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도예 수업의 실제와 작품 분석을 통한 표현력 신장에 관한 연구

        김용우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63

        영국의 미술 평론가인 허버트 리드(Herbert Read)는 한 민족의 민족 정신과 사회 기풍은 흙이라는 표현 매체를 통해서 나타나기 때문에 한 나라의 예술과 감수성의 세련미를 알아보려거든 그 나라의 도자기를 보고 판단하라고 하였다. 허버트 리드의 말을 보더라도 우리는 세계적으로 자랑할 만한 도예 문화 유산을 가진 민족임이 틀림없다. 이런 도예 문화 유산을 어린이들에게 어떻게 물려줄 것인가? 올바른 도예 교육이 답이다. 도예의 참맛을 느낄 수 있는 프로그램을 계발하여 교육함으로써 도예를 향유하는 도예 애호가로 키워낼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도예 수업의 실제와 작품 분석을 통한 표현력 신장에 관한 연구’라는 주제로 진행되었다. 도예의 전 제작과정을 체험할 수 있는 체계적인 수업을 하여 표현력을 신장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삼았다. 표현력 신장은 수업의 결과물인 작품을 분석하여 알아보았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은 연구 방법을 따랐다. 첫째, 문헌 연구를 통하여 도예 교육의 정의, 도예 교육의 지도원리, 도예의 제작 과정과 성형 기법, 찰흙의 성질과 도예 작업의 교육적 가치를 알아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단원별 도예 학습 프로그램을 마련하였다. 둘째, 현행 교육과정에서 도예 교육과 관련된 내용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입체표현 발달단계 특징에 따른 도예 지도 방법을 찾아 도예 전 제작과정을 체험할 수 있는 수업안에 적용하였다. 셋째, 문헌연구와 교육과정분석, 입체표현 발달단계에 따른 도예 지도방법을 찾아 구안한 수업안을 가지고 수업을 하였다. 도예 전 제작과정을 체험할 수 있는 수업을 8개 단원으로 구성하여 실천하였는데 표현력 신장에 중점을 두었다. 문양법 수업, 성형법 수업, 장식법 수업, 창작 표현 수업, 초벌구이 수업, 시유법 수업, 재벌구이 수업, 전시회 열기 수업으로 이루어졌다. 수업으로 116개 작품을 완성하였으며 전시회에 출품하였다. 넷째, 전시회에 출품된 작품을 분석하여 표현력이 얼마나 신장되었는지를 살펴보고 일반화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였다. 작품 분석은 문양법, 성형법, 시유법, 소성법을 종합적으로 하였다. 위의 연구 방법으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도예의 단계졀 제작과정을 체험하는 난이도를 고려한 8개 단원의 수업으로 도예의 기초가 되는 표현법부터 시작하여 점차적으로 심화된 표현법까지 익힐 수 있었다. 이러한 표현법의 숙달은 표현력 신장으로 이어졌다. 단원별로 주어진 다양한 주제는 풍부한 상상력을 펼치는데도 도움이 되었다. 둘째, 어린이들의 수준차와 개성과 소질을 고려하여 이에 맞는 표현 방법을 찾아 지도하였다. 이런 맞춤형 표현법의 지도로 어린이의 표현 욕구가 커져서 조형감각과 창의적 표현력을 신장시킬 수 있었다. 셋째, 어린이들의 왕성한 표현력에 도움을 주기 위해 표현 재료를 마음껏 사용하도록 하였다. 풍부한 재료의 사용은 어린이의 흥미를 유발시키고 창조적 표현력을 향상시켰다. 넷째, 초등학교 도예 교육에서 소홀하게 보아 넘긴 소성 방법의 적용은 어린이들의 학습활동에 대한 흥미를 자극하였다. 소성된 작품을 영구하게 소장할 수 있다는 생각은 작품 제작에 참여도를 높이고 결국에는 표현력 신장으로 연결될 수 있었다. 다섯째, 전시회를 통한 발표 기회를 갖게 되어 어린들이 표현의 기회를 확대할 수 있었다. 관람자들에게는 어린이 도예 미술을 감상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전시회에 출품할 것을 염두에 두고 만드는 작품은 목적이 분명하여 창의적 표현력 발달에 도움이 되었다. 본 연구는 도예 표현력 신장이라는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였는가? 목적을 달성했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그 근거는 결론에서 단원별로 논의한 내용과 ‘Ⅳ. 학생 작품의 표현력 분석’의 결과와 부록의 ‘물빛 닮은 아이들 흙 놀이 展’ 출품작 모음에 실린 116개 작품을 제시할 수 있다. 이 부족한 논문이 초등학생들에게 올바른 도예 교육을 하려는 교사들에게 작은 도움이 되길 바란다. 어린이들이 조상님들의 빛나는 도예 문화 유산을 계승하여 도예 애호가로 자라기를 바란다. A British art critic, Herbert Read once said that one should look at a country's pottery if he or she is to understand its art and the sophistication of its sensibility since the national spirit and social climate are expressed through a medium called earth. Anyone would agree that Korea has such great ceramic cultural assets that the world might be envious of if they follow his advice and appreciate its pottery. One question we Koreans should ask ourselves is "How can we pass down such great ceramic cultural heritage of ours to our children?" One of the answers will be right ceramics education. We can bring up our children as ceramics connoisseurs who enjoy ceramics by developing and teaching such programs as can help them appreciate the true nature and character of ceramics. This study was proceeded based on the subject,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expressible abilities through actual ceramics classes and work analysis." Its major goal was to help children increase their expressive abilities by providing them with systematic classes to experience the entire process of pottery making. Children's works, which were the products of classes, were analyzed to see if their expressive abilities were enhanced. The following methodology was adopted to fulfill the research