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군 전문인력 양성비용 산출 기준 정립에 관한 연구

        김은천 국방대학교 국방관리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39

        우리 군은 첨단과학기술 발전에 따른 미래 전략환경의 변화와 병역자원 수급 등을 고려하여 상비병력을 단계적으로 감축하고, 군 구조를 병력집약형에서 기술집약형으로 전환하고 있다. 군 구조와 병력을 전문화하면서, 국방예산에서도 ‘군인양성교육’, ‘군인적자원개발교육’ 분야 예산 증가폭이 확대되고 있다. 이렇듯 군 전문인력 양성의 중요성과 관심이 증가하는 가운데, 군 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해서는 예산 편성과 소요 반영이 선행되어야 하므로 군 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비용 기준이 필요하다. 그러나 군에서는 이전에 전문인력 양성비용을 일반화·표준화한 연구가 없었고, 일부 제한적 분야에서의 연구실적만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문인력 양성비용에 관한 군내·외 선행연구들을 분석하고 군 전문인력 양성비용을 산출하기 위한 표준화된 기준을 정립하여 군에서 전문인력 양성비용 산출을 용이하게 하고, 일반화된 기준에 따라 산출한 양성비용 분석을 통해 국방예산 절감에 기여를 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문인력 양성비용을 각 신분별 임관하기 전 입문교육 단계와 임관 후 초급교육 단계로 구분하여 모형을 수립하고 비용을 분석하였다. 임관 전 입문단계 양성비용 분석은 교육예산 관련 담당자와 담당부서를 통해 수집한 자료를 통해서 수행하였고, 임관 후 초급교육 단계 양성비용 분석은 선행연구 자료 분석을 통해 수행하였다. 연구를 수행한 결과 각 단계의 양성비용을 다음과 같이 구분할 수 있었다. 임관 전 입문교육 단계는 직접비와 간접비로 크게 구분한다. 직접비는 피교육생 인건비와 탄약/유류비, 교육직접비로 구성되고 간접비는 지원인력 인건비, 시설관리비, 교육간접비로 구분한다. 임관 후 초급교육 단계는 크게 직접비, 간접비, 특별비용으로 구분한다. 직접비는 피교육생 인건비, 교육운영비로 구성되고 간접비는 지원인력 인건비, 직접부대 부대운영비, 간접부대 부대운영비로 구성된다. 특별비용은 일반적인 양성과정에서는 발생하지 않는, 양성과정 특성상 특별히 발생되는 비용으로써 조종사 양성과정을 예로 들면 고가의 항공기 운영유지를 위한 각종 비용이 특별비용에 해당된다. 각 단계별로 모형을 수립하고 산출식을 도출하였으며, 각 항목별 개념을 정의하고 산출방법을 서술하였다. 군에서는 전문인력 양성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상황임에도 군 전문인력 양성비용 산출을 일반화한 연구실적이 없었기 때문에 본 연구자료를 활용하면 기존에 양성 중이던 전문인력의 양성비용도 산출할 수 있을 것이고, 앞으로 새롭게 양성할 분야의 전문인력 양성비용도 예상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국방예산의 절감 및 전투력 강화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 Arginine-Glycine-Aspartate 를 포함한 osteopontin peptide 의 항염증작용 및 혈관형성 촉진을 통한 뇌졸중 모델에서의 신경 보호 작용

