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문화 가정 청년들의 청년기 가족관계 경험 및 그 영향에 대한 합의적 질적 연구

        김재훈,김재훈,김민선,송가람,이수현,송지혜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22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11 No.4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xperiences of family relationships that multicultural young adult experience in families and examines how multicultural young adult family relationship affect in transition. In order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multicultural young adults, 12 young adults who were born in Korea or immigrated were recruited as research participants. A consensus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as used to explore multicultural young adults’s family adaptation and communication experiences. The interview was conducted in a semi-structured format for an average of about 60 to 70 minutes. In order to secure the validity of the research results, two experts received opinions on the appropriateness of the broad fields and categories derived from the research. Finally, 5 domains and 18 categories were derived: ‘Various experiences with family members in the growth process of youth born in Korea.' ‘Formation of a new family and experiences within the mid-immigrant youth.', ‘Cultural adaptation and family relationship experience of foreign parents.’, ‘Effect of the family on identity formation and growth of youth with migration background in the transition period.’ ‘Acceptance of bi-culture due to positive experiences in parent and family.’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experiences of youth with migratory backgrounds in their young adults families were described, and the implications of the role of family relationships in identity formation were described. It was suggested that a study on multicultural young adults is necessary. 본 연구는 다문화 가정 청년들이 청년기 가족 안에서 경험하는 가족관계 경험을 탐색하여 다문화 가정 청년들의 가족 관계가 성인 전환기에 있는 청년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다문화 가정 청년들의 경험을 탐색하기 위해 국내출생과 중도입국 다문화 가정 청년 12명을 연구 참가자로 모집하였다. 분석을 위해서 합의적 질적 연구(CQR)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반 구조화된 형식으로 평균적으로 약 60~70분의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국내출생 청년들의 성장과정에서 가족 구성원과 다양한 경험’, ‘중도입국 청년들의 새로운 가족형성과 그 안에서의경험’, ‘외국인 부모의 문화적응과 가족관계 경험’, ‘다문화 가정 청년들의 이중문화 수용에 가족이 미친 영향’, ‘다문화 가정 청년들의 정체성 형성과 성장에 가족이 미친 영향’의 5개 영역과 18개 범주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 가정 청년들의 청년기 가족 안에서의 경험을 살펴보고 정체성 형성에 가족관계의 역할에 대한시사점을 논하였다.

      • KCI등재후보

        1997~98년 한국 경제공황의 지역적 전개구조

        김재훈 한국사회경제학회 2003 사회경제평론 Vol.20 No.-

        The economic crisis in 1997-98 was a typical capitalist economic crisis in their it encompassed all the regions and all the industries of Korean. Regionally speaking, big cities such as Busan, Daegu, Gwagnju, Seoul and provinces such as Chungbuk, Chunhnam,Gyungnam,Gyungi suffered depression more severely. These areas are those of being industrialized already or lately. This phenomenon is also related with the Korean economic accumulation pattern which is accomplished through financial debts. The ecoomic crisis maintained more long time in Busan,Daegu,Incheon where have suffered economic decline or in Jeonbuk, Gangwon, Jeonnam where are underdeveloped yet. We can say that these characteristics of crisis came from the status of major industries in each areas. Whereas 'the creative destruction' during the crisis in big cities made it at intr-industries rather than inter-industries. New accumulation dynamics transfered from old to new industries. We can conclude from this that regional policy after crisis must be taken without regional boosterism and with true innovation of regional society. 1997-98년 외환그융위기는 한국경제의 모든 지역, 모든 산업부문에 걸쳐 파급되었다는 점에서 자본주의 고유의 경제공황이었다. 지역적으로는 부산 대구 광주 서울 등의대도시와 충북 충남 경남 경기지역 등이 경제공황을 더 심하게 겪었다. 이들 지역들은 공업화가 기왕에 혹은 최근에 가장 많이 진행된 지역들이다. 재벌이 주도한 부채를 통한 축적과도 관련이 깊다. 지속기간으로는 부산 대구 인천과 전북 강원 전남 등 최근 쇠퇴추세를 보이거나 상대적으로 낙후된 지역들이 오래 겪었다. 주로 주도사업의 실태로부터 비롯된 것이다. 한편 지방대도시를 볼 때 공황을 통한 '창조적 파괴'가 업종 내에서보다는 새로운 업종으로 성장 동력의 이동 형태로 진행되었다. 공황 이후의 지역경제정책은 시장흐름과 다르게 추진되어 별 성과를 올리지 못했다. 지역사회의 진정한 혁신과 함께 진행되엉 실효를 거둘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 KCI등재

