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과학분야 : 초등학생의 인성교육을 위한 해피아트테라피 프로그램의 적용 사례

        윤혜선 ( Hye Sun Yoon ),김예진 ( Yeh Jin Kim ) 한국무용과학회 2015 한국무용과학회지 Vol.32 No.4

        본 연구는 인천시에 소재한 A 초등학교에서 인성교육을 위한 목적으로 요청받아서 시행된‘해피아트테라피(Happy Arts Therapy: 이하 H.A.T.) 프로그램``에 참여한 초등학생들의 체험과정을 분석함으로써 인성교육을 위한 통합예술 프로램의 체험 요인들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프로그램 실시 기간은 2013년 2학기~2014년 1학기까지 2학기에 걸쳐 실시하였 ,3학년~6학년을 대상으로 체육 수업 시간을 대체하여 학급 단위로 실시하였으며 표현예술상담사 자격증을 소지하고 임상경력이 5년 이상의 지도자 4명과 연구 보조원 4명이 학년별로 배정되어 지도하였다. 그리고 프로그램의 체험분석을 통해 인성교육을 위한 H.A.T 프로그램에 참여한 초등학생들이 경험한 인성교육적 체험은 크게 사회성 함양, 감성 함양으로 범주화하여 분석하였고, 프로그램의 운영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2013년 2학기에 1차로 실시한 H.A.T. 프로그램의 체험과정에 대한 분석결과를 반영하여 2014년도 1학기 프로그램의 주제 활동을 재구성하였다. 둘째, H.A.T. 프로그램은 초등학생들의 친구 관계 개선 및 학교생활에 흥미를 가질 수 있는 경험들을 제공함으로써 사회성 함양을 위한 측면에서 의미 있는 경험을 제공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H.A.T. 프로그램은 초등학생들로 하여금 긍정적인 자기이해와 자기 표현력을 도모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감성 함양에 도움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H.A.T. 프로그램의 적용 방법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하기 위해 프로그램 실시 장소와 교육자료, 지도자 만족도, 프로그램 재참여 의사 및 프로그램 내용 만족도에 대해 조사한 결과, 학생들이 다양한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경험하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섯째, 2학기에 걸쳐 참여한 4, 5, 6학년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의 재참여 소감을 조사한 결과 만족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2013년도에 비해 2014년도의 적용결과, 연구자들이 의도한 대로‘사 회성’함양에 좀 더 의미 있는 경험을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인성교육을 위한 H.A.T. 프로그램의 적용사 례를 분석함으로써 본 연구는 앞으로 학교 인성교육을 위한 방법으로 무용교육 및 예술교육의 적용가능성 및 방법을 모색하였다는 점에서 시사될 수 있을 것이다. The study analyzed the experience process of elementary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Happy Arts Therapy(H.A.T.) program`` implemented by the request of the character education at A elementary school in Incheon and proposed experience factors of integrated arts program for character education. The period of the program lasted 2 semesters from the 2nd semester, 2013 to 1st semester, 2014. It is performed in class unit by replacing the PE class to grade 3~6 students. 4 instructors with qualification of expression arts counselor and over 5 years of experiences and 4 research assistants were assigned. The character education experience that students experienced at H.A.T. program was categorized in sociality improvement and emotion improvement, and the satisfaction on the program was surveyed which resulted in the following conclusion. Firstly, by reflecting the analysis result of H.A.T. program experience process performed in the 2nd semester, 2013 in the frist place, the topic activity of the 1st semester 2014 program was organized. Secondly, it proved to give meaningful experiences in terms of sociality improvement by providing exciting experiences for friendshipimprovement and for school life by means of H.A.T. program. Thirdly, H.A.T. program provided opportunities for positive self understanding and self expression that helps to improve emotion. Fourthly, to examine satisfaction of application method of H.A.T. program, the survey was made on program venue, education resource, instructor satisfaction, intention of re-participation of program, and program contents satisfaction. As a result, students had positive experiences in various aspects. Fifthly, satisfaction was very high when the re-participation intention review was surveyed to the students in grade 4,5 and 6. Compared to 2013, the result of 2014 gave more meaningful experiences as intended by the researchers in terms of ``sociality`` improvement. As such, the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sought possibility of application and method of dance education and arts education for school character education by the analysis of H.A.T. program cases for character education.

