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녹색복지 관점에서 서울시 생활권 도시공원의 분배적 형평성 분석

        김용국,Kim, Yong-Gook 한국조경학회 2014 韓國造景學會誌 Vol.42 No.3

        건강 증진, 기후변화 적응 및 완화 등 도시공원의 역할과 기능은 확장하고 있으나, 확장된 기능을 어떻게 분배할 것인가에 대한 문제는 상대적으로 관심이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중앙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도시공원 정책개발 및 집행 과정에 도시공원의 다기능성과 분배적 형평성을 반영하기 위해 녹색복지 개념을 제안한다. 녹색복지 관점에서 서울시 생활권 도시공원(NUP)의 분배적 형평성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관련 이론 및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공원복지 지표를 선정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18.0을 이용하여 상관분석,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녹색복지는 사회경제적 지위에 관계없이 생애주기별 시민 모두가 건강 증진과 기후변화로 인한 환경위험으로부터 안전할 수 있는 녹색 서비스 전달과정에 참여하고 공정한 혜택을 누리는 것으로 정의했다. 분석결과 서울시는 자치구별 사회 경제 환경적 지위에 따라 1인당 NUP 면적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인당 NUP 면적과 상관관계가 있는 공원복지 지표는 인구밀도(-),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율(+), 재정자립도(+), 홍수 및 대기오염 취약성(-)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군집분석 결과 공원복지 수준에 차이가 있는 3개의 군집이 도출되었고, 이를 통해 녹색복지 관점에서 서울시 NUP는 불균형적으로 공급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서울시의 향후 도시공원 정책은 양적 확충을 넘어 공원이 지닌 기능의 공정한 분배가 요구되며, 이는 공원서비스의 수요자인 지역주민과 지역사회가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하겠다. The functions of urban park including health related benefit and climate adaptation and mitigation are expanding. However, in-depth research and discourse on the equitable distribution of expanded park function has been limited so far. Following research suggests Green Welfare concept to reflect distributive equity and multifunctionality in the process of urban park policy development and execution. This study developed park welfare indices to analyze disparities of neighborhood urban park(NUP) distribution viewed from green welfare by literature review. The findings analyzed through the Correlation Analysis and Cluster Analysis by SPSS 18.0.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green welfare is defined as "to receive equitable benefits and participate in the delivery process of green services which are promoting health and securing safety from climate change risks for every citizen by life cycle regardless of socioeconomic status". Second, NUP per person in Seoul indicate meaningful differences by socioeconomic and environmental status of Seoul administrative districts. Park welfare indices correlated to NUP per person were shown population density(negative), percentage of individuals $aged{\geq}65$(positive), percentage of self-reliance of local finance(positive), flood and air pollution vulnerability by climate change(negative). Third, the cluster analysis identifies three significant clusters that indicate differences of park welfare level. Thus, it was found that NUP in Seoul from a green welfare perspective was provided disproportionately. Future urban park policy in Seoul was required equitable distribution of multifunctionality of park beyond quantitative expansion, and priority consideration should be given to park service consumer.

      • KCI등재

        민.관 파트너십 도시공원 조성 및 관리방식 연구

        김용국,한소영,조경진,Kim, Yong-Gook,Han, So-Young,Zoh, Kyung-Jin 한국조경학회 2011 韓國造景學會誌 Vol.39 No.3

