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

        산업의학 교과목에서 문제중심학습의 시행 및 평가

        김정연(Jeong Youn Kim),하은희(Eun Hee Ha) 한국의학교육학회 1999 Korean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Vol.11 No.1

        산업의학 교육에 임상과 지역사회에서 접할 수 있는 문제중심학습 (PBL)방식을 도입하기 위하여, 증례토의 수업모형을 시행하였다. 증례토의 교육은 준비, 시행 및 평가의 세 단계로 나누어 개발, 실시되었다. 1998년도 6~8월의 준비기간을 거쳐 의학과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91명의 학생을 8개조로 나누어 소그룹 토의 및 전체 발표 방식으로 진행하였으며, 실시기간은 9월 30일부터 10월 14일까지 3주간이었다. 개발된 증례는 모두 32례로 3주의 교과과정에 맞게 증례토의 I은 중금속에 관한 증례 8례, 증례토의 II은 유기용제에 관한 증례 12례, 증례토의 III은 계통별 독성에 관한 증례 12례로 구성하였다. 한 학생이 3주동안 3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각각의 수업시간의 난이도는 각 시간별로 비슷하게 조정되었다. 증례토의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는 학생을 대상으로 전후에 설문조사의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절반이상의 학생이 만족하였다. 학생들의 학습 능력에 대한 평가 결과는 강의방식의 교육을 받은 학생들보다 PBL방식의 교육을 받은 그룹에서 높은 학습효과를 나타내었다. 본 증례토의 실습 모형의 특징은 우선 수업 교재의 개발에 있어서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문제를 다루기 위하여 국내에 보고된 사례를 중심으로 하였다는 점과, 의학과 2학년이라는 지식 수준에 부합되는 내용을 구성하기 위하여 의학과 3학년 학생을 교재 개발에 참여시켜 난이도를 조절하게 하고, 필요한 참고자료가 무엇인지를 파악하였다는 점이다. 이 증례토의 수업모형이 산업의학의 표준화된 실습교육 과정을 개발하는 데에 유용한 경험으로 쓰여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 To introduce an OEM course of problem-based learning(PBL) on tutorial basis, we developed the case-studies on both clinical and community contexts. The 2nd grade medical students were divided into eight small groups. The case-study course was for 3 weeks from September 30 to October 14 in 1998. There were 3 steps for design of case-study course : course planning,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which were conducted by 3 tutors and 91 students. We developed 32 cases, and a student solved 3 clinical cases during 3 weeks. There were 3 cases which were the case I(metals), the case II(solvent) and the case III(systemic toxicity). The case-study program was evaluated with questionnaire survey method at the start and end of the course by students. We obtained satisfactory responses from students. Multiple-choice tests revealed that students in case-study group had significantly(P<0.05) higher score than those attended the standard lecture. We concluded that problem-based learning with specific occupational contents is well accepted by students and improves their occupational medicine knowledge.

      • KCI등재
      • KCI등재

        농촌지역의 특성 분석 및 유형화

        김정연(Kim, Jeong-Youn),김은순(Gim, Uhn-Soon),오명택(Oh, Myung-Taek) 한국지역개발학회 2014 韓國地域開發學會誌 Vol.26 No.1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rural areas and to classify regional types by applying the multi-variate techniques of factor and cluster analyses, with 171 Eup?Myon level data of Chungcheongnam-do in 2010. During the process of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of rural areas, the differences in location, socio-demographic factors, geo-politics, urbanizing and industrializing patterns in rural areas have been driving or accelerating differentiation of rural areas. Based on the factor analysis, 21 factors of Eup-Myon areas are categorized five principal characteristics as follows: municipal city characteristics, typical paddy farming characteristics, urbanizing rural characteristics, aged farming characteristics, and industrializing rur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cluster analysis, 171 Eup?Myon areas of Chungcheongnam-do are classified as 6 different regional types as follows; rural service center, aging rural area, urbanizing rural area, paddy farming area, transitional rural area, and manufacturing industry area. It revealed different regional types show significantly different characteristics, which hints rural areas have been experiencing diverse differentiation process depending on regional types.

      • KCI등재

        의사소통 장애아동을 둔 가족의 어려움과 지원요구에 관한 질적 연구

        김정연(Jeong Youn Kim),이금진(Keum Jin Lee),김은숙(Eun Suk Kim),김주혜(Joo Hye Kim),박지연(Ji Yeon Park)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5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0 No.1

