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신(神) 사유 가능성과 인식 불가능성 사이의 신앙 가능성

        김웅래 인천가톨릭대학교 복음화연구소 2014 누리와 말씀 Vol.- No.36

        칸트의 인식론은 인간의 인식능력에 있어서 가능한 것과 불가능한 것을 구분하게 한다. 그가 인간 인식을 주체의 경험과 대상의 현상에 한정시킴으로써, 사고와 인식의 차이가 명확하게 구별되며, 신은 사유될 수 있어도 인간에 의해 인식되지 않는다는 사실이 드러난다. 신은 인간 인식능력의 바깥에 위치하는 것이다. 신 인식 불가능성은 그러나 결코 신앙의 불가능성을 의미하진 않는다. 역설적으로 신 인식 불가능성을 의미하는 신 사유 가능성은 단순히 ‘가능성’에 머물지 않고 ‘필연성’의 위치를 점한다. 이론 이성 안에서 끊임없이 떠오르는 신은 칸트에 의하면 인간 이성의 본성 때문에 기인하는 것이다. 이러한 이론적인 이성 안에 필연적으로 받아들여지는 신개념은, 비록 그것이 인식을 위해서는 항상 부족하지만, 적어도 신앙을 위한 긍정적인 가능성을 열어두게 한다. 하지만 이러한 필연적인 ‘전제’는 신의 실존이나 그것에 걸맞는 신앙을 위해서는 충분하지 않다. 때문에 칸트는 신을 실천이성 안에서 요청하게 된다. 그것을 통해서 인간은 도덕적인 신앙 안에서 신에 더 잘 도달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배경들 하에서 『순수이성비판』에서 칸트의 이론철학은 신앙의 이성적 타당성을 위한 긍정적인 변론으로 이해될 수 있다. 비록 신이 인식가능한 대상으로 허용되진 않지만, 칸트는 신 사유 가능성과 인식 불가능성 사이에서 신앙 가능성을 열어둔다. Die Erkenntnistheorie Kants bestimmt über die Möglichkeit und Unmöglichkeit des menschlichen Erkenntnisvermögens. Indem Kant die menschliche Erkenntnis auf die Erfahrung des Subjekts und die Erscheinung des Objektes einschränkt, folgen die Ergebnisse: Denken und Erkennen werden deutlich eingeteilt und es wird bewiesen, dass Gott zwar gedacht, aber von Menschen nicht erkannt werden kann. Gott steht eigentlich ausserhalb unseres Erkenntnisvermögens. Die Unerkennbarkeit Gottes bedeutet aber keineswegs eine Unmöglichkeit des Gottesglaubens. Die Denkbarkeit Gottes, welche paradoxerweise die Unerkennbarkeit Gottes bedeutet, bleibt nicht einfach das "Mögliche", sondern erreicht die Stufe der "Notwendigkeit". Die unaufhörliche Annahme Gottes in der theoretischen Vernunft entspringt nach Kant aus dem Bedürfnis der Vernunft. Durch diese notwendige Annahme Gottes, den zu erkennen immer noch unmöglich ist, könnte man mindestens die positive Möglichkeit des Gottesglaubens offen lassen. Jedoch ist diese notwendige "Hypothese" nicht hinreichend für die Existenz Gottes und den dementsprechenden Gottesglauben. Deswegen postuliert Kant Gott in der praktischen Vernunft. Dadurch weist Kant darauf hin, dass man mit Gott im moralischen Glauben besser umgehen kann. Vor diesen Hintergründen könnte die theoretische Philosophie Kants in der 『Kritik der reinen Vernunft』 als positives Plädoyer für die Vernünftigkeit des Gottesglaubens verstanden werden. Obwohl Gott nicht als erkennbarer Gegenstand gebilligt werden kann, lässt Kant die Möglichkeit des Gottesglaubens zwischen Denkbarkeit Gottes und der Unerkennbarkeit Gottes zu.

