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놀이치료에서 부모의 놀이치료 기대와 양육 스트레스가 작업동맹에 미치는 영향

        김정화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47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 of parent’s expectancy for play therapy and parenting stress on working alliance in play therapy. The study subjects selected to achieve the above research goal were 102 parents who had gotten parental counseling from 3 times to 12 times among the parents receiving play therapy in Seoul and Gyeonggi area. The research components include Parent Expectancies for Therapy, Parenting Stress Index/Short Form, and Working Alliance Inventory that used the self-report survey questionnaire as the tool of research. The data processing was conducted using the frequency, percentil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t-verification,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simple regression, multiple regression,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xpectancy for play therapy, parenting stress, and working alliance did not differ by age. Parenting stress differed by their academic background. However, expectancy for play therapy and working alliance showed no difference by their academic background. Second, parent’s expectancy for play therapy indicated positive correlation with working alliance. And parenting stress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working alliance. Third, parent’s expectancy for play therapy was shown to be a significant variable to expect working alliance with the therapist perceived by the parent. That means, we can expect that as parent’s expectancy for play therapy gets higher, they tend to perceive working alliance with the therapist more highly. The point of working alliance of the upper 30% group in expectancy for play therapy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lower 30% group in expectancy for play therapy. Fourth, parent’s parenting stress was shown to be a significant variable to expect working alliance perceived by the parent. Considering this research result that there is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parent’s parenting stress and working alliance, we can anticipate that as parents get higher parenting stress, they tend to perceive working alliance with the therapist lower. The point of working alliance of the upper 30% group in parenting stres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lower 30% group in parenting stress. Fifth, parent’s expectancy for play therapy and parenting stress were all proved to be significant variables to anticipate the intensity of working alliance. Parent’s expectancy for play therapy is a strong predictive factor for working alliance, and when parenting stress is additionally inputted, we can expect the point of working alliance better.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verified that parent’s expectancy for play therapy and parenting stress have major influence on working alliance in parental counseling for play therapy. The findings emphasized that it is important for play therapists to consider expectancy for play therapy and parenting stress in order to enhance the quality of working alliance in parental counseling and also improve the effect of play therapy as well.