      • KCI등재

        국내 유아 대상 통합적 예술교육 프로그램에서 무용의 적용에 관한 연구동향

        윤혜선 ( Yoon Hye-sun ),김예진 ( Kim Yeh-jin ) 한국무용과학회 2016 한국무용과학회지 Vol.33 No.4

        이 연구는 2001년부터 2015년까지 국내에서 진행된 유아 대상 통합적 예술교육 프로그램 연구 중 무용의 적용에 관한 연구 동향에 대해 중점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무용의 적용형태와 가치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자료의 범위를 국내 박사 학위논문 및 학술지논문의 범주에서 진행하였다. 또한 유아를 대상으로 한 통합적 예술교육 프로그램의 연구를 위한 주요 검색어로 유아 대상 ‘통합예술교육’ 관련 프로그램 연구로 간주할 수 있는 주제어를 선정하여 조사하였으며, 도출된 연구물 중 프로그램의 내용이 구체적으로 명시된 논문을 선별하여 분석 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논문의 발표연도 분석결과, 2001년부터 2015년도 까지 꾸준히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총 연구물 중 과반수이상의 연구가 2011년도 이후에 진행되었다. 그리고 연구논문의 발표형태 분석 결과, 예술관련 학과의 박사 학위논문에서 진행된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예술관련 학회의 연구에 비해 부족하였다. 둘째, 학문분야간의 통합적 적용형태를 분석한 결과, 예술-비예술의 통합적 구성이 예술-예술의 통합적 구성 비중보다 높았으며, 통합된 학문분야의 종류는 예술분야의 경우 무용, 미술, 음악, 극놀이, 미디어, 문학으로 분류되었고, 비예술분야는 수학, 과학, 치료, 언어, 기타 등으로 분류되었다. 셋째, 무용의 통합적 적용형태의 분석 결과, 무용과 비예술 학문 간의 통합적 구성보다 무용과 다른 예술 학문 간의 통합적 구성 비중이 높았고, 무용의 통합적 구성형태의 분석 결과, 음악, 미술, 문학, 극놀이와 무용을 통합한 예술교육의 구성 형태가 가장 많았다. 또한 통합적 예술교육에서 무용의 적용 방법은 유아가 스스로 탐구하며 자유롭게 놀이할 수 있는 방법으로 주로 활용되고 있었다. 넷째, 통합적인 예술교육에서 무용 활동을 누리과정의 5개 영역을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 예술경험영역과 신체운동건강영역의 활동이 가장 많았고, 무용을 적용한 통합예술교육의 효과는 심미적 활동이나 상징적 표현활동과 같은 예술소양증진에 대한 효과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들은 향후 유아 대상 통합적 예술교육에서 무용의 효과적인 적용방안을 모색하는데 의미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values and forms of applications of dance by conducting an intensive analysis focused mainly on research trends on the application of dance of studies on integrated art education program for infant conducted in our country from 2001 to 2015. The scope of the study is limited to the category of domestic doctoral thesis and academic journals papers. In addition, keywords considered to be related to studying ‘integrated art education`` for infants as an integrated art education program for infants were selected and investigated. Of the selected papers, those that specified the contents of program of research materials derived were analyzed. The main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sults analysis of the publication year of research papers revealed a steadily increasing trend of number of research from 2001 to 2015, and the majority of studies of total research materials have been conducted since 2011. The results of analysis on presentation form of research papers showed that interest and research in programs development conducted in doctoral thesis of art related departments were insufficient compared to the study of art related society. Second, the results of analysis of integrated application form between academic disciplines show that the percentage of integrated composition of art.non art was higher than integrated composition of art-art. Integrated disciplines for the arts were classified as dance, art, music, dramatic play, media, and literature. Mathematics, science, therapy, language, and so on were classified as non-artistic fields. Third, the results of analysis on integrated application of dance forms show that, the percentage of integrated composition between dance and other art disciplines was higher than integrated composition between dance and non-art disciplines. The results of analysis on integrated composition of dance forms revealed that composition form of art education integrating music, art, literature, dramatic play and dance was the most common. In addition, the application method of dance in integrated art education was mainly utilized as the method for infants to explore themselves and engage in free play. Fourth, the results of analyzing dance activities based on five areas of Nouri process in integrated art education, the activities of art experience field and body exercise health field were most common, and the effect of integrated art education applying dance was shown to have the greatest impact on improving arts literacy like aesthetic activities or symbolic representation activ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tilized as meaningful basic data in exploring effective ways of applying dance to the future integrated art education for infants.

