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임상 ; 신생아 출혈성 뇌졸중의 임상 양상과 위험인자에 대한 분석

        김원덕 ( Won Duck Kim ),황문종 ( Mun Jong Hwang ),박수현 ( Soo Hyun Park ) 대한주산의학회 2010 Perinatology Vol.21 No.4

        목적: 신생아 출혈성 뇌졸중은 뇌성 마비, 선천적 반부전마비, 행동, 인지 및 언어 장애를 가져오는 주요한 원인이다.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신생아 뇌졸중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신생아 출혈성 뇌졸 중의 임상적 특징을 알아보고 이와 연관된 위험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대구파티마병원 신생아실에 신생아 출혈성 뇌졸중으로 입원한 2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진단은 의무기록지, 임상증상, 영상학적 검사를 이용하였다. 뇌실질 출혈이 있을 때 신생아 출혈성 뇌졸중으로 진단하였다. 각 연구군마 다 2명의 대조군을 선별하여 두 군간 신생아 출혈성 뇌졸중에 연관된 인자들을 비교분석하였다. 결과: 신생아 출혈성 뇌졸중으로 총 24명이 진단되었고 남아가 62.5%로 많았다. 임상증상으로는 뇌병증 100 %, 경련 20.8%였으며, 영상학적 소견은 단측성이 78.3%, 우뇌가 73.9%로 우세한 소견을 보였다. 침번된 부위는 측두엽이 38.2%로 가장 흔하게 침범되었다. 위험인자로 설정한 인자들은 두군 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신생아 출혈성 뇌졸중은 국소성 경련과 기면, 저긴장, 수유 곤란, 무호흡 등의 신생아 뇌증(neonatal encephalopathy) 증상을 나타낸다. 영상학적 소견은 주로 단측성으로 측두엽을 가장 흔히 침범한다. 본 연구에서는 통계적 유의성을 보인 위험인자는 없었다. 추후 신생아 출혈성 뇌졸중의 빈도와 위험요인을 확립하기 위한 더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광범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Objective: Perinatal hemorrhagic stroke (PHS) is common cause of cerebral palsy, congenital hemiparesis, and subsequent behavioral, cognitive, and language problems. Despite of this importance, risk factors for this condition have not been studied.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survey the clinical features and risk factors of PHS. Methods: A retrospective study was carried out on 24 newborns with PHS who were admitted to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NICU) of Daegu Fatima hospital from January 2004 to July 2009. Cases of PHS in neonates (28 weeks` gestational age through 28 days of life) were identified through neuroimaging studies, clinical findings and chart review. Two controls per case were randomly selected. Risk factors of PHS were assessed and clinical features of PHS were reviewed. Results: We identified 24 cases of PHS (19 intracerebral hemorrhage, 4 intracerebral hemorrhage with subarachnoid hemorrhage, 1 subarachnoid hemorrhage). PHS was more common in male (15 males and 9 females). Case presented with encephalopathy (100%), seizures (20.8%) and cyanosis (4.2%). The neuroimaging findings of PHS were more commonly unilateral (78.3%), and right-hemisphere (73.9%). PHS was most often seen in temporal lobe (38.2%). There were no statistical and significant risk factors of PHS. Conclusions: Newborns with PHS typically present with encephalopathy (lethargy, hypotonia, apnea, feeding disability) and seizures. The neuroimaging findings were more commonly unifocal, unilateral and seen in temporal lobe. Additional prospective studies are needed to determine the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PHS.

      • SCOPUSKCI등재

        Molybdenum Di-n-butoxydithiophosphate 의 극압 특성

        김원덕(Won Duck Kim),김득기(Duk Ki Kim),정영진(Yeong Jin Chung) 한국공업화학회 2002 공업화학 Vol.13 No.2

        용해성 윤활유 첨가제로서 molybdenum di-n-butoxydithiophosphate(MoDTP)의 마모 및 마찰감소에 대하여 시험하였다. Molybdenum di-n-butoxydithiophosphate(MoDTP), zinc di-n-butoxydithiophosphate(ZnDTP), 그리고 MoS_2의 현탁용액의 경계윤활 특성 효과를 Timken과 Four-Ball 시험을 통하여 비교한 결과, molybdenum di-n-butoxydithiophosphate 용액의 극압 및 내마모 성질이 다른 것 들보다 우수하였다. 또한 MoDTP가 첨가된 윤활유의 동판부식에 대한 산화안정성과 부식방지성 효과가 특히 양호하였다. Molybdenum di-n-butoxydithiophosphate was investigated as a soluble oil additive for reducing wear and friction. The boundary lubricating effects of oil solutions of molybdenum di-n-butoxydithiophosphate(MoDTP), zinc di-n-butoxydithiophosphate(ZnDTP), and MoS_2 supension were compared through Timken and Four-Ball testes. The results showed that extreme pressure and antiwear properties of the solution of molybdenum di-n-butoxydithiophosphate were superior to those of other additives. Also, the antioxidation and anticorrosion properties for copper strip in oil with added molybdenum di-n-butoxydithiophosphate were found to be especially excellent.