        사이클 상에서 정렬을 위한 로봇의 최소 움직임

        김재훈,Kim, Jae-Hoon 한국정보통신학회 2017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21 No.2

        n개의 정점들을 가지는 그래프 G=(V, E)에서 각 정점에는 마지막에 놓여야 하는 고유한 상자가 존재한다. 따라서 각 정점과 상자를 1부터 n까지의 정수로 나타내고 정점 i에 놓여야 하는 상자는 상자 i로 나타낸다. 하지만 초기에 상자들은 순열(permutation) ${\pi}$에 따라서 정점 i에 상자 ${\pi}$(i)가 놓여있다. 각 단계에서 로봇은 G의 한 에지 상을 움직일 수 있고, 어떤 순간에 많아야 하나의 상자를 운반할 수 있다. 또한 정점에 도착하면 운반 중인 상자와 정점에 놓여 있는 상자를 교환할 수 있다. 문제는 모든 정점이 자신의 상자를 받을 수 있도록, 다시 말해서, ${\pi}$에 의해 섞여진 상자를 정렬하는, 로봇의 움직임의 최소 단계 수를 찾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그래프 G가 사이클(cycle)인 경우에 최소 단계수의 상한 값을 찾고 이 단계 안에 정렬을 수행하는 로봇의 움직임을 $O(n^2)$ 시간에 찾는 수 있음을 보일 것이다. In a graph G=(V, E) with n vertices, there is an unique box which is finally laid on each vertex. Thus each vertex and box is both numbered from 1 to n and the box i should be laid on the vertex i. But, the box ${\pi}$(i) is initially located on the vertex i according to a permutation ${\pi}$. In each step, the robot can walk along an edge of G and can carry at most one box at a time. Also when arriving at a vertex, the robot can swap the box placed there with the box it is carrying. The problem is to minimize the total step so that every vertex has its own box, that is, the shuffled boxes are sorted. In this paper, we shall find an upper bound of the minimum number of steps and show that the movement of the robot is found in $O(n^2)$ time when G is a cycle.

      • KCI등재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함유한 고유동 모르터의 유동성상에 미치는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김재훈,윤상천,지남용,Kim, Jae-Hun,Yoon, Sang-Chun,Jee, Nam-Yong 한국건축시공학회 2002 한국건축시공학회지 Vol.2 No.4

        High fluid concrete unlike OPC concrete is made with various material, and the phase of fresh concrete is considerably different. In order to understand fluidity phase and mix properties of high fluid concrete, concrete is required to access as suspension structure which consists of aggregate and paste. The focus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test results and quantify the effect of mix proportions of mortar and fineness modulus of sand on the properties of fresh mortar. The effect of water-binder ratio. sand-binder ration. contents of ggbs (by mass of total cementitious materials). and various contents of water reducing agent on the yield stress and plastic viscosity of the mix is studied. Based on the experimental results, the fellowing conclusions can be drawn: (1) The mixing time needed for high fluid mortar was approximately two times more than that of ordinary portland mortar. (2) The fluidity phase of mortar could be explained by yield stress of mix and the fluidity of mortar. (3) As the content of ggbs increased, yield stress of mortar was decreased and plastic viscosity of it was increased. (4) For the high fluid mortar, it was appeared that sand-binder ratio should be below 1.5.

