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RDF를 이용한 메타데이터 통합에 관한 연구

        김이겸 연세대학교 대학원 1999 국내박사

        RANK : 247631

        메타데이터의 통합에서 상이한 형식 상호간 어의적인 연계성을 확보하는 일은 메타데이터의 재사용을 가능하게 할 뿐 아니라 색인 작성 등 메타데이터의 일관된 처리를 위해 대단히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연결테이블을 메타데이터 통합에 활용하는 것은 연결테이블의 한계로 인하여 부적합하다. 따라서 어의적인 연계성 확보가 전제된다면 자원기술모형(Resource Description Framework : RDF)을 활용한 메타데이터의 통한이 적합한 방법이라 할 수 있다. RDF구문은 메타데이터스키마를 기초로 한 구문이기 때문에 기술(記述)에 있어 기술요소의 기반이 된다. 동시에 RDF스키마에 기초한 응용스키마설계를 통하여 상이한 형식간 어의적 연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이를 위해 KORMARC형식과 더블린코어형식을 분석하여 공통스키마를 설계하고, 이를 활용하여 KORMARC스키마를 설계함으로써 RDF를 이용하여 메타데이터를 통합기술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 연구에서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RDF구문은 메타데이터스키마를 기초로 한 구문이기 때문에 기술(記述)에 있어 기술요소의 기반이 된다. 동시에 RDF스키마에 기초한 응용스키마설계를 통하여 상이한 형식간 어의적 연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둘째, 형식상호간 연계성의 기준이 되는 요소를 범주화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더블린코어요소를 기본으로 하고, KORMARC필드와의 비교 연구를 통하여 공통요소를 추출하였다. 셋째, RDF스키마명세는 어의적 연계성을 확보하기 위한 공통정보클래스를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공통정보스키마를 별도로 정의해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RDF스키마명세와 구문명세를 기반으로 공통요소를 클래스로 정의하여 공통스키마를 설계하였다. 또한 공통스키마의 클래스를 범주화하기 위해 상위 클래스를 MetaClass로 명명하여 설계하였으므로 Metaclass에 속한 모 클래스는 연계성 확보를 위한 클래스의 집단이 된다. 이는 공통요소를 각각의 형식과 연결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다수의 메타데이터형식간 어의적 연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넷째, 메타데이터스키마는 통합에 있어 변환대상요소기준으로 활용되어야 한다. 그러나 도메인(Domain) 구조인 KORMARC형식을 그대로 인터넷 기반 기술구조로 변경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며, 동시에 메타데이터 통합에 있어서 KORMARC레코드 전체를 수용하는 것 또한 효과적인 방법이라 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웹환경에 부적합한 제 측면을 연구하고, KORMARC스키마 설계시 이를 반영하였다. 다섯째, 공통스키마를 활용하여 KORMARC스키마를 설계하였다. RDF스키마명세가 속성이 속한 클래스를 한정하는 rdfs:domain속성을 제공하기 때문에, KORMARC스키마설계시 공통스키마의 해당 클래스를 rdfs:domain속성값으로 기술속성을 정의하였다. 따라서 공통스키마를 모든 메타데이터스키마 설계에 적용한다면 결과적으로 형식상호간 어의적인 연계성을 갖게 되어 기술요소 식별의 일관성과 메타데이터 변환에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더블린코어형식과 KORMARC형식을 분석, 연구하며 실험적인 수준에서 제시한 공통요소를 기준으로 공통스키마를 설계한 것이다. 따라서 형식 상호간 어의적 연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형식에 정의된 기술요소들을 대상으로 연구하여 공통요소를 범주화하는 노력이 있어야 할 것이다. 동시에 어의적인 연계성을 위한 기준으로 RDF스키마에 이를 반영하여 그 활용성을 높여야 할 것이다. Keeping the semantic interoperability between different systems is very important for consistently processing and integrating metadata. And eventually it makes possible to reuse metadata everywhere. Integration of metadata by a crosswalk is not effective because of the limitations of a crosswalk. On the assumption of applying RDF(Resource Description Framework) to the integrating metadata, having the semantic interoperability between different systems would be rather effective. Because of the syntax based on the metadata schema, RDF syntax is the basis of the elements of description, and the semantic interoperability can be constructed by designing the applied schema based on the RDF schema. Eventually this study is to design a common schema by the analysis of KORMARC and Dublin Core, and to integrate metadata through the design of KORMARC schema on the application of the common schema.