goal: First, literature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definition and teaching principles of ceramics education, the making process and plastic techniques of ceramics, the nature of clay, and the educational values of clay works. The findings were used as the foundation to make ceramics learning program containing several units. Second, the sections to deal with clay as an expressive material were identified in the current curriculum. Then the contents related to ceramics education were analyzed. The results were then consulted to find instructional method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developmental stages of solid expressions in ceramics. Finally the methods were applied to a lesson plan to allow the students to experience the entire process of pottery making. Third, classes were given based on the results of literature study and curriculum analysis and with the lesson plan. Eight-unit classes were organized with a focus on the increase of the students' expressive abilities. The classes covered patterns, plasticity, decorations, creative expressive, biscuit firing, glazing, glaze firing, and holding an exhibition. The students completed total 116 works and presented them to the exhibition. And fourth, the works presented in the exhibition were analyzed to see how much the students' expressive abilities were enhanced and to find foundations for generalization. A whole range of criteria including patterns, plasticity, glazing, and firing were applied to work analysis. The findings led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the children were able to master the basic expressive methods and then gradually move towards advanced ones through the eight-unit classes, which considered the degree of experience with the entire process of pottery making. The mastery of expressive methods resulted in greater expressive abilities. And the various themes of each unit contributed to the children's rich imagination. Second, their different levels, personalities, and talents were taken into account in finding and teaching the right expressive methods. Such customized teaching augmented the expressive desire of the children, who in turn improved their formative senses and creative expressions. Third, the children were allowed to help themselves with expressive materials so that they could indulge in their massive expressive abilities. As a result, their interest was stimulated and their creative expressions were improved. Fourth, their interest in learning activities was also stimulated by the application of firing methods, which had been ignored in ceramics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The idea of permanent possession of their works through firing heightened their participation in pottery making and ultimately increased their expressive abilities. And fifth, they were able to expand the opportunities to express themselves by presenting their works in the exhibition, which in turn offered the audience a chance to appreciate children's ceramic art. Keeping in mind a clear goal of presenting their works in the exhibition, they were able to develop their creative expressions. The conclusions indicate that the research goal of helping the children increase their expressive abilities was fulfilled. The grounds are the results of "IV. Analysis of the Works in terms of Expressive Abilities" and the 116 works presented in the exhibition titled "Clay Play of Children Who Resemble the Light of Water." The results of the study will hopefully be of help to teachers trying to provide the right ceramics education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other wishful thinking is that children will inherit the proud and wonderful ceramic cultural heritage and develop a liking for ceramics.