        본 연구는 도입단계에 있는 우리나라 민 관 파트너십 도시공원의 실태 분석결과를 성숙단계에 있는 다양한 국외사례와 민 관 파트너십 도시공원의 계획과정(민 관 파트너십 형성${\rightarrow}$공원조성${\rightarrow}$공원 운영 관리) 속에서 비교분석(Gap Analysis)함으로써 우리나라 민 관 파트너십 도시공원의 전개방향과 파트너 십 활성화를 위한 단서를 찾는다는 것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 국내외 민 관 파트너십 도시공원 사례를 비교분석 결과, 앞으로 우리나라 도시공원의 전개방향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겠다. 첫째, 지금까지 민 관 파트너십 도시공원 사례가 지자체 중심의 단일 또는 소수 파트너가 주도해 조성 관리했다면 앞으로는 도시공원의 유형별로 효율적인 다 부문간의 파트너십(Multi-Sector Partnership)을 형성해 도시공원을 조성 관리해 나가야 할 것이다. 도시공원은 공익이 우선 시 되는 공간이므로 장기적인 관점에서 다양한 민 관 부문 관계자들의 목소리를 반영시켜야 하겠다. 둘째, 도시공원은 완성되는 것이 아니라 계속 만들어져 가는 공공 공간이다. 따라서 결과 중심이 아닌 과정 중심으로 접근해야 한다. 지금까지 국내 사례분석 결과, 민 관 파트너십의 개념이 도시공원의 조성과정에 적용되는데 치우쳐 있다는 것은 도시공원의 양적 확충에 중심을 두고 있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시공원이 지역사회 내에서 공공 공간으로서의 가치를 지속적으로 만들어내기 위해서는 결국 공원의 조성과정뿐 아니라 이후 운영 관리 과정에서의 민 관 파트너십이 요구된다. 셋째, 민-관 파트너십 도시공원 관리가 효과적이고 지속적이기 위해서는 결국 지역사회 참여가 바탕이 되어야 하겠다. 지역사회의 참여는 도시공원의 가치에 대한 민 관 부문 모두의 의식 전환이 전제되어야 하므로 오랜 시간이 소요된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는 서울그린트러스트와 같은 비영리단체가 민 관 파트너십을 통해 크고 작은 도시공원을 조성 및 관리하면서 성공사례들이 축척 될 필요가 있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erform a gap analysis between public-private partnership urban parks of Korea currently in their initial stage and various foreign cases that have been established in terms of planning(formation of public-private partnership${\rightarrow}$creation of parks${\rightarrow}$operation and management of parks) and to propose improvements for each process of planning. As a result of the gap analysis on domestic and foreign public-private partnership urban parks, the future course to be followed by urban Korean park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f the public-private urban parks that exist at present were led by a single or small number of partners centered on local government entities, urban parks from that point on must be created and managed based on efficient multi-sector partnerships. Since urban parks are public spaces where public benefit is more important than profit, diverse voices of public-private sectors must be reflected with a long-term perspective. Second, urban parks are not a place to be completed but a public space which continues to develop. Therefore, they must be approached with a focus on the process instead of the result. The existing concept of domestic public-private partnership is inclined to creation of urban parks. This suggests than the government had been focusing only on quantitative increase in urban parks. In order to create values as a public space for local communities, public-private partnership is also required in operation and management of urban parks. Third, public-private partnership management of urban parks can become more effective through active community participation. Participation by local communities takes long time because transition in the consciousness about values of urban parks must be presumed. Thus in Korea, non-profit organization like Seoul Green Trust should accumulate successful creation and management of small and large urban parks through public-private partnership will settle in our nation.

