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골격 이형성증의 산전 진단에 있어서 초음파 및 분자 유전학적 검사의 유용성에 관한 고찰

        김정명 ( Jung Myung Kim ),김나연 ( Na Yeon Kim ),김지윤 ( Ji Yun Kim ),유시연 ( Si Weon You ),오관영 ( Kwna Young Oh ),박원일 ( Won Il Park ),이경아 ( Kyung A Lee ),김영주 ( Young Ju Kim ),전선희 ( Sun Hee Chun ),박미혜 ( Mi Hye P 대한산부인과학회 201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3 No.6

        목적: 골격 이형성증의 산전 진단에 있어서 초음파 검사의 정확성 및 분자유전학적 검사의 유용성을 평가해 보고자 한다. 연구 방법: 1998년 3월부터 2005년 8월까지 이대 목동병원 및 을지대학병원에서 산전에 초음파 검사로 골격 이형성증이 진단되었던 17예와 그 중에서 골격 이형성증의 진단을 위하여 분자유전학적 검사를 실시하였던 7예와 골격 이형성증의 가족력이 있는 가계에서 임신 제1삼분기 때 분자유전학적 검사를 실시하였던 2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골격 이형성증의 최종 진단은 출생 후 방사선과적 검사와 분자유전학적 검사로 확진하였다. 결과: 골격 이형성증이 산전에 초음파로 진단된 평균 임신주수는 24.9주였고 (범위: 17~35주), 이중 9예 (53%)는 24주 전에 진단되었다. 골격 이형성증의 최종진단은 16예 (94.1%)에서 얻어졌고, 1예의 위양성 진단이 있었다. 최종 진단 결과 산전 진단은 14예 (82.4%)에서 정확하였다. 골격 이형성증의 진단을 위하여 8예에서 산전에, 1예에서 산후에 분자유전학적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골격 이형성증의 예측 및 확진을 할 수 있었다. 산전 초음파상 이상소견을 보이지 않지만 골격 이형성증의 가족력이 있는 2예에서 임신 제1삼분기 때 융모막 융모 생검술을 시행하여 골격 이형성증을 배제할 수 있었다. 결론: 산전 초음파 검사는 태아의 골격 이형성증을 진단하는 데 매우 우수한 진단 방법이며 특히 예후가 치명적인 골격 이형성증을 정확히 진단할 수 있었다. 또한 분자유전학적 검사 가족력이 있는 가계에서 산전 초음파로 진단이 불가능한 임신 제1삼분기 때 빠르게 골격 이형성증을 진단할 수 있으며 비치사성 골격 이형성증인 경우 산전 초음파상 비특이적인 소견을 보여 진단하기 어려울 때 확진검사로 이용할 수 있다. Objective: To determine the accuracy and usefulness of prenatal ultrasonographic and molecular genetic diagnosis in detection of skeletal dysplasia. Methods: This study was based upon data of the 17 cases of skeletal dysplasia diagnosed by prenatal ultrasound and 7 cases by molecular diagnosis performed among the 17 cases and the 2 cases who has familial skeletal dysplasia by molecular diagnosis during the first trimester at Ewha and Eulji University from March 1998 to August 2005. A final diagnosis was sought on the basis of radiographic studies, molecular testing, or both. Results: The mean gestational age at diagnosis was 24.9 weeks (range, 17 to 35 weeks). Nine cases were diagnosed before 24 weeks. A final diagnosis was obtained in 16 cases (94.1%). There was 1 false-positive diagnosis. The antenatal diagnosis was correct in 14 cases (82.4%). The 8 cases were prenatally confirmed and 1 case was postpartum confirmed using molecular genetic testing and accurate antenatal diagnosis and prediction was done. We were able to rule out skeletal dysplasia through chorionic villus sampling during the first trimester in the 2 cases with the family history with skeletal dysplasia. Conclusion: Prenatal diagnosis of skeletal dysplasia can be a considerable diagnostic challenge. However, skeletal dysplasia is correctly diagnosed on the basis of prenatal meticulous ultrasound and antenatal prediction of lethality was highly accurate. Using prenatal molecular diagnosis, skeletal dysplasia can be diagnosed at first trimester of pregnancy and nonlethal skeletal dysplasia can be confirmed when prenatal ultrasound was nonspecific.

