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유방암의 수술적 치료의 변천

        김유사 啓明大學校 醫科大學 1997 계명의대학술지 Vol.16 No.4

        현재 유방암 제1기와 제2기 환자의 수술적 치료 방법으로 가장 많이 쓰이는 방법은 변형근치 유방 절제술과 액와 절제를 겸한 유방 부분 절제술인데 어느 방법이 특정한 환자에서 더 좋으냐 하는 질문에 명확하게 답하기는 힘들지만 우선 여러가지치료 결과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첫째는 물론 생존율이다. 둘째는 유방및 액와의 국소 재발 방지이다. 유방 전 절제술 후의 국소 재발과 유방 보존술 후의 국소 재발은 그 결과가 판이하다. 유방전 절제술 후 발생한 국소 재발의 예후가 훨씬 더 나쁘기 때문이다. 셋째는 기능상 및 미관상의 결과이다. 두 방법의 목적이 모두 유방암을 완전히 제거하는 것이라면 그 결과가 수술 전 상태에 얼마나 가깝게 될수 있느냐 하는 것이 중요한 것은 자명하다. 넷째는 각 치료 방법 후에 올 수 있는 단기적 및 장기적 후유증에 대하여 분석하여야 한다. 그 외에도 환자의 나이가 문제가 된다. 젊은 여성들은 자연히 자기 신체 모양에 더 관심이 있기 마련이지만 앞으로 살아야 할 기간도 더 길기때문에 치료로 인한 장기적인 후유증에 더 많이 시달리게 될 가능성이 많다. 정서적인 면과 생리적인 면도 미리 생각하여야 한다. 유방을 잃음으로서 발생하는 정신적인 상처도 고려하여야 하지만 유방 보존술 후에 환자들이 가질 수 있는 잔재암에 대한 공포나 새롭게 발생할 수 있는 암에 대한 공포에도 관심을 가져야 한다. 그 외에도 유방의 크기, 종괴의 수, 생검 조직의 병리 조직학적 소견 등도 미리 고려되어야 한다. 이러한 모든 것을 철저하게 분석하여 저울 질 해본 후에야 특정한 환자에게 어떠한 치료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좋은지를 결정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여러가지 문제점들을 고려할 때 유방 보존술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전제조건이 충족될 때가 가장 좋으리라고 생각된다. 1. 환자가 적극적으로 유방의 보존을 원해야 한다. 어떤 환자는 유방내에 남게될지도 모르는 유방암에 대한 병적인 공포 때문에 유방을 보존한다는 것이 너무나 큰 정신적인 부담을 갖게된다. 그래서 환자가 여러 가지 치료 방법중에서 선택하여 만족한 상태가 되어야 한다. 2. 유방 내에서 발견된 암이 유방의 크기에 비해 작아야만 한다. 암종괴의 크기가 2㎝이하 혹은 4㎝이하 등으로 적응증이 나와 있지만 우리나라 여성의 경우 유방이 비교적 작기때문에 이러한 적응증을 그대로 적용하려면 유방 보존술의 목적 중 하나인 술 후 유방 미관에 불만족스러운 결과를 얻게 되기 때문이다. 암종괴 주변에 충분한 정상 조직의 변연을 주면서 절제한 후에도 미관상 납득이 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을 때 유방 보존술은 시도하여야 한다. 3. 유방 내에서 발견된 암종괴 외에 다른 의심스러운 병소가 없어야 한다. 유방암은 이미 전술한 되로 상당수에서 다중심성 일 수 있기 때문에 절제 후 유방 방사선 사진상 의심되는 병소나 미세 칼슘 침착이 전혀 없어야 하고 절제 조직의 변연이 현미경 검사에서 암세포의 침윤이 없다는 것이 확인되어야 한다. 또 절제된 표본 조직에서 광범위하고 미만성인 도관내암이 발견될 때에도 유방 보존술에 대한 재고를 요한다. 4. 유방 보존술을 시행하는 경우에는 수술 후에 유방에 대한 방사선 치료를 하여야 되기 때문에 7주내지는 8주가량 걸릴 매일의 방사선 치료 필요성에 대하여 이해하여야 하고 감내할 수 있어야 한다.