      • KCI등재

        유아무용교육에서 무용전공자의 지도형태와 통합예술교육의 적용에 대한 인식 연구

        윤혜선 ( Yoon Hye Sun ),김예진 ( Kim Yeh Jin ) 한국무용과학회 2017 한국무용과학회지 Vol.34 No.3

        이 연구는 서울, 경기 지역의 범위에서 유아무용지도자로 활동한 경험이 있고, 대학에서 무용을 전공한 173명을 대상으로 유아무용교육 시 지도형태와 통합예술교육의 적용에 대한 인식 조사를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의 달성을 위해 전문가 회의를 실시하여 설문지 제작과 자료 분석을 진행하였고, 이에 따라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무용을 지도하는 무용전공자의 활동형태를 분석한 결과, 무용 전공 중 한국무용 전공자가 유아무용지도자로 가장 많이 활동하며, 무용학원보다는 문화센터와 유치원 및 어린이집 위주로 유아무용교육이 이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무용 활동의 유형으로는 발레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무용교육을 위한 무용전공자의 지도방법 연구에 대한 노력을 분석한 결과, 유아무용지도를 위해 자격증을 취득하고 활동하는 무용전공자보다 자격증을 취득하지 않고 활동하는 무용전공자가 더 많은 것을 알 수 있었고, 무용전공자는 수업교구의 사용을 선호하며, 놀이도구를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무용전공자의 수업계획서 준비와 교재활용에 대해 분석한 결과, 창의적으로 수업방법을 개발하여 지도하기보다는 해당 교육 기관에서 제시한 수업계획서 내용에 의존해서 지도하는 경향이 높았으며, 무용전공자들은 유아무용 지도과정에서 수업계획 및 활동내용과 수업 진행과정에서 필요한 지도자의 역할과 노력에 대해서는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으나 수업 진행에 대한 평가 기준의 설정이나 전체적인 수업 평가를 위한 지도자로서의 노력은 거의 고려하고 있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유아무용교육에서 통합예술교육의 적용에 대한 무용전공자의 인식 및 적용 형태를 분석한 결과, 통합예술교육의 적용이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경향이 더 많았으나, 통합예술교육의 적용에 대한 부담감도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는데, 부담감으로 느끼는 내용은 `지식 및 경험의 부재에 대한 부담감`, `창의적 시도에 대한 부담감`, `수업준비에 대한 부담감`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무용전공자들이 통합예술교육 활동으로 가장 많이 적용하는 것은 발레를 기반으로 하는 영어활동으로 분석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들은 향후 교육현장에서 유아무용지도자로서 지도형태에 대한 문제점 분석과 개선방안을 모색하는데 의미 있는 기초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struction type and perception for the application of integrated arts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dance education. The subjects were 173 dance majors in various colleges who had experience as an early childhood dance instructor in Seoul and the Gyeonggi area. To this end, expert meetings were conducted to make a survey and analyze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ctivities of dance majors who instruct dance for early childhood, it was found that Korean dance majors are the most active dance instructors among dance majors as early childhood dance teachers. Also, it was found that the dance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was performed mainly in cultural centers,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rather than at dance academy. In addition, dance majors preferred ballet as a type of dance activity in early childhood dance education.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ance major`s efforts to study instruction methods for early childhood dance education, it showed that there are more dance majors who are not certified than those who are certified. It was found that dance majors preferred to use class teaching aids and tended to use play tools the mo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reparation of the lesson plan and the utilization of the teaching materials of dance majors, it was found that it tended to be highly dependent on the contents of the lesson plan provided by the educational institution rather than developing and teaching the lesson creatively. Dance major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lesson plans, activities, and the roles and efforts of the instructor in early childhood classroom instruction.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y barely make efforts as an instructor for the setting of the evaluation criteria for the class or for the overall assessment of the class.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dance majors for the application of integrated art education and possible application types in early childhood dance education, more respondents perceived that integrated art education was necessary.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y felt a lot of pressure on the application of integrated arts education. In terms of burdens, they were in the order of `burden for lack of knowledge and experience`, `burden for creative attempts`, and `burden for class preparation.` It showed that ballet-based English activities are the most common integrated art educ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ful as basic data for the problem analysis and improvement plan for the instruction type as an early childhood dance instructor in the future education field.