      • 중앙과 지방간의 행정사무배분을 위한 기준 및 지표 개발

        김재훈,정용남,장지원 한국행정연구원 1992 기본연구과제 Vol.1992 No.-

        地方自治의 경험이 일천한 우리나라에서 地方自治圈體는 中央政府의 지시와 감독을 받아 중앙에서 결정된 정책을 지방에까지 전달하는 一線行政機關으로서의 성격을 매우 강하게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地方政府가 하는 일의 상당부분의 中央政府가 위임한 사무들이었고 행정사무의 중앙-지방간의 명확한 구분이 그리 중요하지 않았으며 어떤 사무를 누가 어느 정도의 책임을 가지고 수행하여야 하는지가 불명확하였다. 그런데, 88년 地方自治法의 개정을 통해 본격적인 地方自治制를 실시하기 시작한 우리에게 있어 지방자치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한 기본전제 중의 하나가 地方事務의 범위가 명확하고 합리적으로 획정지어져야 하고 이에 따라 事務의 再配分이 이루어져야 하는 것이라는 점이 인식되면서부터 政府階層間의 事務處理 主體의 合理化, 明確化와 中央이 수행하고 있는 지방성격사무의 지방이관이 근래 가장 시급하고도 중요한 선결과제로 등장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선결과제의 시행은 이를 저해하는 두가지 요인 때문에 현재 잘 진행되고 있지 않는데 이는 다음과 같다. 첫째, 事務의 소속판정의 기본이 되는 현행 법령상의 기준이 具體性을 缺하고 있고 유사한 개념의 기준들이 포함되어 있으며 中央의 事務基准과 地方의 事務基准이 서로 독립적으로 제시되어 있어서 실제의 사무판정에 큰 도움을 주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둘째, 이관대상사무를 선정하고 그에 따라 소관법령을 개정하여야 할 중앙행정기관들이 中央集權的 能率優先主義, 지방자치단체의 능력과 자세에 대한 不信 그리고 部處利己主義 등으로 인하여 합리적이고 원만한 지방이관대상사무의 선정과 이관이 행하여지지 않고 있는 점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그 중요성과 현실적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이제까지 거의 연구되지 않은 분야인 ``中央과 地方間의 行政事務在配分을 위한 基准 및 指標開發``을 시도함으로써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여기서 開發된 基准 및 指標들은 行政事務들의 중앙 혹은 지방정부에의 소속판정 뿐만 아니라 事務를 地方에 移管하지 않으려는 中央行政機關들을 설득하는데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의 주요한 내용을 기술해 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제 2장에서는 法的 分類의 現況, 事務配分 現況을 파악하였다. 제 3장에서는 주요 外國의 법령에서 채택하고 있거나 각종 연구보고서에서 논리적으로 제시된 事務配分의 基准 및 指標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제3장에서 살펴본 것으로는 우리나라의 경우 事務配分은 일본의 예를 따라서 비교적 상세히 규정되어 있으나, 체계적이지 못하고 추상적이기 때문에 사무에 대한 명확한 소속판정을 내리기에는 충분치 못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외국의 예로 미국, 일본, 영국, 프랑스 그리고 호주의 경우를 보았는데, 각국의 정부형태가 다르고 역사가 다르기 때문에 특정사무를 수행하는 정부수준은 차이가 있었으나, 倫理性을 위조로 개발된 政府間의 事務配分을 위한 基准과 指標는 매우 유사하였다. 4장에서는 우선 中央政府와 地方政府의 사무를 배분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을 政府的 基准, 經濟的 基准 그리고 行政的 基准으로 區分하였는데, 政治的 基准에는 地方의 自律性確保, 公正性의 確保, 그리고 民主性(反應性)의 세가지를, 經濟的 基准에는 地方의 財政手段의 確保, 經濟的, 效率性의 두가지를, 마지막으로 行政的 基准에는 行政의 能率性의 確保, 一貫性의 確保 그리고 責任의 明確化의 세가지를 설정하였다. 이러한 기준하에서 지표를 개발ㆍ정리한 결과, 地域性 對 全國性에 관련하여 8개, 經濟的 效率性에 관련하여 4개, 逐行能力에 관련하여 4개 그리고 公平性 및 衡平性에 관련하여 3개의 지표를 개발하였다. 그러나 개발된 지표들은 궁극적으로 사무의 중앙과 지방간의 배분에 도움이 되어야 한다는 점을 고려해 볼 때, 指標들의 同一 平面上의 나열 이상의 體系化가 필요하였다. 그 이유는 개발된 19개의 지표 가운데에는 i)서로 다른 차원의 특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사무의 배분시에 동일한 차원에서 적용하기 어려운 것들이 있고, ii) 同一한 性質에 대한 多樣한 側面을 나타내기 때문에 重復的인 것들이 있고, iii) 그 重要性이 顯著하게 떨어져서 該當 指標의 追加與否가 最終判定에 影響을 거의 미치지 못하는 지표들이 있기 때문이었다. 이러한 이유로, 이들 지표를 體系化하여 크게 事務의 大分類를 위한 指標와 事務의 細分類를 위한 指標로 區分하였다. 대분류 지표에 의하여 구분된 사무들에 대하여 행정절차상의 위치에 따라 다시 세분류가 가능하다는 점에 착안하여 세분류 지표를 별도로 작성하였다. 大分類指標는 다시 基本指標와 實行指標로 區分하였는데, 基本指標는 論理的인 판단에 의한 事務配分基准이고, 實行指標는 基本指標에 의한 事務配分을 현실에 비추어 보아 그 適實性을 판단하기 위한 기준이다. 그런데, 이러한 指標의 體系化는 각 지표가 모든 사람에게 동일한 의미를 나타내지 않을 수 없다는 점, 각 指標가 連續的인 성징을 가지고 있다는 점, 그리고 각 指標에 의한 판정이 서로 상충될 수 있다는 점에서 한계를 가지고 있다고 보여진다. 그래서 이를 보완해 줄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고 생각되는바 이를 위해서 관련 중앙행정기관과 대표성이 있는 地方自治圈體의 대표, 그리고 학계의 전문가가 모여 조정할 수 있는 委員會의 구성을 성정할 수 있겠다. 이 委員會는 본 연구에서 제시된 指標와 判斷模型에 의한 합리적 판단을 기초로 中央政府와 地方政府의 事務配分을 시도할 수 있을 것이라 여겨진다. 본 연구는 論理性에 촛점을 두고 基准 및 指標를 開發, 體系化하는 시도를 해 보았다. 또한 이의 보완을 위한 委員會制를 제안하였다. 