      • 節制敎育에 關한 韓.日道德敎材의 比較 考察

        김정화 서울교육대학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논문은 일본과 한국에서 이루어지는 도덕교육에서의 절제 교육의 실태를 고찰하기 위한 것으로 양국의 교육과정에 나타난 덕목(1980년-2000년)과 한·일 도덕 교재(2000년의 한국의 교과서와 일본의 부독본)를 비교하여 살펴보았는데 중요한 내용을 장별로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2장에서는 이론적인 배경을 살펴보았는데 절제란 일반적으로 욕망을 알맞게 조절하여 제한한다는 의미를 갖고 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니코마코스 윤리학에 나타난 절제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절제의 중요한 대상은 육체적 쾌락이고, 절제는 쾌락에 대해 中庸의 상태를 이룬 것이며, 절제의 덕은 어려서부터 규칙(법률)과 이성을 통한 훈련으로 얻을 수 있으며, 절제는 자제와 참을성 등을 포함하며, 절제는 實踐智를 보전한다는 뜻의 말로 사려, 판단, 이성을 통해 실천되며, 돈이나 물질에 대한 자제를 통해 절약의 덕을 이룰 수 있으며, 절제는 민주제도에 가장 어울리는 덕이라고 한다. 유교 사상을 중심으로 나타난 절제의 특징은 절제'는 예를 통해 孔子의 '仁'을 실현하는 중요한 덕으로, 忠恕의 정신과 다르지 아니하며, 절제의 꾸준한 실천을 통해 中庸을 이룰 수 있다고 한다. 위의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절제란 인간의 근본적인 욕구를 잘 조절할 때 가장 인간다운 삶을 유지하게 되므로, 금욕적인 절제교육의 시각보다는 인간의 욕구의 발달단계(W. Damon과 A. Maslow의 이론)를 토대로 절제교육을 구성한 김태훈의 절제의 지도 계열을 알아보았다. 3장에서는 한국의 절제 교육을 1982년(4차 교육 과정)부터 2000년(6차 교육과정)까지의 교육과정에 나타난 덕목을 중심으로 간단히 살펴보았는데, 절제에 대한 덕목은 그 동안 큰 변화 없이 도덕교과를 통해 꾸준히 지도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절제에 관계된 제재를 우리들은 1학년, 바른 생활, 도덕, 생활의 길잡이를 통해 주안점, 지도내용, 지도상의 유의점을 찾아 보면서 내용을 고찰해 보았다. 4장에서는 일본의 1980년대부터 2000년까지의 교육 과정 지도요소(덕목)를 중심으로 절제 교육의 흐름을 간단히 살펴보았는데 1980년대에는 절제를 반성, 사려, 절도와 연관해서 지도하였으며, 정리 정돈, 물건이나 돈의 계획성 있는 사용, 공공물 아껴 쓰기 등은 절제와 다른 항목으로 지도함을 알 수 있었다. 2000년대에는 절도, 자제, 자립, 사려, 반성, 절제의 여러 덕목을 절제와 연관해서 포괄적으로 다룸을 알아보았다. 또 일본의 교재(부독본)를 통해서 주안점, 지도내용, 지도상의 유의점을 찾아보면서 내용을 고찰해 보았다. 5장에서는 한국과 일본의 절제 교육을 비교해서 유사점과 차이점을 알아보았는데, 한국은 1학년은 40개의 도덕과 제재 중에서 18개의 제재를 지도하고, 6학년에서도 35개의 제재 중에서 3개의 제재를 지도하고 있으며, 일본에서는 1학년에서는 30개의 제재 중에서 5개를, 6학년에서는 30개의 제재 중에서 2개의 제재를 지도하고 있어 양국이 모두 절제를 다른 덕목보다 중요한 덕목으로 여겨 저학년부터 고학년까지 많은 시간을 배정하여 지도하고 있음을 알아보았다. 지도 내용에 있어서는 저학년에서는 주로 신체나 물질에 관한 것(안전 생활, 용의 단정, 신체 청결, 정리 정돈, 물건 아껴 쓰고 절약하기, 즐거운 활동 찾아 즐겨보기, 시간의 절제)이고, 고학년은 활동이나 자아와 관련된 내용(계획성 있게 놀이하기, 자기 자원 관리하기, 집단 구성원으로 해야 할 일)을 지도하여 한국과 일본의 지도 내용이 유사함을 알 수 있었다. 절제 교육에서 절약에 대한 지도 시간은 한국과 일본이 모두 고학년으로 갈수록 지도 시간이 적은 편이다. 전체의 제재와 비교해 보면 한국은 거의 2/3의 많은 시간을 배정하고 있으나, 일본은 약1/3의 시간을 절약에 배정하고 있어 일본은 절약보다는 정신적인 면의 절제에 더 많은 시간을 통해 지도함을 알 수 있었다. 이상에서 살펴 본바와 같이 양국의 가장 큰 차이점은 한국은 절제의 덕목을 한정적으로 취급하고 절약의 부분을 강조하는데, 일본은 절제의 덕목을 신변 안전, 사려·반성 등을 연관시켜 포괄적으로 취급하며, 사려를 통한 정신적인 절제의 교육을 강조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uss the status of temperance education in Korean and Chinese moral education, by comparing the virtue items included in the curricula of both countries from 1980 to 2000 and the moral textbooks of both including the Korean textbook and Japanese supplementary reader. Chapter 2 describ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emperament. The word temperament generally refers to controlling and limiting one's desire properly. According to Aristotle's Nicomachan Eethics, the features of temperament could be listed as below: The major object that temperament is exercised against is a physical pleasure. The temperament means to use moderation against pleasure, and that could be acquired through reason training. That includes self-control and patience. That also is used as a word to maintain practical wisdom, and carried out through consideration, judgment and reasoning power. Controlling money or materials could acquire the virtue of saving, and temperament suits democracy the best. In Confucianism, temperament is one of the vital virtues to realize Confucius's In, or perfect virtue, through manners. That's as same as Chungseo, or faithfulness and benevolence. And sustained practice of temperament leads to moderation. From all the above- mentioned theoretical background, it can be said that people could lead the most manly life when they control their fundamental desires successfully. In this study, Kim Tae Hoon's temperament guidance was reviewed, which was based on W. Damon and A. Maslow's human desire development stage, instead of looking at it just from ascetic perspective. Chapter 3 explained the Korean temperament education by examining what virtue items were included in the curricula from 1982, the 5th national curriculum, to 2000, the 6th national curriculum. The temperament virtue had been taught steadily in moral class with little big change. The temperament-related topics in the textbook titled 'We are in our first year,' the right life textbook, the moral textbook and the guide to life, were reviewed to find out what's primarily dealt with and what teacher had to be careful in teaching students. Chapter 4 discussed the general trend of temperament education in the Japanese curricula from 1980 to 2000. In the '80s, temperament was instructed in that nation in conjunction with reflection, consideration and moderation. Putting things in order, planned use of things or money, and being economic of public things were taught as separate items from temperament. In the 2000s, that has been covered comprehensively in association with various virtue items such as self-control, independence, consideration and reflection. In addition, the Japanese supplementary reader was investigated to figure out what the essential point was and what should be kept in mind in teaching students. Chapter 5 made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Korean and Japanese temperament education to identify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Korea, first graders learned 18 out of 40 moral topics, and six graders learned 3 out of 35 topics. In Japan, first graders learned 5 out of 30 topics and six graders learned 2 out of 30 topics. This showed that both countries placed more stock in temperance than any others, teaching it in many classes. For lower-grade students, what's related to the body or materials were taught, involving safety life, neatness, physical cleanness, arrangements, sparing, saving, joyful activities, and temperance of time. And higher graders learned what's related to activities and self, including planned playing, self-resources management and duties as a member of group. So similar things were taught in the two nations. In temperance education, saving tended to be taught less in higher grade in both Korean and Japan. But saving accounted for nearly two thirds of temperance education in Korea, and that accounted for about one third in Japan. Accordingly, Japan gave more weight to mental temperament. As described above, the bigges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was that Korea didn't deal with temperament virtue comprehensively, stressing saving, and that Japan handled it more comprehensively in conjunction with personal safety, consideration and reflection, emphasizing mental temperance education that focused on consideration.