      • KCI등재

        바나듐 유동 전지용 CNT 나노 유체 전해액에 관한 실험적 연구

        김정명(Jung Myung Kim),박희성(Hee Sung Park) 대한기계학회 2017 大韓機械學會論文集B Vol.41 No.12

        바나듐 산화/환원 유동 전지(Vanadium redox flow battery, VRFB)의 전기용량 및 수명 증가를 위한 방법으로 나노 유체를 적용한 VRFB 단일 셀 시스템을 실험적으로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CNT 나노 유체는 1.6M VO<SUP>2+</SUP> 전해질과 4M H₂SO₄ 전해액의 전해질용액에 Multi-Wall Carbon Nano Tube(MWCNT)를 중량비율(0.05, 0.1, 0.2 wt%)로 첨가하여 단순한 방법을 통해 제조되었다. MWCNT의 구조와 정량적 분석을 위해 XRD와 Raman 분광법을 사용하였으며, 나노 유체의 전지 성능 평가를 위해 전지충/방전 사이클을 20번 시행하였으며, 에너지용량으로 일반전해액과 나노 유체 전해액을 비교하였다. 에너지 용량 및 평균 전압의 결과는 0.1 wt% > 일반전해액 > 0.05 wt% > 0.2 wt%의 순서로 나타났으며, 0.1wt% 나노 유체의 에너지용량이 일반 전해액보다 0.2 Ah/L 높게 나타났다. A Vanadium redox flow battery (VRFB) single-cell system using a nanofluid was experimentally investigated to increase the energy capacity. The nanofluids used in this study were prepared and dispersed through a simple method of adding a multi-wall carbon nanotube (MWCNT) to an electrolyte solution, which consisted of a 1.6 M VO₂ an electrolyte and a 4 M H₂SO₄ electrolyte. The weight ratios of these solution components were 0.05, 0.1, and 0.2 wt%, respectively. XRD and Raman spectroscopy were used for the structural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MWCNT. For the electrochemical analysis of the nanofluids, 20 charge/discharge cycles were carried out and compared with the general electrolyte for determining the energy capacity. The energy capacity and average voltage results were on the order of 0.1 wt% > general electrolyte > 0.05 wt% > 0.2 wt%. The energy capacity of a 0.1 wt% nanofluid was 0.2 Ah/L higher than a pristine electrolyte.

