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IESCOPUSKCI등재

        단분절 바렛식도에서 발생한 식도선암

        강진 ( Jin Kang ),안성규 ( Sung Gyu An ),김표준 ( Pyo Jun Kim ),박태익 ( Tae Ik Park ),김일두 ( Il Du Kim ),김도훈 ( Do Hoon Kim ),김태오 ( Tae Oh Kim ),김광하 ( Gwang Ha Kim ),강대환 ( Dae Hwan Kang ),송근암 ( Geun Am Song ),김익두 대한소화기기능성질환·운동학회 2007 Journal of Neurogastroenterology and Motility (JNM Vol.13 No.1

        Barrett`s esophagus is characterized by a change in the esophageal epithelium, of any length of the esophagus, and this can be recognized via endoscopy and confirmed by the presence of intestinal metaplasia and goblet cells on biopsy from the lower esophagus. It is a premalignant lesion of adenocarcinoma of the esophagus. Barrett`s esophagus is classified as long when it presents as a segment of columnar epithelium longer than 3 cm, and as short when it is shorter than 3 cm. The prevalence of Barrett`s esophagus is low and its malignant change is rare. We report here on a case of esophageal adenocarcinoma that developed from a short segment Barrett`s esophagus, and this was treated by proximal gastrectomy. (Kor J Neuro-gastroenterol Motil 2007;13:68-71)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일반논문 : "원초연극(ur-theatre)" 으로서의 제주 민속극 "심방굿놀이"

        김익두 ( Ik Doo Kim ) 한국공연문화학회 (구,한국고전희곡학회) 2010 공연문화연구 Vol.0 No.21

        `심방굿놀이`란 제주도의 전문적인 무당/샤먼인 `심방`이 하는 무당굿/`심방굿`의 일부로 공연되는 `원초연극`을 말한다. `심방굿놀이`는 제주도 무당굿인 `심방굿` 전체 과정의 일부분으로 통합되어 존재하며, 제주도 심방굿 중 `큰굿`의 전체 과정 중에서는, 주로 `맞이굿`과 `놀이굿` 부분 속에 가장 많이 분포하고 있고, <청신→향연·기원→송신>의 `큰굿` 구조 속에서는 `향연·기원` 부분 속에 존재한다. 스토리 및 플롯 면에서는, <위반-위기-교정행동-재통합>이라고 하는 터너의 이른바 `사회극(social drama)`의 구조를 취하고 있고, 연극적 형식의 측면에서 보면, <자극-고통-처벌>이라고 하는 `멜로드라마`의 구조를 취하고 있다. 등장인물 면에서는, 주요 등장인물들 모두가 신적인 인물들이 중심을 이루고, 그들은 다시 악신들과 선신들로 나누어지며, 이러한 신적인 등장인물들의 사제자적인 성격을 가진 인물들도 많이 나타난다. 또한, 신적인 성격의 등장인물들과 세속적인 인간 청관중들 `사이`에서 이 두 세계를 이어주는 `매개자` 역할을 하는 사제자인 `수심방` 및 부속 사제자인 `소무` 등이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심방굿놀이`의 능동적인 참여자로서의 `청관중`의 존재도 매우 중요하다. 어법 면에서는, 주요 사제자인 `수심방` 등의 `매개`에 의한, 신적인 등장인물들과 세속적인 인간 청관중들 사이의 `대화구조`가 가장 중요한 어법적 특징이다. 사상 및 주제 면에서는 `벽사진경(벽邪進慶)`의 사상, 그리고 우주와 인간 세상, 신과 인간, 이승과 저승 사이의 조화로운 관계 추구의 사상, 생명 조화의 사상 등을 확인할 수 있다. 공연적인 측면에서는, 작중 시공간과 공연 시공간이 동시적·통합적으로 존재한다는 점, 공연자와 청관중 사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매우 개방적인 대화적 상호관계, 그 중간 매개자로서의 `수심방`, 우주와 인간 세계의 통합 관계 회복의 통로로서의 공연성 등을 지적할 수가 있다. 제주도 `심방굿놀이`의 연극사적 의의로서는, 연극의 위상을 자본주의적 이윤 추구의 맥락이 아닌 우주적 신성 질서 속에 위치시킨다는 점, `분리`된 우주와 인간 사이의 틈을 극복하여 우주와 인간 세계의 `통합`을 추구하는 연극이라는 점, 우리 연극문화의 중요한 `토종 유전자`라는 점 등을 지적할 수 있다. "Simbang-gutnori" is a kind of `ur-theatre` that is performed as a part of shaman exorcism, `Simbang-gut` in Jeju Island. The plot of "Simbang-gutnori" is composed of structure of `social drama`, `breach-cricis-redressive action-reintegration`, and composed of structure of melodrama, `stimulus-pain-punishment`. The characters of "Simbang-gutnori are consist of divine characters and their celebrants. Especially, Celebrants, `Susimbang` and `Somu` play the roles of mediators between divine characters and secular human audiences for reintegrating divine world and secular world. Audiences of `Simbang-gutnori take the very important roles as active partakers. The characteristics of diction of `Simbang-gutnori is `dialogue-structure` between divine characters and secular human audiences through the mediation of mediators, `Susimbang` and `somu`. In aspects of main ideas and theme, we can identify ideas of driving out badness from home and villages and letting good into homes and villages, pursuing the harmonious relationships between cosmos and human world, gods and human-beings, the world of the dead and this world. And we can identify the idea of harmony of all the living things all over the world. In the aspects of performing of "Simbang-gutnori, we can see simultaneous and unified coexisting of time-space in drama and time-space in performing of drama, open and dialogical interaction between performers and audience, `Susimbang` as mediator between performers and audience. And we can point out the historical meanings of `Simbang-gutnori as `ur-theatre` as follows; phase of anti-capitalism that resists pursuing of profit, pursuing reintegration between cosmos and human world, capacity as `ur-gene` of korean theatre.