      • 국내산 족제비싸리의 부위별 유용 생리활성 탐색

        김정화 강원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47

        콩과의 낙엽관목인 국내산 족제비싸리(Amorpha fruticosa)를 경상남도 하동군 진교면 남해고속도로 변에서 채취하여 뿌리, 열매, 목부, 수피, 잎의 다섯가지 부위별로 추출하였고, 수피에서 wistin이라는 물질인 4', 7-dimethoxyisoflavone-6-O -β-D-glucopyranoside을 분리하였다. 각 부위별 추출물 및 단리된 화합물에 대한 생리활성을 탐색하였다. 생리활성 탐색으로는 항암 및 면역활성, 분화 및 자가사멸, 신경세포의 활성, 효소활성 및 마우스를 이용한 항스트레스 활성실험 등을 연구 하였다. 1. 각 부위별 추출물의 정상세포에 대한 독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인간 정장 폐 세포인 HEL299를 이용하였으며 각 추출물은 1.0 g/L의 농도에서 최고 22.2%의 세포독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항암 활성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4가지의 암세포를 이용하였는데, A549와 AGS에서 뿌리 추출물의 경우 1.0 g/L의 농도에서 70%정도의 높은 억제활성을 나타내었고, MCF-7과 Hep3B에서는 열매가 80%정도의 높은 억제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암세포의 생육활성에 대한 정상 세포의 세포독성의 비로 나타낸 선택적 사멸도는 고농도에서는 모두 1.5이상으로 나타나 모두 암세포에 대한 선택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면역세포의 생육 촉진 실험을 위하여 인간의 B cell과 T cell을 이용하였으며 각 추출물의 농도를 0.5 g/L로 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생육도는 T cell의 경우 배양 6일째 수피 추출물이 7.5×104 cells/㎖의 세포농도를 나타냈으며 B cell의 경우 배양 5일째 4.5×104 cells/㎖의 농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수피에서 단리된 화합물도 수피의 생육 활성도와 유사한 결과를 갖는 것을 확인 하였다. 3. 면역세포를 이용한 cytokine의 분비량 측정실험에서는 열매와 잎의 추출물이 배양시간에 따른 cytokine의 분비가 가장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B cell의 TNF-α와 IL-6의 분비량은 5일째 최고의 분비량을 나타내었고, 열매와 잎의 추출물의 경우 대조구에 비해 약 1.6~1.8배가량 정도 더 높은 분비량을 나타낸 것으로 확인하였다. T cell의 TNF-α와 IL-6의 경우 6일째 최고의 분비량을 나타내었는데, 뿌리와 잎에서 가장 높은 분비량을 나타내었고, 대조구에 비해 약 1.8~2.5배가량 정도 높은 분비량을 나타내었다. 또한 족제비싸리 추출물을 첨가한 배지에 의한 B cell과 T cell의 면역활성 및 cytokine의 분비량에 따른 NK cell의 면역 활성을 측정하였으며 모든 추출물에서 배양 시간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 중 수피의 추출물과 그로부터 단리된 화합물이 가장 높은 생육활성을 나타내었다. J774.1 대식세포에 대한 NO- 생성능 측정실험에서는 수피추출물이 12.5μM로서 다른 시료들의 생산량보다 높은 생성능을 보여 주었다. 4. 세포 분화 및 자가사멸 측정 실험에서는 세포 분화 활성은 뿌리와 잎에서 다른 시료에 비해 약 1.6배, 1.8배가량 높은 분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세포사멸비율이 50~60%정도로 시료 투여 후 5일째는 부유상태로 A549는 접착성세포임에도 거의 사멸하였다. 각 시료별로 현저한 차이는 없었으나 뿌리추출물의 경우 70%로 다른 시료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항체 생성능 측정 실험에서는 족제비 싸리의 수피, 열매 그리고 뿌리에서 control에 비해 높은 생성능을 나타내었고, control이 15일 동안 약 1.077배 증가하는 동안 수피는 1.26배로 가장 높은 증가율을 나타내었다. 열매와 뿌리도 control에 비해 항체 IgG의 생성이 높게 나타난 것을 확인하였다. 5. 추출물에 의한 폐암 세포인 A549와 면역세포인 T cell 활성을 실시간으로 측정하기 위하여 Microphysiometer를 이용하였다. 폐암 세포는 최종 측정시간인 280분에 뿌리 추출물이 최고 80%까지 활성을 저하시켰으며 측정시간에 따라 활성이 점차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면역세포는 최종 측정시간에 수피의 추출물에서 115%로 활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래서 족제비싸리의 추출성분 중 항암 및 면역활성에 관련된 성분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6. 항보체 활성을 측정한 결과 대부분의 시료에서 70%이상의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고, 그 중 열매와 수피 부분에서 80%이상의 높은 항보체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것으로 미루어 볼 때 이러한 열매와 수피는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면역 세포의 증강 효과를 가져옴과 동시에 항보체 활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족제비싸리의 열매와 수피의 추출물 중 두가지 면역 활성을 증강시키는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7. 