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트랜스모더니즘으로서의 白石 文學

        김예리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22 어문연구(語文硏究) Vol.50 No.4

        Modernist research is moving toward building a global perspective, as opposed to the traditional Europe-centered perspective. This trend suggests a new viewpoint especially suited to examining Baek Seok’s literary works. The conflicting order between tradition and modernity has been dismantled in his poems; therefore, it is not easy to grasp the uniqueness of his poems in a modern world recognition system reorganized around Europe. In his poetry, traditional elements, such as dialects, are expressed through modernity and this distinction constitutes modernism in his works. In Seok’s poetry, therefore, traditionality is not opposed to modernity, but is a device that creates its own modernity. His tradition is a tradition of trans-modernism that does not emerge from a past-oriented attitude, but rather emerges in relation to modernity. His poems are the result of his struggle across the time of history and the space of the world. 김예리, 2022, 트랜스모더니즘으로서의 백석 문학, 어문연구, 196 : 283~317 최근의 모더니즘 연구의 방향은 유럽중심주의에 대한 비판적 견해를 표명하며 일방적인 전파와 수용의 관점에서 벗어나 전지구적 네크워크를 구성하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새로운 모더니즘 연구의 방향은 특히 백석 문학의 의미를 살피는 데 있어 새로운 관점을 제시해준다. 백석 문학에서는 전통과 현대라는 대립적 질서 구도가 해체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근대에 들어 서구 유럽을 중심으로 재편된 세계 인식 구도로는 백석 문학의 특수함과 고유함이 쉽사리 포착되지 않게 된다. 단순화시켜 말하자면, 백석 연구사에서 백석 문학은 ‘내용으로서의 전통성’과 이러한 내용의 ‘표현 기법과 형식으로서의 모더니즘’이라는 구도 속에서 내용과 형식이 분리된 채 백석 문학의 특수함이 해명되어 왔다. 그러나 백석의 시에서 방언이나 전통적 요소는 모더니티를 통해 발현되며, 이러한 고유성은 다시금 백석 문학의 모더니즘을 구성한다. 그래서 백석 문학에서 전통성은 모더니티에 대립된다거나 근대의 세계에 진입하지 못하고 지워진 과거의 기억, 혹은 삭제된 민족성을 상징하는 기제가 아니라 백석 특유의 모더니티를 발견하게 하는 장치라 할 수 있다. 백석 문학의 전통성은 과거지향성으로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언제나 모더니티와의 관련 속에서 출현하는 트랜스모더니즘으로서의 전통이며, 그래서 그의 모더니즘에는 아주 두터운 역사적 감각이 작동할 수 있게 된다. 백석 문학은 역사의 시간과 세계의 공간을 횡단하고 있는 한 시인의 고투의 결과물이며, 그의 문학에 담겨 있는 그 모든 이질적인 것들은 시간과 공간을 횡단하며 생산된 백석이라는 고유명이 지시하고 있는 모든 것이라 하겠다.

      • KCI등재

        장애학생의 지적장애 어머니를 위한 가정기반 양육지원이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사례연구

        김예리,박지연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017 한국장애인복지학 Vol.- No.35

        Parents who have intellectual disabilities have a tendency to experience difficulties in raising their children due to insufficient knowledge and skills required for parenting. Especially when their children also have disabilities, their burden and stress are heightened. The purpose of this case study is to examine the benefits of a home-based parenting support program for mother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on their parenting stress and parental efficacy. Three mother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ho raise students with disabiliti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Based on mothers' characteristics, family situation, and children's needs, a home-based parenting support program was developed and implemented for 10 sessions for each mother. A dependent t-test was used to compare pre and post test and field notes were analyzed to complement the quantitative data. The results showed that three mothers showed positive changes both in parenting stress and parental efficacy.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existing study in that it suggested a model to support families where both parents and children have disabilities and demonstrated the positive outcomes of the model. 지적장애 부모는 자녀 양육에 필요한 지식이나 기술의 부족으로 양육에 있어 어려움을 경험하는 경우가 많으며 자녀 또한 장애가 있는 경우 양육에 대한 부담과 스트레스가 가중된다. 본 사례연구는 장애학생의 지적장애 어머니를 위한 가정기반 양육지원이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수행되었다. 연구 참여자는 장애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지적장애 어머니 3명으로, 각 어머니의 특성 및 가정별 상황, 자녀의 장애를 고려하여 개별화된 가정기반 양육지원을 10회기에 걸쳐 실시하였다. 사전 ․ 사후검사결과 및 필드노트 내용을 바탕으로 어머니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3명의 어머니 모두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효능감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본 연구는 어머니와 자녀 모두 장애를 가진 가정에 적용 가능한 가정기반 양육지원의 모델을 제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여 이들을 위한 지원체계 및 서비스 개발의 단초를 제공하였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부정의 윤리와 진정성 너머의 문학 – 종교로서의 자본주의를 향한 장정일의 시적 대응

