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개혁의 확립을 위한 신학적 기초: "제네바 신앙고백"(1537)의 교회론 연구

        김요섭 ( Yosep Kim )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15 성경과신학 Vol.76 No.-

        1530년대 제네바의 독특한 역사적 상황 가운데 작성된 “제네바 신앙고백서”(1537)은 종교개혁의 이상을 설명하고 실제적으로 구현하기 위해 작성된 정교한 신학적 진술이었다. 본 연구는 “제네바 신앙고백서”가 제시한 교회에 대한 이해를 그 역사적 배경에 비추어 분석함으로써 16세기 초 제네바를 포함한 불어권 스위스 종교개혁이 특징적으로 보여준 개혁적이며 실제적인 성격을 규명함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1530년대 전개된 불어권 스위스와 제네바 종교개혁과 이 신앙고백 작성과 관련한 역사적 배경을 다룬다. 그리고 이어서 “제네바 신앙고백서” 18장의 교회정의에 대한 진술과 19장의 출교에 대한 진술을 관련된 자료들과 비교 분석하여 이 신앙고백의 교회론 진술의 특징을 검토한다. 이 검토를 통해 “제네바 신앙고백서”가 선명한 개혁적 동기와 개혁의 확립이라는 실제적 관심에 따라 교회의 성격과 표지를 진술했음을 증명할 것이다. 더불어 “제네바 신앙고백서”가 이후의 개혁파 신앙고백들이 계승한 개혁파 교회론의 요점들을 선구적으로 제시했음을 밝힐 것이다. 그 요점들은 그리스도의 머리이심이라는 교회론의 핵심 원리와 참교회를 세우기 위한 바른 교회 권징의 시행, 그리고 교회에 대한 종말론적 이해에 따른 목회적 차원의 개혁 실천 등이었다. “The Geneva Confession of Faith”(1537) was the articulated theological statement written in a specific historical situation of the sixteenth-century Geneva. The purpose of this confession was to explain reformation vision in order to institutionally realize it in Geneva. This study aims to illuminate the reformative and the realistic features of the ecclesiological statements in this Confession which represen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ixteenth-century french-speaking Swiss reformation. The first part of the study reviews the historical issues concerning the reformation of the Pays de Vaud including Geneva in the 1530s. This review also deals with the bibliographical issues of “the Geneva Confession of Faith.” Next part analyzes the contents of the ecclesiological statements in the Confession, particularly the definition of the true Church in chapter 18 and the statement about excommunication in chapter 19. This analysis shows that the Geneva Confession tried to state the fundamental ideas of the Church according to the strong reformation motive and the realistic interest in establishing reformation in the visible church. In conclusion, this study manifests that “the Geneva Confession” foretold the consistent ecclesiological foci of reformed tradition: the principle of Christ’s sole lordship, the necessity of the right administration of church discipline, and the suggestion of the pastoral measures from the eschatological perspective.

