvest several months sex of education, effect sex, efficiency. Second, Multiple disabilities child's education recognizes realistic problem of the variety and necessity and need suitable program. Also, there is necessity of education that the disability child considers variance between individual and individual inner variance. Complete charge instigation and assistance teacher arrangement are required along with duty of multiple disabilities class for physically disability and mentally retared children setup of blind disability school for a blind Student with multiple disabilities and smooth class of a simplicity blind disability student and teacher's studying tuition with this, and itself training courses development for Student with multiple disabilities is required urgently and all sorts support way of budget support, equipment etc. should be defined systematically for this. Third, Vocational training enrichment and profession development may need so that vocational rehabilitation education of various access may can achieve together by manure given at sowing time for society integration that is genuine more than singler (massage, invasion etc.) training courses about a blind multiple disability student including a simplicity blind disability student going forward more as well as fundamental everyday life training by enforcement of blind multiple disabilities student's special quality research. Fourth, it finds truth that bilnd person teacher of blind disability school is big realistic bottleneck in blind Student with multiple disabilities guidance that was one problem that appear in research process. To solve this problem and supplement assistance teacher my introduction and enforcement etc. require, also, this problem in hereafter continuous research depth or width there is more research desire. As note, this research proposed improvement way through research for quality elevation of Student with disabilities education in blind disability school. Is going to speak that effort and support about educational quality elevation of a blind Student with disabilities student in blind scdhool need with contents that is drawn through this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