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the follow: First, because of the syntax based on the metadata schema, RDF syntax is the basis of the elements of description, and the semantic interoperability can be constructed by designing the applied schema based on the RDF schema. Second, the standard elements in format interoperability should be grouped. For this, common elements are made by comparison of Dublin Coi-e elements and KORMARC fields. Third, schema of common information should be defined because RDF schema specification doesn't give the class for construction of semantic interoperability. For carrying out this, the common elements are defined as a class and common schema is designed, basing RDF schema specification and syntax specification. And for grouping classes of common schema, the higher classes named MetaClass are designed and all classes in the MetaClass are been class groups for construction of interoperability. Eventually, the semantic interoperability between a number of metadata formats can be constructed by matching the common elements to each format. Fourth, Conversion object element standards should be used in integrating metadata schema. But, it is not desirable that the domain-structured KORMARC is converted to the internet-based descriptive format. And the acceptance of all KORMARC records is not effective in integrating metadata. In this study, negative aspects of the web environments are studied and the results are influenced in design of the KORMARC schema. Fifth, KORMARC schema is designed by the application of common schema. Description properties are defined as the property values of the class of common schema at designing the KORMARC schema, because RDF schema specification provides the rdfs:doman property defining the class of the property. Therefore, if common schema is applied in designing all metadata schema, semantic interoperability can be constructed and the consistency of the identification of descriptive elements and flexibility of the metadata conversion can be achieved. In this study, common schema is designed by suggested common elements resulted from analysis and study of Dublin Core and KORMARC. Therefore, descriptive elements defined in the multi formats should be studied and common elements should be grouped for constructing the semantic interoperability between different systems. And that should be reflected as the standard for semantic interoperability and the application of that should be increased.

      • 한국 치과의사의 전문직업성과 의료윤리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김이겸 동아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전문직업인으로서 치과의사가 현실적으로 만나게 되는 의료윤리의 문제는 일반 생명윤리의 문제와는 그 성격이 많이 다르다. 일반 생명윤리에서는 낙태, 안락사, 배아복제 등 생명과 직접 관련되는 내용을 주로 다루지만, 치과 의료윤리에서는 환자와의 관계에서 나타나는 인간적 문제를 주로 다루게 된다. 그래서 그 내용에 있어서도 일반적 이슈로 떠오르기 보다는 개인적 수준에서 해결되는 문제가 주종을 이룬다. 예컨대 치료계획에 있어서 국부의치를 사용할 것인지 임플란트를 사용할 것인지의 문제는 환자와 의사의 상담을 통해서 결정될 문제지 사회적 공론화가 필요한 것이 아니다. 치과에서 의사와 환자의 관계는 이렇게 공론화되지도 않기 때문에 사회적인 문제로 이슈화되지 않는 경향이 있다. 그러한 점에서 치과 의료윤리의 필요성은 더욱 요구된다. 그리고 치과 의료윤리는 치과의사의 행동 자체를 변경하거나 거기에 대해 제약을 가하려고 하기보다는 치과의사의 심성을 함양하는 데 주안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그런데 치과의사의 심성을 함양하기 위한 방법으로 치과의사나 예비치과의사를 대상으로 하는 각종 소양교육이 그 구체적 방법이 될 터이지만, 지금의 상황에서 그런 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 같지는 않다. 치과의사의 윤리적 덕목은 치과의학으로부터 나오지 않는다. 그것은 다양한 삶의 경험과 건전한 가치의식에서 나온다. 따라서 첨단 치료기술에 대한 연구도 중요하지만 그 첨단 치료기술의 적용대상인 환자를 다양한 측면에서 연구하고 이해하는 일이 선행되어야 하리라 생각된다. 아무리 인간적 덕목을 함양하고 건전한 가치의식을 강조한다고 해도 모든 치과의사가 윤리적으로 행동하지는 않는다. 윤리가 덕(德)만으로 완성되지는 않는다는 말이다. 도덕적 행동을 위해서는 구체적 행동의 지침이 요구된다. 그래서 우리는 덕 윤리 뿐 아니라 행동윤리를 필요로 한다. 행동윤리에서는 행위자의 행동 하나하나를 그 판단 대상으로 삼아 규제한다. 우리는 치과의사의 윤리라는 선언적 문서는 가지고 있지만 아직 이처럼 구체적인 행동윤리지침을 가지고 있지는 못하다. 