        김은천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8639

        Osteopontin (OPN)은 인산화된 당단백질로 여러가지 세포와 조직에서 합성된 후 체액으로 분비 된다. OPN은 arginine, glycine, aspartate (RGD)-모티프를 포함하며, 이 RGD-모티프를 통해 integrin 수용체와 결합하고 여러 세포에서 세포간 결합, 이동, 생존 등을 중재한다. 뇌허혈 후에 뇌조직에서는 다양한 세포에서 OPN이 지속적으로 유도된다. OPN 단백질의 신경보호효과는 다양한 뇌졸중 모델에 OPN 재조합단백질을 투여하는 실험을 통해 보고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흰쥐의 뇌허혈 모델을 사용하여 RGD-모티프를 포함하는 20개 아미노산의 OPN 펩타이드 (OPNpt20)를 뇌조직에 주사한 다음, 신경보호효과와 그 기전을 조사하였다. 뇌허혈 모델에서 OPNpt20은 현저한 신경보호효과가 있는데, 뇌허혈 모델 수술 한 시간 후에 선조체 부위에OPNpt20를 투여한 결과, 뇌경색의 부피가 OPNpt20 미투여군에 비해 29.2% (n=6, p<0.01)로 감소하였다. OPNpt20의 신경보호효과는 2주 후까지 관찰되며 운동능력과 신경학적 결손도 현저히 회복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런데 RGD 모티프를 RAA로 바꾼 변형된OPNpt20 (OPNpt20-RAA)를 주입한 경우, 신경보호효과를 관찰할 수 없는 반면, OPNpt20의 SLAY모티프를 SLAA로 바꾼 OPNpt20-SLAA는 신경보호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는 OPNpt20 sequence 중에 RGD모티프가 중요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OPNpt20의 신경보호효화의 기전은, iNOS 발현을 억제하여 염증을 억제하는 것과 혈관 형성을 촉진시키는 것임을 MCAO 동물모델과 배양세포를 이용한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으며, RGD모티프가 두 가지 작용에서 공통적으로 중요함을 OPNpt20, OPNpt20-RAA, OPNpt20-SLAA를 사용한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뇌허혈모델에서, RGD-모티프를 포함하는 20개 아미노산의 OPN 펩타이드는 효과적으로 신경세포를 보호하며, 이와 같은 신경보호효과는 염증을 억제하는 것과 혈관형성을 촉진하는 것에 의해 나타낸다.