      • KCI등재

        무용전공자가 경험한 유아무용지도 과정의 난점 분석을 통한 개선 방향 탐색

        윤혜선 ( Yoon Hye-sun ),김예진 ( Kim Yeh-jin ) 한국무용과학회 2018 한국무용과학회지 Vol.35 No.4

        이 연구는 무용전공자들이 유아무용지도 과정에서 경험한 난점 분석을 통해 유아무용교육의 개선 과제를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4년제 대학에서 무용과 졸업 후 유아교육 관련 기관에서 현재까지 4년 이상 유아무용지도자로 활동한 경력을 가진 8인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통한 질적연구로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의 달성을 위해 심층면담을 통해서 도출된 자료는 전문가 회의를 통해 분석하였다. 이에 따라 도출된 결과는 크게 3가지 대주제로 범주화되었고, 그 주제는 ‘유아무용 지도자 자격과정 및 양성과정의 난점’, ‘유아무용 지도방식 및 활동지속의 난점’, ‘유아무용 지도자 활동에서 환경적 난점’으로 분류되었으며 각 대주제별로 범주화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전공자가 경험한 ‘유아무용 지도자 자격과정 및 양성과정의 난점’에 대한 내용은 ‘자격증 발급기관의 운영방식’과 ‘지도자 양성기관의 교육내용’에 대한 난점으로 나타났다. 둘째, 무용전공자가 경험한 ‘유아무용지도방식 및 활동지속의 난점’은 수업과정에서 ‘지도자의 대처 방법’, ‘지도자의 전문성 부족’, ‘유아무용지도자로서 활동지속의 한계’에 대한 내용으로 나타났다. 셋째, 무용전공자가 경험한 ‘유아무용 지도자 활동에서 환경적 난점’은 ‘교육기관과의 마찰’, ‘지도자 파견기관과의 마찰’, ‘학부모와의 마찰’에 대한 내용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해 보면 무용전공자들은 유아무용지도 과정에서 경험한 난점에 대해 다각도의 관점에서 인식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 개선 방안도 함께 제시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에서 무용전공자들은 이러한 난점들에 대해 사회적, 제도적 관점에서 해결해야 하는 문제로 볼 수도 있지만 무용전공자들이 유아무용교육의 올바른 교육적 가치 실현 차원에서 지도자로서의 책임감과 전문적 자질 함양을 통해 유아무용지도 활동에 대한 난점들을 능동적으로 해결하려는 자세와 노력으로 난점 개선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유아무용지도자로 준비하는 교육생이나 활동 중인 지도자들과 유아무용교육 관련기관의 종사자들에게 유용한 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mprovement tasks for early childhood dance education by analyzing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dance major students in the process of infant dance instruction. This study was carried out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using the in-depth interviews of 8 persons who have been working as infant dance leaders for 4 years or more in an institute related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after graduating from a 4 year college. The data deriv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as analyzed through expert meeting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ccordingly, the result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broad categories. The themes are ‘Difficult points in the qualification process and training course for infant dance leaders’, ‘Difficult points with continuing activities and guidance in infant dance instruction’, and ‘Difficult points in the environment for the activities of infant dance leaders’. The results of for each main category are as follows: First, the contents in ‘Difficult points in the qualification process and training course for infant dance leaders’ that the dance majors experienced appeared as ‘Difficulty in the way of operating the certificate issuing organization’ and ‘Difficulty with the educational contents of the leader training institute’. Second, the ‘Difficult points with continuing activities and guidance in infant dance instruction’ appeared as ‘How leaders cope’, ‘Lack of leaders’ professionalism’, and ‘Limit of continuous activities as a leader of infant dance’ in the course of the lesson. Third, the ‘Difficult points in the environment for the activities of infant dance leaders’ that the dance majors experienced were found to be ‘Friction with educational institutes’, ‘Friction with institutions that dispatched the leaders’, and ‘Friction with parents of students’.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dance major students not only recognized the difficulties they experienced in the process of teaching infant dancing, but also suggested ways to improve them. In this study, dance major students can regard these difficulties as a problem to be solved in terms of social and institutional viewpoints. It shows, however, dance major students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improving these difficulties with the attitude and effort to solve them by developing responsibilities and professional qualities as leaders in realizing the educational value of infant dance education. I hope that these results will be used as a valuable resource in the future for students who are preparing to become infant dance leaders, leaders in active roles, and those who are in institutes related to infant dance education.