      • KCI등재후보

        짠 음식으로 유발된 가족성 저칼륨성 주기성 마비 2례

        김현지(Hyun Ji Kim),이소영(So Young Lee),김미영(Mi Young Kim),김나연(Na Yun Kim),이선주(Sun Ju Lee),김원덕(Won Duck Kim),조성민(Sung Min Jo),이동석(Dong Seok Lee),김두권(Doo Kwun Kim),최성민(Sung Min Choi) 대한소아신경학회 2002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10 No.2

        저칼륨성 가족성 주기성 마비증은 의식, 언어, 지각의 장애 없이 골격근의 마비를 초래하는 질환으로 상염색체 우성 유전으로 남아에게 좀더 심하게 나타나며 대개 소아 후기에 발생하는 비교적 희귀한 질환이다. 본 증례에서는 주로 운동 후의 휴식 시에 증상이 발현되지만 그 외 특이하게도 다른 보고에서 찾아볼 수 없는 라면이나 피자, 김치 같은 짠 음식을 먹었을 때 사지 마비 증상이 나타났다. 이에 저자들은 짠 음식으로 유발된 저칼륨성 가족성 주기성 마비등 2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Hypokalemic periodic paralysis is an autosomal dominant disorder characterized by episodic weakness of skeletal muscle associated with hypokalemia. It may be presented as familial or sporadic. Familial hypokalemic periodic paralysis is caused by mutations in the muscle membrane dihydropyridine sensitive calcium channel alpha-1 subunit. The abnormal genes in most cases are located in the chromosome 1q31-32. We experienced 2 cases(a 14-years-old male, a 12-year old male) of familial hypokalemic periodic paralysis. Two cases presented with quadriplegia after eating salty foods. The diagnosis was made by demonstrating decreased plasma level of potassium. The patient responded dramat-ically to potassium replacement therapy. We report two cases of familial hypokalemic periodic paralysis caused by salty foods with a brief review of related literatures.

      • KCI등재

        신생아 폐출혈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 인자 및 예후에 관한 고찰

        박수진,윤기태,김원덕,이상길,Park, Su-Jin,Yun, Ki-Tae,Kim, Won-Duck,Lee, Sang-Geel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10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53 No.4