각종 효소실험결과 고혈압상승과 관련이 있는 ACE효소 억제 실험에서는 모든 시료가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율이 증가하며 그 중에서도 뿌리와 잎의 추출물이 약 35%정도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간의 중요한 해독기전중의 하나인 Glutathion-S-Transferase(GST)에 여러 시료들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 조사한 실험에서는 뿌리 추출물의 경우 대조구에 비해 약 2~3배정도 더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α-glucosidase의 활성 억제율을 검색하였는데 그 중에서도 잎의 추출물이 다소 높게 나왔는데 1.0 g/L에서 55%로 대조구보다 10%정도 더 높게 나왔다. 8. 신경세포의 생육 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PC12을 이용하였으며 수피 추출물이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6일째 가장 높은 생육활성을 보였다. 수피뿐만 아니라 목부와 잎도 대조구에 비해 6일째 증가하는 경향을 가지고 있다가 7일째이후로 감소하여 사멸하는 과정을 확인할 수 있었다. 9. 추출물에 의한 항 스트레스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ICR 마우스를 이용한 스트레스 실험을 실시하였다. 각 추출물에 의한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마우스의 혈청과 장기의 무게변화 cortisol의 분비량을 측정하였다. 족제비싸리 각 부위를 경구 투여하여 항 스트레스를 측정하였으며 수영스트레스의 경우 열매의 추출물이 standard control의 cholesterol 수치 55 mg/dl와 glucose 수치 108 mg/dl에 가장 가까운 71 mg/dl와 79 mg/dl가 나타났으며, 열풍스트레스에서는 열매의 추출물이 71 mg/dl와 62 mg/dl, 냉온스트레스에서도 열매 추출물이 78 mg/dl와 68 mg/dl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인 항 스트레스 효과를 보면 열매가 가장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cortisol의 분비량을 측정하였는데 각종 스트레스에서 수피의 추출물이 standard control의 분비량인 95.20 pg/㎖의 수치에 가장 가까운 97.05 pg/㎖, 100.58 pg/㎖, 96.63 pg/㎖의 분비량을 나타내었다. 10. 족제비싸리 부위의 생리활성을 통하여 수피가 면역활성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여 여기에서 물질을 단리하여 수피의 조추출물과 단리 화합물과의 면역 활성 비교실험을 수행하였다. 먼저 인간 면역세포인 B 세포와 T 세포의 생육도를 비교한 결과 수피의 조추출물과 단리 화합물의 생육도가 모두 대조구보다 높은 증식도를 보였고, 두 물질은 유사하게 증식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면역세포에서 분비하는 cytokines의 분비량의 경우 세포 증식도가 조추출물이 높은 반면 단리 화합물에서 조추출물보다 높은 분비량을 나타내었다. 11. 족제비싸리 수피의 조추출물과 단리화합물의 면역활성 비교실험의 하나인 면역 세포의 분비물 cytikines인 IL-6와 TNF-α에 의해 영향을 받아 증식하는 NK 세포의 활성도를 측정한 결과 수피의 조추출물과 단리 화합물 모두 대조구에 비해 높은 증식도를 보였고, 수피의 조추출물이 단리 화합물보다 더 높은 생육 활성도를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족제비싸리의 각 부위별 추출물의 생리활성을 비교실험에서 뿌리, 수피, 열매의 추출물에서 유용 생리 활성이 가장 높게 나타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여러 암세포에 대한 강한 생장 저해활성을 통해서 항암활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면역 실험에서는 면역세포를 이용한 활성실험을 통하여 면역 생육촉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cytokines의 분비량을 촉진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수피 추출물보다 그것으로부터 분리한 단리 화합물에서 더 많은 분비량을 나타냄으로서 cytokines의 분비를 촉진 시키는 성분인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항스트레스 실험을 통하여 열매와 수피 추출물의 스트레스에 대한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것으로 알 수 있듯이 족제비싸리의 조추출물에서 높은 생리 활성을 나타내었고, 수피에서 면역 활성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이것은 복분자 열매82)나 황칠나무 잎83)과 같은 물질의 항암활성이나 면역활성과 비교했을 때 다소 낮은 경향을 나타냈지만, 생리활성에 대해 큰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이를 바탕으로 수피에서 단리한 화합물과의 비교실험에서 조출물과 단리 화합물 모두 높은 증식도를 나타내었고, 그 중 조 추출물에서 더 높은 면역 활성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면역세포 분비물인 cytiokines의 분비량에서는 수피의 조추출물보다 단리화합물에서 더 높은 분비량을 나타내었다. 이를 바탕으로 수피에서 단리된 화합물은 신의약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고 사료된다. 따라서 족제비싸리의 각 부위별 유용성분을 대량 분리할 수 있는 기술을 확보해 그 물질을 이용한 고부가가치를 지닌 기능성 소재화를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되고자 한다.