      • KCI등재

        명무 하비홀릭족에 대한 한국무용 전공인의 의식조사

        윤수미 ( Su Mi Yoon ),명금록 ( Keum Lok Myung ),김예진 ( Yeh Jin Kim ) 한국무용기록학회 2013 무용역사기록학 Vol.31 No.-

        이 연구는 중년여성, 남성들의 시간적, 경제적인 여유가 늘어남에 따라 여가 생활에 적극적인 소비를 하는 새로운 현상의 하비홀릭족을 모티브로 언제부터인지는 알 수 없으나 한국무용 전공인 못지 않게 시간과 학채를 아낌없이 투자하며 명무 주변에서 열정을 보이는 집단을 명무 하비홀릭족이라고 새롭게 명칭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 전통춤의 전공자 수요 감소의 원인을 파악하고, 한국무용 전공인이 명무 하비홀릭족을 어떤 시각으로 바라보는지를 알아보고자 서울, 경기 지역에서 활동하거나 거주하고 있는 348명의 한국무용 전공인 중 212명의 한국무용 전공 직업인과 136명의 한국무용 전공 대학생을 조사하기 위한 단일 문항을 직접 제작하여 사용하였고 SPSS를 사용하여 빈도, 교차분석과 같은 통계 방법을 이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무용 전공인은 구직난과 많은 비용 부담을 한국 전통춤 수요 감소의 원인으로 응답하였고, 물질에 구애 받지 않는 전통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한국 전통춤의 대중화를 한국 전통춤 발전의 주요 과제로 응답하였다. 둘째, 한국무용 전공인은 명무 하비홀릭족을 바라보는 기분 정도에서는 좋은 기분이 느껴진다와 존경스럽다 순서로, 명무 하비홀릭족의 한국 전통춤 수준 정도에서는 취미로 하는 것에 비해 수준이 높다와 그저 그렇다 순서로, 명무 하비홀릭족의 몰입원인으로는 한국 전통춤이 좋아서와 건강을 위해서 순서로 응답하여 명무 하비홀릭족에 대해 비교적 긍정적인 평가를 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명무 하비홀릭족이 한국 전통춤에 끼친 영향 정도에서는 어느 정도 긍정적인 영향이 있다고 생각된다와 많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한다 순서로 긍정적인 응답결과가 나왔으며, 한국 전통춤에 끼친 주요 원인으로는 한국 전통춤의 인식 변화와 이해를 통한 한국 전통춤 발전과 대중화 항목이 눈에 띄게 나타났다. 넷째, 명무 하비홀릭족의 사회적 활동 실태에서는 부럽다 61명(28.8%)의 응답결과가 가장 높았으며, 아무 생각이 없다 45명(21.2%)와 직접 본적이 없다 44명(20.8%)의 응답 결과도 보여 졌다. 반면, 명무 하비홀릭족의 한국 전통춤 관련 소비 실태에 대해서는 좀 과하다고 생각 한다 126명(59.4%)으로 부정적인 결과를 보여 주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로 한국무용 전공인들은 명무 하비홀릭족을 한국 전통춤을 저해하는 요소가 아닌 공생하는 관계로 관찰하고 지켜본다면 한국 전통춤의 가장 큰 전공자 수요 감소의 원인과 발전 방안의 주요 과제에 새로운 해결 방안을 모색해 주지 않을까 조심스럽게 생각해 본다. 또한 대학 내 무용 교과 과정에 비전공자들의 교육방법론과 활성화 방안을 다루는 수업이 신설·권장 된다면, 앞으로 무용 전공 대학생들이 졸업 후 무용 현장에 나왔을 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지 않을까 사료된다. As more middle-aged men and women can afford more leisure, a new phenomenon called “hobby-holic”has emerged whereby many willingly spend time and money on their past-time activities. In reference to such phenomenon as a motif, this study newly names an emerging group of enthusiasts in the field of Korean traditional dance, who willingly invest as much time and tuition fees as Korean dance professionals,“Opus Dance Hobby-holics”, even though the exact genesis of this trend is unknow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certain the cause of decline in demand for Korean traditional dance