        김예리 한국현대문학회 2018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56

        This paper examines Jang Jeong-il’s attitude to the religionized capitalism seen in his literature, and analyzes how the attitude and his self-consciousness are closely linked. This paper also tries to read “ethics of denial” in his literary self-consciousness. Jang vividly describes the 1990s’ sceneries such as collapse of philosophy of history and grand narrative, rapid conversion to the consumer capitalist market order, kitschy culture that grew from such socio-economic backgrounds. The writer seems to pursue deviational and experimental literature by adopting amusement and ridicules as his literary methodology. His literary experiment, however, is based on ethical exploration and authenticity. Jang’s literary experiment and playful attitude from the experiment does not deny the world is full of fake, but rather admits the world is fake and play with it. Such a literary attitude ironically gives a movement to escape the fake world, and the trace of the movement gives authenticity in his literature. Jang’s way of writing that denies and degrades his self-being is also an active resistance in that his writing of denial makes the value of writing as a labor zero. His poetic work looks into “authenticity of capital” to the extreme through the writing of denial that makes everything fake, but such an examination inevitably leads to an ironic situation that he can never deny himself that is examining himself. His declaration of the end of writing as a poet can be understood in the context. In his sentences as an essayist, the poet shows self-examination on missing his existing life of every moment while he is immersed in an epistemological question, “Who am I?” This way, by looking into the relation between his literary imagination and his unique way of writing, this paper discusses Jang Joung-il’s poetic imagination as a response to the religionized capitalism. 본 연구는 장정일이 그의 문학을 통하여 종교화된 자본주의에 대응하는 태도를 살펴보며 이러한 태도와 그의 문학적 자의식이 어떻게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는지를 분석했다. 그리고 장정일이 보여주는 문학적 자의식에서 ‘부정의 윤리’를 읽어보았다. 장정일은 역사철학과 거대서사의 붕괴, 소비자본주의적 시장질서로의 급격한 전환, 그리고 이러한 사회경제적 배경을 바탕으로 자라난 키치적인 문화들과 같은 90년대적 풍경을 그대로 체현하고 있는 작가라 할 수 있다. 그는 유희와 조롱을 문학적 방법론으로 가져오면서 일탈적이며 실험적인 문학을 추구한 작가처럼 보이지만, 이러한 그의 문학적 실험은 진정성이라는 윤리적 탐색을 원천으로 하고 있다. 장정일이 취하는 문학적 실험과 여기서 발현되는 유희적 태도는 가짜와 허위로 둘러싸인 세계를 부정한다기보다는 이 세계가 가짜라는 것을 인정하고 이것을 그 자체로 향유하는 것이라 할 수 있는데, 아이러니하게도 장정일의 이런 문학적 태도에서 이 세계로부터 탈주할 수 있는 움직임이 만들어진다. 그리고 바로 이 움직임의 궤적이 장정일의 문학에 진정성을 생성시킨다. 스스로의 존재를 부정하고 모멸하는 부정의 글쓰기는 글쓰기라는 노동의 가치를 제로로 만든다는 점에서 그의 글쓰기는 적극적인 저항의 글쓰기이기도 하다. 그런데 모든 것을 거짓으로 만드는 부정의 글쓰기를 통해 ‘자본의 진정성 탐색’이라는 성찰성의 극한을 사유하는 장정일의 시적 작업은 성찰적인 자기만은 끝내 부정하지 못한다는 아이러니한 상황에 필연적으로 빠지게 된다. 장정일이 더 이상 시를 쓸 수가 없다며 시인으로서 절필하게 된 것은 이런 맥락 속에서 이해될 수 있다. 장정일은 ‘나는 누구인가’라는 인식론적 질문에 너무 몰두하다 정작 지금 이 순간 살아지고 있는 현재의 삶을 놓친 것에 대한 자기성찰을 에세이스트의 문장으로 보여준다. 본 연구를 이와 같은 내용으로 장정일이 보여주고 있는 문학적 상상력과 그의 독특한 글쓰기 태도의 연관성을 살펴봄으로써 장정일이 당시 종교화된 자본주의에 대하여 대응하는 시적 상상력을 고찰했다.