      • 테마파크 방문 선택에서 정보 탐색에 관한 연구

        김정명(Kim, Jung-Myung),김영만(Kim, Young-Mann) 한국문화콘텐츠학회 2011 문화예술콘텐츠 Vol.- No.7

        여가시간 활용과 문화 활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여가시간 소비활동의 하나로서 테마파크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국내도 2012년까지 새로운 테마파크 MGM과 유니버설스튜디오 등 다수의 장소에서 크고 작은 새로운 테마파크가 오픈할 예정에 있다. 본 논문은 방문자들이 테마파크를 방문 결정할 때, 매체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선행연구 및 실증연구를 했다. 분석결과로는 테마파크를 방문 결정할 때, 정보탐색과 결정에 모두 친구의 경험담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보탐색에 적극적인 사람은 인터넷에서의 경험담이 방문결정에 영향을 준다는 결과를 얻었다. 이와 같은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테마파크 마케팅에서 가장 중요시해야 할것은 구전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이것은 테마파크 마케터들은 입소문이 날만한 화젯거리뿐만 아니라 방문객들이 구전을 할 수 있는 요인을 만들어야 하며, 그리고 온라인 마케팅에도 노력해야 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테마파크의 마케팅은 일반 소비재와 서비스의 공통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다. 제품의 이동이 없는 장소 마케팅이기 때문에 홍보의 역할이 중요하며, 소비자들이 미리 보거나 체험해 볼 수 없기 때문에 입소문이 더욱 중요하다. 실제로 개인 입장객은 일반광고나 개인적인 정보탐색으로 움직여진다. 余暇時間の活用と文化活動に関する関心が高くなり、余暇時間の消費活動の一環としてテーマパークの重要性が高くなっている。韓国でも2010年まで新しいテーマパークであるMGMとユニバーサル・スタジオなど多数の場所で新しいテーマパークがオープンする予定である。 本論文は、テーマパークを訪問決定する際の媒体の影響力を調べるために、先行研究及び実証研究を行った。分析結果としては、テーマパークを訪問決定する際の情報探索と決定には、友だちの経験が重要であることが分かった。また、情報探索に積極的な人は、インターネットでの経験が訪問決定に影響を与えるという結果が得られた。このような結果から分かるようにテーマパーク・マーケッターはクチコミになる話題作りだけではなく、訪問客のクチコミができる要因を作らなければならない。さらにオンライン・マーケティングにも力を入れなければならないと考えられる。

      • KCI등재

        바나듐 유동 전지용 나노 유체의 전기 화학적 반응에 대한 연구

        김정명(Jung Myung Kim),박희성(Hee Sung Park) 대한기계학회 2020 大韓機械學會論文集B Vol.44 No.7

        바나듐 산화/환원 유동 전지(VRFB: Vanadium Redox Flow Battery)의 전기적 용량 및 수명 증대를 위한 다중 벽 탄소 튜브 콜로이드 용액인 나노 유체를 제조하였으며, 바나듐 전해액에 적합한 초음파 분산 방법을 적용한 나노 유체의 전기 화학적 성능 평가를 위해 단일 셀 유동 전지 평가 시스템으로 62회의 충/방전 사이클 실험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평가된 나노 유체의 에너지 밀도는 0.1wt% (37.62Wh/L) > 0.2wt%(34.77Wh/L) > 0.05wt%(34.17Wh/L) > pristine(29.93Wh/L)의 순서를 보였으며, 용량 감소율은 0.1wt%(0.5%) > 0.05wt%(7.8%) > 0.2wt%(10.7%) > pristine(15.6%) 순서로 확인되었다. 기존 graphite felt 전극과 MWCNT 나노 입자 분석을 위해 XRD와 Raman 분광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시스템에 따라 다양한 최적 중량비가 존재함을 보였으며, 연구에 사용된 단일 셀 시스템의 최적 콜로이드 전해액의 나노 입자 중량비는 0.1wt%임을 밝혔다. The nanofluid was prepared by dispersing nanoparticles to increase the capacitance and lifespan of a vanadium redox flow battery.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nanofluid, a single cell redox flow battery system was tested with 62 charge/discharge cycles. The energy density of the nanofluids estimated in this study was 0.1 wt (37.62 Wh/L) > 0.2 wt (34.77 Wh/L) > 0.05 wt (34.17 Wh/L) > pristine (29.93 Wh/L). The capacity reduction rate decreased in the following order: 0.1 wt (0.5) > 0.05 wt (7.8) > 0.2 wt (10.7) > pristine (15.6). X-ray diffraction, Raman, and energy-dispersive X-ray spectroscopy were used to analyze existing graphite felt and multiwalled carbon nanotube nanoparticles. The nanoparticle content of the optimal nanofluid in the single cell system used in this study was 0.1 wt.