      • KCI등재

        기획논문 : 한국 대중가요 연구사 검토

        김익두 ( Ik Doo Kim ) 한국공연문화학회 (구,한국고전희곡학회) 2012 공연문화연구 Vol.0 No.24

        본 연구는 한국 대중가요의 연구사를 전반적으로 검토한 것이다. 먼저, 연구의 관심사들을 전반적으로 살펴보면, 언어·문학적 연구(60), 정치·사회적 연구(55), 교육적 연구(51), 역사적 연구(35), 음악적 연구(20), 실천비평(19), 영향·비교연구(16), 작가·가수론(15), 콘텐츠·제작·기획·디자인·메니지먼트·유통·산업(13) 연구, 언론·매체·정보·컴퓨터학적 연구(11), 문화·관광·마케팅·세계화 연구(8), 심리·치료·의학(4)적연구, 연구방법 연구(2), 철학적 연구(2), 지리·역사학적 연구(2), 종교학적 연구(2), 기타 연구(9), 교양·일반(12) 등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전반적인 양상을 각 영역별로 검토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언어 문학적연구 분야에서는, 언어학적 특징, 가사의 전통 계승, 시대적 특성, 언어적 특성, 장르적 특징, 작가적 특성, 주제 문제, 이데올로기, 계층성 등이 다루어지고 있다. 둘째, 정치·사회적 연구 분야에는, 가요운동, 풍속사, 이데올로기, 정책, 표절시비, 정체성, 소비자 등등, 매우 다양한 연구를 보이고 있다. 셋째, 교육적 연구 분야에서는 주로 초중고등학교 교과서에 실린 대중가요를 중심으로 해서 교수-학습에 관한 논의들이 주류를 이룬다. 넷째, 역사적 연구 분야에서는, 우리 대중가요의 통시적·역사적 전개 과정과 관련된 민족지적자료 정리, 전통성 논의, 변화 논의, 이면사, 통사 등 다양한 시도들이 전개되고 있다. 섯째, 음악적 연구 분야에서는 주로 양식/장르사적 논의들이 주류를 형성하며, 이 외에선율, 발성 및 가창, 음향 등에 관한 연구들이 나타나고 있다. 여섯째, 실천비평 분야에서는 주로 평론집 형태로 파악할 수 있는데, 패트론적 시각, 사회-정치적 비평, 전기적 비평, 양식/장르론적 비평, 제도론적 비평 등이 보이고 있다. 일곱째, 영향·비교연구 분야에서는, 주로 가사, 양식, 음계, 문화적 특성 등의 비교가 나타난다. 여덟째, 작가론·가수론 분야에서는, 근대 초기 작사가 연구, 유명 가수에 관한 가수론, 몇몇 유명인들의 자서전 등이 주류를 형성하는 특징이 보인다. 아홉째, 기획·제작·디자인·경영·유통·산업분야의 연구에서는, 그 각각 전문 영역들에 관한 몇 편의 연구들이 보일 정도로, 아직 그 초기 단계의 연구 수준을 드러내고 있다. 열째, 언론·매체·정보·컴퓨터학적 연구 분야도 기획· 산업 분야의 연구와 비슷하게 새로운 연구 영역으로서의 특징들을 드러내면서, 빠른 속도로 활성화될 전망이다. 열한째, 문화·관광·마케팅·세계화 분야의 연구도 앞의 두 분야 못지않게 매우 활발한 연구로 나타날 조짐이 보이고 있다. 특히, 최근 들어 더욱 큰 확산력을 확보해 나아가는 ``한류`` 혹은 ``K-pop`` 등의 전 세계적 흐름은 이 분야의 연구에 많은 활력을 불어넣을 전망이다. 열두째, 이 외에도, 심리·치료·의학적인 연구 분야도, 노래를 좋아하는 우리 민족의 특징 및 노령화 문제와 더불어 앞으로 더욱 더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The whole aspects of Korean modern popular songs are as follows; firstly, there are eighteen areas in studies on Korean modern popular songs; (numerals in the blanks are numerals of articles and books) linguistic-literary studies(60); socio-political studies(55); educational studies(51); historical studies(35); musical studies(20); practical criticisms(19); influential and comparative studies(16); writer and singer studies(15); studies of contents, productions, planning, designs, managements, circulations·industries(13); studies of speech, mass medias, informations, computer sciences(11); studies of culture, sightseeing, marketing, globalization(8); studies of psychology·medical science(4); studies of approach method(2); philosophical studies(2); geographical-historical studies(2); religious studies(2); studies of the others(9); cultural and general studies(12), et cetera. In the area of linguistic-literary studies, there are many studies of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words of songs, continuities of traditions in words of songs, historical characteristics, features in genres, writers, themes, ideologies, social class, et cetra, In the area of socio-political studies, there are studies of movements of popular songs, history of customs, socio-political ideologies, policies, plagiarism, identities, consumers, et cetra.