      • KCI등재후보

        남성 유방암 4례

        김유사 啓明大學校 醫科大學 1989 계명의대학술지 Vol.8 No.1

        Cancer of the male breast is uncommon with an estimated frequency of less than 1% of the disease in women and it accounts for only 0.2-1.5% of all cancers in Western men. The median age of diagnosis of breast cancer in men is said to be 8-10 years later than in women and is reported to be around 60 years of age. A wide variety of etiologic factors has been proposed including altered hormonal metabolism, radiation, heredity, and trauma. The most frequent symptom is painless lump beneath the areola, and nipple involvement and discharge are more frequent in men than women. Axillary nodal metastases are found in about one-half of the cases.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le breast cancer is that there may be widespread axillary lymph node metastasis even when the primary tumor in the breast is rather small. Almost all histological types of the breast cancer in women have been described in men. Most are infiltrating ductal carcinomas but intraductal carcinomas and papillary carcinomas are more frequent in men. The overall incidence of estrogen receptors in men is about 80% and ablative hormonal theraphy is much more effective in the men than in women. Surgical therapy has been similar to that in female breast cancer. There is little evidence to suggest that postoperative irradiation will improve survival, though there is likely to be a reduction in the local recurrence rate. The adjuvant chemotherapy may be associated with a substantial improvement in disease free and overall survival and adjuvant hormonal therapy may also be associated with favorable result. Chemotherapy for metastatic or inoperable diseases has been little studied but the therapeutic effect may be as good as for the female breast cancer. Between January 1, 1979 and December 31, 1988, we have treated a total of 317 patients with breast cancer in the Department of Surgery, Keimyung University Dongsan Medical Center and among them five were male patients but one proved to be a mailgnant hemangiopericytoma and was excluded from this report. The ages of remaining four patients were all in their fourties with the average age of 45, and all of therm came to the hospital with a painless lump under the areola and the average duration of symptoms in these patients was 19 months. Two patients had axillary lymph node metastases. One patient had distant metastasis at the time of initial diagnosis but because of potential nursing care problems from the chest wall mass, modified radical mastectomy was performed and following surgery, he was treated initially with picibanil and prospidine for several months then changed to tamoxifen and survived 3 years and 3 months following surgery. The other patient who had axillay metastasis underwent modified radical mastectomy followed by adjuvant. chemotherapy and he is presently still on the adjuvant chemotherapy. Two patients without lymph node metastasis are alive 4 years and 4 months and 1 year respectively without any sign of local or systemic recurrence.

      • KCI등재후보

        Mucinous Cystandenocarcinoma of the Appendix

        金裕士 啓明大學校 醫科大學 1983 계명의대학술지 Vol.2 No.1

        원발성 충수선암은 대부분 급성 충수염의 증상으로 내원 충수절제후 우연하게 진단을 내리게 되는 아주 드문 질환이다. 충수선암의 첫 증에는 Berger에 의해 1882년에 보고 되었다. 그때 이 종양이 우 하복부에 촉지된 균상 종괴로 나타나 정확한 발생부위가 충수인지 맹장인지 확실히 않은것으로 알려져 있다. 문헌고찰에 의하면 1982년까지 총수 암양종 (carcinoid)을 제외한 원발성 충수암이 영어로 발표된 문헌에 200예이하로 보고되어 있다. 저자는 75세 된 여자가 비대한 하부북부 종괴로 내원하여 수술 후 충수 점액성 낭종암으로 진단된 증예를 치험 하였고 또 그 임상적 소견과 혈청 CEA 수치가 특이하여 문헌고찰과 아울러 그증에를 보고 한다. 일반적으로 잘 알려진 점액유종(mucocele)과 점액서 낭종암과의 관계도고찰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