        목 적: 신생아 폐출혈은 드물긴 하나, 일단 발생한 환아는 높은 사망률을 보인다. 급성 좌심실 부전, 호흡 곤란 증후군, 동맥관 개존증, 패혈증, 혈소판 감소증 등이 폐출혈 발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저자는 출생 체중에 따라 신생아의 폐출혈 발생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위험 인자를 규명하고 예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1995년 1월부터 2008년 12월까지 본원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한 재태 기간 37주 미만의 미숙아 117명을 대상으로 출생 체중에 따라 두 군으로 구분하였다. 폐출혈의 정의는 임상적인 정의를 적용하였고, 각 군에서 폐출혈의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고자 병력지를 기초로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 과: 대상 환아 총 117례 중 폐출혈은 39례(33.3%)에서 발생하였으며, 출생 체중에 따라 극소 저체중 출생아군에서는 대상환아 총 48례 중 17례(35.4%)에서 폐출혈이 있었고 산전 산모의 스테로이드 치료 여부는 환아의 폐출혈 발생과 유의한 관련이 있었다($P$=0.001). 1분 APGAR 점수가 3점 이하인 경우, 혈소판 감소증도 폐출혈 발생과 유의한 관련이 있었다($P$<0.05). 저체중 출생아군에서는 대상 환아 총 69례 중 22례(31.9%)에서 폐출혈이 있었고 1분 APGAR 점수가 3점 이하인 경우는 폐출혈 발생과 유의한 관련이 있었다($P$=0.025). 저혈압, 산혈증, 혈소판 감소증도 폐출혈 발생과 유의한 관련이 있었다($P$<0.05). 다변수 분석에서 극소 저체중 출생아군에서는 산전의 산모 스테로이드 치료가 환아의 폐출혈 발생을 의미있게 감소시켰으며(OR=0.203, 95% CI=0.044-0.934), 저체중 출생아군에서는 1분 APGAR 점수가 3점 이하인 경우(OR=5.992, 95% CI=1.145-31.351)와 산혈증(OR=4.434, 95% CI=1.279-15.376)이 환아의 폐출혈 발생과 유의한 관련이 있었다. 결 론: 출생 체중이 적은 군에서 비교적 폐출혈이 늦게 발생하나, 일단 발생하면 사망률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극소 저체중 출생아군에서는 산전의 산모 스테로이드 치료가 환아의 폐출혈 발생을 의미있게 감소시켰으며, 저체중 출생아군에서는 1분 APGAR 점수가 3점 이하인 경우와 산혈증이 환아의 폐출혈 발생과 유의한 관련이 있었다. Purpose : Although neonatal pulmonary hemorrhage is rare, it is associated with high mortality. We aimed to evaluate the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pulmonary hemorrhage in preterm infants and to describe the clinical course, including neonatal morbidity, of infants who developed pulmonary hemorrhage. Methods : We performed a retrospective case-control study of 117 newborn infants aged less than 37 gestational weeks admitted to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of Daegu Fatima Hospital between January 1995 and December 2008. Control group infants without pulmonary hemorrhage were matched according to the gestational age, duration of mechanical ventilation, and birth weight range (${\leq}100g$). Pulmonary hemorrhage was defined as the presence of hemorrhagic fluid in the trachea and severe respiratory decompensation. Results : Pulmonary hemorrhage occurred in 17 cases of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VLBW; birth weight < 1,500 g; median age, 3 days) and 22 cases of low birth weight infants (LBW; $1,500g{\leq}$ birth weight < 2,500 g; median age, 1 day). Antenatal maternal glucocorticoid treatment significantly reduced the incidence of pulmonary hemorrhage in VLBW infants. Low APGAR score (${\leq}3$ at 1 min) and acidosis at birth were associated with significantly high incidence of pulmonary hemorrhage in LBW infants. Conclusion : Antecedent factors and timing of pulmonary hemorrhage of LBW infants were different from those of VLBW infants. The mortality rates of VLBW and LBW infants were 88.2% and 45.5%, respectively. Pulmonary hemorrhage was the principal cause of death in 66.6% VLBW infants and 40.0% LBW infants.

      • KCI등재

        염색체 7번 장완의 부분적 역위 중복 1례

        김현지,이소영,김미영,백청순,김원덕,이동석,김두권,최성민,Kim, Hyun Ji,Lee, So Young,Kim, Mi Young,Baek, Chung Sun,Kim, Won Duck,Lee, Dong Seok,Kim, Doo Kwun,Choi, Sung Min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3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6 No.5

        Duplication of chromosome 7q has been reported as either partial or complete. Partial 7q duplication was first described by Carpentier in 1972. Pure partial duplication of the long arm of chromosome 7 is extremely rare and only 16 cases with a pure partial duplication of different 7q segment have been described in the literature. Pure partial duplication of the long arm of chromosome 7 is characterized by growth and developmental retardation, muscular hypotonia, distinct craniofacial dysmorphic features, a short neck and skeletal abnormalities. A 3 month-old male was referred to our department of Pediatrics because of dyspnea, hypotonia and delayed development. He shows growth and developmental delay, hypertelorism, a depressed nasal bridge, low set ears, a short neck and muscular hypotonia. Karyotype revealed 46, XY, dup(7)(q36q33) by GTC-banding. We report a case of a partial inverted duplication of chromosome 7q. 저자들은 호흡곤란, 근력저하, 발달지체로 병원에 온 3 개윌된 남아의 염색체 핵형분석에서 46, XY, dup(7)(q36q33)으로 진단된 1례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KCI등재

        수유 및 분만방법에 따른 신생아실 로타바이러스 원내감염의 증상 차이

        이소영,김현지,김미영,김원덕,이동석,김두권,최성민,Lee, So Young,Kim, Hyun Ji,Kim, Mi Young,Kim, Won Duck,Lee, Dong Seok,Kim, Doo Kwun,Choi, Sung Min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3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6 No.5