      • 『어린이』지 게재 전래동화 연구

        김은천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639

        전래동화는 지금까지 민속학이나 구비 문학의 측면에서 연구되었다. 본 고는 전래동화의 개념과 범주를 ‘구전 설화를 토대로 근대 이후 기록된 아동문학의 하위 장르’로 보았다. 그리고 아동문학의 발아기에 전래동화가 동화 장르 모색의 일환으로 『어린이』지(1923년-1934년)에 꾸준히 게재되었던 사실에 주목했다. 『어린이』지 편집인과 작가가 아동문학의 개척자의 입장에서 전래동화를 모집하고 개작·발표하게된 것은 두 가지의 배경에서 출발했다고 본다. 첫째는 아동문학가들이 일본을 통해 서구의 동화 장르를 처음 도입하는 과정에서, 그 장르에 대한 역사적 이해를 우리 나라에 적용했다. 그들은 자국 구전 설화를 채집·개작하는 것이 창작동화 성립을 위해 필수적으로 선행됨을 알았다. 『어린이』지 게재 전래동화는 우리 동화의 기초로 삼겠다는 뚜렷한 의식 아래 개작·발표된 것이다. 둘째, 식민지 시대 상황에 따라 당대 아동들에게 민족성을 고취시키고자 하는 의도에서 전래동화를 게재하게 되었다. 아동문학가들에게 당대 아동들은 봉건 사회의 억압에서 어린이기를 보장받아야할 대상이기도 했고, 동시에 나라의 운명을 책임질 꿈나무였다. 아동문학은 성인 작가의 작품이 아동 독자에게 읽히는 특별한 커뮤니케이션 구조이다. 따라서 작가가 아동을 어떠한 존재로 인식하느냐 그들에게 무엇을 전달하고자 하느냐가 작품 내용에 큰 영향을 준다. 서구의 근대적 아동관과 함께 자생적인 천도교 아동애호 사상에 뿌리를 둔 『어린이』 편집인들의 시대인식과 그에 따른 아동관이 전래동화를 적극적으로 게재하게 된 원인으로 작용했다. 구전 설화가 전래동화로 개작되는 과정에는 편집자나 작가의 문학적 윤색이 가해진다. 기록문학의 범주에 속하지만 구비문학 특성인 ‘유동성’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이다. 『어린이』지 전래동화는 『어린이』지의 문학적 특성을 반영하고 있다. 『어린이』지 전체의 성격은 두 가지 아동관으로 압축할 수 있다. 하나는 당대 아동들을 민족의 운명과 밀접하게 연관지어 바라보는 민족주의 아동관이고, 다른 하나는 타락한 어른들과 비교해서 순진무구한 존재로서 바라보는 동심주의 아동관이다. 이러한 아동관은 전래동화의 주제적 측면과 표현 형식적 측면에서 각각 드러난다. 첫째, 『어린이』지 편집자들의 민족주의 아동관이 전래동화 주제나 소재의 채택에 영향을 주었다. 『어린이』 전래동화에는 지혜담의 비중이 높다. 이 작품군에는 대체로 정당하지 못한 권력 앞에 무기력한 나라와 어른들이 풍자의 대상으로 등장한다. 어려운 상황은 어린이의 꾀나 배짱으로 해결된다. 3·1 운동 이후 암담한 시대 상황에 아동에게 거는 기대감이 이러한 주제의 전래동화를 게재하는 것으로 표출되었다고 본다. 또한 전설과 인물 담 작품이 많은 이유도 이와 같은 맥락이라고 판단된다. 둘째로 동심주의 아동관은 『어린이』지 전래동화의 구연체 서술 방식과 관련있다.『어린이』지의 대부분 작품들은 아동 독자가 바로 앞에 있는 것처럼 구연체로 서술되어 있다. 『어린이』 편집인들은 소년운동을 전개하면서 어린이에게 존대말을 사용하자고 주장했다. 더 나아가 이들은 동심을 예찬했다. ‘童心如仙’이란 표현처럼 아동은 순수한 존재이면서 봉건과 식민지라는 당대 현실에서는 불쌍한 존재였다. ‘-습니다’ 종결어미로 통일된 문체는 아동 존중 사상이 잘 반영된 결과다. 구연체는 서술자 주관의 개입 여지를 더욱 열어 놓은 장치다. 그리하여 『어린이』지 전래동화는 사건의 전개보다 인물의 처지나 감정이 더욱 부각된다. 아동들의 감성해방을 돕는다는 목적 아래 기쁨과 슬픔을 지나치게 강조하여 억지스러운 전개로 부자연스러운 결과를 낳았다. 『어린이』지 창작동화는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하나는 전래동화 형식을 따른 창작동화이고 다른 하냐는 그 형식을 탈피한 창작동화이다. 전래동화 형식의 창작동화는 내용적으로 봉건성을 비판하는 것이 전래동화와 차별된 특징이다. 그러나 전래동화의 서사구조와 화소를 답습했기 때문에, 우연적 사건 해결, 행복한 결말 등의 한계를 벗어나지 못했다. 새로운 형식의 창작동화는 전래동화의 상투적 이야기 구조를 탈피했다. 이러한 창작동화의 내용적 특정은 탐미적 낭만적 성향이 두드러진다는 것이다. 사건이나 주제를 명확히 알 수 없는 작품들이 대부분이다. 전래동화는 기존 구전 설화를 토대로 하기 때문에, 『어린이』 동화 작가들의 주관개입 여지가 적었다. 창작동화의 경우 전래동화의 이야기성이 퇴보되었다. 『어린이』지 창작동화는 당대 통화 작가들의 동화 장르에 대한 이해가 어떠한지 알 수 있는 척도다. Korean folk tales(KF) were regarded and studied in the respect of folklore or literature handed down by word of mouth. This abstract confine the concept and category of folk tale to "the lower genre of juvenile literature based on the fable orally transmitted, recorded after modern ages," and this pay attention to the fact that Korean folk tales were steadily running in the magazine 『Child』(『어린이』)(1923∼1924) as a part of trying to make the genre of fairy tale. Editors and authors of 『Child』 accumulated, modified and make public Korean folk tales. These activities started from the two ways. First is to apply the Japanese historical understanding to that of Korea in the process of introducing the genre to Korea. They thought it is essential to find out and modify their own fables. So they wanted the Korean folk tales in the Children to be the basis of Korean fairy tales. Second is to make the Korean children bear in mind the nationalism. To juvenile literary men, children are to be guaranteed their period as a child and the future of the nation, Juvenile literature has a special communicative mechanism. Writers are adults and readers are children. So the viewpoint of writer to children is very important. Two factors are western modern view to children and the view of `Chundokyo'(천교도) to make them to put the Korean folk tales in the magazine. There is a process of modification when a editor modify the fable to Korean folk tales. Even though it is in the category of recorded literature, it also has the liquidity. Korean folk tales in th Children shows the characteristic of that magazine. The whole characteristic is confined to two. The one is nationalistic view and the other is pure view as a child. this view to children is showed well in the theme and the formality of Korean folk tales in the Children. The first one affect the choice of theme and subject matters. Korean folk tales in the Children are almost wisdom story. This kind of story is aimed at the hopeless country and the adult to satire. Difficult situations are solved by the wisdom or self-confidence and boldness of children. Second pure view is related to the orally-narrated style. the editors maintained to use a polite words to children. Furthermore, they adore the children's mind. At that time, Children's mind was regarded as pure and poor human being born in a dark age under the control of Japan. Unification of ending sound to " -습니다" is one of the result of it. Orally-narrated style is the mechanism to broaden the margin of interference of writer's subjectivity. the situation and the emotional appeal is more distinguished than the development of story. there's some weak point to too emphasize the joy and sadness. The modern creative fairy tales are classified to two categories, one has the formality of Korean folk tales and the other has the informal. The different characteristic of created Korean folk tales is to criticize the feudalism. Even though the difference it couldn't escaped from the limitation of accidental solution and happy ending. New style escaped from the stereotype formality. The content feature is aesthetic and romantic. But they are almost works hard to know the theme. Korean folk tales is based on the fable so there was little modification. The modern creative fairy tales go backward. The modern creative fairy tales are the barometer to measure the understanding the genre of fairy tales.