      • KCI등재
      • KCI등재

        김수영의 시간과 시의 비/존재론

        김예리 한국시학회 2020 한국시학연구 Vol.- No.63

        This paper examines that the time in Kim Soo-young’s poems is the form of his existence, and how this form of existence relates to the ethics of love shown in his later works. Regarding the April Revolution greatly inspired Kim’s literary work, the Korean War has not been in the center of the previous research on Kim and hiswork. It is partly because the poet did not often mention the war. By demonstrates that the April Revolution and the Korean War are the repetitive experiences for him, this research further discusses the form of Kim’s existence. For Kim, the Korean war is an experience of the past, but also a current experience of the past-future that he could experience after the April Revolution; it is the time of the past-present that had existed being concealed so could not be made present. In other words, the time of Kim’s, as a form of existence is unique. The future time as “the time of (non-)existence that does not exist now” is the past time that he lived. When the concealed past time is made present, the time of(non-)existence appears to the present as a source of being. Thus, Kim’s poetic thinking expressed in his languages of “freedom”, “death”, “love” is not based on the “recovery” or overcome from the scars of the war or the failure of the revolution, rather based on his (non-)ontological poetic thinking that draws these all times of the past to the time that is “written” in the existence of Kim’s. The poet was absorbed in Heidegger’s philosophy because their ways of thinking overlapped this way. Kim’s poetics does not begin with the experience of loss, but with the approval of the theory that our lives have nothing to “recover”, our beings have nothing to lose, and the world does not give any grounds to tell humans from animals. However, he was able to find the ethics of love like a miracle since the existential experience of the abyss of being, which has nothing and no meaning like a desert and, was the origin and source of his poem. 본 연구는 김수영 문학에 나타나는 시간성이 시인 실존의 형식임을 분석하고, 이러한 실존의 형식이 그의 후기시에 나타나는 사랑의 윤리와 어떤 관련성을 갖는지를 살펴보고자 했다. 김수영 문학 연구에서 4. 19 혁명이 그의 문학에서 차지하는 위상에 비해 한국전쟁은 명확하게 규정되지 않았다. 그것은 전쟁에 대한 시인의 언급이 극히 제한적이기 때문이기도 했다. 본 연구는 김수영에게 4·19 혁명과 한국전쟁은 반복적인 경험이었음을 논증함으로써 이 두 사건을 통해 김수영 시인의 실존의 형식에 대해 논의해보았다. 김수영에게 전쟁의 경험이란 과거의 경험이지만 4. 19 혁명을 통해서야 비로소 사후적으로 경험할 수 있었던 과거-미래의 현재적 경험이며, 그동안 존재해왔지만 은폐되어 있었던 현재화되지 못했던 과거-현재의 시간이었다고 할 수 있다. 즉, 실존의 형식으로서의 김수영의 시간은 ‘아직은 존재하지 않는 비-존재의 시간’으로서의 미래의 시간이 바로 자신이 살았던 바로 그 과거의 시간이며, 그 은폐되어 있던 과거의 시간이 현재화 될 때, 이 비-존재의 시간은 비로소 존재의 근원으로 현재에 나타나게 되는 그런 시간이다. 그러므로 4·19 이후 ‘자유’, ‘죽음’, ‘사랑’ 등과 같은 언어로 표현되는 김수영의 시적 사유는 전쟁의 상처나 혁명의 실패를 극복하고 ‘회복’하는 것을 통해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되려 이 모든 과거의 시간을 자신의 현존 속에 ‘기재’하는 시간으로 끌어당기는 김수영의 비-존재론적 시적 사유를 통해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다. 김수영이 하이데거에 심취했던 이유도 이러한 사유의 겹침이 있기 때문이다. 김수영의 시는 어떤 진정한 것의 상실의 경험에서 출발한 것이 아니라 오히려 우리의 삶이 ‘회복’될 만한 것은 처음부터 없었다는 것, 우리의 존재는 상실할 만한 어떤 것도 애초부터 없었으며, 인간과 짐승을 구별할 수 있는 어떠한 근거도 이 세계는 주지 않았다는 사실에 대한 승인에서 출발한 시학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바로 이런 사막과 같이 아무 것도, 아무 의미도 없는 존재의 심연에 대한 실존적 경험이 그의 시의 출발이자 원천이었기 때문에 김수영은 기적과도 같은 사랑의 윤리를 발견할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The Depressive Symptoms and the Alcohol Drinking Behaviors: A Population-Based Longitudinal Study in Korea

        김예리,이소영,Karen Rascati,조은 한국보건의료기술평가학회 2022 보건의료기술평가 Vol.10 No.1

        Objectives: Our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changes in alcohol use behavior on depression symptoms and identified vulnerable subgroups among middle-aged and elderly individuals in South Korea. Methods: Data were obtained from the Korea Longitudinal Study on Aging (KLoSA) from 2006 to 2016. Subjects without depression symptoms were selected who scored <4 on 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 since the inception of KLoSA in 2006. Alcohol use was assessed by the problem drinking screening questionnaire, consisting of five questions, with scores categorized as non-problem drinking (0 or 1) or problem drinking (≥2). Changes in individuals’ alcohol use were estimated based on the reports of two subsequent surveys. A generalized estimating equation (GEE) model was developed, adjusted for demographic, socioeconomic, and health-related factors as potential confounders. The multiple imputation-GEE method was utilized to account for missing data which were not at random. Results: A total of 2,905 individual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Depression symptoms significantly worsened when alcohol use remained as problem drinking (β=1.270, p<0.001) and when it deteriorated from non-problem to problem drinking (β=0.494, p=0.001). Positive change from problem drinking to non-problem drinking also worsened depression symptoms (β=0.278, p=0.024). Low education level, being single, unemployment, no regular exercise, current smoker, poor self-rated health (SRH), cognitive impairment, and hypertension were other significant risk factors related to depression. The sustained problem drinking and worsening change in alcohol use significantly exacerbated the depression in both poor and good SRH. Conclusions: Changes in alcohol use are strong risk factors of depression for middleaged and elderly adults. Efforts are required to identify such changes in individuals and to promote healthy drinking behavior in the context of primary care or regular health check-ups to protect the mental health of these popul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