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고본(Lingusticum sinense)의 n-Hexane 세분획물의 섭취가 Streptozotocin 유발 당뇨 흰쥐의 혈당과 지질과산화에 미치는 영향

        김예리 德成女子大學校 2004 국내석사

        RANK : 248639

        식용 및 약용으로 쓰여오던 식물을 이용 본 연구실에서 단계적으로 실시해온 항당뇨 효과에 대한 선행연구에서 혈당강하 효과가 확인된 고본(Lingusticum sinense)의 계통분획물 중 hexane 분획물을 liquid column chromatography를 실시하여 세분획을 하였다. 혈당강하효과를 보인 고본의 hexane 세분획물과 대조약물인 tolbutamide를 이용하여 streptozotocin(45mg/kg b.w.)으로 당뇨를 유발시킨 흰쥐에게 14일간 경구투여한 후, 당뇨쥐에서 혈당과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고, 당뇨로 인한 자유기(free radical)의 생성이 초래하는 조직의 산화적 및 기능적 손상을 관찰하였다. 고본의 hexane 세분획물과 tolbutamide 투여에 따른 14일 후 체중변화는 정상군 보다는 낮은 수준이지만 Subfraction B, D, E 및 F 투여군에서 체중증가를 보였고, 특히 Subfraction B, E 및 F 투여군에서는 Tolbutamide 투여군 보다도 큰 체중증가를 보였다. 식이섭취량은 당뇨 대조군에 비해 Subfraction B, E, F 및 Tolbutamide 100 투여군에서 감소하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식이이용효율은 정상군에 비해 당뇨대조군과 당뇨실험군 모두에서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당뇨대조군에 비해 Subfraction B, E, F 및 Tolbutamide 100 투여군에서 유의적이지는 않지만 높은 경향을 보였다. 장기 무게를 체중 100g당 환산하였을 때 당뇨쥐의 간장, 신장 및 폐의 무게가 정상쥐에 비해 당뇨실험군에서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비장, 췌장 및 심장의 무게는 정상군과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혈장 AST활성은 당뇨대조군과 모든 당뇨실험군간의 유의차가 없게 나타났으며, ALT 활성은 정상군에 비해 당뇨대조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모든 당뇨실험군은 당뇨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특히 Subfraction B, C 및 D 는 정상군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혈장 포도당은 실험 14일 후 당뇨대조군과 당뇨실험군을 비교해 보았을 때 모든 실험군에서 혈당강하효과를 나타냈으며 특히 Subfraction A 투여군을 제외하고는 모두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혈장 인슐린은 당뇨대조군과 당뇨실험군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없이 나타났다. 간장의 glycogen 함량은 정상군에 비해 당뇨대조군이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감소하였고, 당뇨대조군과 실험군을 비교해보았을 때 뚜렷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Subfraction B, D 및 F 투여군은 정상군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근육 glycogen 함량은 정상군에 비해 당뇨대조군에서 증가하였고, 당뇨실험군은 당뇨대조군에 비해 Subfraction D와 E 투여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았으나, 전반적으로 볼 때 정상군과 당뇨실험군 모두에서 유의적인 차이점을 발견하지 못했다. 간장, 신장, 폐 및 췌장의 단백질 함량을 분석한 결과, 단백질 함량은 당뇨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지 않았음을 알 수 있었다. 혈장 cholesterol 함량은 14일 후 당뇨대조군에 비해 모든 실험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혈장 중성지방의 함량은 당뇨대조군에 비해 모든 실험군에서 감소하였으며 특히 Subfraction A 와 B 투여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혈장 HDL-cholesterol은 정상군에 비해 당뇨대조군 및 당뇨실험군에서 모두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혈장 유리 지방산 함량은 모든 당뇨 실험군에서 당뇨대조군보다 낮게 나타났고 특히 Subfraction B, C 및 Tolbutamide-100 투여군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감소하였다. 간장 내 cholesterol 함량은 당뇨대조군에 비해 Subfraction C, E, F 및 Tolbutamide 투여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간장의 중성지방 함량은 당뇨대조군이 정상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은 수준을 보였고, 모든 당뇨실험군을 당뇨대조군과 비교했을 때 유사한 수치를 나타냈으며 Subfraction A와 D는 정상군보다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특히 Subfraction F 투여군은 유의적이지는 않지만 다른 당뇨실험군들 중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당뇨시 지질과산화를 알아보기 위한 간장, 신장 및 폐의 MDA함량중 간장의 MDA 함량은 당뇨대조군과 당뇨실험군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그 중 Subfraction B, C, D 및 F 투여군은 유의적이진 않지만 당뇨대조군보다 낮은 수치를 보였다. 신장의 MDA 함량은 당뇨대조군이 정상군에 비해 유의적이진 않지만 높은 경향을 나타냈고 Tolbutamide-100 투여군에서 당뇨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은 경향을 보여 정상군과 비슷한 수치를 보였다. 폐의 MDA 함량은 정상군과 당뇨대조군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당뇨대조군에 비해 Subfraction D 와 E 투여군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증가하였다. 췌장의 MDA함량은 정상군에 비해 모든 당는실험군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낮은 수치를 나타냈다. XOD 활성도는 정상군에 비해 당뇨대조군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당뇨실험군중 Subfraction C, D 및 E 투여군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당뇨대조군에 비해 증가하였다. GST 활성도는 정상군과 당뇨대조군 사이에는 유의차가 없었으나, 당뇨대조군에 비해 모든 당뇨실험군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높게 나타났다. GSH-peroxidase 활성도는 Cumene hydroperoxide를 기질로 사용한 경우, 정상군에 비해 당뇨대조군과 당뇨실험군 모두에게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낮게 나타났다. H_(2)O_(2)를 기질로 사용한 경우 정상군에 비하여 당뇨대조군이 유의적으로 높은 활성을 보였고, 당뇨대조군에 비해 Subfraction A, D, F 및 Tolbutamide 50 투여군에서 유의적인 증가를 보였다. GR의 활성도는 당뇨대조군과 당뇨실험군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므로 고본(Lingusticum sinense)의 