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스튜디오 뭄바이 주택에 나타난 지역적 재료와 빛의 공간적 특성

        김자영 ( Kim¸ Jayoung Eunice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6

        (연구 배경 및 목적) 1995년 Bijoy Jain이 설립한 Studio Mumbai는 2006 년부터 디자인의 독창성과 디자인 접근법을 인정받아 다수의 국제적 건축상을 수상한 후 전 세계적인 주목을 받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Bijoy의 건축 철학을 바탕으로 독특한 디자인 특징을 담고 있는 2003년~2011년에 완공된 Studio Mumbai의 주거 프로젝트를 조사하고 분석함으로, 지역 재료의 사용과 대지의 환경적 특성의 이해가 설계과정에 밀접히 적용되었을 때 어떠한 가능성을 제시하는지를 도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제2장에서는 사례 분석에 앞서 Bijoy Jain의 건축 철학과 설계에 접근하는 배경을 살펴본다. 이를 바탕으로 제3장은 2003년부터 2011년까지의 다양한 주거 프로젝트의 디자인 다양성과 특징을 분석하고 요약한 다음, 4개의 사례 프로젝트를 선정하여 사용된 재료의 선택과 의미, 대지와의 관계, 공간에 미치는 영향 등을 분석하였다. 추가로, 각 주택의 빛의 유입 및 제어 방법과 공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발견된 결과를 요약해 봄으로 스튜디오 뭄바이의 주거 건축에 나타난 지역적 재료와 빛의 공간에 미치는 영향과 특성을 확인했다. (결과) 2003년에서 2011년 사이에 완공된 8개의 주거 프로젝트 중에서 추가 분석을 위해 다음과 같은 공통된 특징이 있는 4개의 사례 프로젝트가 선정하였다. 첫째, 개방된 대지에 위치하였고, 집의 배치가 내부 정원을 만드는 공간 배열이다. 셋째, 공통적인 재료, 지역 목재, 석재 및 착색 시멘트 사용하여 공간을 구축하였다. 마지막으로 빛의 유입을 통제하고 제어함으로 특유의 실내 분위기를 만들어냈다. (결론) 4개 사례 프로젝트의 분석을 통해 발견된 일반적인 특성은 주택의 배치에 있어서 자연적 대지 보존과 지역 재료 (목재, 석재, 물) 사용 측면에서 나타나는 현장에 대한 반응이라는 것이 분명했다. 지역적 재료, 자연 재료를 활용함으로 새롭게 구축된 건축물은 시각적, 물리적으로 대지와 밀접한 조화와 관계를 맺었고, 물리적인 관계의 차원을 넘어 공간이 만들어내는 심리적인 효과와 대지와의 물리적 연계성이 만들어내는 심리적 연결도 발견되었다. 또한, 스튜디오 뭄바이의 작업 과정에서 나타나는 ' 지역적' 또는 '전통적' 건축 방법은 전통적인 지역성을 현대적인 방식'으로 재해석 할 수 있는 섬세하고 합리적인 방법이라고 사료된다. Bijoy Jain의 이러한 디자인 특성은 반복적인 사용으로 그의 대표적인 제스쳐로 자리매김을 하였을 뿐만 아니라 그의 건축적 철학과 구축방법과 지역의 여러 특성을 고려한 다양한 디자인 방법의 활용이 과거와 현재를 이어주고 지속 가능한 사회에 표현될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Background and Purpose) Founded in 1995 by Bijoy Jain, Studio Mumbai has been attracting worldwide attention since 2006 after winning numerous international architectural awards in recognition of its originality and design approac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residential project of Studio Mumbai completed between 2003 and 2011, to understand the use of local materials and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site in order to derive what possibilities are presented when closely applied to the design process. (Method) Chapter 2 examines the background of Bijoy Jain's architectural philosophy and approach to design prior to case analysis. Based on this, Chapter 3 analyzes and summarizes the design diversity and characteristics of various residential projects from 2003 to 2011, and then selects four case projects to determine the choice and meaning of the materials used, the relationship with the site, and the space. The spatial effect were analyzed. In addition, the inflow and control method of light in each house and its effect on space was examined. By summarizing the findings, the effects and characteristics of local materials and light on the space in the residential architecture of Studio Mumbai were confirmed. (Results) Among the eight residential projects completed between 2003 and 2011, four case projects with the following common characteristics were selected for further analysis. First, it is located on an open site, and the layout of the house is a spatial arrangement that creates an inner garden. Third, the space was constructed using the following common materials, local wood, stone, and coloured cement. Finally, it created a unique indoor atmosphere by controlling the inflow of light. (Conclusions) It was evident tha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foun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four case projects were the response to the site, natural site conservation was made by locating the house within the site and the use of local materials (wood, stone, water) throughout the house. By using local and natural materials, the newly constructed building was visually and physically connected with the site in close harmony, and beyond the dimension of physical relations, the psychological effects and connections are created by the space and the physical connection with the site. In addition, the 'regional' or 'traditional' architectural method that appears in the studio Mumbai's work process is thought to be a delicate and rational way to reinterpret the traditional locality in a modern way. These design characteristics of Bijoy Jain are now established as his representative gestures through repeated use but also his architectural philosophy and construction method in connection with design methods that take into account various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suggests a method that connects the past and present thus creating a sustainable society.