      • KCI우수등재

        스마트 그린시티 구현을 위한 스마트 공원 설계·관리 방향

        김용국,송유미,조상규,Kim, Yong-Gook,Song, Yu-Mi,Cho, Sang-kyu 한국조경학회 2020 韓國造景學會誌 Vol.48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 그린시티 구현을 위한 스마트 공원의 설계·관리 방향을 제안하고, 관련 산업 육성을 위한 조경 분야의 대응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 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 연구를 통해 스마트 공원의 개념을 조작적으로 정의하고, 조성·관리 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세 가지 원칙을 설정했다. 둘째, 스마트 공원의 세 가지 원칙 차원에서 신도시와 기성도시에 기 조성된 스마트 공원 조성 사례 분석을 통해 문제점과 개선 시사점을 도출했다. 셋째, 문헌 연구와 사례 조사를 통해 스마트 공원의 공간 구성 요소별 설계·관리 기준 풀을 마련한 후, 관련 분야 전문가들과의 브레인스토밍을 통해 정제했다. 넷째, 스마트 공원 조성·관리 활성화를 위한 정부·지자체와 조경 분야의 대응 방안을 제시했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 공원의 개념을 "디지털·환경·재료 기술 등을 활용하여 시민들의 안전하고 쾌적한 공원 이용과 관리·운영의 효율 개선을 지원하여, 도시 및 지역사회의 사회·경제 및 환경적 지속가능성 확보에 기여하는 공원"으로 조작적 정의했다. 둘째, 스마트 공원의 세 가지 원칙으로 공원의 본질적 가치 개선, 도시문제 해결을 위한 혁신적 기능 향상, 설계와 조성·관리 과정의 스마트화를 제시했다. 셋째, 신도시와 기성 도시에 조성된 스마트 공원 조성 사례 분석을 통해 개선 시사점을 도출했다. 넷째, 녹지 영역, 수경시설 영역, 도로 및 광장 영역, 조경 시설물 영역, 공원 설계 방법 등 다섯 가지 측면에서의 스마트 공원 설계·관리 방향을 제시했다. 다섯째, 스마트 공원 조성·관리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으로 도시 성장 단계와 공원 유형별 스마트 공원 정책사업 모델 발굴 및 시범사업 추진, 한국형 뉴딜 정책과 연계한 스마트 공원 사업 추진, 조경 전문가가 주도하는 스마트 공원 정책 추진의 필요성 등을 제시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direction for designing and managing a smart park for realizing a smart green city and to present measures in the landscape field to foster related industries. The research process is as follows. First, the concept of a smart park was operationally defined through a literature review, and three principles to be considered in the process of creation and management were established. Second, in terms of the three principles, problems and implications for improvement were derived through an analysis of established cases of smart parks in new and pre-existing cities. Third, a pool of designs and management standards for each spatial component of a smart park was prepared through literature and case studies, and then further refined through brainstorming with experts in related fields. Fourth, measures were suggested to the government, local governments, and the landscape field to promote smart park creation and management.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concept of a smart park is defined as "a park that contributes to securing the social, economic, and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of cities and local communities by supporting citizens' safe and pleasant use of parks and improving the management and operational efficiency by utilizing the digital, environment, and material technologies." Second, the three principles of smart parks are to improve the intrinsic value of parks, to improve the innovative functions of parks to solve urban problems, and to make the design, construction, and management process smart. Third, improvement implications were derived through the analysis of cases of smart parks creation in new and pre-existing cities. Fourth, the directions for smart park design and management were suggested in five aspects: green area, hydroponic facility area, road and plaza area, landscape facilities area, and park design method. Fifth, as for policy implications for revitalizing the construction and management of smart parks, the development of smart park policy business models by city growth stage, and park type, the promotion of pilot projects, the promotion of smart park projects in connection with the Korean New Deal policy, and smart park policies led by landscape experts were presented.

      • KCI등재

        유비쿼터스도시 거주민 인식조사를 통한 스마트도시 정책 개선 방향 연구

        김용국(Kim, Yong-Gook),송유미(Song, Yu-Mi),조상규(Cho, Sang-Kyu) 한국도시설계학회 2019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2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유비쿼터스도시 거주민을 대상으로 한 인식조사를 통해 유비쿼터스도시 정책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이를 토대로 국민이 체감하는 스마트도시 정책 방향을 제안하는 것이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비쿼터스도시 거주민들은 도시 문제에 관한 지자체의 대응 체계에 만족 수준이 전반적으로 낮았고, 특히 환경재해 문제 대응 체계에 관한 불만족 수준이 높았다. 둘째, 스마트도시를 캐치프레이즈로 하는 도시임에도 불구하고 스마트도시에 대한 거주민 인식 수준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마트도시 서비스의 중요도에 비해 체감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IPA 분석결과 보건 · 복지 · 의료, 방범 · 방재, 시설물 관리 분야의 스마트도시 서비스 개선에 역량을 집중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시민들이 본인들의 도시가 스마트하다고 인식하는 데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스마트도시 서비스 분야는 주거, 방범 · 방재, 행정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다섯째, 시민들이 스마트도시에서 가장 우려하는 점으로 ‘정보시스템 오작동 문제’가 도출됐다. 향후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기성시가지를 대상으로 기획 · 집행된 유비쿼터스도시 정책사업의 성과와 한계를 정량적 · 정성적으로 검토 · 분석할 필요성이 높아질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jectively evaluate ubiquitous city policy through cognitive survey of ubiquitous city residents, and to propose a smart city policy direction in which the citizens feel their emotions.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residents of ubiquitous cities generally had low level of satisfaction with municipal response to urban problems, and particularly dissatisfied with environmental disaster response system. Second, despite the fact that cities are catchphrases for smart cities, residents’ perception of smart cities is very low. Thirdly, it was found that the sense of experience was lower than the importance of smart city service, and IPA(Inportance-Performance Analysis) showed that it is necessary to focus on improving smart city services in health, welfare, medical care, crime prevention, disaster prevention, and facility management. Fourth, the smart city service sector, which has a major impact on citizens’ perception of their cities as smart, is residential, security, disaster prevention, and administrative. Fifth, the biggest concern for citizens in smart cities is the problem of information system malfunction. It is necessary to review and analyze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the results and limitations of the ubiquitous urban policy projects planned and implemented for the existing urban areas through additional studies in the future.