      • 무궁화의 문헌 고찰

        김영만(Kim, Young-Mann),김정명(Kim, Jung-Myung) 한국문화콘텐츠학회 2011 문화예술콘텐츠 Vol.- No.7

        무궁화는 우리 민족의 시원과 함께해 오고 있는 꽃으로 그 유구한 시간만큼 우리 민족과의 관계도 각별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고에서는 옛 문헌에 나타난 무궁화를 시대별로 일별하여 무궁화와 우리 민족과의 관계 등 그 역사를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옛 문헌을 통해 무궁화는 이미 2천 5백 년 이전부터 우리 강역에 피어 있었고, 우리 선조들은 무궁화를 신성하고 존귀한 꽃으로 여겼으며, 필요한 곳에는 식재도 한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신라시대에 이미 무궁화가 우리나라로 국내외에 인식되어 국서 등에 근화향(槿花鄕), 즉 ‘무궁화 나라’라고 명기하였다. 그런가 하면 조선시대에는 홍단심계통의 무궁화가 널리 보급되어 있었고, 상대적으로 백단심계 무궁화는 보기 힘든 꽃이었으나 백단심계 무궁화가 보다 귀하게 여겨진 것을 문헌을 통해 알 수 있었다. 또한 일제의 침탈로 무궁화가 민족의 이름으로 수난을 겪었지만 광복구국운동의 표상으로 부각되어 국민들에 의해 자연스럽게 나라꽃이 된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무궁화는 ‘신의 꽃’, ‘나라의 꽃’, ‘희망의 꽃’, ‘백성의 꽃’등으로 자리매김하며 우리 민족과 관계를 가져온 것으로 판단된다. Mugunghwa seems to be the flower which has been closely connected to the Korean history and culture by and large, that being so the relation between the Korean people and the flower would be considered distinctive. The aim of the study is going to examine the endemic relation between Mugunghwa and Korean ethnic group by tracking the historical documents referring to the national flower. Mugunghwa firstly appeared alongside the rivers of the country over 2,500 years ago according to the historical literature, the Korean ancestors considered the flower as a sacred and noble symbol, and planted them as occasion demands. Mugunghwa had already been regarded as the national flower in the Shilla era, so it is written 'Geunhwahyang', in other words 'the nation of Mugunghwa' in the credentials. According to the historical record, 'Baek-Tanshim' breed was regarded more precious in the Joseon Dynasty since Hibiscus syriacus 'Hong-Tanshim' was a nationwide-spreaded breed while Hibiscus syriacus 'Baek-Tanshim' was rarely seen. And even though Mugunghwa underwent a terrifying ordeal in Japanese Colonial Era, it soon emerged as symbol of restoration of independence in Korean Peninsula and then generally recognized as the national flower. Therefore as it's been concerned, Mugunghwa has successfully been establishing itself as 'Heavenly Flower'. 'the Flower of Hope', 'the National Flower', and 'the Flower for People', and been an intimate ethnic symbol.

      • KCI등재

        `자동기술법`에 의한 캐릭터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김수화 ( Kim Sue-hwa ),김정명 ( Kim Jung-myung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09 한국디자인포럼 Vol.22 No.-