      • 소아환자에서 비침습적 검사를 위한 수면유도에 관한 연구 : 신경계 환아와 비신경계 환아의 반응 비교

        김정화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icacy and safety of sedatives to sedate pediatric patients with non-invasive procedures by pediatricians. Methods: We performed a prospective study in 446 (aged 1 month ~ 21 years) consecutive pediatric patients undergoing sedation for studying non-invasive sedation technique from February 2007 to August 2007. We reviewed demographic data, sedative drugs, dosage, complication, and successful rate of sedation according to the underlying diseases. Results: Three sedative drugs were used in this study, which consisted of mainly chloral hydrate (424/446, 95.1%), ketamine (17/446, 3.8%), and midazolam (5/446, 1.1%). The overall successful rate of sedation was 435/446 (97.5%). The overall rate of successful sedation using chloral hydrate was 99.1% (420/424), and it was 70.6% (12/17) and 60.0% (3/5) with ketamine and midazolam, respectively. Of neurologic patients (N=172, aged 1month~21years), 136 patients were sedated for EEG, 5 patients for renal scan, and 31 patients for neuroimaging study such as brain CT or Epilepsy MRI were also sedated. In consequence, 94.9% of patients undergoing EEG were successfully sedated, whereas 100% of patients undergoing renal scan, 100% of patients undergoing brain CT, and 89.3% of patients undergoing epilepsy MRI were successfully sedated. All non-neurological patients (N=274, aged 1month~5years) were diagnosed with Urinary tract infection and were to be sedated for renal scan. The overall success rate of sedation for this group was 99.6% ( 273 /274). A total of 14 adverse events were observed (3.1%). Most of adverse reactions were mild in severity and clinically insignificant. Conclusions : Sedation is an essential component in performing various procedures in infants and young children. There are many sedative agents such as chloral hydrate, ketamine, midazolam that are capable of providing successful sedative effect, however, there are also issues regarding the strategy of using these agents on a regular basis. Our data suggests that neurologic patients were more difficult to sedate for procedure than non-neuologic patien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et up an effective sedation protocol for neurologic patient. 목적 : 소아 환자에서의 검사 시 필수적인 수면유도를 위해 사용되는 약물이 시술자에 따라 선택이 다양하며, 대상 환자에 따라 그 효과 또한 다양하게 나타난다. 본 연구는 사용된 약물에 따라 약물의 효율성과 안정성을 신경계 질환자와 비 신경계 질환자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 2007 년 2 월부터 2007 년 8 월까지 전북대학교 병원 소아과에서 뇌파 또는 신경 방사선학적 검사를 위해 수면유도를 시행한 172 명과 요로 감염 환자 등 비 신경계 환자 274 명, 총 446 명의 소아과 환자를 대상으로 수면 유도 성공여부, 추가 약물, 부작용 발현 등 전향적인 방법으로 연구를 하였다. 결과 : 대상 환자는 신경계 질환자 172 명(남: 101 명, 여: 71 명), 비 신경계 질환자 274 명 (남: 211 명, 여:63 명)이었다. 수면유도에 사용 된 약물은 chloral hydrate (150/172 명, 274/274 명으로 각각 87.20%, 100.0% 평균 용량: 50.0mg/kg), ketamine 17/172 (9.8%), midazolam 5/172 (2.9%) 순서로 사용 되었다. 수면유도의 성공률은 chloral hydrate 의 경우 420/424 (99.1%), ketamine 은 12/17 (70.6%), midazolam 은 3/5 (60%)였다. 실험을 진행하는 동안 총 수면 유도 성공률은 435/446 (97.5%)였으며, 부작용의 발생률은 3.1%로 검사 시행 중에 환아가 깨거나 구토를 하는 것 이었으며, 대개는 경미하였고 임상적으로 유의한 부작용은 아니었다. 신경계 환자의 경우 172 명이 분석되었는데 뇌파를 위한 수면유도는 136 명, renal scan 은 5 명, brain CT 는 3 명, epilepsy MRI 는 28 명이었음. 이들 그룹의 성공률은 뇌파의 경우 94.9%, DMSA renal scan 100%, brain CT 100%, epilepsy MRI 89.3%였다. 비신경계 환자의 경우 274 명을 분석하였고, 모두 DMSA renal scan 을 시행하였으며, 성공률은 99.6%였다. 결론 : 수면유도는 영 유아의 경우 소아과 영역에서 술기를 실시하는데 중요한 것으로, 수면유도를 위한 약물에 관하여 여러 논란이 존재한다. 각각의 수면유도 약물 사이에 성공률과 부작용발생률에 따라 술기에 맞게 약물을 선택하여야 할 것으로 여겨지며, 환자요인분석에 따르면 신경계 환자의 경우 다른 환자 군에 비교하였을 때 수면유도가 힘든 점으로 미루어보아 일차약물의 선택에 있어서 다른 기준이 요구될 것으로 보인다.