specialists. In order to find out what Korean dance professionals think of “Opus Dance Hobby-holics”, this study came up with a self-formulated questionnaire containing close-ended questions, for researching a total of 348 Korean traditional dance specialists, consisting of 212 dance professionals and 136 Korean dance majors in college, who work or reside in the Seoul-Kyunggi area. It then has analyzed collected data by using statistical methods including frequency and cross analysis within the analytical framework of SPSS. The outcome of said analysis is summed up as follows. First, Korean dance professionals cited employment hardship and onerous financial burdens as the cause of decline in demand for Korean traditional dance. They also pointed out correct consciousness of the tradition free from the restraint of finance and popularization of Korean traditional dance as the key task for further progress of Korean traditional dance. Second, Korean dance professionals provided positive response on the degree of sentiment towards“Opus Dance Hobby-holics”, the level of Korean traditional dance within such group, and their overall impact on Korean traditional dance. On the contrary, Korean dance majors showed overall indifference on each category. Third, the main cause of“Opus Dance Hobby-holics” was conspicuously identified as the development and popularization of Korean traditional dance resulting from change in the public attitude towards the dance and heightened understanding thereof. Fourth, in terms of the social activities of“Opus Dance Hobby-holics”, Korean dance professionals were either indifferent to them or witnessed no such activities in person. And they frowned upon the general status of consumption among“Opus Dance Hobby-holics” in relation to Korean traditional dance. Based on the foregoing, it is cautiously thought that if Korean dance professionals observe “Opus Dance Hobby-holics” not as a deterrent to the traditional dance of Korea, but rather from a symbiotic perspective, it may prove to be a worthwhile solution for an ongoing decline in demand for Korean dance professionals and also a boon for further evolution of the dance. Also, if college curriculums newly adopt the methodology of training non-dance majors and promote classes disseminating the methodology, such a step may help Korean dance majors to land gainful employment in real life.