지침이 없을 뿐 아니라 아예 윤리문제에 대한 논의조차도 거의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한국적 상황에서 필요한 치과의사의 윤리가 어떤 것이어야 하는지를 살펴보았다. 다시 말해 전문직업으로서의 치과의사의 윤리의 모형을 전통적인 생명의료윤리와의 관련 속에서 이끌어 내어 그것을 한국적인 상항에 적합하게 재구성하여 보았다. There are many differences when Korean dentists as a profession are confronted with actual problems of biomedical ethics comparing general medical ethics. Whereas general medical ethics chiefly deals with lives on abortion euthanasia and germ-reproduction, dental medical ethics mostly deals with human problems of patients' relation. This content is mostly made up of solution in personal level rather than in general issues. For example there is no need of social public discussion in process of dental treatment but of counsel with patient if he is treated partial denture or implant. While the research for general medical ethics is a large amount the research for dental medical ethics is a small even a side issue. What is worse they can urge that is an only courtesy with dentist and patient instead of saying 'Ethics'. But we can not say it is not important because of decision with personal level. The reason of no public discussion makes ethics problems more serious. One case we guess that a dentist treated very light caries of the teeth with gold inlay. That treatment must be not only anti-ethics but also unscientific in consideration of general knowledge of dental medicine. We can suppose that the dentist must have his own theory and that he has a very good relation with that patient. Though other dentists sometimes blame for his wrong behaviors there is no methods that he is blamed or kept an eye ethically, The problem of dental medical ethics is even more important in account of revelation and public opinions. So the theory that think much of behavior's virtue and ethical conscious is so-called 'virtue'. This theory leads behaviors to 'value' and 'virtue' to carry on. Therefore chief aim cultivates behaviors' mind rather than modifies or forbids behaviors themselves. Although various cultivation education is a concrete method to dentists and intern-dentist, true education is not practiced properly in this condition. Ethical virtue to dentists is no derived from dental medicine. But it stems from various experiences of life and sound value conscious. So it is more precedent to research and make out patients who are practiced by ultra-modern therapy rather than to develop it in many ways. However human virtue is cultivated and wholesome value conscious is emphasized, all dentists don't behave themselves ethically. Ethics is not completed by only virtue. To practice moral deed a guide of concrete deed is demanded. So We need behaviour ethics as well virtue ethics. In behaviour ethics every action is forbidden by objects of judgement. As the virtue ethics is a role of the constitution so behaviour ethics is a role of usual law or enforcement law. We have still declaration documents but don't have a guide of concrete behaviour ethics much less there is no discussion about the matter of ethics. This study is asked to consider "what dentists' ethics is" needed in Korean situation. For that purpose the load dentists' ethics treads in the steps has been restropected and lightened what professionalism and biomedical ethics of dentist was at that time and place. We try to evaluate the connection of that temporal situation and compose ourselves for exact ideas of eth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