      •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감성리더십과 학급 조직 효과성의 관계 연구

        김용우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학급 조직 효과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단위 학급 경영자로서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감성리더십 발휘가 매우 중요하다는 가정 아래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이 지각한 담임교사의 감성리더십 수준이 학급 조직 효과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감성리더십의 하위변인이 학급 조직 효과성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문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이 지각하는 담임교사의 감성리더십의 수준은 어떠한가? 둘째, 초등학생이 지각하는 학급 조직 효과성의 수준은 어떠한가? 셋째,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감성리더십과 학급 조직 효과성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개 학교를 단순 무선 표집한 후 각 학교별로 30부씩 설문지 600부를 배부하였고, 이 중 600부를 회수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사용한 분석방법은 t-검증, 일원변량분석, 상관관계분석, 중다회귀분석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이 지각한 담임교사의 감성리더십 정도는 선행연구와 비교해 비교적 높은 수준이었으며, 하위영역 중에는 자기관리능력을 가장 높게, 다음은 사회적 인식능력, 관계 관리 능력, 자기인식능력 순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배경변인별 인식의 차이를 살펴 본 결과는 교직경력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초등학생들은 학급 조직 효과성에 대하여 비교적 높은 인식을 보이고 있었으며 학급 조직 효과성 중 적응성을 가장 높게 인식하였고, 다음으로 목표지향성, 사기, 응집성 순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적응성에는 ‘상과 벌에 대해 함께 논의하기’가, 목표지향성에는 ‘도전적 과제에 대한 선호’가, 사기에는 ‘교사와의 관계’가, 응집성에는 ‘학급 활동에 대한 참여’가 가장 높게 인식되고 있었다. 배경변인별로는 교직 경력이 유의한 영향을 나타냈다. 셋째, 담임교사의 감성리더십은 학급 조직 효과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냈다. 감성리더십의 하위변인인 자기인식, 자기관리, 사회적 인식, 관계 관리 능력은 학급 조직 효과성의 하위변인인 사기, 응집성, 적응성 그리고 목표지향성과 높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리고 성별, 직위, 교직경력의 배경변인을 통제한 중다회귀분석 결과 사기에는 자기인식, 자기관리, 사회적인식이, 응집성에는 자기관리, 사회적인식이, 적응성에는 자기관리, 관계관리가, 목표지향성에는 자기관리, 사회적인식이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결국 학급 조직 효과성에 감성리더십의 하위변인인 자기관리, 사회적 인식, 관계관리, 자기인식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본 연구의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의 감성리더십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이 모색되어야 한다. 감성리더십 수준이 높은 교사가 감성리더십 수준이 낮은 교사보다 학급 조직 효과성이 높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따라서 교사의 감성리더십 수준 제고를 위하여 감성리더십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이며, 감성리더십이 매개하여 나타난 교사의 행동은 어떠한가를 밝히는 일이 중요하다. 특히 교사들이 자신의 감성리더십 향상의 필요성에 대한 충분한 인식이 필요하며, 감성리더십 개발의 실제와 관련한 지속적인 자극과 연구가 요구된다. 둘째, 담임교사의 감성리더십 하위변인 중 자기관리, 사회적인식, 관계 관리 능력을 높여야 한다. 교사 스스로의 전문직으로서 철저한 자기 관리를 바탕으로 학생의 다양한 요구를 이해하고 원활한 의사소통과 갈등관리 및 다양한 설득의 기술을 구사하며 유대감 형성과 협동을 통해 학급 조직 효과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이에 감성리더십 향상을 위한 다양한 연수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하며, 교사들도 교육프로그램에 적극적으로 참여함으로써 교사의 감성리더십에 대한 바른 인식과 개인의 감성리더십 수준 향상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와 관련하여 제도적 개선이 뒤따라야 한다. 셋째, 담임교사는 학생들을 학급 경영에 적극적으로 참여시키고, 학생들과 원활한 의사소통을 통한 상호신뢰를 바탕으로 고른 참여를 이끌어 내어 학급 조직 효과성을 높이도록 해야 한다. 단위학교경영체제가 도입되면서 학교의 교육적 지도력이란 교육행정가의 지도력뿐만 아니라 교실 안에서의 담임교사의 지도력을 요구하고 있다. 특히 학교의 가장 기초 단위인 학급의 경영자인 담임교사의 감성 리더십 발휘는 학급 조직효과성을 높이고 나아가 바람직한 학급 및 학교 조직 효과성에 기여함으로써 교육발전의 출발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the emotional leadership level of teachers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6th grade students and the effects of their emotional leadership on classroom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n the assumption that teachers should exert emotional leadership as the classroom manager to boost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o achieve this goal, several research problems were established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emotional leadership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cond, what is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classroom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ird,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emotional leadership and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classroom?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600 students in 20 randomly selected schools. After 30 questionnaires each were handed out to the schools, the answer sheets from 600 students were gathered and analyzed. As for data handling,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tilize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tudents considered the teachers to display a relatively higher level of emotional leadership, compared to leadership of teachers found in earlier studies. Out of its subordinate causes, they put the highest value on self-management skills of the teachers, followed by social cognition ability, relationship management ability, and the self-awareness ability. In regard to the influence of background variables, only career made a significant difference to their view. The head teachers had a higher opinion on the social cognition ability and relationship management ability of the principals than the lay teachers. Second, the students set a relatively high value on classroom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mong the subordinate causes of that, they prized organizational adjustment the most, followed by performance, morale and