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감마카메라의 중장기 외인성 균일도 분석

        김윤재,정우영,이동훈,Yoon-Jae Kim,Woo-Young Jung,Dong-Hoon Lee 대한핵의학기술학회 2023 핵의학 기술 Vol.27 No.1

        Purpose The long-term trend of extrinsic uniformity by type of gamma camera was analyzed, and the factors affecting uniformity were investigated. Based on this, the purpose was to predict the life of the gamma camera, pay attention to factors that affect uniformity, and obtain better quality images. Materials and methods Four of the gamma cameras in operation at a senior general hospital in Seoul were selected and the trend of extrinsic uniformity from the first operation date to the present was analyzed. In order to minimize various factors affecting uniformity, a detailed analysis was conducted by calculating the monthly and annual average of the uniformity values. Results Two Symbia E gamma cameras from SIEMENS, one Symbia Evo Excel gamma camera, and one Symbia Intevo16 gamma camera were selected and analyzed. The uniformity of Symbia E<sub>1</sub> (2012 warehousing) changed unevenly, and the uniformity of Symbia E<sub>2</sub> (2014 warehousing) changed according to the replacement cycle of <sup>57</sup>Co sheet sources. The uniformity of Symbia Evo Excel (received in 2017) and Symbia Intevo 16 (received in 2017) was constant compared to Symbia E. Conclusion The extrinsic uniformity of the gamma camera gradually increased over time. However, there was a difference in uniformity for each type of gamma camera, and there was a change in uniformity in which the cause could not be accurately identified.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image, it is necessary to periodically check changes in uniformity and minimize factors that affect uniformity.

      • 국내 매미과 번식울음 정밀 생물계절 분석 연구

        김윤재 ( Yoon-jae Kim ),정태준 ( Tae-jun Jung ),기경석 ( Kyong-seok Ki ) 한국환경생태학회 2021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2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여름철 종별 번식시기가 일정한 매미과를 대상으로 번식울음 시기를 정밀 관측하여 생물계절 연구를 진행하는 것에 있다. 연구대상지는 전국 보호지역 19개소을 선정하였다. 번식울음 수집기간은 2019년 12개월간이었다. 매미의 번식울음 관측은 매시간당 1분씩 WAV, 44,100Hz 포맷으로 생물음향 측정장비(Songmeter SM4)를 각 연구대상지에 설치하여 녹음하였다. 온도와 습도는 미기상 측정장비(testo 174H)를 생물음향 측정장비와 설치하여 매시간당 1회씩 기록하였다. 연구대상종은 기존 매미 연구에 따라 국내에 서식하는 매미 12종을 대상으로 하였다. 번식울음 분석은 매미종별 번식울음 시작점과 종점을 기록하였다. 분석 결과, 연구대상지 19개소에서 2019년 내 출현한 매미는 12종 중 풀매미와 세모배매미를 제외한 10종이었다. 번식울음이 활발한 지역을 대상으로 각 매미종의 울음기간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말매미는 대체로 7월 중순부터 9월 말까지 2달 간 번식울음을 우는 것이 확인되었다. 애매미는 출현 지역에서는 7월 말 및 8월 초에 울음을 시작하며, 9월 말까지 3주 이상 길게 우는 것을 확인하였다. 참매미는 애매미와 유사하게 7월 말 및 8월 초에 울음을 시작하였으나 애매미와 달리 대부분의 지역에서 애매미보다 이른 시기인 8월 말부터 9월 중 사이에 울음을 그쳤다. 유지매미는 대부분의 출현 지역에서 7월 말에서 8월 말까지 1달 정도 울었다. 털매미는 남부 지방에서는 7월 중부터 9월 중~말까지 우는 모습을 보였으나 중부 지방으로 갈수록 7월 초부터 8월 중까지 우는 현상을 보였다. 늦털매미는 다른 매미에 비해 늦은 9월 중순 이후에 울음을 시작하여 10월 말까지 울었다. 소요산매미는 다른 매미들에 비해 이른 7월 초~중에 출현하여 7월 중~말까지 울음을 울었다. 참깽깽매미는 오대산에서는 7월 말부터 9월 중까지, 치악산에서는 8월 말부터 9월 말까지 울었다. 쓰름매미는 우포늪에서 8월 초부터 9월 초까지 1달 이상 울었고, 진관동습지에서는 8월 말 2일간만 울었다. 호좀매미는 태백산 1곳에서 8월 중부터 8월 말까지 약 2주간 울었다. 애매미, 참매미, 털매미는 15개소 이상 전국적으로 나타났으며, 말매미는 해발고도가 낮은 남부지방 평지와 도심지인 서울에서 주로 나타났다. 유지매미와 늦털매미는 비교적 고도가 낮은 지역에서 출현하였으며, 소요산매미는 산지에서 주로 나타났다. 참깽깽매미, 쓰름매미, 호좀매미는 국지적으로만 나타났으며, 참깽깽매미와 호좀매미는 오대산과 치악산 등 산지에서 나타났고 쓰름매미는 평지형 습지인 우포늪과 진관동습지에서 나타났다. 울음 기간의 경우, 말매미, 애매미, 참매미, 유지매미는 활발히 활동하는 지역에서 거의 유사한 출현시기와 울음기간을 가졌지만, 털매미는 남부 지방과 중부 지방에서 출현 시기에 차이를 보여 지역에 따라 출현기간에 큰 차이를 보였다. 또한 소요산매미는 7월 초부터 활동하여 다른 매미에 비해 가장 빠른 출현시기를 가졌고, 늦털매미는 9월 중 이후에 활동하여 늦은 출현시기를 가져 다른 매미와 출현시기가 거의 겹치지 않았다.

