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허주(虛舟) 산수유첩(山水遺帖)에 표현된 반변천(半邊川) 십이승경(十二勝景)의 어제와 오늘

        김정문 ( Jeong Moon Kim ),노재현 ( Jae Hyun Rho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2012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0 No.1

        본 연구의 대상인 허주부군산수유첩(虛舟府君山水遺帖)은 고서벽(古書癖), 탄금벽(彈琴癖), 화훼벽(花卉癖), 서화벽(書畵癖) 그리고 주유벽(舟遊癖) 등 오벽(五癖)을 가진 인물인 고성 이씨 11대 종손 허주(虛舟) 이종악(李宗岳: 1726~1773)이 1763년 4월 4일부터 8일까지 5일간 18명의 친인척들과 임청각에서 시작해 양정(羊汀), 칠탄(七灘), 사빈서원(泗濱書院), 선창(船倉), 낙연(落淵), 선찰(仙刹)과 선유정(仙遊亭), 몽선각(夢仙閣), 백운정(白雲亭)과 내앞마을(川前里), 이호(伊湖), 선어대(鮮魚帶)를 거쳐 귀착지인 반구정(伴鷗亭)에 이르기까지 ``안동팔경`` 또는 ``임하구곡``으로 불리우는 반변천(半邊川) 주변의 절경지를 선유(船遊)하며 남긴 십이폭의 화첩이다. 산수유첩에 표현된 장소 및 경물 그리고 식물요소를 중심으로 과거와 현재의 경관 및 풍물에 대한 물리·생태적, 시각·미학적 변화에 주목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산수유첩의 표현된 맑은 강물과 하얀 백사장 그리고 기암절벽을 배경으로 이루어진 시회(詩會), 거문고 소리에 귀 기울이는 선상(船上) 풍류는 조선시대 상류층의 선유(船遊) 놀이문화를 보여주는 좋은 사례다. 아쉽게도 임하댐과 안동댐 건설로 초래된 심대한 시각적 변화와 생태적 변동으로 인해 양정과범(羊汀過帆), 칠탄후선(七灘候船), 사수범주(泗水泛舟), 선창계람(船倉繫纜), 낙연모색(落淵莫色), 망천귀도(輞川歸棹), 이호정도(伊湖停棹)의 경관상은 본래의 정취를 전혀 느낄 수 없으며, 단지 화폭에 묘사된 그림을 통해 당시의 풍광과 정취를 가늠할 수 있다. 허주부군산수유첩의 제1도(東湖解纜)와 제11도(鮮魚返照)에는 회화나무나 시무나무 또는 느릅나무 등 낙엽활엽교목으로 판단되는 수목들이 표현되었고, 제9도(雲亭風帆)의 ``개호(開湖)``라 불리는 솔숲을 운천공이 1617년에 소나무를 식재해 형성한 숲이다. 그 외 승경도에서는 자연지형과 조화를 이룬 소나무 등의 상록침엽수와 정자나 건물 주변에 식재된 낙엽교목류가 표현되고 있다. 허주부군산수유첩과 신암의 동유십소기(東遊十小記)의 비교 고찰한 결과, 임하구곡의 일곡의 백운정으로부터, 이곡 임천과 임천서원, 사곡 사수의 사빈서원, 오곡 송석, 육곡 선창의 수석, 칠곡 낙연현류, 팔곡 선찰사와 선유정, 구곡 표옹 유허로 재차 확인되었으며, 모호했던 삼곡은 마천과 칠탄으로 추정된다. 허주부군산수유첩은 조선 후기의 낙동강 최대 지류인 반변천 연안의 경관이 절묘하게 표현되어 있으며, 댐 건설로 현재는 찾아보기 힘든 선인들의 선유 풍류와 경관요소들을 음미할 수 있는 도형사료로써의 가치를 확인한 것이 본 연구의 작은 성과로 판단된다. Sansuyucheop by Heojoobugun(虛舟府君) as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a 십이-width picture album by the eldest grandson of 11 generations for Goseong Lee family, Lee Jong Ak(李宗岳: 1726~1773), a figure having five habits(五癖) for ancient documents(古書癖), playing the gayageum(彈琴癖), flowering plant(花卉癖),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書畵癖) and boating(舟遊癖) etc., who boated with 18 relatives, and those by marriage from old home, home of mother`s side, wife`s home, and his home for 5 days Apr. 4 through 8, 1763, starting from Imcheonggak, through Yangjeong(羊汀), Chiltan(七灘), Sabin Auditorium(泗濱書院), Seonchang(船倉), Nakyeon(落淵), Seonchal(仙刹), Seonyujeong(仙遊亭), Mongseongak(夢仙閣), Baekwoonjeong(白雲亭) and Naeap Village(川前里), Iho(伊湖), Seoeodae(鮮魚帶) to the returning point, Bangujeong(伴鷗亭), cruised magnificent views around Banbyeoncheon called ``Andong 8 Gyeong`` or ``Imhagugok``, and whenever the