      • 다윈이 살아야 교회가 산다 : 신학을 위한 진화론 성찰

        김웅래(Kim Woongrae) 인천가톨릭대학교 복음화연구소 2021 누리와 말씀 Vol.50 No.1

        현대에 진화론은 과학적 정설로 인정받고 있다. 자연과학의 여러 분야의 연구결과들이 진화론이 합리적임을 가리키고 있다. 본 소고에서는 그간의 가톨릭교회의 진화론에 대한 인식을 소개한다. 그러면서 진화론(evolution theory)과 무신론적이고 유물론적인 이데올로기에 의해 변질된 소위 진화주의(evolutionism)를 구분할 것을 일관되게 요구한다. 이러한 구분에 따라 가톨릭교회는 과학으로서의 진화론이 합리적으로 이끌어 낸 결론을 겸허히 수용하고 그것을 신학적으로 해석해야 할 과제를 가진다. 신학과 과학은 동행해야 한다. 진화의 우연성과 창조주의 섭리를 조화롭게 설명하는 것이 그리스도교 신학의 과제이다. In modern era, the Evolution theory is recognized as to the scientific mainstream theory. The research results from various fields of natural science pointed out that the Evolution theory is rational. In this study, introduce the Catholic Church’s recognition on the Evolution theory in the meantime. And request constantly to make a division between the so-called Evolutionism, which is deteriorated cause of the ideology of atheism and materialism, and the Evolution theory. According to such division, the Catholic Church has the assignment that accepts humbly the conclusion of the Evolution theory, as a science, which is derived rationally, and then interprets it theologically. Theology ought to accompany with science. The assignment of Christianity theology is to explain harmoniously the contingency of evolution and divinity of the Creator.

      • 유물론의 네 가지 특성들에 대한 성찰

        김웅래(Kim Woongrae) 인천가톨릭대학교 복음화연구소 2020 누리와 말씀 Vol.48 No.1

        유물론은 세계는 물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정신이나 의식 따위는 물질의 산물이라고 보는 이론이다. 이처럼 세계를 물질로 파악하는 유물론은 과학에 절대적 지위를 부여하는 과학주의, 인간의 자유가 허구적임을 주장하는 결정론, 인간의 감각만이 물질뿐인 세계를 그대로 알려준다는 감각주의, 인간 지성에 파악될 수 없는 신의 존재를 부정하는 무신론적 입장을 취하고 있다. 이러한 유물론의 네 가지 특성을 비판적으로 성찰하는 것이 본 논고의 목적이다. 따라서 이글은 첫째로, 과학의 성과를 인정하면서도 그것의 범위와 한계를 지적하고 과학주의의 자체 모순에 관해 언급한다. 둘째로, 현대 뇌과학과 관련하여 결정론의 의미를 간단히 살피고 인간의 자유를 실존적, 윤리적 관점에서 제시한다. 셋째로, 인식의 기초를 이루고 있는 인간의 감각과, 감각이 경험하는 세계와의 관계를 바탕으로, 감각의 능력과 한계를 설명한다. 마지막으로 현대과학의 흐름속에서의 무신론과 유신론의 세계관의 차이를 비교한다. 이를 통해, 아무리 신이 과학적으로 드러나지 않는다고 해서 신에 대한 무신론적 단정은 과학을 넘어선 형이상학적인 문제임을 지적한다. 유물론은 인간이 살아가는 데 있어서 물질이 존재하고 중요하다는 기본적인 인식을 제공하지만, 원래의 철학은 인간에게 물질 너머의 것을 볼 것을 요구한다. Materialism is the theory that the world is composed of materials, and spirit and consciousness is merely the product of material. Such a materialism which understands the world as to material takes a position of scientism; gives absolute position to science, determinism; asserting the freedom of human being is fictional, sensationalism; asserting that only the human senses can inform the world which is merely material, and atheism; denying the existence of God who never be understood by human intellig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spect critically on these 4 characteristics of materialism. Firstly, this study mentioned the contradiction of scientism itself while admitting its outcomes and pointing out its scope and limitation. Secondly, this study briefly look at the meaning of determinism connectedly modern brain science, then propose the freedom of human being from the point of existence and ethics. Thirdly, this study explained the capability and the limitation of sense based on the relation with human senses which are the basis of consciousness and the world where senses are experiencing. Lastly, this study compared the difference of the world view between atheism and theism in the stream of modern science. Through these, this study points out that the atheistic determination is metaphysical matter beyond the science, even though God is not exposed scientifically. Materialism offers the basic consciousness that the material exists and is important in human life, but the original philosophy demands on human being to see the thing beyond the material.