      • 신앙 발달 이론에 기초한 주일학교 청소년 교육 연구 : James W. Fowler를 중심으로

        김은천 總神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교회의 교육이 각 사람의 신앙을 자라게 하는 것에 있다는 전제 아래 청소년들의 전인적인 신앙 성장을 돕기 위해 교회내의 청소년 주일학교에서 할 수 있는 신앙 교육의 방법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청소년들의 신앙 성장을 돕기 위한 실제적인 교육의 방법을 제임스 파울러(James W. Fowler)를 중심한 신앙발달이론에 근거하여 성찰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으로는 문헌 연구를 통해 신앙발달이론에서 말하는 청소년기의 신앙의 형태와 특징 그리고 신앙의 발달 과업이 무엇인지를 밝히고, 교회내의 청소년 주일학교에서 활용 가능한 전인적인 신앙 성장 프로그램의 실제를 구체적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Ⅱ장에서는 본 연구의 이론적인 배경으로 파울러의 신앙발달이론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살펴보았다. 특히 파울러가 말하는 신앙의 개념과 신앙의 발달 단계에 대해서 정리하고, 개혁신학적인 측면에서 파울러의 이론의 한계와 공헌을 평가하였다. Ⅲ장에서는 신앙발달이론에 기초하여 주일학교 청소년 교육의 방향을 정리하였다. 여기에서는 파울러와 존 웨스터호프 3세(John Westerhoff Ⅲ)가 말하는 청소년기의 신앙에 대해서 고찰하여, 전인적인 신앙 성장을 위한 주일학교 청소년 교육의 방향을 설정하였다. 첫째, 신앙 공동체의 정체성 확립해야 한다. 둘째, 참여의 기회 제공해야 한다. 셋째, 청소년 신앙 상담 적극 활용해야 한다. 넷째, 종교적인 감성 활동을 장려해야 한다. Ⅳ장에서는 Ⅲ장에서 제시한 4가지 교육의 방향을 토대로 청소년들의 신앙 성장을 위해 교회 내의 주일학교에서 할 수 있는 교육의 실제를 방법론적인 측면에서 예배와 성경공부와 활동 프로그램으로 나누어 정리하였다. Ⅴ장에서는 결론으로 본 연구의 전체적인 요약과 신앙 성장을 위한 주일학교 교육에 대해 몇 가지 제언을 하였다. 첫째, 주일학교 교육의 목표와 방법은 각 사람의 신앙 성장에 중점을 두어 설정해야 한다. 둘째, 주일학교 교육은 지식 전달 위주의 교육에서 탈피하여 전인적인 신앙 성장을 이룰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셋째, 교회 내의 각 주일학교 간에 상호 연계하여 신앙의 단계에 따른 일관성 있는 교육 과정을 통해 신앙이 성장하도록 도와야 한다. 넷째, 주일학교가 신앙 성장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연구 할 수 있도록 교회는 계속적인 지원을 해야 한다.