      • KCI등재

        기획논문 : 한국 무당굿의 학제적 통섭적 연구 -서울진오기굿을 중심으로 ; 무당굿의 공연학적 특성: 서울 진진오기굿의 경우 -"밀양손씨" 진진오기굿의 사례를 중심으로

        김익두 ( Ik Doo Kim ) 한국공연문화학회(구 한국고전희곡학회) 2011 공연문화연구 Vol.0 No.22

        본 연구는 무당굿의 공연학적 특성을 구체적으로 구명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두 가지 무당굿 양식인 남부 세습무 무당굿과 중북부 강신무 무당굿을 비교하는 방식을 취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대표적인 남부 세습무 무당굿인 ``진도 씻김굿``과 중북부 강신무 무당굿인 ``서울 진오기굿``의 공연민족지를 작성하여, 이 두 가지를 비교·대조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게 되었다. 첫째, 두 공연 양식은 같은 무당굿이면서도 공연학적으로는 서로 매우 다른 공연 양식임이 드러난다. 둘째, 공연요소 상의 특징으로는, 진도씻김굿이 ``청각중심의 공연미학``을 추구하는 경향을 보이는 데 비해, 서울 진진오기굿은 ``시각중심의 공연미학``을 지향하는 경향이 강하다. 셋째, 공연 양식상의 특징으로는, 진도씻김굿이 ``서사적 공연 양식``인 반면에, 서울 진진오기굿은 ``연극적 공연 양식``이다. 이 점은 같은 무당굿이라고 하더라도 양식적인 측면에서 혹은 공연학적인 측면에서는 그것들이 얼마나 서로 다를 수 있는 것인가를 잘 보여주는 측면이다. 넷째, 공연 중에 일어나는 변환/변신의 측면에서는, 특히 서울 진오기굿이 ``일시적 변환``과 ``지속적 변환``을 적절히 융합하는 매우 조화로운 공연 양식임이 드러난다. 다섯째, ``사회극-무대극``의 관계상의 특징으로는, 서울 진오기굿이 ``사회극(social drama)``과 ``무대극(stage drama)``의 조화로운 융합 관계를 성취하고 있다는 점이 드러난다. 여섯째, 공연의 본질적 특성으로는, 진도 씻김굿이 ``삶과 죽음을 서사적으로 통합``하는 공연 양식이라면, 서울 진오기굿은 ``삶과 죽음을 현전적으로 통합``하는 공연 양식이라는 점에 가장 근본적인 특징이 드러난다. Performers of ``Seoul Jinjinokigut`` point to aesthetics of performance centered on sense of sight, not sense of hearing. ``Seoul Jinjinokigut`` is a kind of theatrical mode of performance, not narrative mode of performance. Performers of ``Seoul Jinjinokigut`` succeed in making of relationships of harmonious fusion between ``social drama`` and ``stage drama`` through performing of Jinjinokigut. ``Seoul Jinjinokigut`` is a kind of mode of performance that fuses life and death, not narratively but theatrically.