      • 로마 가톨릭의 칠성례에 대한 칼빈의 비판: 그 원칙과 방법, 그리고 목적

        김요섭(Yosep Kim) 신학지남사 2021 신학지남 Vol.88 No.1

        16세기 종교개혁자들에게 로마 가톨릭의 칠성례가 대표하는 성례의 왜곡을 개혁하는 과제는 비본질적 문제(adiaphora)가 아니라 기독교 “종교”(religion)의 본질과 관련한 문제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칼빈이 로마 가톨릭의 칠성례 비판할 때 정당한 성례의 기초로서 하나님의 분명한 말씀의 약속을 삼위일체적 논의의 관점위에서 강조했음을 규명하고, 이 원칙이 그의 칠성례 반대 논증을 위한 해석적 방법론에도 적용되었음을 증명하는 것이다. 또 칼빈의 비판이 칠성례에 대한 단순한 반대가 아니라 성례의 참된 의미를 재확인함으로써 교회를 그리스도의 참된 몸으로 회복하려 한 교회 개혁의 추구였음을 논증한다. 칼빈이 성례의 회복을 통해 교회의 개혁을 주장할 때 견지한 가장 중요한 신학적 원리는 이 몸의 유일한 머리가 그리스도라는 성경의 진리였다. 이는 그리스도께서 교회의 유일한 최고의 통치자로서 그의 말씀을 통해 모든 지체들을 다스리시고 가르치셔야 함을 의미한다. 성례는 그리스도의 말씀에 의한 통치를 위해 교회의 공적인 사역으로 제정되어 주어졌다. 성례는 그 자체로 작동하지 않으며 오직 하나님의 구원의 약속을 완성하신 그리스도를 깨닫게 하시는 성령의 특별한 은혜의 사역을 통해 효력을 발휘한다. 오늘날 한국교회는 칼빈의 칠성례 비판 논증으로부터 교회 개혁의 바른 방법과 목적을 재확인할 수 있다. 그것은 각각 말씀에 대한 신실한 순종과 그리스도의 주권적 통치를 드러내기 위한 전적인 자기부인의 헌신이다. For the sixteenth-century reformation, the reformation of the Roman Catholic seven sacraments was not a matter of adiaphora but one of the essential matters of true religion. This study aims to manifest that Calvin’s criticism of the seven sacraments was presented with the consistent principle of the evident God’s promise in the trinitarian perspective, and to argue that this principle was applied in his hermeneutical method in refuting papists’ arguments for the seven sacraments. In addition, this study tries to show that Calvin’s criticism ultimately pursued the reformation of the Church as the body of Christ by reconfirming the genuine meaning of sacraments. When Calvin envisioned the reformation of the true church by recovering the two biblically legitimate sacraments, he maintained the theological principle of Christ’s sovereign headship in the Church. This means that Christ, the sole lord and master of the Church, rules every member of the church with his Word. According to Calvin’s theology, sacraments were specially instituted by God to effectuate Christ’s reign over the Church. Therefore, sacraments do not work by themselves. Only the Holy Spirit, who illuminates believers that Christ is the substance of God’s promise of salvation in sacraments, can bring the spiritual benefits of sacraments. In Calvin’s criticism of the seven sacraments, Korean Church can find the right way and the ultimate purpose of the continuous reformation: faithful obedience to God’s Word and full commitment to Christ’s sovereign authority for the glory of God.