boat anchored, appreciated the scenery at each point, and enjoyed and loved arts playing the geomungo. This study reached following findings through grasping physical, ecological, visual and aesthetic changes about the places, sceneries, plant elements and past and current scenery of the width pictures expressed at this Sansuyucheop. The refinement on the boat seeing the clear river water, white sand beach, fantastically-shaped cliffs expressed at this Sansuyucheop, exchanging poems and calligraphies, and enjoying the geomungo is a good example displaying the play culture of high-class in Joseon Dynasty. Also construction of Imha Dam and Andong Dam has caused serious visual and ecological changes, making us not enable to feel the original mood of the background spots such as Yangjeonggwabeom(羊汀過帆), Chiltanhuseon(七灘候船), Sasubeomjoo(泗水泛舟), Seonchanggyeram(船倉繫纜), Nakyeonmosaek(落淵莫色), Mangcheonguido(輞川歸棹), Ihojeongdo(伊湖停棹), but only discern then landscape or sentiment through the landscape described at the canvas. The 1st picture(Donghohaeram, 東湖解纜), and the 11th picture(Seoeobanjo, 鮮魚返照) of Heojoobugun`s Sansuyucheop expressed trees thought to be fallen, brad-leaf tall trees, and the 9th picture(Unjeongpungbeom, 雲亭風帆) formed a pine forest called ``Gaeho(開湖)`` by Uncheongong planting 1,000 pine trees with the village people in 1617. In addition, Seunggyeongdo expressed ever-green needle leaf trees at the natural topography, and fallen-leaf tall trees around the pavilion and building. Comparative consideration of Heojoobugun`s Sansuyucheop and Shinam`s Dongyusipsogi(東遊十小記) showed that the location of Samgok is assumed to be Macheon and Chiltan, so Imhagugok is assumed to start from Baekunjeong of Ilgok, Igok from Imcheon and Imcheon auditorium, Samgok from Mangcheon and Chiltan, Sagok from Sabin Auditorium of Sasoo, Ogok from Songseok, Yukgok from Sooseok of Seonchang, Chilgok from Nakyeonhyeonryu, Palgok from Seonchalsa and Seonyoojeong, and Gugok from Pyong Yuheo. This study can be significant in that it could clarify that Heojoobugun`s Sansuyucheop is judged to be valuable in exquisitively expressing the coast of Banbyeon River, the biggest branch stream in the Nakdong River at the latter half of Joseon Dynasty, and as a vital diagrammatical historical data to make a comparative analysis of currently rarely-seen ancestors` life traces and landscape factors with present one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19세기 후반 산형도(山形圖)로 본 왕릉도(王陵圖)의 표현방법(表現方法) -전주이씨시조이한(全州李氏始祖李翰)의 조경단(肇慶檀)관련 그림을 중심으로-