      • KCI등재

        19세기 영국 특수침례교회의 사역과 논쟁

        김용국 ( Yong Gook Kim ) 한국복음주의역사신학회 2013 역사신학 논총 Vol.25 No.-

        Particular Baptist Church, a denomination started on the basis of Calvinistic doctrines in the 17th Century, experienced dramatic change in its doctrines and view of the world in the 19th centur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works and controversies of the English Particular Baptists of the 19th century. It consists of five main parts. The first part of this paper surveys about the home and foreign missions of English Particular Baptists of the 19th Century. For home missions, Baptists established the tradition of the itinerant evangelism and societies for itinerant evangelism. However, before long Baptist associations took the initiative of home missions. English Baptist churches grew rapidly through the persistent efforts for evangelism. Baptists shared the Gospels with foreign infidels through the works of foreign missionaries like William Carey, Joshua Marshman, William Ward in India. They did direct evangelism, Bible translation, educational ministry, and publication of religious tracts. Baptist Missionary Society could earn enormous supports from local churches because of the missionaries` brilliant success. The second part of the paper deals with the works of the local Baptist churches. It explains the duties and office of pastors and deacons. It also examines the English Baptists of the 19th century made change their views about the education of ministers. They became to advocate the idea of educated ministers. This part also investigate the practices of church disciplines. The third part is an investigation of the social works and political activities of Particular Baptists. They made attempts to do away with slavery and crusade against drunkenness. Baptists also tried to revise the election law. They did active works in city councils, and contributed to improve the life of poor people as mayors and as members of city councils. The fourth part deals with three controversies. Down Grade controversy was related with Charles H. Spurgeon who tried to rearm the denomination with evangelical doctrines. Serampore controversy was occurred between missionaries in Serampore and the leaders of Baptist Missionary Society in England. The main point was that who should take the right for the property of missionary stations in abroad. The final part of this paper presents the lessons and conclusion.