      • KCI등재후보

        종교개혁의 참된 기초와 방식: 트렌트 회의의 개혁 법령에 대한 칼빈의 비판 연구

        김요섭 ( Yosep Kim ) 개혁신학회 2022 개혁논총 Vol.59 No.-

        16세기 프로테스탄트 종교개혁의 성격과 강조점을 정확하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를 당시 전개된 로마 가톨릭의 개선 시도와 비교해 볼 필요가 있다. 1545년부터 1564년까지 계속된 트렌트 회의는 16세기 로마 가톨릭의 자체 개선 시도를 대표하는 사건 가운데 하나이었다. 칼빈은 1547년 발표한 “트렌트공의회 교령과 해독제”를 통해 트렌트 회의의 주요 교리 결정 사항을 반박하고 종교개혁의 바른 기초와 타당한 방식을 적극적으로 설명했다. 본 논문의 목적은 트렌트 회의의 “개혁법령”들에 대한 칼빈의 비판을 검토함으로써 프로테스탄트 종교개혁의 목적과 요점을 규명하려 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16세기 로마 가톨릭의 변화 시도에 대한 해석상 논란에 대해 간략히 소개한 후, 이 맥락 가운데 트렌트 회의의 배경과 진행과정, 그리고 주요 결정 사항들을 검토한다. 그리고 이어서 칼빈의 “해독제”와 “교회개혁의 필요성”에 나타난 칼빈의 비판을 구체적으로 검토함으로써 그의 비판 가운데 발견할 수 있는 종교개혁에 대한 그의 주장들을 정리한다. 칼빈을 포함한 종교개혁자들은 성경의 가르침에 충실한 합당한 예배를 회복하고 바른 공동체를 수립함으로써 교회를 세우신 그리스도의 주권을 재확립하는 신앙적 개혁을 주장했다. 그리고 트렌트 회의가 대표하는 로마 가톨릭의 개선 시도를 반박하면서 이에 맞서 성경 진리에 합치한 교리를 개혁의 기초로 확립할 것, 그리스도의 통치권 구현을 교회개혁의 유일한 목적으로 삼을 것, 오직 하나님의 영광만을 드러내기 위해 기득권과 세속적 욕망을 단호하게 포기할 것을 강조했다. In order to understand the features of the sixteenth-century protestant reformation, we need to compare it with the renewal attempts of the Roman Catholic side in that period. The Council of Trent (1545-1564) was the most important official attempt of the Roman Catholic renewal. John Calvin published “Acts of the Council of Trent with the Antidote” in 1547 to refute the early decisions of this Council. This study aims to highlight the purpose and the focal points of the sixteenth-century protestant reformation by analyzing Calvin’s criticism of the Council of Trent. After briefly dealing with the controversy over the interpretation of the Roman Catholic reactions to the protestant reformation, this study investigates historical background, process, and the reformation decrees of the Council. Like other protestant reformers, Calvin maintained that the true reformation of the Church was nothing but the pious commitment for the re-establishment of Christ’s sole headship in the Church. He refuted the decisions of the Council of Trent because they intended to confirm and strengthen the papal authority and the Roman Catholic hierarchical system. Against the Roman Catholic renewal, the protestant reformation emphasized three practical points: the truth of Scripture as the only ultimate standard, realization of Christ’s headship as the sole purpose of the church reformation, and resolute commitment in abandoning all the worldly interest for the glory of God.

      • KCI등재

        그리스도의 주권적 통치에 대한 고백과 헌신: 제2스위스 신앙고백(1566)의 교회론 연구

        김요섭 ( Yosep Kim ) 한국복음주의역사신학회 2021 역사신학 논총 Vol.39 No.-

        본 논문의 목적은 1566년 스위스 개혁파 교회가 제정하고 공인한 제2스위스 신앙고백의 교회론 관련 진술들을 이 신앙고백과 연관성이 있는 여러 개혁파 신앙고백들과 비교함으로써 각 지역의 서로 다른 역사적 상황 가운데에서도 개혁교회들이 동일하게 강조한 교회론적 강조점을 확인하는 것이다. 본 논문은 먼저 제2스위스 신앙고백 작성에 영향을 준 주된 역사적 배경을 이 신앙고백의 제정 목적과 관련해 고찰한 후, 개혁파 신앙고백으로서의 구조적 특징들을 검토한 후 이 신앙고백의 교회론 관련 조항들을 다른 개혁파 신앙고백들의 해당 내용과 비교하며 분석한다. 신앙고백의 17장은 교회를 정의하고 교회의 다양한 구분을 설명하면서 하나님의 뜻과 그리스도의 유일한 주권이라는 원리 위에서 종교개혁의 대의를 변호하고 개혁교회의 연대를 추구한다. 또 참된 교회의 표지와 관련해서도 같은 교회론적 원리 위에서 잘못된 교회론에 맞서 개혁교회가 함께 추구해야 할 방향을 천명한다. 신앙고백의 18장은 교회의 머리이신 그리스도의 주권을 교회 제도의 기초라고 강조하면서 특히 목사직과 관련한 교회 제도 개혁을 구체적으로 제안한다. 위의 비교 분석을 통해 제2스위스 신앙고백들 비롯한 16세기 여러 나라의 개혁교회들은 공통적으로 교회의 유일한 머리이신 그리스도의 주권을 확립하는 것을 개혁의 목적으로 삼았고, 그 위에서 참된 교회들 사이의 일치와 연대를 추구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nifest the key ideas of the church among sixteenth-century reformed churched by comparing the ecclesiological statements of the Second Helvetic Confession with the other reformed confessions: the First Helvetic Confession(1537), Genevan Confession(1536), French Confession(1559), Scottish Confession(1560), and Belgic Confession(1561). Comparative examination of the ecclesiological statements in those confessions shows the common and consistent understanding of the Church and its reformation, even though each reformed church in the sixteenth-century Europe faced the diverse political challenges in the specific situations. In the first plac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Second Helvetic Confession concerning its aims, and then reviews its structural features as a reformed confession. The seventeenth chapter of this confession, which discusses the definition and the classification of the Church, attempts to defend the cause of reformation and pursue the solidarity of the reformed churches. The theological principle of Solus Christus plays a pivotal role in the ecclesiological statements of this confession. In the same chapter, the Second Helvetic Confession deals with the marks of the true church for same purses on the same theological ground of Solus Christus. In the eighteenth chapter, the confession states the church government and its reformation. The sovereign authority of Christ is emphasized not only as the foundation of the church government, but also as the standard of reforming the church. Accordingly, the same chapter of the confession suggests the practical measures for church reformation especially concerning the office of pastors. As the ecclesiological statements of the Second Helvetic Confession clarify, sixteenth-century reformed churches shared the common theological principle of Solus Christus for their understanding of the Church. Furthermore, this ecclesiological principle helped them to form the solidarity for reforming their churches against the criticism and threat of the Roman Catholic side.