      • Kainic acid에 의해 유도된 간질 동물 모델의 해마신경세포 사멸에서 fluoxetine의 신경세포 보호 효과

        김은천 인하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Fluoxetine is a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 (SSRI) and a widely used antidepressant. Numerous clinical observations and animal studies indicate that fluoxetine enhances the anticonvulsant potencies of several antiepileptic drugs. Recently, it was reported that fluoxetine strongly protects against delayed cerebral ischemic injury, at least in part via its anti-inflammatory effects. In the present study, I investigated whether fluoxetine has a beneficial effect on KA-induced neuronal cell death. An intracerebroventricular (i.c.v) injection of 0.94 nmole (0.2 ㎍) of KA produced typical neuronal cell death mainly in the CA1 and CA3 regions of pyramidal layer of the hippocampus, but the systemic administration of fluoxetine 30 min before KA administration significantly attenuated this neuronal cell death. Fluoxetine was found to suppress neuronal cell loss when it was injected at 10 mg/kg and the protective effect was enhanced further at 50 mg/kg. Furthermore, this fluoxetine-induced neuroprotection was accompanied by marked improvements in memory impairment, as determined by passive avoidance tests. KA-induced gliosis and pro-inflammatory markers (COX-2, IL-1β and TNF-α) are also significantly suppressed. Fluoxetine treatment suppressed NF-κB activity dose-dependently in KA-treated mouse brains, suggesting that this explains in part its anti-inflammatory effect. These results suggest that fluoxetine has therapeutic potential in terms of suppressing KA-induced neuronal death in the brain, and that its neuroprotective effects are associated with its anti-inflammatory effects. Fluoxetine은 대표적인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 SSRI) 로서 신경세포의 시냅스에서 세로토닌의 재흡수를 억제하여 세로토닌의 농도를 증가시키고, 시냅스 후 신경세포의 세로토닌 수용체를 통한 신호전달을 유도한다. 많은 임상 관찰과 동물 실험에서 Fluoxetine는 항간질제의 경련 억제 능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Fluoxetine은 항염증작용을 통하여 현저하게 뇌허혈후의 경색형성과 신경증적 손상을 억제하는 것으로 보인다. Kainic acid (KA) 는 신경계통을 흥분시키는 아미노산의 유사체로서 전형적인 간질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 KA를 이용해서 만든 간질 동물 모델에서는 흰쥐의 두경부와 사지의 간헐적인 경련 현상을 관찰 할 수 있고 해마의 CA1과CA3부위를 중심으로 급성 혹은 지연성 세포의 사멸을 관찰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Fluoxetine이 KA에 의해 유도되는 신경세포사멸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흰쥐의 뇌실에 0.94 nmole (0.2μg) KA를 투여한 결과 해마 CA1과 CA3 구역의 신경세포의 사멸을 관찰할 수 있었는데, KA를 투여하기 30분 전에 Fluoxetine을 투여한 결과 해당구역의 신경세포의 사멸이 현저하게 감소되었다. KA 투여에 의해 해마 CA1과 CA3 구역의 생존한 신경세포는 비투여군에 비해 각기 53.4±9.1%와 33.4±5.12%로 감소되었으나, 10 mg/kg의 Fluoxetine을 투여하였을 때는 생존한 신경세포가 해마 CA1과 CA3구역에서 각기 75.2±5.7%와 60.4±1.1%로 증가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또한 50 mg/kg의 Fluoxetine을 투여하였을 때는 KA에 대한 신경보호 효과가 더욱 현저하여 해마 CA1과 CA3구역에서 생존한 세포의 수가 각기 86.9±6.7%와 69.9±0.8%로 증가되었다. Fluoxetine은 신경보호 작용뿐만 아니라 수동적회피 테스트 결과에서도 나타난 것처럼 마우스의 기억력의 장애도 현저하게 개선시키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그리고 Fluoxetine은 KA에 의해 유도된 염증촉진 사이토카인 (COX-2, IL-1β과 TNF-α) 을 억제하였고, Fluoxetine의 투여량에 따라NF-κB의 활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결과를 얻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Fluoxetine이 KA에 의해 유도된 간질 동물 모델에서 신경세포 손상을 현저히 억제하고 연관된 기능을 회복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Fluoxetine의 신경보호 작용은 항염증작용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