        목 적 : 신생아 로타바이러스 위장염의 빈도는 영유아와는 달리 계절적 유행 없이 일정하게 발생하며 임상 증상은 다양하여 무증상에서부터 구토, 설사 및 발열 드물게는 괴사성 장염과 출혈성 위장염 등을 나타낸다. 저자들은 건강한 만삭 신생아에서의 로타바이러스 원내 감염과 그 관련 요소에 대해 연구하였으며 본원에서 발생한 정상 신생아실의 만삭아에서 수유 및 분만 방법에 따른 증상의 빈도를 비교하여 이들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2001년 1월부터 6월까지 동국대학교병원에서 출생한 생후 7일 이내의 건강한 만삭 신생아 총 348명 중 증상을 보인 환아를 대상으로 시행한 변 rotazyme 검사에서 양성으로 확진된 환아 총 152례를 대상으로 연구하였으며 환아에 대한 각각의 항목은 병력지를 통하여 검토되었다. 환아 중 패혈증이나 뇌수막염, 요로 감염, 위식도 역류 및 황달 등이 있는 환아는 본 연구에서 제외되었다. 분만 방법은 정상 질식분만과 제왕절개술, 수유 방법은 모유와 분유로 구분해서 조사하였다. 분만 방법 및 수유 방법에 따른 로타바이러스 장염 신생아의 증상, 증상 기간에 대한 유의성을 통계적 Chi-square testd와 Fisher's exact test 및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로 검정하였으며 P<0.05인 경우를 유의 하다고 판정하였다. 결 과: 2001년 1월부터 6월까지 정상 만삭 출생아 중 입원 환아를 제외한 총 348명 중에서 로타바이러스 장염으로 확진 된 환아는 총 152명(43.7%)이었고, 그 중 남아는 95명(62.5%), 여아는 57명(37.5%)이었다. 체중이 2,500 g 이상이 149명(98.0%)이었고 모유 수유아는 97명(63.8%), 분유 수유아는 55명(36.2%)였고 분만 방법에서 정상 질식분만아는 22명(14.5%), 제왕절개아는 130명(85.5%)이었다. 증상은 미열이 51.3%로 가장 많았으며, 그 외 설사(40.8%), 복부 팽만(38.8%), 구토(35.5%) 등의 순 이었다. 증상 시작일이 생후 3-4일 이내인 경우가 134명(88.2%)이었으며 18명(11.8%)은 생후 5-7일째 증상이 나타났다. 증상 기간은 3일 이내인 경우가 120명(78.9%), 4-6일이 29명(19.1%), 7일 이상이 3명(2.0%)이었다. 모유 수유아에서 로타바이러스 장염의 증상의 빈도가 낮았고 분만 방법과 관련해서는 정상 질식 분만한 모유 수유아/분유 수유아에서 설사 11.1/84.6%, 수유 부진 22.2/69.2%, 체중 증가 지연 22.2/76.9%로 모유 수유아에서 증상 발현 빈도가 낮았고, 제왕절개분만 한 모유 수유아/분유 수유아에서는 정상 질식분만 한 환아에서와는 다르게 설사증상의 빈도는 차이가 없었으나 미열 45.5/66.7%, 복부 팽만 29.5/50.0%, 구토 31.8/60.9%, 체중 증가 지연 8.0/52.4%, 수유 부진 4.5/26.2%, 탈수 2.3/14.3%, 보챔 5.7/26.2%로 모유 수유아에서 증상의 빈도가 전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성을 나타내었다(P<0.05). 결 론 : 로타바이러스 장염에 이환된 건강 만삭아의 분만 방법 및 수유 방법에 따른 로타바이러스 장염의 증상 차이에 대한 연구에서 모유 수유아에서 증상 발현빈도가 분유 수유아 보다 낮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모유 수유가 분유 수유보다 로타바이러스 장염의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다고 생각된다. Purpose : Rotavirus is the main cause of infantile diarrheal disease worldwid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difference between clinical manifestations and feeding or delivery methods in healthy full-term neonates and those with nosocomially-acquired rotaviral infection. Methods : The study was conducted on 348 babies who were delivered in Dongguk University Kyongju Hospital from Jan 1 to June 30 in 2001. Stool specimens were collected from clinically symptomatic neonates. We studied the rate of positive stool rotazyme ELISA tests and positive symptoms. We compared the frequency of clinical manifestations according to the feeding methods [breast feeding(BF) or formula feeding(FF)] and the delivery methods[normal vaginal delivery(NVD) or Cesarean section(C/sec)]. Results : Rotavirus was detected in 152 of 348 babies. The rate of positive rotazyme ELISA test was 43.7% in healthy full-term symptomatic neonates. The most common symptom of rotaviral enteritis was mild fever; the others were watery diarrhea, abdominal distension, vomiting, delayed weight gain, irritability, poor oral intake and dehydration. Compared with FF neonates, BF neonates have lower frequency of symptoms, especially watery diarrhea, delayed weight gain and poor oral intake. The symptomatic frequency was higher in FF and NVD neonates than BF and C/sec. Conclusion : The symptoms of rotaviral enteritis were less frequent in BF or C/sec delivered neonates. BF appeared to alleviate the rotaviral enteritis but further studies are needed. The cause of the lower frequency of symptoms in C/sec delivered neonates was unknown.