        본 연구는 캐릭터 디자인의 방법으로 무의식의 시각적 표현이자, 초현실주의 작가들의 표현행위로 잘 알려진 `자동기술법(Automatisme)`을 통한 캐릭터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이다. 작가의 개인적 무의식을 통해 형성된 캐릭터는 개성적이면서도 그가 속한 문화와 집단의 정서를 반영하게 되는데, 이에 성공한 캐릭터는 대중의 공감과 사랑을 얻어 `장기캐릭터(long-term character)`라 불리며 폭넓게 성장하고 장수한다. 본 연구는 먼저 무의식의 표현 및 `자동기술법`에 대한 이론을 기술하고, 정신질환자 및 초현실주의자의 작품에서 `자동기술법`에 의한 캐릭터 디자인의 개발 근거를 제시한다. 다음으로 성공한 캐릭터 디자인의 형성 과정과 그 캐릭터에 대한 분석을 통해 `자동기술법`을 활용한 캐릭터 개발의 과정을 파악한 후, 본 연구자의 무의식에 대한 `자동기술법`을 통해 `왕따클럽` 캐릭터들이 형성되는 과정을 기술하고 그 결과로서의 캐릭터를 개발, 제안한다. 이 연구를 통해 `자동기술법`을 활용한 무의식의 시각적 표현이 캐릭터 디자인을 개발하는 독창적인 한 방법임을 구체적으로 밝힌다. This research is unconscious visual expression and research about character design formation possibility through `Automatisme` known well as expression conduct of surrealism writers by method of character design. On the Character designed through private unconscious of designer, he reflects emotion of culture under the rule of his society and unconscious of group. The character that succeed hereupon gets public`s sympathy and love, and is called `Long-term character` and grows comprehensively and lives long. This study is processed by four steps. First, It describes the expression types of unconsciousness and theory about `Automatisme`. Second, It finds the possibilities of creating new characters from mental patient`s works and the surrealism works formed by `Automatisme`. Third, It discovers by analyzing the creating processed character itself of succeeding character design, which is made by `Automatisme`. Finally it proposed the creating process and design character `Wangta-club` made by researcher, myself with `Automatisme` This `Wangta-club` character shows the possibility of character design by `Automatisme` as a creative character design process.

      • KCI등재

        자궁 내 감염 관련 유전자 및 산화 스트레스 관련 유전자와 조기분만의 연관성

        유시연 ( Si Yeon You ),김정명 ( Jung Myung Kim ),이경아 ( Kyung A Lee ),박미혜 ( Mi Hye Park ),김영주 ( Young Ju Kim ),전선희 ( Sun Hee Chun ) 대한산부인과학회 201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3 No.7

        목적: 조기 분만과 자궁 내 감염 관련 유전자 (IFN-γ, interleukin [IL]-10) 및 산화 스트레스 관련 유전자 (CYP1A1)와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 방법: 2007년 1월부터 2008년 12월까지 이대 목동병원 산부인과에서 산전 검사 및 분만을 시행한 산모 중 37주 이전에 분만한 조산군 164명과 37주 이후에 분만한 대조군 30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임신 주수 24주 미만, 태아의 선천성 기형, 다태아 분만, 사산의 경우를 제외하였다. 참여자는 입원 시 키, 몸무게 측정 및 혈액 채취를 시행하였고 임신 주수는 최종 월경일 또는 초음파 측정을 통해 계산 되었다. 산모의 혈액에서 IFN-γ, IL-10, CYP1A1 유전자형을 PCR과 SNaPShot method를 사용하여 검사하였으며 카이제곱 검정과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통계분석 하였다. 결과: 조기 분만군과 만삭 분만군 사이에 임신 주수, 태아 체중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01). IFN-γ, IL-10, CYP1A1 유전자형의 빈도와 조기 분만 사이에는 유의한 상관성이 없었다(P>0.05). 결론: 본 연구에서 IFN-γ (874A/T) 및 IL-10 (1082A/G), IL-10 (819C/T), IL-10 (592A/C)와 CYP1A1 (T6235C), CYP1A1 (Ile462val [A/G]) 유전자형의 빈도는 조산과 관련이 없었다. Objective: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preterm birth and cytokine genes (IFN-γ, interleukin (IL)-10) in intrauterine infection and enzyme gene (CYP1A1) in oxidative stress response. Methods: This study involved a case-control study conducted at Ewha Womans University Hospital in Seoul, Korea. Subjects with preterm deliveries (<37 weeks of gestation) and normal controls with term deliveries (≥37 weeks of gestation) were selected from gravidas who had undergone prenatal examinations in the hospital and were followed until infant delivery. The weight, height, and blood samples of each participants were obtained according to standard protocols. We included subjects who gave birth to a singleton infant and had a gestational age between 24 and 42 weeks. Mutiple births, stillbirths, and congenital anomalies were excluded. Finally, 164 gravidas with preterm births and 305 normal controls with term deliveries were enrolled in the present study. Results: Preterm delivery group and term delivery group had significant difference in gestational age and neonatal body weight (P<0.0001).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preterm birth and IFN-γ, IL-10, CYP1A1 genes (P>0.05). Conclusion: In this study, IFN-γ (874A/T), IL-10 (1082A/G), IL-10 (819C/T), IL-10 (592A/C) and CYP1A1 (T6235C), CYP1A1 (Ile462val [A/G]) genes had no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preterm birth.