      • KCI등재

        에두아도 소우토 디 모우라의 주거 프로젝트에서 나타난 본질적 공간적 특성

        김자영 ( Jayoung Eunice Kim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9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4 No.3

        (연구배경 및 목적) 2011년 플리츠커 상 (Pritzker Prize)을 수상한 에두아도 소우토 디 모우라 (Eduardo Souto de Moura)는 1980년부터 포르투갈에서 활동한 건축가이다. 그의 초기 작품은 알바로 시자 (Alvaro Siza)에 명성에 의해 많은 관심을 못 받았지만, 2000년 경 부터 소우토 디 모우라는 자신만의 특유한 건축적 표현하기 시작하였다. 본 연구는 소우토 디 모우라의 1980년 중반부터 진행된 주거 프로젝트에서 발견 된 반복되는 특성을 분석하여 그의 강력한 건축 언어 및 공간적 효과를 도출하는데 목표를 둔다. (연구방법) 첫째, 제 2 장에서는 사례 분석에 앞서 소우토 디 모우라의 배경과 건축 철학을 살펴본다. 제 3 장에서는 1985년부터 2014 년까지의 다양한 주거 프로젝트 중 설계 방법에 대한 보다 상세한 분석을 위해 다양성을 요약하고 분석 하였다. 제 4 장에서는 대지와의 관계 및 빛의 유입 기준에 따라 6 개의 사례 프로젝트를 추가적으로 분석하였다. 6 가지 사례 프로젝트는 초기 요약에서 발견 된 세 유형의 서로 다른 사이트 응용 방법 설명하기 위해 선택되었다. 다음 장에서는 이전 장에서 발견 된 결과를 요약하고, 소우토 디 모우라의 주거 프로젝트의 본질적인 공간적 특성과 이러한 특성의 의미를 확인함으로써 결론지을 것이다. 소우토 디 모우라는 이러한 디자인 특성을 서명적인 제스처로 사용할 뿐만 아니라 건축적 기본 사항에 대한 지속적인 탐구로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결과) 모든 프로젝트에는 '하나의 열린 앞면이 있는 3 개의 빈 벽'이 포함되어 있음이 발견되었다. 또한 프로그래밍 방식의 배치 측면에서 엄격한 규칙이 존재하고, 이러한 여러 가지 방법을 통해 집은 대지과 특별한 물리적인 관계를 맺는다. 소우토 디 모우라의 집에서 흔히 볼 수있는 빛의 효과는, 창문이 대부분1면에만 설치되기 때문에 따라서 빛은 한쪽에서 유입되고 반대쪽 끝은 점차 어두워짐이 발견되었다. 경우에 따라 어두운 서비스 구역의 복도에는 작은 개구부 또는 천창이 있다. 그러나 '경계벽'이 있는 집에 빛을 유입하는 방법이 다소 간접적이다. 빛은 흰벽에서 반사된 것처럼 보이므로 실내는 다른 집보다 비교적 어둡고 정갈한 공간분위기를 조성한다. (결론) 다양한 소우토 디 모우라의 주거 프로젝트를 분석함으로써 몇 가지 고유 한 특성이 발견되었다. 첫째로, 가장 명백한 것은 열린 정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열 된 생활공간과 함께 '하나의 열린 정면을 가진 3 개의 빈 벽'이다. 둘째로, 건축물에 의해 생성 된 Enclosure와 관련하여 주택과 대지에 설치되는 방식의 결과는 그의 공간에서 빛의 영향으로 향상된 독특한 공간적 분위기를 제공한다. 이 연구를 통해 에두아도 소우토 디 모우라는 화려한 건축양식보다 시적이고 친밀한 해석을 추구하는 공간적 특성에 대한 표현을 추구한다는 것이 분명하다. 소우토 디 모우라 건축물과 생활에 대한 정확한 틀로 간주하므로 화려한 건축 표현을 채택 할 필요가 거의 없다는 것도 발견할 수 있었고 이것이 그의 작품이 프리츠 커 상 (Pritzker awards)에 의해 인정 된 가장 중요한 이유 중 하나라고 판단할 수 있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Pritzker Prize winner of 2011, Eduardo Souto de Moura is an architect who has been practising since 1980, based in Portugal. Although his work had been overshadowed by Alvaro Siza during the earlier part of his career, Souto de Moura has shown an interesting development particularly since around 2000. This study aims to identify and analyze the recurring characteristics found in Souto de Moura’s residential projects from the late 1990s. The powerful architectural language of Souto de Moura will be illustrated through the discussion of the relationship with the site and the spatial effect. (Method) Based on the definition of Eduardo Souto de Moura’s architectural philosophy in Chapter 2, Chapter 3 will illustrate an overview of Souto de Moura’s residential projects from 1985 to 2014. From the general overview, some recurring yet significant characteristics were found which were further analyzed through six case projects in Chapter 4. Six projects were selected as cases to illustrate the three types of site applications and their consequent effect of light. The following chapter is a short summary of the intrinsic characteristics that were found in the analysis. (Results) The most significant architectural characteristic found in Souto de Moura’s residential projects is the ‘three blank walls with one open front’. In terms of the programmatic arrangement, there is a strict order and any one given room rarely has more than one open front. As the rooms are arranged in a row, the light is introduced from one side and gradually darker on the opposite end. In the case of the house within a ‘boundary wall’, the light is refracted and amplified by the whiteness of the walls which make the interior dimmer and subdued than other house types. (Conclusions) Through the analysis of a variety of Souto de Moura’s residential projects, some intrinsic characteristics were found. Firstly, the most apparent is the ‘three blank wall with one open front’ composition with the living space arranged in a row along the open front. Secondly, the result of how the house sits on the site in connection with the enclosure produced by the architectural composition provides a unique spatial atmosphere, enhanced by the effect of light in his houses. The study has identified the intrinsic spatial characteristics in Souto de Moura’s residential projects and the meaning of these characteristics. Souto de Moura seems to repeatedly use these design characteristics not only as a signatory gesture but also as a continuous exploration into the fundamentals of architec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