      • KCI등재

        사회과학분야 : 유아 무용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 분석

        정주희 ( Ju Hee Jung ),윤혜선 ( Hye Sun Yoon ),김예진 ( Yeh Jin Kim ) 한국무용과학회 2016 한국무용과학회지 Vol.33 No.1

        이 연구는 2000년부터 2014년까지 국내에서 연구된 유아 무용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여 향후 연구 과제를 탐색함으로써 연구의 질적인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 분석한자료는 논문 검색 사이트를 통해 석, 박사 학위논문 및 학술지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유아를 대상으로 한‘무용’관련 프로그램으로 간주할 수 있는 유아대상 신체표현, 움직임, 동작 등에 관한 프로그램을 주제어(key word)로 탐색하여 도출된 연구물을 선별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년도, 발표형태 및 연구자의전공별 동향을 분석한 결과, 연구 년도는 2000년대 이후 꾸준히 증가하였고, 연구의 발표 형태는 석사논문에서 가장 많이 연구되었으며, 학술지, 박사학위 논문의 순으로 이루어지고 있었고, 연구자의 전공은 무용전공자와 비전공자가 동일한 비율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둘째, 연구방법의 분석결과, 연구 유형은 양적 연구가 59.8%, 질적 연구가 40.2%로 이루어지고 있었고, 연구 범위는 프로그램 내용 구성 및 적용 후 효과검증에 관한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효과검증을 위한 측정도구의 적용 형태를 살펴본 결과, 측정도구를 사용한 빈도수는 높았으나 신뢰도 검사나 사전 사후 검사를 적용하지 않은 경우들이 많아서 측정 방법의 타당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신뢰도 검사와 사전 사후 검사를 연구방법의 필수적인 절차로 적용해야 할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프로그램 시행 구조를 분석한 결과, 프로그램 시행환경에서 주당실시횟수, 연령, 참여인원수 등의 구성에 대한 이론적 근거나 기준 없이 임의적 연구가 보편화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향후 이론적 근거와 기준을 제시하고, 프로그램 활동 계획안의 표기방법도 개선할 필요가 있다. 넷째, 유아 무용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연구 절차를 분석한 결과, ‘이론적 모형→ 프로그램 구성→ 프로그램 예비조사→ 전문가 검증→프로그램 효과검증→ 최종 프로그램 구성’의 순으로 연구 절차를 진행함으로써 프로그램 개발의 타당성을 높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연구 방법과 연구 절차의 기준을 제시함으로써 유아 무용 프로그램의 개발 시 프로그램의 타당성을 높일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고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study trend on dance program development for infants in Korea from 2000 to 2014 to explore future study topics and suggest practical measures for qualitative improvement of studies. The resources analyzed in this study were master``s and doctorate theses and academic journals found through an academic search portal. The programs for infants`` physical expressions, movements, and actions that can be considered as ``dance`` programs for infants were searched with keywords to sort and analyze the studies found. The major findings of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year of research, presentation type, and trends in the field of major of researchers, the studies have gradually increased since the 2000s and the form of presentation was most frequently studied by master``s theses, followed by academic journals and doctorate dissertations. In terms of the field of major of researchers, there was an equal ratio of Dance majors and non-majors. Second, as a result of analysis of methodologies, the research types were 59.8% quantitative studies and 40.2% qualitative studies, while the scope of research was mostly in assessing the effect after composing and applying the programs. In terms of the forms of measuring tools for the assessment of effect, measuring tools were used frequently, but it was found that it is necessary to apply reliability test and pre/post-test to improve the feasibility of measuring method as reliability test or pre/post-test has not been applied in many cases.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tructure of program execution, it was found that the frequency of program sessions per week, age, and number of participants were randomly determined by each researcher without theoretical evidence or standards and may be improved. The program activity plans could also be improved for effective communication.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rocedure of studies for the development of dance programs for infants, the procedure would improve the feasibility of program development when it consisted of ‘theoretical model→ program composition→ pre-test of program→ expert verification→ verification of program effect→ final program composition.’ It is significant that this study suggested the method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a program and a specific way to improve the feasibility of program when developing a dance program for infa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