계통분획물 중 hexane 세분획에서 Subfraction E 와 F 투여군이 당뇨병으로 인한 고혈당과 당뇨합병증으로 인한 지질과산화적 손상을 완화시키는데 기여함을 알 수 있었고, 특히 Subfraction B, E 및 F 투여군은 대조약물인 Tolbutamide 투여군과 비교했을 때 전반적으로 좋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The effects of n-hexane extract subfractions of Lingusticum sinense on blood glucose levels and lipid hyperoxidation in streptozotocin(STZ) induced diabetic rats were investigated. Diabetes mellitus was induced in male Sprague-Dawley rats weighing 200 ∼ 245g by injection of streptozotocin(STZ) into the tail vein at a dose of 45mg/kg and were divided into ten groups ; normal, diabetic control, and eight experimental groups(n-hexane subfraction A, B, C, D, E, F, tolbutamide-50 and tolbutamide-100). The rats of all groups were fed an AIN-93 diet and six diabetic groups were orally administered with each of the subfractions, two diabetic groups with tolbutamide 50mg and looms for 14days. The body weight, diet intake and food efficiency ratio(FER) were monitored every day and the organ weights were measured after the termination. The plasma levels of glucose, insulin, HDL-cholesterol, triglyceride, free fatty acid and activities of aspartate and alanine aminotransferase were analyzed. The levels of glycogen, cholesterol, triglyceride and protein in liver and the level of glycogen in muscle were determined. The malondialdehyde(MDA) levels in liver, kidney, lung, pancreas and microsome of liver were assayed. The activities of xanthine oxidase (XOD), glutathione-S-transferase(GST), superoxide dismutase (SOD), glutathione peroxidase(GSH-Px) and glutathione reductase(GR) in liver cytosol were analyzed. Diabetic rats showed the lower weight gain and higher diet intake compared to the normal rats. The groups of subfraction B, E and F, however, had gained weight more than the groups of tolbutamide. The weights of liver, kideny and lung of the diabetic groups were higher than that of normal rats. The levels of a ALT in subfraction B, C and D groups were similar to the normal group. A comparable hypoglycemic effect was evidenced after 14 days of oral administration of six subfractions and tolbutamide. The plasma glucose levels of the subfraction B, C, D, E, F and tolbutamide groups were significantly 3ower than that of the diabetic control group. The liver glycogen levels of the subfraction B, D and F groups were not different to the normal group and the muscle glycogen levels of all the diabetic group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s compared to the normal. The protein levels of the liver, kideny, lung and pancreas had shown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all the groups. The plasma cholesterol levels of all the experimental group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diabetic control group. The plasma TG levels of the subfraction A, B and tolbutamide group were also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diabetic control group. The subfraction B, C and tolbutamide 100 groups showed significantly lower plasma free fatty acid levels compare to the diabetic control group. There was no difference in liver cholesterol levels while liver triglyceride levels of a1l the experimental groups were lower than that of diabetic control group. The MDA levels in liver were lowed by the diabetic groups of subfraction B, C, D and F although they are not significantly. Tolbutamide 100 had significantly decreased the MDA levels in kidney and the levels were lowed in all he diabetic groups in pancrease. In the liver cytosol, XOD activities of subfraction C, D and E groups had significantly increased. The GST activities of all the experimental groups had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e diabetic control group. The activities of GSH-px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all the diabetic groups when cumene hydroperoxide was used as the substrate. The activities were increase, however, when H_(2)O_(2) was used as the substrate.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GR activities.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 administration of hexane subfractions of Lingusticum sinense an anti-diabetic effect. The subfractions of E and F, especially, may be effective in anti-hyperglycemia by lowering the blood glucose levels and can possibally protect diabetes mellitus from oxidative cellular injury.

