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 순수교양수학에 대한 수학적 신념 연구

        김윤민,Kim, Yunmin 영남수학회 2016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Vol.32 No.2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needs of changes in the teaching-learning environment in the university and to develop the liberal art subject of mathematics. The changes of mathematical belief in the university students were investigated to understand how the liberal art subject of mathematics affected them related to mathematics. Upon the study results, the significant changes were occurred from the utility factor on the subject of mathematics in mathematical belief, the importance factor of the answers in the teaching-learning belief, teaching activity factor of the teachers, and inborn capability factor in the belief on the self-concept. The meaningful learning environment and teaching method for the liberal art subject of mathematics are suggested further by these results.

      • KCI등재

        대학 신입생들의 수학적 증명에 관한 신념 탐구 -학교수학과 대학수학의 연결 관점에서-

        김윤민(Kim, Yunm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1

        본 연구는 학교수학과 대학수학의 연결 관점에서 대학 신입생들의 수학적 증명에 관한 신념을 탐구하였다. 또한 대학 신입생이 수학적 증명의 구성방법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도 살펴보았다. 이에 대학 신입생 91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대학신입생들의 지닌 수학적 증명의 설명 역할의 신념이 비교적 높았고그 다음으로 정당화 역할의 신념을 지니고 있었다. 둘째, 대학신입생이 지닌 수학적 증명의 체계화 역할 대한 신념은 다른 수학적 증명의 역할에 대한 신념과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대학 신입생들은 수학적 증명을 설명적 스키마 보다는 정당화 스키마로 이해하고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학교수학과 대학수학의 괴리를 파악할 수 있는 실마리 찾고, 대학수학의 교수 학습 방법 등 다양한 방안을 마련 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mathematical beliefs of college freshmen on mathematical proof in view of the link between school mathematics and college mathematics. It also investigated how college freshmen understand method of constructing mathematical proof. The findings of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college freshmen were high in beliefs in the role of explanation of mathematical proof, followed by beliefs in the role of justification. Second,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their beliefs in the role of systemization of mathematical proof and other roles of it. Third, They were found to understand mathematical proof as justification schema rather than explanation schema.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it is advisable that we should find hints in discovering discrepancy between school mathematics and college mathematics, and prepare various means including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in college mathematics.

      • KCI등재

        2015 개정 중학교 수학 교과서의 수학사 활용에 대한 분석

        김윤민(Kim Yunmin),김부미(Kim Bum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

        The use of the history of mathematics in teaching mathematics provides a background for understanding mathematics concepts, allowing students to recognize mathematics as a sociocultural product and a tool of civilization and to consider mathematics as a favorable obje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use of history of mathematics in 10 kinds of middle school first and second grade textbooks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Specifically, the composition of textbooks, content area, the purpose and type of the use of history of mathematics, anecdotes, the origins of the East and West of related problems, and the historical viewpoints from ancient times to the present are variously illustrated. Analyzed. As a result, first, Siu (2000) s ABCD theory was followed in the mathematical content domain except for probability and statistical domains. Second, history of mathematics is used in order of geometry, expression domain, and it is most suggested as anecdotes type with related contents in the text. Third, motivation was the greatest in using math history. Fourth, the history of Western mathematics, which is a modern mathematics, was overwhelming. Fifth, the use of history of mathematics also showed the convergence of several subjects. Based on these results,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develop a teacher education program on pedagogical knowledge of history of mathematics. 본 연구는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1학년과 2학년 수학 교과서의 수학사 활용의 실태를 분석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교과서의 구성, 내용 영역에 따른 수학사 활용 비율, 수학사 활용의 목적과 유형, 제시된 수학자와 일화, 관련 문제의 동양과 서양의 출처 등을 실제 예시와 함께 다각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확률과 통계 영역을 제외한 수학 내용 영역에서 Siu(2000)의 ABCD 이론을 따르고 있었다. 둘째, 기하 영역, 문자와 식 영역의 순으로 수학사를 많이 활용하고 있고, 본문에서 관련된 내용과 함께 일화 유형으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셋째, 수학사 활용 목적은 동기유발이 가장 크게 나타났고, 수학사 활용 소재는 서양의 수학사 내용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넷째, 수학사를 활용하여 타 교과와 융합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제시되는 경우도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수학 교과서에서 수학사 활용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한국과 일본의 수학과 교육과정 비교 -통계영역을 중심으로-