      • 초등학생들의 고령화에 대한 인식

        김정화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e society where we are living, various social problems are occurring. These problems are not only affecting individuals but magnified as social and national issues affecting the society in various ways. The low birth rate and population aging, both of which are emerging social problems, has recently come to the fore as a serious global social issue that urgent action needs to be taken. However, the seriousness of the low birth rate and aging society are not well appreciated and the education system for social issues at schools rarely includes low birth rate and aging problems. In this study, primary school students’ cognition of low birth rate and population and the resultant change in population composition has been investigated since it is important for students to understand the social issues derived from low birth rate and aging and have proper sets of values. We have interviewed 5·6 grade primary school students from rural and urban regions about five subjects of population studies(change in population structure, various types of family, life planning for the elderly, role of the elderly, generation equality) which can examine the students’ awareness of low birth rate and population aging. The result of interviews has been analyzed to verify the needs of improvement in primary social studies education for population and aging. The conclusions from the interviews are as below. First, students have little interests in population problem and are not aware of the transition into the aging society. This result seems to be caused because students are not capable to infer the low birth rate and aging from the social problems. Second, although students recognize that aging population will cause the diminution of labor productivity and the weakening of national competitiveness, they are not aware of the impact of aging society on labor, wellbeing, culture, industry, and etc. This problem is caused by the deficiency of education on aging population as well. Thus, it is recommended to form a curriculum which can help students to understand current and future societies using various materials on the change of population composition. Third, it is inferred that primary students’ understandings on population aging have variations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family and region. Students who are living in the rural area and ever lived with their grandparents have talked about the elderly issue more in detail and more concretely compared to urban students. Rural students recognize the elderly as those who need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with younger generation. Fourth, students’ understandings on population aging can be significantly affected by students’ impression towards the elderly. Most students recognize the elderly as disadvantaged who need other’s help. This affects students’ opinions on the life planning for the elderly and the role of elderly so that students think the elderly can do very limited activities such as nurturing grandchildren, floral arrangement, and cleaning. In this survey research, we provide suggestions on the improvement of population education as below. First, in the current and future social studies education curriculum and textbooks, the content of population education should be modified and improved in order for students to recognize population aging as an important social or individual issues and control these issues. Second, we should construct and provide proper population education for students from different regions by developing new supportive materials which can take the regional variations into account. Third, materials which will improve students’ impression toward the elderly should be developed to support students to better understand the elderly and their social roles. This research investigated students’ understandings on the population aging and provided the implication of the improvement on the social education curriculum. Further similar studies is required to provide adequate approaches to low birth rate and population aging problems in the primary social education.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현실에서는 다양한 사회문제들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는 개인적인 차원에서 머물지 않고 사회나 국가적인 문제로 부각되어 곳곳에 영향을 끼치고 있다. 최근 발생하고 있는 많은 사회문제들 가운데 특히 저출산·고령화 문제는 우리 사회 뿐 아니라 전 세계적인 문제로 부각되고 있으며 현재 우리나라가 해결해야 할 과제 중 가장 시급하고도 중요한 현안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중대성에도 불구하고 저출산·고령화 사회 현안에 대한 우리 사회의 인식수준은 그다지 높지 않으며 학교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사회과교육의 저출산·고령화 관련 내용 또한 미비하여 이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도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이 저출산·고령화 문제에 대해 적극적으로 이해하고 올바른 가치관을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보고 저출산·고령화와 관련된 초등학생들의 인구구조 변화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촌락과 도시 지역의 5, 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고령화 인식을 알아볼 수 있는 다섯 가지 영역(인구현상의 변화, 다양한 형태의 가족, 고령자의 인생설계, 고령자의 역할, 세대간의 평등)에 따라 면담하였으며 면담의 내용을 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분석하여 초등학교 사회과의 고령화 관련 인구교육개선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면담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학생들은 인구문제나 인구현상의 변화에 대해 무관심한 편이었고, 고령화 사회로의 전이라는 국가적 변화에 대해서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였다. 이는 고령화 사회와 관련된 학교교육의 내용이 부족하고, 초등학생 연구 참여자들이 자신이 경험하고 있는 사회적 현상을 저출산·고령사회라는 거시적인 관점으로 유추해내는 능력이 부족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둘째, 학생들은 고령화 현상이 지속되면 노동 생산성 둔화로 국가경쟁력이 약화되는 사회적 문제가 발생할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지만 그 외의 노동, 복지, 문화, 산업 등의 분야에서 나타날 수 있는 사회적 문제 및 영향에 대해서는 인식하고 있지 못하였다. 이 역시 고령화와 관련된 학교교육의 내용이 부족하였기 때문으로 인구현상의 변화에 대한 다양한 자료를 바탕으로 현재 우리 사회의 모습과 미래 사회의 모습을 예측할 수 있도록 도와 줄 수 있는 교육과정의 편성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셋째, 사회학적 특성 가운데 가족특성과 지역특성이 초등학생들의 고령화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는데 특히 조부모에 의한 양육경험 유무와 거주지역에 따라 고령화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조부모와 함께 산 경험이 있으며 촌락지역에 살고 있는 학생들은 도시지역의 학생들보다 고령자 관련 문제에 있어 보다 자세하고 구체적인 자신의 생각을 이야기하였으며 고령자를 무조건적인 존중이나 이해의 대상으로 보지 않고 젊은 세대와의 소통과 협력이 필요한 대상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넷째, 고령화에 대한 인식은 학생들의 노인에 대한 이미지가 어떠한가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학생들은 노인을 사회적 약자, 도움이 필요한 존재로 인식하고 있었고, 이러한 노인의 이미지는 <고령자의 인생설계>와 <고령자의 역할>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에도 영향을 끼쳐 노인들의 활동범위를 손자녀의 양육이나 꽃꽂이, 휴지 줍기와 같은 단순노동으로 제한하여 생각하도록 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초등학교 사회과의 고령화 관련 인구교육 개선에 관해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만들어지고 있는 사회과 교과서뿐만 아니라 앞으로 개정되어 나갈 교육과정에서는 학생들이 고령화문제를 우리사회의 문제 및 개인에게 닥칠 수 있는 문제로 인식하고 대처해나갈 수 있도록 인구관련 내용이 수정·개선되어야 한다. 둘째, 지역특성에 맞는 고령화 사회 및 고령자 관련 이해 자료를 개발하여 학습의 수요자가 지니고 있는 특성을 고려한 인구관련 교육 내용이 구성되고, 제공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고령자의 이해와 관련한 노인의 이미지 개선 자료를 개발하여 학생들이 노인들을 다양한 시각으로 바라보고 보다 넓은 영역에서 노인들의 사회적 역할을 기대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본 연구는 우리사회에서 발생하고 있는 많은 사회문제들 가운데 최대 현안이 되고 있는 고령화 문제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알아봄으로써 미래 사회에 대비할 수 있는 사회과 교육과정 개선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으며 이러한 연구가 계속 수행된다면 초등사회과에서 저출산·고령화문제에 대한 올바른 접근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단서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이미지와 텍스트가 혼용된 미술작품에 관한 연구 : 1950년대 이후 서양미술을 대상(對象)으로