coherence. Organizational adjustment was considered to be most affected by classroom members' relationship, and performance was considered to be most linked to goal achievement. Morale was under the influence of satisfaction and coherence was considers to be most linked to participation in classroom activities. By background variables, teacher career exerted a significant influence on classroom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ird, the emotional leadership of the elementary school homeroom teachers had a favorable impact on classroom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subordinate causes of emotional leadership that involved self-awareness, self-management, social cognition and relationship management had a close positive correlation to overall classroom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its variables that included organizational adjustment, morale, coherence and performance. When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by keeping the background variables involving gender, position and career under control, morale was most affected by self-awareness ability, self-management and social cognition, and coherence was under the largest influence of self-management and social cognition. Organizational adjustment was under the largest influence of self-management and relationship management ability. Performance was most impacted by self-management and social cognition. Given the findings of the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reached: First, teachers should wake up to the importance of emotional leadership as the chief executive managers of classroom organization, and try to exert that leadership. At the same time, policy setters should keep the importance of emotional leadership in mind and try to take advantage of it to improve classroom manage performance. Second, teachers should become more excellent in self-management, social cognition and relationship management of the subvariables of emotional leadership. They should bolster the capabilities of students organization by having a smooth communication with classroom members, facilitating their conflict management, utilizing a variety of persuasive techniques, fortifying mutual bond and urging collaboration among classroom members. Emotional leadership should be given more weight in qualification training courses and on-the-job training, and programs geared toward enhancing relationship management should be prepared. Besides, all the required institutional measures should be taken to make the above-mentioned things happen. Third, teachers should urge every student to be actively involved in classroom management to improve classroom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eachers should strive to stir up the spontaneous participation of students through frequent conversation and empowerment to enhance classroom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 설계변수 표본에 근거한 마이크로 시스템 성능의 통계적 예측

        김용우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구조시스템을 설계할 때 설계변수가 가지는 불확정성을 고려하기 위해 확률론적 설계방법이 연구되어왔다. 하지만 지금까지의 연구들은 대부분 설계변수의 모집단을 알고 있다고 가정하여 시스템 성능의 통계적 분포를 예측하고 설계에 적용하였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설계변수의 모집단을 파악하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설계변수의 표본의 통계량을 이용하여 시스템 성능을 예측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설계변수 표본에 근거하여 시스템 성능의 분포를 예측하는 과정을 제안하였고 간단한 예제를 통해 검증을 수행하였다. 또한 제안된 과정을 마이크로 시스템에 적용하였으며 적용예제로써 NC-AFM의 set point의 범위와 MEMS 자이로스코프의 성능지수의 범위를 설계변수 표본에 근거하여 통계적으로 예측하였다.

      • Direct Measurements of dipole-induced dipole interactions of colloidal particles using optical laser tweezers

        김용우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thesis, we use the time-sharing optical laser tweezer apparatus to investigate the dipole-induced dipole attraction between colloidal particles that has not been reported yet. When dielectric microspheres diffuse at the fluid-fluid interface, they exhibit strong and repulsive interactions. This phenomenon occurs due to the dissociation of the asymmetrical surface charges, the formation of electrical dipoles around the particles trapped at the interface. We postulate that the induced dipole due to double layer polarization when counterions around dielectric colloidal particles dispersed in a aqueous medium form a double layer that is polarizable due to an external field. We quantitatively measure the dipole-induced dipole electrostatic interactions and the critical holding time of counterion migration for generating the attractive force that can overcome the double layer interaction as well as the thermal fluctuation. In addition, we also measure the critical holding separation for the induced dipole formed due to the effect of the permanent dipole. We measured the probability of dipole-induced dipole interactions occurring at different particle functional groups, salt concentrations, and critical holding distances. And the formation of the induced dipole by the induced dipole and the resulting attraction were confirmed. Through this experiment, we proved for the first time experimentally the Debye interaction among van der Waals forces using colloid particles as big atom.