        김부미(Kim Bumi),김윤민(Kim Yunm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3

        본 연구는 비슷한 시기와 배경을 가지고 최근 개정한 우리나라의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과 일본의 2017 수학과 학습지도요령에서 중학교와 고등학교 통계 영역을 중심으로 개정의 방향, 내용요소의 도입 시기, 내용 수준, 교수 학습 방법 및 유의 점, 강조하는 교과 역량과 그 구현 방식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통계 영역에서 우리나라는 자료 정리와 해석을 강조하고 있지만, 일본은 데이터의 분포 경향에 대한 파악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개정의 방향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도수분포표, 대 푯값, 분산, 상관 등의 내용요소의 도입 시기가 서로 달랐고, 내용 수준에서는 표본조사와 산포도에서 차이점을 살펴볼 수 있었다. 또한, 일본의 수학화 활동과 한국의 교과역량을 비교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교육과정에서 통계 영역의 학년 간, 학 교급간 내용의 연계성 강화,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In this study, the contents an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n middle and high schools on statistics were compared based on the revised curriculum between Korea and Japan which had been revised in similar period with background. In detail, we compared and analyzed the direction, introduction timing of content elements, level of contents, guidelines for teaching and learning, and competency to be highlighted and its realization method in statistics in the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between Korea and Japa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Korea,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linkages of contents between grade and school level in the guidance of the statistical field. Second, the methods to enhance the competency of the subject and cautions in teaching were dealt in ‘Guidelines for teaching and learning’ in Korea, however, it is required to seek the plans to materialize them more. Third, it is necessary to highlight self-inquiry-based learning by themselves by experiments and specific examples in the statistics.

      • KCI등재

        한국과 일본의 수학과 교육과정의 기하 영역 내용 비교

        김부미(Kim, Bumi),김윤민(Kim, Yunmin)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20 교과교육학연구 Vol.24 No.5

        본 연구는 우리나라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과 일본의 2017 수학과 학습지도요령의 중·고등학교 기하 영역의 내용을 비교 분석하였다. 한국과 일본의 수학과 교육과정의 기하 영역의 내용 도입 시기와 내용 요소를 비교하였고, 기하 증명을 어떻게 다루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기하 영역에서 다루는 내용 요소는 유사했지만, 도입 시기는 차이가 있었고, 이는 두 국가의 다루는 내용의 범위와 교수·학습방법의 차이와 관련이 있었다. 둘째, 한국과 일본 모두 증명 교수·학습에 대하여 수학적 정당화 관점을 취하고 있다. 그러나 내용 요소뿐만 아니라 증명의 역할을 설명(납득과 설득)으로 보는 관점에 따른 지도 방법의 구체성에서 차이가 있었다. 셋째, 같은 내용 요소이지만 다루는 수학 내용의 범위와 수학적 활동에서 차이가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차기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geometric domain in the curriculum of middle schools and high schools in Korea’s 2015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and Japan’s 2017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The comparison was conducted on the timing of introducing geometric domain in the curriculum and its contents, and it was analyzed how geometry proof was handled in the curriculum.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e curriculum in both nations have similar contents in the geometric areas but the timing of introduction is different, and this was related to the difference in the scope of contents an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between the two countries. Second, both Korea and Japan are taking the perspectives of mathematical justification for proof teaching and learning and other than the contents, there was difference in the specifics of the teaching methods based on the perspectives to understand the role of proof as explanation (convincing and persuasion). Third, although the elements of the content are the same,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scope of the mathematics contents and the mathematical activities. Based on the above results,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he next curriculum were derived.

      • KCI등재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성취기준과 교과역량의 관계 분석: 내용체계 ‘기능’ 중심으로

        김부미(Kim Bumi),김윤민(Kim Yunm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8

        본 연구는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의 내용체계 ‘기능’을 ‘성취기준’과 ‘교수․학습 방법 및 유의 사항’, 교과역량과 관련시켜 분석하고 차기 교육과정 개정에 필요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중학교와 고등학교 수학의 성취기준과 교수․ 학습 방법 및 유의 사항을 내용체계의 ‘기능’을 중심으로 교과역량, 교과역량의 하위기능과의 관계를 분석하고, 내용체계 ‘기능’의 내용영역별 특징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두 학교급의 내용영역별 ‘기능’의 빈도와 특징에 차이가 있었고, 내용 영역에 따른 교과역량도 서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중학교와 고등학교 수학과 평가기준을 내용체계 ‘기능’을 중심으로 교과역량, 교과역량의 하위 기능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두 학교급 평가기준 모두 학생의 학업성취 수준에 따라 강조되는 기능에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차기 교육과정 개정에서 ‘기능’의 역할을 제고 할 수 있는 방안, 추가할 기능을 제안하였다. In the 2015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Skills were newly se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ontent area. Content system Skills is to enable students to experience the knowledge of mathematics and content areas. In this study, we analyze the achievement standards, guidelines for teaching and learning of the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mathematics, focusing on the skills of the content system, and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 competence and the sub-skill of the subject competence. and this study analyzed the assessment standards of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mathematics focusing on the content system skill . As a resul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subject competencies according to the content areas of middle and high school, and the skill emphasized according to the student s academic achievement level.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f the skill of the content system, the implications for the next revision of the curriculum were deriv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