      • KCI등재

        한,일 연극이론의 비교 연구 -「광대가(廣大歌)」와 「풍자화전(風姿花傳)」을 중심으로

        김익두 ( Ik Doo Kim ) 한국공연문화학회(구 한국고전희곡학회) 2011 공연문화연구 Vol.0 No.23

        한국의 희곡/연극 이론의 주요 텍스트인 「광대가」와 일본 희곡/연극 이론의 주요 텍스트인 「풍자화전」을 비교해 보면, 「광대가」는 다음과 같은 희곡/연극 이론으로서의 특징을 드러내고 있다. 첫째, 그 전체 내용 구성상에서는, 본질론·배우론·상연론 등 3개의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면서, 텍스트 중심의 희곡/연극이론이 아니라, 공연자 중심의 희곡/연극이론을 구축하고 있다. 둘째, 희곡/연극 본질론 상으로는, ``공연하는 인간(homo performans)``으로서의 자각과 실천, ``자생적 가치``의 옹호, 민중적 가치의 옹호, 민중적인 현세주의·허무주의에 대한 새로운 해석 등의 특징을 보여준다. 셋째, 배우론/연기론 상으로는 ``4체 이론``을 골자로 해서 이론이 구축되고 있다. 넷째, 상연론 상의 특징으로는, 「풍자화전」의 그것이 ``꽃의 실현``에 그 궁극적인 목표가 있는 반면에, 「광대가」의 그것은 우주 삼라만상의 온갖 변화와 조화를 표현하는 ``천변만화(千變萬化)의 구현에 그 목표를 두고 있다. The purposes of this treatise are to compare theories of theatre in ``Kwandaega`` with theories of theatre in ``Poongjahwajun``, to recognize differences of theories between the former and the latter, and to find out the comparative characteristics of theories of Korean theatre. There are four differences between the former and the latter. These are as follows; Firstly, in the aspect of contents, the former is consisted of discussions about nature of theatre, discussions about acting, discussions about staging, and the latter is consisted of discussions about nature of theatre, discussions about acting, discussions about staging, discussions about origin, and discussions about dramaturgy. Secondly, in the aspect of nature, the nature of theatre in the former is recognition and practice as ``homo performans``, the nature of theatre in the latter is realization of ``flower[花]``. Thirdly, in the aspect of acting, discussions about acting of the former are consisted of ``Sachae`` theory``(Inmulchirae, Sasulchirae, Dekm, Nerumsae), discussions about acting of the latter are consisted of method of training per ages, method of training per role playings, trainings in everyday life. Fourthly, in the aspect of staging, the focus of staging in the former is realization of an endless series of changes[千變萬化], the focus of staging in the latter is realization of ``flower[花]``. There are four characteritics in the theories of Kwangdaega. These are as follows; Firstly, the contents of kwangdaega are consisted of discussions about nature of theatre, discussions about acting, discussions about staging. This theory is theory centered on actor/actress. Secondly, the nature of thestre in Kwangdaega is recognition and practice as ``homo performans``, supporting of self-generational values, supporting of folk, new interpretation about secularism. Thirdly, the discussions about acting are consist of ``Sachae Theory``. Fourthly, the discussions about staging are consisted of realizations of an endless series of changes[千變萬化]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