      • DAF 공정에서 입자계수기를 통한 플로트 수거장치의 운전진단

        김용우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용존공기부상법(Dissolved Air Flotation, DAF)은 미세기포를 이용하여 수중의 입자를 부상시켜 제거하는 공정이다. 이는 일반적으로 급속혼화지, 플록형성지, 기포 발생장치, 부상분리조로 구성된다. 미세기포와 플록이 결합하여 형성된 플로트(float)는 수표면에 축적되며, 이는 수거장치에 의해 연속적으로 혹은 간헐적으로 제거된다. 플로트 수거장치는 반응조 전체에 걸쳐 운전되므로 적절치 못한 운전은 플로트의 침강을 야기하여 전체공정의 효율을 떨어트린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관련 연구 및 운전지침이 부족하여, 현장 실무자의 경험에 의존하여 운전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수거장치의 종류(hydraulic, chain-­flight) 별 운전조건 변경에 따른 처리효율 변화를 측정하여 최적 운전조건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첫째, 입자의 거동 분석이 가능한 입자계수기(on­-line particle counter)를 적용하여 공정의 효율을 평가하였다. 둘째, 수거장치의 적절한 운전주기를 결정하기 위해 플로트 층의 형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수거장치의 종류별 최적 운전조건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다양한 운전조건에 따른 처리효율 변화를 입자계수기를 통해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었다. 또한 샘플링의 위치별로 입자수를 측정함으로써, 공정 내 입자의 거동을 분석할 수 있었다. 이는 탁도값을 통해 전체공정의 효율을 진단하는 기존의 방법보다 입자계수기를 이용한 방법이 보다 정확함을 의미한다. 플로트 층이 최대로 형성될 수 있는 한계 두께(본 연구에서는 약 8 cm)가 존재하였다. 또한 플로트 층의 두께가 최대로 형성된 시점(본 연구에서는 약 16 분) 이후엔, 유출수의 입자수가 크게 증가하였다. 이는 최대 두께로 형성된 플로트 층에 새로이 부상된 플로트가 결합되지 못하고 하향유속에 의해 유출부로 배출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플로트 층이 한계 두께로 형성되기 이전에 수거장치를 운전하여, 적절한 플로트 층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수거장치의 종류에 상관없이, 플로트 층이 최대 두께로 형성되는데 소요되는 시간 보다 짧은 주기로 운전할 때 유출수의 입자수가 안정적으로 나타났다. 또한 운전주기가 길어질수록 공정의 처리효율이 높게 관찰되었다. 이는 충분한 시간동안 플로트가 농축되어 수거장치의 운전에 의한 충격에 견디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 결과는 DAF 공정에서 플로트 수거장치의 운전을 최적화하기 위한 기초적인 자료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입자계수기를 이용한 처리효율 측정방법은 수거장치 뿐 만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의 운전을 진단하고 최적화하는데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진도민요의 음악적 특징 연구 : 조공례가 부른 강강술래와 상여소리를 중심으로

        김용우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theis aims at examing scale and melody of Kanggang sullae 강강술래 and Sangyo˘ sori 상여소리. That is helpful to find a new meaning for Chindo 진도 folksong's values. To gain a better understanding for this musical characteristic, I account for Cho Kong-rye's 조공례 life, and custom of Chindo's the funeral ceremony concisely. This study is composed of two chapters. The first(Chapter 2) shows the origin of Kanggang sullae and Cho Kong-rye's life briefly, and I analyze musical characteristics as tone system and melodic structure. The second(Chapter 3) shows Chindo's special funeral ceremony and analyzes characteristics as tone system and melodic structure. Kanggang sullae is composed 12 songs all of which are based on mi-scale. These songs are divided into three types. The first type is