        본 연구는 의사소통 장애아동을 둔 어머니가 인식하는 의사소통 장애아동이 가족에게 미치는 어려움과 그러한 어려움을 돕기 위해 가족에게 필요한 지원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하여 의사소통 장애를 가진 아동의 어머니 16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질적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3개의 주요 주제가 도출되었다: 1) 아동의 의사표현의 문제는 가족간의 상호작용을 어렵게 하고, 양육의 문제와 경제적인 어려움을 가져오며, 가족의 사회활동을 제한하는 등 가족생활 전반에 영향을 미친다. 2) 의사소통 장애아동의 가족은 이러한 어려움에 대하여 가족 내적으로는 가족 협력과 가족 내의 상호작용 전략을 사용하고, 가족 외적으로는 부모교육과 자조그룹 결성, 전문가의 도움을 통해 대처한다. 3) 의사소통 장애아동의 가족을 위해서는 가족간의 상호작용을 증진시키고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치료와 교육적 지원이 필요하며,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사회적 지원이 요구된다. 이러한 결과는 의사소통 장애아동을 위한 지원이 가족 중심의 통합적인 지원을 통해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Interviews with 16 mothers of children with communication disorders were conduct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families’ experiences through their children with communication disorders. Three themes emerged from the qualitative analysis: (1) the impact of the child's communication difficulties on family life, (2) the coping strategies that the families use in order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and (3) the support needed for raising children with communication disorders. Implications for policy and practices for children with communication disorders and their families are provided.

      • KCI등재
      • KCI등재

        장애학생 의사소통에 관한 초임 특수교사의 경험과 지원 요구에 관한 질적 연구

        김정연( Jeong youn Kim),허유성( Yu sung Heo)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23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1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s and support needs related to communication of no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with students with disabilities. Two times of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9 no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were newly appointed within the last year. 6 were female and 3 were male participants. As a result, three major themes and thirteen sub-themes were identified. The three major themes were categorized as 'the meaning of communicating with students,' 'experiences of communication education,' and 'support for enhancing communication teaching capacity.' The sub-themes included 'isolated students in March,' 'beginning of building relationships,' 'communication through class activities,' 'unfamiliar classrooms compared to theoretical knowledge,' 'misunderstandings about students,' 'balancing curriculum and life guidance,' 'trial and error,' 'uncertainty about teaching expertise,' 'securing adaptation time to teaching,' 'sharing communication education goals and objectives,' 'finding evidence-based practices,' 'understanding changes in the communication education paradigm,' and 'breaking through collaboration.' Education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s. Suggestions include improving communication education, such as AAC, in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considering no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school culture, and reducing workload to provide adequate preparation time.

      • KCI등재

        특수교육현장에서의 ICT 활용에 대한 교사들의 보고

        김정연 ( Jeong Youn Kim ),강혜경 ( Hae Kyung Kang ),이정은 ( Jueng Eun Lee ),김규일 ( Kyu Il Kim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8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교육현장의 교사들이 인식하는 ICT 활용 교육의 의미와 그들이 말하는 교육현장에서의 경험이 어떠한 것인지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특수교육현장에서의 성공적인 ICT 활용 교육을 위해 요구되는 지원이 무엇인지 살펴봄으로써 장애학생들의 교육을 지원할 수 있는 방안과 앞으로의 활용을 위한 교육적, 정책적 지원 방안 등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특수교사 18명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면담을 실시하여 수집된 자료를 질적 분석한 결과, 다음의 4가지 주제가 도출되었다. : (1) ICT 활용에 대한 특수교사들의 인식, (2) 특수교육현장에서의 ICT 활용 실태, (3) ICT 활용의 장벽, (4) 특수교육현장에서의 ICT 활용을 위한 지원.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교육과정에 통합된 형태의 ICT 자료의 개발과 보급, 특수교육을 담당하는 교사 지원방안에 대해 논의하였고, 이를 위한 지원정책으로 국가적 차원의 제도적인 지원, ICT 관련 자료의 체계적인 개발을 위한 지원, 교육현장의 전문가들의 인식을 변화시킬 수 있는 정책적 지원, 그 밖에 교사 자율적인 단체나 연구회를 활성화하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develop a support model for the successful utilization of ICT in special education settings based on the perception, experience, and needs of special educators regarding ICT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18 special educators who have professional knowledge and experience for ICT participated in focus group interviews. Four themes emerged from qualitative analysis: (1) The perception and belief on utilization of ICT, (2) The actual conditions on utilization of ICT, (3) The barriers on utilization of ICT, (4) The supports for successful utilizing ICT in special education settings. Finally, the critical elements and future direction of the supports for successful utilizing ICT in special education settings were presented based on the results of study.