        김정문 ( Jeong Moon Kim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2012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0 No.1

        본 연구는 대한제국기에 그려진 ``완산도형(完山圖形)``, ``조경단비각재실도형(肇慶壇碑閣齋室圖形), ``전주건지산도형(全州乾止山圖形)`` 그리고 ``조경묘경기전도형(肇慶廟慶基殿圖形)`` 등 4매 고지도의 제작의도 및 각 도형의 경관, 조망, 시점, 경물 등의 표현내용 및 방법의 특성을 고찰하고 도형 상호간의 관련성 분석을 통해 지형표현의 특질과 조망구도 그리고 내포된 상징경관의 의미를 고찰할 목적으로 시도되었으며, 문헌조사와 병행, 지도를 통한 관찰조사를 수행하였으며 현장조사·위성사진·인터넷조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전주가 조선왕실의 본향이라는 역사성을 확보하는데 중심적 공간인 경기전(1410)·조경묘(1771)·조경단(1899)은 왕조의 정통성 부여와 왕권강화의 일환으로 건립·중건되었고 조선왕조 초기부터 대한제국시기까지 정신적 지주 역할을 하면서, 지속적으로 유지 및 관리되었다. 4개 도형은 국호를 대한제국으로 변경한 후 황실과 황제의 위엄성과 당위성을 정당화하기 위해 국가적 차원에서 집중적으로 그려진 조선왕실의 시조 이한(李翰)의 묘소를 알리는 산형도(山形圖)와 그에 부속되는 보조도면으로 파악된다. 즉 완산도형은 전주부에서 조경묘, 경기전, 조경단의 존재를 알리고 그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키맵(key map)이며 건지산도형은 풍수국면도로서 시조묘의 풍수적 정당성을 강조하기 위한 것으로, 조경단비각재실도형은 이를 보다 세밀히 보여주기 위해 상세부분도로서 그려졌다. 전주건지산도형과 조경묘경기전도형은 공히 이원적축적과 부감법을 사용하고 주산을 건지산으로 삼고, 왕자봉과 의묘소(疑墓所)를 중심으로 중요지형을 실제 지형보다 과장해서 표현하였다. 또한 묘지에서 관찰되지 않는 중요 지형은 시점 이동을 통해 관찰하고 이를 세밀하게 표현하였다. 4벌 1조의 지도라는 측면에서 볼 때 ``완산도형``은 군현도이며 위치도의 성격을 보이는 반면 ``조경묘경기전도형``은 부분상세도로서 배치도로써의 기능을 보인다. 또한 ``전주건지산도형``과 ``조경단비각재실도형``은 산형도로서의 기능을 갖는 풍수형국도이자 상세도인 것이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특성으로 볼 때, 기존 고지도와는 달리 연계도면(serial map)으로서의 기능성이 강화된 것으로 보인다. This work attempted to study the properties of expression of ground, the composition of outlook and the implications of the connotative symbolic scenery throughout investigating the properties of expression content and method of the scenery, outlook, viewpoint, natural features for each drawing and intention of making 4 old maps, which had been made in the period of the Great Korean Empire and had been called ``Wansan-dohyoung(完山圖形),`` ``Jogyeongdan- bigak-jaesil-dohyoung(肇慶壇碑閣齋室圖形),`` ``Jeonju-geonjisan-dohyoung(全州乾止山圖形)`` and ``Jogyeongmyo-gyounggijeon- dohyoung(肇慶廟慶基殿圖形),`` and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ir drawings. For this aim, observatory investigation by using a map, on-spot investigation, analysis involving the satellite images and internet were carried out with literature review simultaneously. The result of investigation could be sum up as follows. Gyounggijeon(1410), Jogyeongmyo(1771) and Jogyeongdan(1899), where are the core space to lay the historically firm foundation for securing the fact Jeonju is the home of the Royal Family of Joseon, had been built, fixed and extended for giving legitimacy to the Joseon Dynasty and a part of strengthening of royal authority. And these had played an important role of spiritual mainstay from early in the Joseon Dynasty to the era of the Great Korean Empire and had been managed and maintained continuously. It is grasped that the 4 maps consist of Sanhyuoungdo(山形圖; a kind of a mountain map), which is the map for showing a burial place of Lee Han(李翰), the founder of the Joseon Dynasty, and its auxiliary drawings and these had been drawn intensively to justify dignity and authority of the Imperial Family and the Emperor after the name of country was renamed the Great Korean Empire as a part of national undertaking. In detail, Wansan-doghyoung is the key map for announcing the existence of Jogyeong-myo, Gyounggijeon and Jogyeongdan in Jeonju and informing their locations and Geonjisan-dohyoung is the map of divination based on topography for highlighting the geomantic justification of the founder`s mausoleum. Jogyeongdan-bigak-jaesil-dohyooung is the partial map detailing for Geonjisan-dohyoung. Jeonju-geonjisan-dohyoung and Jogyeongmyo-gyounggijeon-dohyoung had employed the binary reduced scale and the bird-eye view method and in the above maps, Geonji Mountain is the main mountain and these maps make an exaggeration of the main geographical features, centering Wangjabong and Euimyoso, unlike the real geographical features. Also, the other main geographical features, which are found in the burial place, are expressed in detail by changing the view. In the point of view of 1 set being consisted of 4 maps, ``Wansan-dohyoung`` has the property not only as Gunhyoundo, which Gun and Hyoun mean a unit of the administrative district, respectively and Gynhyoundo is a kind of the map for recording their locations, but also as the map of showing their locations. On the other side, ``Jogyoungmyogyounggijeondohyoung`` is a kind of lay-out drawing as a partially detailed map. In addition, it has been found out that ``Jeonju-geonjisan-dohyoung`` and ``Jogyeongdan-bigak-jaesil-dohyoung`` is not only Pungsu- hyounggukdo having the function of Sanhyoungdo but also a detail drawing. On the base of these properties, it is considered that the functionality as a serial map had been strengthened, unlike the existing old maps.