      • 위클리프의 생애와 교회개혁 사상

        김요섭(Yosep Kim) 혜암신학연구소 2016 신학과교회 Vol.5 No.-

        위클리프(John Wyclif, c.1328-1384)는 14세기 말 잉글랜드의 시대 상황 속에서 교회의 개혁을 위한 신학 사상을 제시하고 개혁을 위한 구체적인 시도를 전개한 대표적인 중세의 신학자이며 개혁자이다. 위클리프는 실재론에 입각한 철학적 사상을 바탕으로 당시 로마가톨릭이 체계화시켜 놓은 스콜라신학의 체제를 비판했으며 인간의 제도나 교리가 아닌 하나님의 은혜와 성경의 진리만이 교회와 사회의 기초임을 강조했다. 그는 동일한 강조점 위에서 수도원주의와 교황청의 사제 위계체제를 비판했으며 교회 개혁의 대안으로서 영어로 번역한 성경을 보급하고 성경을 중심으로 진리를 선포하는 설교를 강조했다. 위클리프의 개혁적 사상과 시도는 왕권 강화를 목적으로 하던 잉글랜드 왕실의 지지를 받았다. 그러나 당시 잉글랜드의 고위 성직자들과 수도회를 비롯한 로마교황청은 끊임없이 위클리프를 이단으로 정죄하고 공격했다. 그러나 위클리프는 왕성한 저술 활동과 말년의 목회 활동을 통해 많은 제자들과 영향을 남겼다. 성경의 진리를 교회의 권위보다 강조한 그의 개혁적 사상과 노력은 이후 롤라드 운동에 영향을 주었으며 보헤미아의 후스를 거쳐 루터를 비롯한 16세기 종교개혁자들에게도 영향을 주었다. John Wyclif(c.1328-1384) was the medieval theologian and reformer who presented the theological ideas and the practical suggestions for church reformation in the historical context of the fourteenth century England. Against Ockhamist nominalism, he argued for ontological realism. Against the late medieval hierarchical ecclesiology, he emphasized God’s sovereign grace and the unchangeable truth of the Scripture as the sole foundation of both church and society. Wyclif attacked monasticism and papalism according to the same emphasis on grace and the Scripture. Translating the Vulgate to the vernacular English Bible and preaching to the laity were his practical means for church reformation. His reformatⅣe thoughts and practices were supported by the English monarch which stood against the AⅥgnon papacy. But English church leaders such as archbishop, abbots, Oxford authorities, and popes kept condemning Wyclif as heretic. He wrote, however, many books for reformation of the Church and continued preaching to the people until his death. His works influenced Lollard movement of England and Jan Hus of Bohemia in the fifteenth century. Furthermore, his legacy had influence on the sixteenth century Reformation.