      • KCI등재
      • KCI등재

        특수학교 교사는 하루를 어떻게 보내는가?: 주요 교직 활동 구성 및 관계의 양적 분석

        김정연(Kim Jeong Youn),허유성(Heo Yu Sung) 한국열린교육학회 2019 열린교육연구 Vol.27 No.3

        이 연구는 특수학교에 재직 중인 현직 특수교사들이 하루 일과를 어떻게 보내는지를 분석한 연구이다. 이 연구에는 남자 교사 6명(33.3%)과 여자 교사 12명(66.7%), 총 특수교사 18명이 참여하였다. 특수교사 18명을 대상으로 주 2회, 10분 간격의 시간 기록 방법으로 총 12주 동안 학교 및 학교 밖에서의 주요 교직 활동을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특수교사의 일상 활동은 5개 영역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주요연구 결과를 보면, 첫째, 개인 주도 활동(수업, 수업준비, IEP·평가, 생활지도, 연수 등)으로 보내는 시간이 61.5%로 가장 높았다. 수업준비 시간은 6.1%를 차지하였다. 협력적 활동(교직원 회의, 동료 협의회, 부모 상담)의 비율이 4.7%, 행정업무 및 공무 출장이 15.9%로 비교적 높았다. 개인 업무 및 휴식 21.1%, 기타가 8.6%로 나타났다. 둘째, 특수교사의 주요 변인에 따라 일부 활동에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행정업무는 10년 이상, 비담임, 부장, 중등 교사에서 비율이 높았다. 셋째, 행정업무량이 주요 교직 활동, 특히 수업준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에서는 수업과 생활지도에 보내는 시간의 과다한 비율이 미치는 영향, 수업준비 및 IEP·평가에 보내는 시간 부족 문제, 교사 간 협업 및 공동체 활동을 늘릴 필요성, 짧은 휴식시간이 갖는 부정적 영향과 대책, 주요 교직 활동과 행정업무 간의 ‘상충관계’에 대한 논의, 그리고 교사 변인 간 차이점이 주는 교육적 함의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an exploratory analysis of how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special schools spend their daily routines. A total of 18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cluding six male teachers (33.3%), 12 female teachers (66.7%)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main teaching activities in school and out of school for 12 weeks by total record method of 18 special education teachers twice a week and every 10 minutes. The daily activitie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divided into five areas. According to the results, first, 61.5% of the time spent on personal initiative activities (class, preparation of class, IEP/evaluation, life guidance, in-service program, etc.) was the highest. Class preparation time was 6.1%. The ratio of collaborative activities (faculty meetings, peer councils, and parent consultations) was 4.7%, and administrative and public service was relatively high at 15.9%. Personal work and rest were 21.1%, and others 8.6%. Second, there were differences in some activities according to the main variable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dministrative tasks have been high for more than 10 years among special education teachers, non-teachers, general managers, and middle school teachers. Third, administrative workload negatively affects fundamental teaching activities, especially class preparation. In the discussion, the impacts of excessive time spent on class and life guidance, the problems of lack of time spent on class preparation and IEP/assessment, need to increase teacher-to-teacher collaboration and community activities, the negative impacts of short breaks, the relationship in time between fundamental educational activities and administrative tasks, and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considering the differences in teacher related variables were included.

      • KCI등재

        통합교육환경에서 AAC중재가자폐성장애 학생의 의사소통행동과문장표현에 미치는 영향

        김정연 ( Jeong Youn Kim ),윤형준 ( Hyung Jun Yun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5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7 No.1

        본 연구는 통합교육환경에서 AAC 중재가 자폐성장애 학생의 의사소통행동과 문장표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는 상황간 중다간헐기초선 연구설계 방법을 사용하여 초등학교 통합학급에 입급되어 있는 자폐성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통합교육환경의 세 가지 상황(국어수업시간, 점심시간, 쉬는 시간)에서 의사소통행동의 빈도와 의사소통행동의 기능별 빈도, 문장표현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았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교육환경에서의 AAC 중재는 세 가지 상황 모두 참여 학생의 의사소통행동의 빈도를 증가시켰다. 둘째, 통합교육환경에서의 AAC 중재는 세 가지 상황 모두 의사소통 시도하기, 요구하기, 대답하기 등의 의사소통행동의 기능별 발생빈도를 증가시켰다. 셋째, 통합교육환경에서의 AAC 중재는 참여 학생의 문장표현능력을 향상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에서는 본 연구의 결과에 따라, 자폐성장애 학생의 의사소통행동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 통합교육환경에서의 AAC 중재 구성 요소 및 영향들에 대해 논의하였고,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AC intervention in an inclusive education environment on communication behaviors and sentence expression of students with ASD. This study analysed its effects on frequency of communication behaviors, frequency in functions of the communication behaviors and sentence expression in three situations (A Korean language class, lunch time and recess) in an inclusive education environment targeting students with ASD placed in inclusive classes at an elementary school using a multiple probe baseline design. Results of the study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AAC interventions in the inclusive education environment increased the frequency of communication behaviors in all the three situations. Second, the AAC interventions in the inclusive education environment increased frequency in functions of the communication behaviors such as attempting communication, asking and answering in all the three situations. Third, the AAC interventions in the inclusive education environment improved sentence expression. According to the results above, this study discussed components of AAC intervention and its effects in an inclusive education environment which had a positive effect on communication behaviors in students with ASD and provide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