panu˘m kippo˘p 반음기법 of mi-scale, that is Kanggang sullae toibbu 강강술래 도입부, Kiwa palkki 기와밟기, Sullae sori 술래소리, etc. The second type is 'do→la' of mi-scale, that is Namsaengi nori 남생이놀이, Kaegori t'aryo˘ng 개고리타령, Kossari kko˘kki 고사리꺾기, Pau˘lgwi kkwigi 바늘귀뀌기, etc. And the third type is 'mi·la·do' scale of mi-scale, that is Ch'o˘ngo˘ yo˘kki 청어엮기, To˘gso˘g mori 덕석몰이, Patkari kose 밭갈이가세, Sonch'igi hase 손치기하세, Munchwi saekki 문쥐새끼, etc. If Kanggang sullae faster, not present panu˘m kippo˘p but it sings song of chorus and it has syllabic style. Sangyo˘ sori 상여소리 is composed 6 songs, which is sung a song in funeral ceremony. The first Kinyo˘mbul 긴염불, a part of chorus, and Chaehwa chonnae 재화좋네 are general kaemyo˘n,gil 계면길; but a part of solo starts o˘chch'o˘ng (re) 엇청 and ends to˘u˘mch'o˘ng (mi) 더음청. The second Yo˘mbul 염불, Hacho˘giya 하적이야, Namuamit'abul 나무아미타불 are same of general kaemyo˘ngil, these songs are started general kaemyo˘n,gil and ended bonch'o˘ng (la) 본청. The third Esori 에소리 is same of general kaemyo˘ngi but a part of solo starts to˘nu˘nch'o˘ng (mi) and ends tto˘nu˘nch'o˘ng (mi) 떠는청; a part of chorus starts ponch'o˘ng (la) and ends to˘u˘mch'o˘ng (sol). As a result, Kanggang sullae and Sangyo˘ sori that is Chindo's folksong, is basically used kaemyo˘n,gil which is generally musical charateristic of Cho˘llado 전라도. But These songs are showed variety musical charatrisic of basic scale, melody's freme, ending' style, etc, also. 본고의 연구목적은 진도민요의 "강강술래"와 "상여소리"를 중심으로 가창방식과 음계와 선율형태 등의 음악적 특징을 분석하는 것이고, 이를 통하여 진도민요의 가치와 의미를 재인식하는 데 도움을 얻고자 함이다. 이러한 음악적인 이해를 돕기 위하여 조공례 선생의 삶과 진도의 상여 풍습을 간략히 언급하였다. 본고의 연구내용은 크게 두 장으로 구성된다. 본론의 첫째 장에서는 "강강술래"에 대한 유래와 조공례에 대한 삶을 간략하게 살피고, 조공례가 부른 "강강술래"를 토대로 음계구조와 선율형태의 특징을 유형별로 분석하였다. 둘째 장에서는 진도에서 행하여지는 독특한 상여 풍습을 일별하였고, "상여소리"를 토대로 음계와 선율을 분석하였다. 12개의 소곡이 모여 불려지는 "강강술래"는 기본적으로 모두 미음계를 바탕으로 한다. "강강술래"는 모두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첫째로 반음기법이 나타나는 미음계가 있는데, "강강술래 도입부"·"기와밟기"·"술래소리" 등 세 곡이다. 둘째로 반음기법 없이 '도→라'로 진행하는 미음계가 있는데, "남생이놀이"·"개고리타령"·"고사리꺾기"·"바늘귀뀌기" 등 네 곡이다. 셋째로 '미·라·도' 세 음으로 짜여진 미음계가 있는데, "청어엮기"·"덕석몰이"·"밭갈이가세"·"손치기하세"·"문쥐새끼" 등 다섯 곡이다. 그리고 "강강술래"의 노래는 빨라지면 반음기법이 나타나지 않고 합창 형태로 부르며 1자 1음식의 노래 형태를 보인다. "상여소리" 모두 여섯 개의 소곡이 모여 상여가 나갈 때 불려지는 노래이다. 첫째로 "긴염불"의 합창 부분과 "재화좋네"는 일반적인 계면길의 선율이지만, "긴염불"의 독창 부분 선율 진행은 엇청(레)에서 시작하고, 떠는청(미)으로 종지한다. 둘째로 "염불"·"하적이야"·"나무아미타불"은 일반적인 계면길의 선율형태와 동일한데, 떠는청(미)로 선율진행을 시작하여 본청(라)로 종지한다. 셋째, "에소리"는 일반적인 계면길의 음구성 형태와 동일하지만, 독창 부분에서 시작과 종지는 떠는청(미)에서 진행하여 떠는청(미)로 종지하고, 합창 부분에서 시작과 종지는 본청(라)에서 시작하여 더음청(솔)로 종지하는 형태가 나타난다. 이러한 내용은 결과적으로 진도민요 "강강술래"와 "상여소리"가 일반적으로 전라도 민요에 나타나는 계면질 미음계가 기본적으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기본 음계·선율 골격·종지 형태에서 다양한 음악적 특징이 나타난다고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