      • KCI등재

        동아시아 국내 이주 여성의 정상 월경에 필요한 체질량 지수와 체지방율에 관한 연구

        정경아 ( Kyung Ah Jeong ),김환지 ( Hwan Ji Kim ),김정명 ( Jung Myung Kim ),정혜원 ( Hye Won Chung ) 대한폐경학회 2009 대한폐경학회지 Vol.15 No.3

        연구목적: 최근 급증하고 있는 동아시아 출신의 국내 이민 여성을 대상으로 코호트를 구축하고 정상 월경을 하기 위한 임계 체질량 지수, 임계 체지방율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재료 및 방법: 베트남과 캄보디아 등에서 국제 결혼을 통해 국내로 이주한 여성 1,710명을 대상으로 자국어로 작성한 설문지와 통역 가능한 조사원을 통해 월경 상태를 조사하였다. 체질량 지수, 허리-둔부 비율을 계산하였고 In body 230으로 체성분 검사를 시행하여 체지방율 값의 분포를 분석하였다. 결과: 평균 연령은 23.7±4.7세였으며, 정상 월경주기인 1,065 명의 체질량 지수는 평균 20.99±2.56 kg/m2로 5 백분위수 값, 17.35 kg/m2, 10 백분위수 17.99 kg/m2, 90 백분위수가 24.57 kg/m2, 95 백분위수 값이 25.94 kg/m2에 해당되었다. 허리-둔부 비율의 평균은 0.824±0.051로 5 백분위수 값이 0.744, 10 백분위수 0.759, 90 백분위수 0.892, 95 백분위수 값이 0.910까지의 범위에 분포하였다. 체지방율의 평균은 29.57±6.15%로 5 백분위수 값이 19.28%, 10 백분위수 21.75%, 90 백분위수 36.70%, 95 백분위수 값이 39.00%에 이르렀다. 결론: 점차 국내 주요 구성원으로 자리잡게 될 동아시아 이민자 여성에서 체질량 지수와 체지방율은 정상 월경을 유지하기 위한 중요한 요인으로 생각되며, 임계 체지방율 값은 낮았다. Objectives: The objective of the study was to evaluate the critical body mass index and critical percent body fat of East Asian immigrants with normal menstrual cycles. Methods: The subjects included 1,710 east Asian women (Vietnamese and Cambodians, etc.) who immigrated to Korea for marriage. Their menstrual status was examined by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The age, body mass index and waist-hip ratio were calculated and the percentage of body fat was measured using In body 230. Results: The mean age was 23.7±4.7 years. In 1,065 east Asian immigrants with normal menstrual cycles, the mean body mass index was 20.99±2.56 kg/m2. The 5th, 10th, 90th and 95th percentiles of the body mass index were 17.35 kg/m2, 17.99 kg/m2, 24.57 kg/m2, and 25.94 kg/m2, respectively. The mean waist-hip ratio was 0.824±0.051. The 5th, 10th, 90th, and 95th percentile of the waist-hip ratio were 0.744, 0.759, 0.892, and 0.910. The mean percent body fat was 29.57±6.15%. The 5th, 10th, 90th and 95th percentiles of body fat were 19.28%, 21.75%, 36.70%, and 39.00%, respectively. Conclusion: Our results suggest that both body mass index and percent body fat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menstruation, but the critical percent body fat for normal menstruation was lower in the east Asian immigrants in Korea. (J Korean Soc Menopause 2009;15:193-199)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