그러나 궁극적인 목표인 中央과 地方間의 合理的 事務配分을 위하여는 미국의 ACIR의한 보고서가 지적하였듯이 事務配分에 있어서 ``더욱 중요한 것은 현재의 즉흥적이고 임기웅변적인 事務配分을 시정하고자 하는 意志가 있느냐 없느냐`` (1981, 437) 하는 것이므로 中央과 地方間의 合理的 事務配分을 위하여는 兩 當事者인 中央行政機關과 地方自治圈體가 지방자치시대에 걸맞는 思考의 轉換을 하여야 할 것이다. Except for a short period, local governments have been a tool for successfully implementing policy decisions made by the central government, Most of local functions have been delegated by the central governments and distinction between the orginal local functions and delegated ones has been obscured. This uncertain distribution of functions between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However, has been paid little serious attention until recently. The establishment of the local council in 1991 and the prospective election of heads of local governments changed this situation. The central government exerts much efforts on not only clarifying to local governments in order to enhance local autonomy. The efforts have not been successful so far. Because legal criteria are ambiguous and central government officials are unwilling to transfer their functions to local governments. In this vein, this study attempted to develop a list of rational criteria and indicators for the appropriate distribution of functions between the two levels of governments. This study examined criteria and indicators stipulated by the law or developed by the researchers in and outside the country in Chapters 2 and 3. Five foreign cases - U.S.. Japan, England, France and Australia - were reviewed. Even though the history. the political system and the distribution of functions between levels of governments are different, offorts to develop rational or logical criteria and indicators for distribution of functions were found in all five countries and similar criteria and indicators were found. A synthesis of the criteria and the indicators discussed in Chapters 2 and 3 was attempted in Chapter 4. Eight criteria were Selected and categorized to political, economic and administrative criteria, The political criteria included securing local autonomy. responsiveness and fairness. The economic criteria included securing economic capacity of local governments and economic efficiency. Finally, the administrative criteria included securing administrative efficiency, consistency and clarification of responsibility. Considering these 8 criteria, this study developed 18 indicators. A simple listing of 18 indicators, however, was not so much Helpful to actual distribution of functions due to the different degree of importance of indicators and their redundancy. As such, we attempted a categorization of indicators and the construction of a model to judge whether a function belongs to the central or local governments. Two kinds of indicators (logical and practical) were expected to help classify broad functions. And the other indicator (the position in the administrative process) was expected to help calssify the component functions of those broad ones. This study attempted to develop criteria and indicators and to constructed a judgment model for distribution of functions between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Even though we expect this kind of attempt to contribute to actual distribution of functions, these indicators and the model suggested are limited in that they were developed and constructed based upon a test of a limited number of functions, It points out that we should put some more efforts to listing the whole functions in future research which can be utilized for developing more indicators and constructing a better judgment model. The will of the two parties concerned to correct the current distribution is the most important for better distribution of functions. Therefore, it must emphasized that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should convert their traditional thought to the new one corresponding to the era of local autonomy.