      • KCI등재

        생물음향 탐지기법을 이용한 한국 매미아과의 출현 시기 및 서식지 분포 특성 연구

        김윤재 ( Yoon-jae Kim ),기경석 ( Kyong-seok Ki ) 한국환경생태학회 2021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35 No.6

        본 연구는 국내 매미아과를 대상으로 번식울음 시기를 전국적으로 관측하여 종별 출현 시기 및 서식지 분포 특성을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지는 전국 보호지역 19개소이었다. 매미 번식울음 수집기간은 2019년 12개월간이었다. 매미 번식울음 녹음은 매시간당 1분씩 WAV, 44,100Hz 포맷으로 생물음향 측정장비를 설치하여 녹음하였다. 온도는 미기상 측정장비를 이용하여 시간당 1~2회씩 기록하였다. 연구대상종은 국내 매미아과 9종이었다. 번식울음 분석은 매미종별 번식울음 시종점을 기록하였다. 분석 결과, 연구대상지 19개소에서 출현한 매미는 9종이었다. 종별 번식울음 시기는 말매미(7/12~9/30), 애매미(7/27~10/20), 참매미(7/25~10/9), 유지매미(7/28~9/5), 털매미(7/3~9/29), 늦털매미(9/14~10/30), 소요산매미(6/26~8/2), 참깽깽매미(7/27~9/28), 쓰름매미(8/8~9/11) 순이었다. 종별 번식울음 기간은 35일(쓰름매미)~89일(털매미) 사이었고 평균 62일이었다. 종별 서식지 해발고도는 말매미(5~386m), 애매미(7~759m), 참매미(7~967m), 유지매미(42~700m), 털매미(7~700m), 늦털매미(5~759m), 소요산매미(7~759m), 참깽깽매미(397~967m), 쓰름매미(7~42m) 순이었다. 종별 서식지 평균온도는 말매미(23.9℃), 애매미(21.8℃), 참매미(22℃), 유지매미(23℃), 털매미(22.9℃), 늦털매미(14.6℃), 소요산매미(20.6℃), 참깽깽매미(19.3℃), 쓰름매미(24.4℃) 순이었다. 종별 서식지 분포는 애매미, 참매미, 털매미는 전국 15개소 이상 분포하였다. 말매미는 서남부 저지대에 분포하였다. 유지매미는 한반도 서부 지역에 분포하였다. 늦털매미는 고산지대와 동남부 일부를 제외한 지역에 분포하였다. 소요산매미는 산지에 가까운 지역에 분포하였다. 참깽깽매미는 고산지대에 국지적으로 분포하였다. 쓰름매미는 평지형 습지에 국지적으로 분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serve the period of mating calls of cicadas in South Korea to identify the emergence period and geographic distribution for each cicada species. The study sites were 19 protection areas nationwide. The mating calls of cicadas were collected over the 12 months of 2019. A bioacoustics measuring device was installed to record the mating calls of cicadas in WAV, 44,100Hz format for 1 minute every hour. The temperature was recorded once or twice every hour using a micro-meteorological measuring device. Nine species of Korean cicadinae were studied. The start and end periods of mating calls were recorded for each cicada species for the subsequent analysis.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nine cicada species appeared in the 19 protection areas. The chronological order of mating call periods for each species was as follows: Cryptotympana atrata (7/12 - 9/30), Meimuna opalifera (7/27 - 10/20), Hyalessa fuscata (7/25 - 10/9), Graptopsaltria nigrofuscata (7/28 - 9/5), Platypleura kaempferi (7/3 - 9/29), Suisha coreana (9/14 - 10/30), Leptosemia takanonis (6/26 - 8/2), Auritibicen intermedius (7/27 - 9/28), and Meimuna mongolica (8/8 - 9/11). The mating call period was between 35 (Meimuna mongolica) and 89 (Platypleura kaempferi) days, with the average being 62 days. The elevation above sea level for the habitats of each species was as follows: 5 - 386 m for Cryptotympana atrata, 7 - 759 m for Meimuna opalifera, 7 - 967 m for Hyalessa fuscata, 42 - 700m for Graptopsaltria nigrofuscata, 7 - 700 m for Platypleura kaempferi, 5 - 759 m for Suisha coreana, 7 - 759 m for Leptosemia takanonis, 397 - 967 m for Auritibicen intermedius, and 7 - 42 m for Meimuna mongolica. The average temperature of the habitats of each species was as follows: 23.9℃ for Cryptotympana atrata, 21.8℃ for Meimuna opalifera, 22℃ for Hyalessa fuscata, 23℃ for Graptopsaltria nigrofuscata, 22.9℃ for Platypleura kaempferi, 14.6℃ for Suisha coreana, 20.6℃ for Leptosemia takanonis, 19.3℃ for Auritibicen intermedius, and 24.4℃ for Meimuna mongolica. In terms of the habitat distribution of species, Meimuna opalifera, Hyalessa fuscata, and Platypleura kaempferi were distributed in more than 15 protection sites. Cryptotympana atrata was distributed in the lowlands in the southwest. Graptopsaltria nigrofuscata was distributed in the western area of the Korean Peninsula. Suisha coreana was distributed in areas excluding high mountain areas and parts of the southeast area. Leptosemia takanonis was distributed in areas near the mountains. Auritibicen intermedius was distributed locally in the high mountain areas. Meimuna mongolica was distributed locally in flat wetlands.