        김정화 창원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이미지와 텍스트의 혼용에 전제된 기호학적 의미를 짚어보고 현대 미술의 흐름에서 어떠한 맥락적 해석이 가능한지 제시 하고자 한다. 텍스트와 이미지는 인류의 의사소통을 돕는 지표역할을 하면서부터 연관 되었다. 그 둘의 혼용은 소통이라는 궁극적인 목적에서부터 시작된 것이니만큼 보는 이들로 하여금 감상이 쉽다는 장점이 있다. 이것을 토대로 본 연구는 이미지와 텍스트의 혼용이 상황에 따라 의미를 지니게 되는 과정에 대해 고찰하면서 기존의 전반적인 학술자료를 바탕으로 두고 그것의 특성을 재정립하는 과정을 담았다. 본문에서는 다음과 같은 분석으로 연구가 이루어 졌다. Ⅱ장 ‘이미지와 텍스트의 혼용에 대한 이론적 접근’ 에서는 본 연구의 대상이 되는 1950년대 이후 서양미술에서 이 같은 표현적 양상이 대두된 배경을 알아보았다. 이어서 이미지와 텍스트의 상호관계에 관하여 초기의 쓰임에서부터 점차적인 확산적 쓰임에 관하여 살펴보고 기호학적 관점으로 분석하였다. Ⅲ장 ‘이미지와 텍스트를 혼용한 작품 분석’ 에서는 르네 마그리트 (Ren? Magritte, 1898~1967), 제스퍼 존스 (Jasper Johns, 1930~), 조셉 코수스 (Joseph Kosuth, 1945~), 로만 오팔카 (Roman Opalka, 1931~ 2011)의 작품을 순차적으로 분석하면서 각 작가들의 작품 속에 혼재된 이론적 의미를 소쉬르(Saussure Ferdinand De, 1857 ~ 1913)와 롤랑 바르트(Roland Barthes, 1915 ~ 1980)의 기호학에 연원을 두고, 그것에 연관된 다양한 작품을 해석하였다. 작품 속의 이미지가 내포적인 텍스트를 만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미학적 의미를 기호학적 시각을 통하여 밝히며 연구를 마무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가능성을 바탕으로 다소 결여된 소지가 있다고 판단되어지는 더욱 다양한 미술작품과, 그를 해석함에 쓰이는 기호론에 대한 비판적 시각에서 논의가 진전될 수도 있을 것이며 이러한 연구는 앞으로의 미술 표현 매체에 대한 연구에서 중요한 사료가 될 것이다.

      • 박태원 소설에 나타난 근대체험과 공간 형상화 방식 연구

        김정화 선문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작가 박태원의 근대체험 양상과 이러한 체험이 그의 소설 속 공간형상화에 구체적으로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해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박태원은 식민지 수도 경성이 고향이었고, 월북 전까지 삶의 대부분을 경성에 머물렀다. 또한 일본 유학을 통해 경성보다 규모가 컸던 제국의 수도 동경을 경험한 만큼 박태원은 풍부한 도시 감각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도시 감각은 그의 작품 속에서 도시 공간에 대한 세밀한 묘사와 함께 도시 문화를 근대문명의 측면에서 사유하는 양상을 보인다. 본 논문에서는 박태원의 근대체험이 도시 공간의 형상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 작품 속에서 구현된 공간의 특징들을 탐색해 보았다.