      • KCI등재
      • KCI등재

        도시공원의 이용행태 및 기대도와 만족도 분석 - 군산시 월명공원을 중심으로 -

        김용훈(Kim, Yong-Hun),김정문(Kim, Jeong-moon),김세천(Kim, Sei-Cheon)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2020 한국산림휴양학회지 Vol.24 No.4

        본 연구는 전라북도 군산시의 전반적인 도시공원 중 하나인 월명공원에 대한 이용자들의 이용행태, 이용 전기대도, 이용 후 만족도를 파악하고, 전체적인 도시공원의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이용빈도는 군산시민 주 1회, 관광객 연 2∼3회가 가장 높았으며, 주로 등산과 산책을 위하여 방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용 전 기대도보다 이용 후 만족도가 하락하며,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공통적인 요소에는 식생에서 ‘계절감은 느낄 수 있는 정도’, 시설물에서 ‘파고라, 정자 벤치의 위치와 수’가 있으며, 이 요소들은 기대도에 충족하고 도시공원 이용의 전반적인 만족도를 끌어올리기 위해 최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sought to identify the users’ behavior, expectations before and after use, and satisfaction level of Wolmyeong Park, one of the overall urban parks in Gunsan, North Jeolla Province, and to derive factors that affect the overall satisfaction level of urban parks. As a result, the frequency of use was the highest once a week for Gunsan citizens and two to three times a year for tourists, mainly for hiking and take a walking. Among the common factors that not only reduce post-use satisfaction, but also affect satisfaction, are ‘the degree to which the season can be felt’ in the vegetation and ‘the location and number of the Pergola, Shelter and Benches’ in the facility, which are considered to be the top priority in order to meet the expectations and enhance the overall satisfaction of the use of urban parks.

      • KCI등재

        온대지역 공동주택단지의 아열대 식물용 온실 설계

        김재식,김정문,Kim, Jai-Sik,Kim, Jeong-Moon 한국조경학회 2009 韓國造景學會誌 Vol.36 No.6

        본 연구는 공동주택 단지에 온실 형태의 EVERGREEN PARK를 도입하기 위하여 진행하였으며, 단순한 관상을 위한 온실이 아닌, 주민의 적극적인 참여와 활용을 목표로, 사계절 내내 이용 가능한 외부 공간의 구심점으로서 주민의 편의와 유익한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계획의 주안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아열대 식물들은 상록활엽성 식물들로 사계절 녹음을 유지하고, 잎의 육질이 두껍고 윤택이 많다. 이런 상록활엽수들이 주 수종인 아열대 식물용 온실을 온대지방에 도입하여 독특하고 고급스런 상록수림을 온대지방 사람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계획하였으며, 최고급의 상록식물상을 매우 저렴한 유지관리 비용으로 이용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계획하였다. 둘째, 공동주택단지 내에 도입한 아열대 식물용 온실은 지하연계구조형과 독립 구조형으로서 가온설비 없이 조성하여 지열을 이용하며, 차광 등의 방법을 이용하도록 제시하였다. 셋째, 활용방안으로서 (1) 건강과 휴식(Evergreens, 허브가든, 수 공간), (2) Community와 교육(식물벼룩시장 및 식물병원, 식물관련강좌(전시회), 체험학습프로그램), (3) Vine Garden 등의 운영프로그램을 제시하였으며, 나비축제, Aroma festival, Smile Oak Nuts, 촛불축제, Christmas! Photo Site 등의 4계절 이용방안을 제시하였다. 넷째, 온실의 운영 유지관리는 주민이 중심이 되는 주민차치회 중심 운영관리와 외부전문업체 중심 운영관리의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executed to introduce a greenhouse style "Evergreen Park" to apartment complexes to target hands-on resident participation and application rather than a mere viewing of the plants as a way to provide convenient and profitable service to residents in a year-round center of usable outside space. The four key poin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ubtropical plants are evergreen broad-leaved trees, which maintain their green during all four seasons the leaves are thick and glossy. Greenhouses geared toward these subtropical trees-mainly broad-leaved evergreen species-are in planning to introduce these unique, elegant plants to temperate regions. Residentswill not only gain an education regarding these species but will be provided with the best quality evergreens at very reasonable maintenance costs. Second, subtropical plants greenhouses introduced in apartment complexes are suggested for structures connected via underground passage as well as free-standing structures so as to make use of geothermal heating and apply to reducing sunlighting. Third, as a way to provide (1) health & relaxation(evergreens, herb garden, water space), (2) community & education (plant flea market/plant hospital, plant-related lecture(exhibition), hands-on experience program), (3) a vine garden for year-round use such festivities as a Butterfly Festival, Aroma festival, Smile Oak Nuts, Candlelight Festival and Christmas Photo Site. Lastly, it has been suggested that the operation and maintenance of these greenhouses will be both by resident council operation management and by outsourcing company operation manag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