      • 외환위기 이후 한국의 산업정책

        김재훈 대구대학교 경제경영연구소 2002 경제경영연구 Vol.1 No.2

        오늘날 지구화시대의 산업정책은 국가가 개발을 주도하는 것이 아니라 시장의 불안정성을 '조정'하고 '완충'하는 기능이 중요하다. 즉 경제의 지속성장을 가능케 하는 것이어야 한다. 또 기존 국민국가외에 지방정부에 의한, 국가보다 상위 수준의 정책 등 3층위 별로 설정되어야 한다. 경제위기 이후의 산업정책은 기존 축적자본에 대한 가치파괴(산업합리화정책)와 새로운 성장순환을 가능케 하는 것(산업구조정책)으로 구성되는데, 특히 1997년 경제위기 이후 산업정책의 성격은 한국경제가 과거 개발독재시대의 축적모형에서 벗어나 새로운 축적모형으로 이행하게 하는 것이어야 한다. 이런 관점에서 외환위기 이후 기업 공공부문 노동 금융 등 4대부문 구조조정정책과, 지역산업정책, 동아시아지역 차원의 산업정책을 분석·평가한다.

      • KCI등재후보

        1997~98년 한국 경제공황의 지역적 전개구조

        김재훈 한국사회경제학회 2003 사회경제평론 Vol.- No.20

        1997~98년 외환금융위기는 한국경제의 모든 지역, 모든 산업부문에 걸쳐 파급되었다는 점에서 자본주의 고유의 경제공황이었다. 지역적으로는 부산 대구 광주 서울 등의 대도시와, 충북충남 경남 경기지역 등이 경제공황을 더 심하게 겪었다. 이들 지역들은 공업화가 기왕에 혹은 최근에 가장 많이 진행된 지역들이다. 재벌이 주도한 부채를 통한 축적과도 관련이 깊다. 지속기간으로는 부산 대구 인천과 전북 강원 전남 등 최근 쇠퇴추세를 보이거나 상대적으로 낙후된 지역들이 오래 겪었다. 주로 주도산업의 실태로부터 비롯된 것이다. 한편 지방대도시를 볼 때 공황을 통한 '창조적 파괴'가 업종 내에서보다는 새로운 업종으로 성장 동력의 이동 형태로 진행되었다. 공황 이후의 지역경제정책은 시장흐름과 다르게 추진되어 별 성과를 올리지 못했다. 지역사회의 진정한 혁신과 함께 진행되어야 실효를 거둘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 물체 및 홀로그램 분할을 이용한 광각시야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합성

        김재훈,양훈기 광운대학교 신기술연구소 1998 신기술연구소논문집 Vol.27 No.-

        본 논문에서는 물체 및 홀로그램을 분할하므로써 광각시야 3차원 영상을 합성할 수 있는 새로운 디지틀 홀로그램 합성 방법을 제시하였다. 제시된 방법은 2차원 단면에 대해 직접 퓨리에 변환을 적용하여 기존의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에서의 프로젝션 과정이 필요치 않았으며 또한 홀로그램을 세그먼트함으로써 계산시간을 줄이면서도 광각시야를 제공하는 홀로그램을 합성할 수 있었다. 시뮬레이션을 통해 기존의 디지틀 홀로그램에 의해 복원된 영상과 물체 및 홀로그램을 분할하여 복원시켰을 때의영상 그리고 훌로그램만 분할하여 복원한 영상을 각각 비교하였다. This paper presents a new method to synthesize a wide-viewing digital hologram which is achievable via segmenting both a hologram and a object. This Proposed method directly takes Fourier transform of sliced 2-D images, resulting in no requirement of the projection Process which is generally used in holographic stereogram. By segmenting the hologram, we can synthesize the wide-viewing hologram with reducing the computation time. By computer simulation, the reconstructed images obtained by the digital hologram, the proposed hologram segmentation method and the proposed hologram and object segmentation method are compa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