      • 교회 개혁 원리로서의 “오직 성경으로”(Sola Scriptura)

        김요섭(Yosep Kim) 신학지남사 2015 신학지남 Vol.82 No.4

        This study aims to illuminate John Calvin’s reformation understanding of the church authority in constituting and interpreting doctrines. For Calvin, the reformation motto “sola scriptura” is not only a hermeneutical principle but also an ecclesiological principle for reforming the Church. Especially, in his Institutes (1559), IV, 8-9, he applies this principle for the sound understanding and the proper exercise of church authority concerning doctrines. Discussing the matter of church authority, Calvin contrasts the absolute and self-fulling authority of Scripture with the conditional and derived authority of the Church. While Scripture has absolute authority as the complete revelation of Christ, the Church has only conditional authority which should be exercised upon the authority of Scripture. With regard to the conditional authority of the Church, Calvin stresses the eschatological nature of the Church: the Church is “already” perfect in the sense that God ordained its ministries for His work of salvation, but the Church is “not yet” perfect because all of its decisions and ministries always contain errors and limitsin this world. This eschatological nature of the Church requires both the individual churches and the universal church councils not to boast of their powers but to obey the Word of God. Contrary to the claim of the Roman Catholics that the Church has confirmed the authority of Scripture, Calvin argues, Scripture provides the Church with the sole and most steadfast foundation of its authority. Since the Church was established upon and for the Word of God, Calvin argues, the leaders of the Church and their general council ought to be faithful to what Scripture teaches in constituting and interpreting doctrines.

      • 진정한 영적 각성, 새로운 부흥을 향한 열망: 박용규 교수의 부흥운동 연구 고찰

        김요섭(Yosep Kim) 신학지남사 2020 신학지남 Vol.87 No.2

        본 연구는 박용규 교수의 부흥운동, 혹은 부흥에 대한 연구와 이 연구에 나타난 부흥에 대한 그의 영적 이해를 분석하고 평가한다.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에서 교수직을 담당해 온 지난 30년 간 박용규 교수는 부흥운동의 영적인 본질을 규명하고 그 역사적, 실천적 의의를 조명하는 데 연구를 매진해 왔다. 그의 연구는 좁게는 평양대부흥운동에 초점을 맞추었고 더 넓게는 전 세계적인 부흥운동의 역사적 흐름을 고찰해 왔다. 본 논문의 본론 먼저 부흥운동에 대한 박용규 교수의 주요 저술들과 연구 논문들을 개괄하고 그 가운데 발견할 수 있는 연구 관심사와 역사 기술상의 특징을 검토한다. 그리고 이어서 박용규 교수의 영적인 부흥운동 이해를 검토한다. 박용규 교수는 부흥운동을 본질적으로 성령께서 허락해 주시는 영적 각성 운동으로 이해하고 이 이해를 바탕으로 여러 부흥운동들을 분석 평가했으며, 부흥운동들에 대한 정치적 해석의 한계들을 반박했다. 본론의 마지막 장은 박용규 교수의 부흥운동 연구가 주목한 세 가지 강조점들을 차례대로 검토한다. 그것은 부흥운동의 역사적, 세계적 맥락, 부흥운동의 사회, 정치적 배경과 영향, 그리고 부흥운동이 오늘날 교회를 향해 가지고 있는 실천적 의의이다. 2020년 2학기를 끝으로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교수직을 마무리하시는 교수님의 정년퇴임을 축하하면서 이 연구가 모쪼록 교수님의 학문적 업적을 재조명하고, 부흥운동에 대한 후학들의 학문적 관심을 불러일으키는 데 작게나마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무엇보다도 교수님의 열정적인 연구의 동기와 간절한 기도대로 성령께서 다시 한 번 특별한 은혜를 부어주셔서 오늘날 한국교회에 새로운 부흥의 역사가 일어나기를 기도한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and evaluate Professor Park Yong-Kyu’s research on “revival movement” and his spiritual understanding of revival. About thirty years while teaching students in Chongshin Theological Seminary, Professor Park has endeavored to manifest the spiritual nature and its historical meanings of revival movement. His research has concentrated on Pyongynag Great Revival in particular, and other global revival movements in general. In the first part of this study reviews the major works of Professor Park’s research on revival movements, as well as the descriptive features of narration throughout his works. Next part of this study investigates Professor Park’s understanding of revival or revival movement. Understanding revival movement as spiritual awakening initiated by the Holy Spirit, he has applied this understanding in his critical responses to the political interpretations of revival movements. The third part deals with the three focal points of his study on revival movements: historical-global context, social-political background and influence, and the practical significance for contemporary church. Celebrating Professor Park’s retirement from his professorship in Chongshin Theological Seminary by the second semester of this year, I wish this study illuminate Professor Park’s academic achievements, and stimulate future scholars’ academic interest in studying revival movement. In addition, I hope Korean church to look forward to the special grace of the Holy Spirit who may give us a new revival once again as Professor Park has continuously desired throughout his works and prayer.