      • KCI등재

        2019년 대구에서 확인된 백신 관련 홍역 2례

        유은주 ( Eun Ju Yu ),김원덕 ( Won Duck Kim ),김영진 ( Young Jin Kim ) 대한소아감염학회 2020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Vol.27 No.3

        우리나라는 2014년 세계보건기구로부터 홍역 퇴치 국가로 인증을 받았으나, 일부 해외유입으로 인한 홍역 및 해외유입 관련 사례들이 보고되고 있다. 홍역 예방 접종률이 높은 홍역 퇴치 국가에서 야생형 홍역의 발병률이 감소함에 따라 홍역으로 진단된 사례 중에서 백신 관련 홍역의 비율이 증가되고 있다. 야생형 홍역은 전염력이 높아서 접촉 추적 및 관리가 필요한 반면, 백신 관련 홍역은 전염성이 없어서 후속 개입이 필요하지 않다. 그러므로 홍역 의심 환자 발생시 야생형 홍역과 백신 관련 홍역을 확실하게 구별하기 위해 홍역 유전자형 검사를 시행해야 한다. 대구 파티마병원에서 2명의 백신 관련 홍역 환자를 진단하였다. 이는 유전자형 분석을 통해 확진한 사례로 국내에서는 유전자형 분석을 통해 보고된 백신 관련 홍역 환자가 거의 없는 상태이므로 유전자형 분석의 필요성을 강조하면서 최근의 백신 관련 홍역 사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Korea was verified as a measles-free country by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in 2014; however, some imported measles cases and related outbreaks were reported. As the incidence of wild-type measles decreases in measles-free countries, the proportion of vaccine-associated measles is increasing. Wild-type measles is highly contagious and requires follow-up and management of the contacts, whereas vaccine-related measles is not contagious and does not require follow-up intervention. Therefore, measles genotyping should be performed to reliably distinguish between them in suspected patients. Two patients with vaccine-associated measles were confirmed through genotyping at Daegu Fatima Hospital. In Korea, there are only a few reports of vaccine-associated measles confirmed through genotyping; thus, we report recent vaccine-associated measles cases, emphasizing the need for genotyping.

      • KCI등재

        Klippel-Trenaunay 증후군과 Sturge-Weber 증후군이 동반된 1례

        김미영,이소영,김나연,이선주,김원덕,조성민,이동석,김두권,최성민,Kim, Mi Young,Lee, So Young,Kim, Na Yeon,Lee, Sun Ju,Kim, Won Duck,Cho, Sung Min,Lee, Dong Seok,Kim, Doo Kwun,Choi, Sung Min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3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6 No.9

        저자들은 26개월된 여아에서 양측 안면과 우측 상, 하지에 화염상모반증, 골조직 및 연부조직의 이상 비대 소견을 보이면서 우안의 녹내장 및 맥락막 혈관종, 연수막 혈관종, 전신성 경련, 발달지연을 동반한 Klippel-Trenaunay 증후군과 Sturge-Weber 증후군의 특성이 동시에 관찰된 드문 1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Klippel-Trenaunay syndrome is a rare mesodermal phakomatosis characterized by cutaneous haemangiomata( usually unilateral and involving an extremity), venous varicosities and osseous and soft tissue hypertrophy, of the affected limb. Sturge-Weber syndrome, also a mesodermal pharkomatosis, is characterized by a port-wine nevus, which is present from birth and covers the face and cranium in the territory of the first division of the trigeminal nerve. Homolateral to the skin lesion, there is atrophy and calcification of the cerebral hemisphere. We experienced an unusual 26-months-old female, who had features of both Klippel-Trenaunay syndrome and Sturge-Weber syndrome. She had an extensive nevus flammeus which extended primarily over both sides of her face and the right side of the trunk and extremities, hypertrophy of the right extremity without evidence of arterovenous fistula, right glaucoma, choroidal hemangioma and leptomeningeal hemangioma, which combined Klippel-Trenaunay syndrome and Sturge-Weber syndrome. We reported this rare case with a brief review of some related literatures.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