      • 생물음향 측정기법을 이용한 북방산개구리 정밀 페놀로지 관측 연구

        김윤재 ( Yoon-jae Kim ),최대훈 ( Dae-hun Choi ),박태훈 ( Tae-hoon Park ),기경석 ( Kyong-seok Ki ) 한국환경생태학회 2021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21 No.1

        본 연구는 기후변화지표종 북방산개구리의 번식울음 발생현황을 정밀관측하여 대상지별 발생시기, 발생기간, 일주기패턴, 번식울음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 등을 비교분석하였다. 연구대상지는 중부지역 도심지와 산지지역으로 구분하였고, 도심지역은 서울시 남산 천일약수터 습지(170m)와 북한산 진관 동습지(44m)를 산지지역은 소백산 죽령습지(550m), 월악산 지릅재습지(405m)를 선정하였다. 번식울음 분석기간은 2019년 2월부터 5월, 2020년 2월부터 5월까지 2년간이었다. 번식 울음 녹음은 각 연구대상지에 생물음향 측정장비(Songmeter SM4)를 설치하여 매시간당 1분씩 WAV 포맷(44,100Hz)으로 녹음하였다. 온도와 습도는 미기상측정장비(testo 174H)를 백엽상에 설치하여 매시간당 1회씩 기록하였다. 그 외 기후 정보는 기상청의 기상자료개방포털(https://data.kma.go.kr)을 이용하였다. 번식울음 분석은 1분당 들리는 북방산개구리의 울음소리 빈도와 횟수에 따라 0~5점을 부여하였다. 분석 결과, 2019년 북방산개구리의 초성 날짜는 남산과 북한산은 3월 3일, 소백산은 3월 26일, 월악산은 3월 10일로 나타났으며, 2020년에는 남산은 2월 21일, 북한산은 2월 20일, 소백산은 3월 10일, 월악산은 2월 13일로 나타났다. 각 연도별 최대빈도(피크) 발생일은 2019년 남산은 3월 21일, 북한산은 3월 15일, 소백산은 4월 24일, 월악산은 3월 21일로 나타났으며, 2020년에는 남산은 3월 10일, 북한산은 2월 22일, 소백산은 3월 27일, 월악산은 3월 10일로 나타났다. 울음빈도는 도심지에 인근한 남산과 북한산에 비해 산지형 국립공원인 소백산과 월악산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번식울음의 일주기 패턴은 인위적인 영향이 많은 서울 남산과 북한산은 오후~저녁 시간대인 15시~20시에 울음빈도가 높았고, 인위적 영향이 적은 소백산과 월악산은 이른 시간대인 11시~19시에 울음빈도가 높았다. 북방산개구리는 2019년에 비하여 2020년에 2주에서 1개월 정도 이른 시기에 우는 경향을 보였으며, 2~3월 경 온도가 높아지는 시기에 울음을 시작하여, 비가 오는 시기에 집중적으로 우는 경향을 나타냈다. 기후 데이터를 살펴보았을 때, 2019년보다 2020년에서 북방산개구리의 초성이 시작하기 전 온도가 상승하고 높은 강수량이 관측되는 시기가 더 이른 것을 확인하였다.

      • Development and characteristic study of high brightness ion source using inductively coupled plasma for focused ion beam

        김윤재(Yoon-Jae Kim),박동희(Dong-Hee Park),황용석(Yong-Seok Hwang) 한국생산제조학회 2004 한국공작기계학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Vol.2004 No.-

        A ion source using inductively coupled plasma has been tested in order to test its feasibility as a high brightness ion source for focused ion beam. When operating the ion source with filter magnets in front of plasma electrode for a negative ion source, lower emittances are expected. Extracted beam emittances are measured with an Allison-type scanning device for various plasma parameters and extraction conditions. The normalized emittance has been measured to be around 0.2 πmmmrad with beam currents of up to 0.55 ㎃. In particular, noting that multicusp magnets have a role in decreasing the emittance as well as increasing plasma discharge efficiency, transverse magnetic field has been confirmed to be a useful tool for decreasing emittance via electron energy contro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