      • 남성 소비자의 피부 및 두피 관리 화장품에 대한 인식과 구매 행동

        김정화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평범한 일반 남성 소비자들의 피부 관리 및 두피 관리 화장품에 대한 인식과 구매 행동을 확인하고자 구매력을 갖춘 서울 · 경기 지역의 20세 이상 성인 직장 남성 34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여 통계 분석 하였다. 첫째, 조사 대상자의 피부 관리 및 피부 관리 화장품에 대한 인식은 자가 진단에서 피부 상태는 '나쁘다'가 전체의 40.6%, 피부 유형은 '정상 피부'가 전체의 25.3%, 피부 고민은 '수분 부족/주름'이 전체의 54.7%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피부 관리 화장품의 필요성에서 '필요하다'가 전체의 77.9%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피부 관리 화장품 사용 실태에서 사용 여부는 '사용'이 전체의 81.5%, 최초 사용 시기는 '20세 미만'과 '25 ~ 30세 미만'이 각각 전체의 26.4%, 사용하는 피부 관리 화장품의 종류는 '남성 전용 화장품'이 전체의 98.2%, 사용 이유는 '피부 보호 및 고민 해결'이 전체의 82.7%, 현재 사용 피부 관리 화장품의 품목은 '스킨'과 '로션'의 비율, 현재 사용 피부 관리 화장품의 피부 적합성은 '적합'이 전체의 89.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조사 대상자의 피부 관리 화장품 구매 행동은 피부 관리 화장품 구매 유형에서 직접 구매 여부는 '직접 구매하지 않음'이 전체의 65.4%, 대리 구매자는 '배우자 및 연인'이 전체의 81.7%, 대리 구매 이유는 '지식과 정보 부족'이 전체의 43.8%, 지식과 정보 부족 및 매장 방문 및 상담의 어색함 때문에 직접 구매하지 않음으로 응답한 조사 대상자에서 뷰티 클래스 참가 여부는 '없음'이 79.5%, 매장 방문 및 상담의 어색함 때문에 직접 구매하지 않음으로 응답한 조사 대상자에서 남성 전용 매장 또는 남성 판매 직원이 있는 매장 이용 여부는 '없음'이 71.4%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피부 관리 화장품 구매 특성에서 구매 시 고려 사항은 '제품의 효과'가 전체의 57.7%, 선호하는 브랜드 및 제조 회사는 '국내 브랜드 및 제조 회사'가 전체의 78.3%, 선호하는 피부 관리 화장품의 성격은 '일반 화장품'이 전체의 66.1%, 피부 관리 화장품 구매 경로는 '대형마트'가 전체의 52.4%, 구매 경로 선택 이유는 '거리/시간적 편의성'이 전체의 48.2%, 한 달 평균 피부 관리 화장품 구매 금액은 '1만원 미만'이 전체의 43.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조사 대상자의 두피 관리 및 두피 관리 화장품에 대한 인식은 두피 자가 진단에서 두피 상태는 '나쁘다'가 전체의 47.1%, 두피 유형은 '탈모 두피'가 전체의 33.5%, 두피 고민은 '유전적 탈모'가 전체의 43.8%, 두피 관리 전문 경험은 '없음'이 전체의 71.8%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두피 관리 화장품에 대한 필요성에서 '필요하다'가 전체의 63.5%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두피 관리 화장품 사용 실태에서 사용 여부는 '사용'이 전체의 59.7%, 최초 사용 시기는 '40 ~ 45세 미만'이 전체의 49.3%, 사용 이유는 '현재 탈모 및 손상모발로 고민중이라서'가 전체의 68.0%, 현재 사용 두피 관리 화장품 품목은 '두피 유형에 맞는 샴푸'의 비율, 현재 사용 두피 관리 화장품의 두피 적합성은 '적합'이 전체의 82.8%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넷째, 조사 대상자의 두피 관리 화장품 구매 행동은 두피 관리 화장품 구매 유형에서 직접 구매 여부는 '직접 구매하지 않음'이 전체의 70.0%, 대리 구매자는 '배우자 및 연인'이 전체의 69.4%, 대리 구매 이유는 '지식과 정보 부족'이 전체의 43.9%, 지식과 정보 부족 및 매장 방문 및 상담의 어색함 때문에 직접 구매하지 않음으로 응답한 조사 대상자에서 뷰티 클래스 참가 여부는 '있음'이 68.5%, 매장 방문 및 상담의 어색함 때문에 직접 구매하지 않음으로 응답한 조사 대상자에서 남성 전용 매장 또는 남성 판매 직원이 있는 매장 이용 여부는 '있음'이 100%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두피 관리 화장품 구매 특성에서 구매 시 고려 사항은 '제품의 효과'가 전체의 65.1%, 선호하는 브랜드 및 제조 회사는 '국내 브랜드 및 제조 회사'가 전체의 62.0%, 선호하는 두피 관리 화장품의 성격은 '천연 및 한방 화장품'이 전체의 41.2%, 두피 관리 화장품 구매 경로는 '대형마트'가 전체의 42.6%, 구매 경로 선택 이유는 '거리/시간적 편의성'이 전체의 40.8%, 한 달 평균 두피 관리 화장품 구매 금액은 '1 ~ 5만원 미만'이 전체의 50.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340 male workers over 20 years old in Seoul and Gyeonggi-do having buying power were selected and asked to fill in the questionnaires to investigate the buying behavior of normal male consumers in comparison with mansumers who are interested in and good at grooming. 1. Male consumers' awareness of skin care and skin care cosmetics : The bad skin condition(40.6%), the normal skin type(25.3%) and the lack of moisture and wrinkle(54.7%) were investigated the most frequency in the part of the self diagnosis. Most of subjects thought that skin care cosmetics is needed(77.9%) in the part of the necessity of skin care cosmetics. Most of subjects are using skin care cosmetics(81.5%), prefer to skin care cosmetics manufactured for male skin(98.2%) to protect skin and solve their skin problems(82.7%) and most of them are using toner and lotion. They using skin care cosmetics were satisfied with their own skin care cosmetics(89.5%) in the part of the using skin care cosmetics. 2. Male consumers' buying behavior of skin care cosmetics : Majority of subjects don't like to buy their skin care cosmetics by themselves(65.4%), were helped by their wives or girlfriends to buy it(81.7%) because of their lack of knowledges and informations about skin care cosmetics(43.8%). The effect of product is the most important thing when they choose skin care cosmetics(57.7%), prefer to korean products(78.3%) and the general cosmetics(66.1%). Most of them go to malls to buy skin care cosmetics(52.4%) because of the convenience(48.2%) and spend about under 10,000won(43.2%) per a month for their skin care cosmetics. 3. Male consumers' awareness of scalp care and scalp care cosmetics : The bad scalp condition(47.1%), the hair loss type(33.5%) and the progressive hair loss(43.8%) were investigated the most frequency in the part of the self diagnosis. Most of subjects haven't gotten the medical scalp treatment(71.8%) and thought that scalp care cosmetics is needed(63.5%) in the part of the necessity of scalp care cosmetics. Majority of subjects are using scalp care cosmetics(59.7%) because of their hair loss and damaged hair(68.0%) and most of them are using shampoo designed to fit their scalp type and problems. They using scalp care cosmetics were satisfied with their own scalp care cosmetics(82.8%) in the part of the using scalp care cosmetics. 4. Male consumers' buying behavior of scalp care cosmetics : Most of subjects don't like to buy their scalp care cosmetics by themselves(70.0%), were helped by their wives or girlfriends to buy it(69.4%) because of their lack of knowledges and informations about skin care cosmetics(43.9%). The effect of product is the most important thing when they choose scalp care cosmetics(65.1%), prefer to korean products(62.0%) and the natural and herbal cosmetics(41.2%). Most of them go to malls to buy scalp care cosmetics(42.6%) because of the convenience(40.8%) and spend about 10,000 ~ 50,000won(50.7%) per a month for their scalp care cosmet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