      • 키에르케고어의 그리스도인 되기

        김웅래(Kim Woongrae) 인천가톨릭대학교 복음화연구소 2018 누리와 말씀 Vol.- No.42

        덴마크의 실존철학자 쇠얀 키에르케고어(Søren Aabye Kierkegaard, 1813~1855)는 ‘우리가 어떻게 그리스도인이 될 수 있는가’라는 문제를 일생을 두고 성찰한다. 비록 당시의 유럽인들은 거의 모두가 그리스도인이었지만, 그가 볼 때 참다 운 그리스도인은 찾을 수 없었다. 그가 말하는 그리스도인은 신 앞에 선 실존하는 개인(existing individual)으로서, 종교적 진리는 객관적으로 불확실한 것을 ‘정열적으로’ 자기 것으로 삼는 데 있다. 키에르케고어는 대중에 속해 있으면서 삶을 진지하게 살아내지 못하는 태도를 비판한다. 그가 볼 때 사람들은 집단적인 정체성을 자신의 정체성으로 받아 들이면서 대중(crowd) 속에 살고 있다. 이러한 삶은 책임감이 없으며 주체적으로 사는 것을 포기하는 것을 말한다. 다수의 그리스도인들 역시 열정을 지니지 않고, 그리스도와의 인격적 만남 없이 피상적으로 신앙생활을 한다. 그들은 종교를 문화적 관습으로, 하느님의 은총을 값싼 선물로 생각하며 신앙에 대한 진지한 고민을 하지 않는다. 키에르케고어에 의하면 자신과 세상의 모든 가치를 포기하고, 오직 신과의 관계에 투신할 때에만 인간은 비로소 실존한다. 그리스도교는 두 가지 중요한 신앙이 있는데 그것은 첫째로 하느님이 사람이 되었다는 역설, 즉 무한자가 유한자가 되었다는 역설이다. 그리고 유한자가 믿음을 통해 그 무한자와 같아진 다는 역설이다. 그리스도인은 자신의 불완전성 앞에 절망하면서도 단호한 결단을 통해서 신에게로 도약해야 한다. 그리고 그리스도인은 하느님이 사랑 때문에 사람이 되었음을 믿고, 하느님의 가르침대로 끊임없이 이웃사랑을 실천해야 한다. Danish existentialist philosopher, Soren Aabye Kierkegaard(1813-1855), devoted his whole life to the question; How can we be a Christian? Although almost Europeans were Christians in those days, he could not find any true Christian. The Christian what he thought was the existing individual in front of God, the truth of religion was to make objectively uncertain thing to be own thing with passion . Kierkegaard belonged in crowd, but he criticized the attitude which dealt with the life not seriously. From his point of view, people were living in the crowd, to take collective individuals into The single individual . Such an attitude meant no responsibility and to give up living an independent life. Many Christians also does not have any passions; lead a superficial faith life without any personal contact with Christ. They take religion as a cultural custom, think God s grace as to a cheap gift, and do not think seriously about religion. According to Kierkegaard, man exists eventually only after devoting himself to God. Christianity has two important faiths; One is the paradox that God to be a man, who is the Supreme (infinite) Being to be the Finite Being. The other is the paradox that the Finite Being could be the Infinite Being through faith. Christians take a leap to God with firm resolution, even though despaired in front of their uncertainties. And also Christians should believe that they could be a man because of God s love, should practice to love their neighbors according to God s teaching.

      • 무신론자들의 신

        김웅래(Kim Woong rae) 인천가톨릭대학교 복음화연구소 2015 누리와 말씀 Vol.- No.38

        무신론은 신을 부정하기에 앞서 먼저 그 신이 어떤 것인지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지 않으면 안 된다. 그렇다면 무신론은 반드시 그 신관(神觀)을 유신론, 특히 구체적인 종교형태로부터 가져올 수밖에 없다. 근대의 포이어바흐(L. Feuerbach)와 니체(F. Nietzsche), 그리고 현대의 ‘전투적 무신론(combatant atheism)’을 신봉하는 이들은 기본적으로 그리스도교의 유일신을 염두에 두고 무신론을 주장하고 있다. 때문에 본 논문에서는 그들의 무신론 사상을 개괄적으로 알아보면서도 그들이 비판하는 신관(神觀)을 고찰함으로써 그리스도교에 걸맞은 신관(神觀)에 대한 철학적 성찰을 요구하고 있다. 위의 무신론자들은 신의 비존재(非存在) 증명을 통해 신을 부정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더 나은 삶을 추구하기 위해 신의 부재를 요청한다. 무신론의 신은 인간과 대립하고 있는 존재인 것이다. 그런데 신이 현실의 인간을 억압하고 내세만을 지향하게 하는 지극히 권위적인 신이라면 그것은 그리스도교의 원래적인 복음에서가 아니라 교회의 외적인 종교 경험에서 기인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결국 그리스도교는 무신론과의 이론적 논쟁에 힘을 쏟기보다, 복음 즉 기쁜 소식의 본질을 다시금 교회 안에서 스스로 깨닫고 이웃에게 그것을 전해야 할 것이다. Atheism, before denying God, has to establish the concept of what God is. So, atheism must bring the concept of God from theism, especially from the concrete religious form. Modern German philosophers, L. Feuerbach(1804-1872), F. Nietzsche (1844-1900) and those who follow ‘combatant atheism’ basically assert atheism giving their minds to monotheism(one God) of Christianity. This study generally searches their atheism ideas, examines their atheism concepts of criticizing God, and then requires philosophical self-reflection on God which is well-matched to Christianity. Above mentioned atheists did not deny God based on proving God’s non-existence, rather they required God’s non-existence because of pursuing human being’s better life. God of atheism is the Being who confronts with human being. But if God is authoritative who oppresses human being in real life, who only forces to point to after-life, which seems to be caused from exterior religious experiences, not from the original Gospel. Eventually, Christianity should self-realize the intrinsic nature of Gospel, Good news, in Church then proclaim it to neighbors, rather than devoting to theoretical dispute with athe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