      • KCI등재

        빌리 그래함의 한국 교회에 끼친 영향에 관한 연구

        김용국 ( Kim Yong-gook ) 한국복음주의역사신학회 2018 역사신학 논총 Vol.33 No.-

        빌리 그래함은 기독교 미래를 위한 최선의 대안으로 평가받는 현대 복음주의 운동을 발족하였고 대중전도를 통해 큰 부흥을 일으켰던 20세기의 대표적인 복음전도자였다. 1918년 11월에 태어나 2018년 2월까지 100년의 생애를 복음전도의 일념으로 살았던 그래함은 한국 교회에 지울 수 없는 족적을 남겼다. 그가 한국 교회에 남긴 공헌 및 유산은 크게 네 가지로 볼 수 있다. 첫째, 한국침례교회의 성장에 도움을 준 것이다. 1952년과 1973년의 방한을 통해 군소교단인 침례교회가 한국 사회에 긍정적으로 알려지도록 영향력을 발휘하였다. 특히 115만 명이라는 기록적인 군중이 참석한 1973년 서울 집회에 침례교 목사 김장환을 통역으로 발탁하여 한국침례교회의 성장에 도움을 주었다. 둘째, 한국 교회에 반공주의 사상을 깊이 심어놓았다. 그래함은 한국 교회에 공산주의는 무신론에 기초한 반기독교적인 사상이라는 것을 강조하였다. 셋째, 대중 전도집회를 통해 한국 교회에 부흥을 가져왔다. 그의 전도 집회는 한국 사회에서 기독교에 대한 관심을 높여주었고, 그것은 교회의 부흥으로 이어졌다. 넷째, 한국에서 복음주의 운동이 활발하게 전개되도록 영감을 주었으며, 아세아연합신학대학원의 설립에 큰 도움을 주는 등 한국복음주의 운동의 활성화를 적극 지원하였다. 그래함은 이처럼 한국 교회에 커다란 공헌을 하였음에도, 그에 대한 비판적인 평가 역시 존재하고 있다. 그가 한국 교회에 끼친 악영향으로는 상업주의와 정교유착 문화를 한국 교회에 이식하였다는 것과, 영혼 구원과 내세만을 강조한 협소한 복음을 한국 교회에 심었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그래함의 부정적인 영향은 비판받아야 되나, 전체적으로 그가 한국 교회에 끼친 긍정적인 영향은 부정적인 영향을 훨씬 압도한다고 볼 수 있다. 그가 한국 교회에 끼친 영향은 긍정적이고 소중한 것으로 평가받아 마땅하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vestigate Billy Graham’s Influence on Korean churches. Graham(November 7, 1918 - February 21, 2018) left about four contributions or legacies to Korean churches. First, he helped for the growth of Korean Baptist churches through Billy Graham Evangelistic Crusades. Especially his visit to Korea in 1952 and 1973 were greatly helpful for the revival of Korean Baptists. Second, Graham inculcated anti-communism in the mind of Korean christians. Regarding communism as anti-Christianity, Graham instilled the extensive anti-communist sentiment in Korean churches. Third, Graham greatly contributed on the rapid growth of Korean Christianity through Evangelistic Crusades. His Evangelistic campaign raised positive interest about Christianity among Korean people, and it led the revival of churches. Fourth, Graham inspired and helped to rise Evangelical movement in Korea. Although Graham gave great contributions to Korean churches, he has been criticized by some Koreans. They condemned he transplanted the commercialism and alliance of religion and politics in Korean churches. Also they insist that he introduced small gospel to Koreans through preaching only spiritual salvation and afterlife. However, generally speaking, Graham’s contributions to Korean churches far surpassed to negative influence

      • 배추 생육 중 토양 수용성 양이온의 경시적 변화 모니터링

        김용국(Yong gook Kim),Khok Pros,김경영(Kyoung young Kim),조현종(Hyun Jong Cho),나홍식(Hong Sik Na),한광현(Gwang Hyun Han) 한국토양비료학회 2021 한국토양비료학회 학술발표회 초록집 Vol.2021 No.11

        토양의 치환성 이온 함량이 아닌 식물체에 직접 흡수되는 수용성 이온들을 모니터링 하는 것이 중요하다. 배추가 생육하면서 토양 중 수용성 양이온들의 함량이 어떻게 변하는지 확인하고, 각 이온의 농도에 따라 그에 알맞은 처방이 이루어져야 한다. 토양 시료는 경기도 이천시의 배추 밭에서 정식 이후 16, 35, 48, 70일에 처리구별 각 3반복씩 채취하였다. 처리구는 N 기준 무처리구(Nil), NPK 비료 표준 시비량의 50% 처리구(Con), 100% 처리구(Inf), 그리고 표준 시비량의 50% 처리구에 음폐퇴비가 100%(C100), 200%(C200), 300%(C300) 추가된 처리구가 있다. 채취한 토양은 풍건 후 2 mm 체에 거르고 1:5 비율로 증류수 추출하였으며, Whatman No.2 필터를 사용하여 여과한 후 0.45 μm 실린지 필터로 재 여과하였다. 토양 추출액의 분석은 (주)테크넬 POCT 분석 키트를 사용하였다. 화학비료 처리구의 토양 중 Na의 농도비율은 생육기간 중 꾸준히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다. 하지만 K의 농도비율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경시적 감소가 명확하였다. 음폐퇴비 처리구의 경우 토양 중 Na의 농도비율은 생육기간 중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특히 퇴비 처리수준에 비례하여 높아졌다. Mg의 농도비율은 모든 처리구에서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였다. 모든 처리구에서 토양 중 K의 농도비율 감소는 Na 농도비율의 증가와 상관관계가 높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