      • 칼빈의 유아세례 변증의 신학적 요점과 종교개혁적 의의

        김요섭(Yosep Kim) 신학지남사 2017 신학지남 Vol.84 No.3

        Calvin maintained that the true reformation of the Christian religion was different from the Anabaptists’ radical idea of restitution. According to Calvin, Anabaptists’ radical attempt resulted only in arrogant separatis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nifest the focal points and the historical significances of Calvin"s idea of the true reformation by analyzing his argument for infant baptism against the Anabaptists. Calvin"s Institutes(1559) book IV chapter 16 is analyzed because this chapter succinctly summarized what he had discussed beforehand and properly guided his arguments afterward in his other writings. In the first place, this paper deals with Calvin"s emphasis of “God"s consistent covenant of sovereign grace” as the inner essence of baptism which the sacramental reformation should purse and ensure. The next part illuminates Calvin"s hermeneutical principles and methods in defending the validity of infant baptism against the Anabaptists’ “arbitrary” interpretation of the biblical passages. This part ties to clarify Calvin"s idea of “sola scriptura” contrast to the radical views. Finally, the theological purpose of the sacramental reformation in Calvin"s defense of infant baptism is discussed. In conclusion, it is argued that for Calvin the purpose of the reformation should be the whole-hearted devotion only for the glory of God. Therefore, even the hope of the perfection of a Christian, and the pursuit of holiness of the church were considered not as the fundamental standards or the ultimate aims of the reformation but merely as fruits of grace or means of shining God"s glory. Calvin refuted the Anabaptist"s stubborn denial of infant baptism because their radical and rigid idea misunderstood the reformation as a human achievement for perfect holiness. For Calvin the reformation was a pious commitment for the true religion before God.

      • 존 녹스의 선지자적 사명 인식과 그 역사적 발전

        김요섭(Yosep Kim) 신학지남사 2015 신학지남 Vol.8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and analyse the ideas and development of John Knox"s prophetic consciousness of his calling as “the trumpeter of God” in the historical context of the sixteenth-century reformation in Scotland, England and continental Europ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focuses the historical events, important figures, and Knox"s writings concerning his prophetic self-consciousness according to the two periods until 1559 when the Scottish reformation was established in the national level. The first part examines the historical background, the start of his self-consciousness as “God"s prophet”, and his ministry in England from Knox"s birth to 1553 when he had to flee from Mary"s persecution. The second part deals with Knox"s experience and works during the time of his exile in the continental Europe from 1554 to 1559, which can be considered as the training period to be a mature prophet for the scottish reformation. This examination tries to illustrate the significance of Knox"s reformation thoughts and works in particular, and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understanding the historical and the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sixteenth-century European Reformation in general. In conclusion, it is argued that Knox"s self-consciousness as “God"s prophet” which was formed through many afflictions in his life led him to devote himself to the divine calling of reforming the church and society of Scotla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