      • 시각적 되먹임 유형에 따른 코어 안정화 운동이 요통환자의 근 두께, 통증 및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김예리 삼육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에서는 시각적 되먹임 유형에 따른 코어 안정화 운동이 요통환자의 근 두께, 통증 및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60명의 허리 통증을 가지고 있는 성인을 무작위로 배정하여 시각적 되먹임인 근전도를 이용한 운동군 20명, 거울을 이용한 운동군 20명, 시각적 되먹임이 없는 운동군 20명으로 분류하였다. 세 집단은 분류 후 배곧은근과 배바깥빗근의 근 두께를 재활영상초음파로 측정하였고 통증 정도를 비교하기 위해 시각적 통증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표면 근전도를 통해 근 활성도를 사전 측정하였다. 측정 후 각 집단은 시각적 되먹임인 표면 근전도나 거울을 사용하거나 시각적 되먹임 없이 동일한 코어 안정화 운동 프로그램을 30분 실시하였다. 운동 전과 후의 근 두께를 비교 하였을 때, 세 집단 모두 휴식기와 수축기에서의 배곧은근과 배바깥빗근의 근 두께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05), 수축기에서 휴식기를 뺀 값의 배곧은근과 배바깥빗근의 근 두께는 근전도를 이용한 운동군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세 집단 간 차이에서 근 두께를 비교하였을 때, 배곧은근과 배바깥빗근의 휴식기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p>0.05), 수축기와 수축기에서 휴식기를 뺀 값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통증은 운동 전과 후를 비교하였을 때 세 집단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p<0.05), 집단 간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0.05). 근 활성도는 운동 전과 후를 비교하였을 때 근전도를 이용한 운동군, 거울을 이용한 운동군의 배곧은근, 배바깥빗근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고(p<0.05), 시각적 되먹임이 없는 운동군의 경우 배곧은근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p<0.05) 배바깥빗근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세 집단 간 근 활성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결과적으로, 요통환자에게 시각적 되먹임의 유형 중 근전도를 사용한 코어 안정화 운동이 거울을 이용하거나 시각적 되먹임이 없는 운동보다 즉각적인 효과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 음주태도 변화가 우울증상에 미치는 영향: 중·노년 인구 패널 데이터-기반 연구

        김예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국문 초록 우리나라 중·노년층의 우울증 유병률은 다른 연령층보다 높은 편이며, 노년기 우울은 방치하면 노인 자살로까지 이어질 수 있는 심각한 질환이다. 한편, 우리나라 알코올 사용장애 유병률은 다른 나라에 비해 높으며, 이 또한 각종 질병 발생과 경제적 및 사회적 문제를 일으키는 심각한 질환이다. 특히 중년기에서 노년기로 접어들며 나타나는 알코올 습관의 변화는 정신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음주습관의 변화와 우울증상 사이의 명확한 인과관계를 다룬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기에 두 질환 사이의 관계를 이해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첫째, 우리나라 중·노년층의 음주습관 변화를 파악하고, 둘째, 음주습관 변화에 따라 분류한 일곱 그룹에서 우울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셋째, 인구사회경제적요인과 건강관련 요인의 세부 범주에서 음주습관의 긍정적 또는 부정적 변화가 우울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여 노인층에서 효과적인 음주습관의 권고 방향을 이해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고령화 연구패널(KLoSA) 자료를 이용해 음주습관(CAGE) 설문과 우울증상(CES-D10)을 가지고 주요 독립변수와 종속 변수를 측정하였다. 선행조사에서 우울하지 않은 자를 대상으로 음주습관의 변화를 측정하고, 음주습관이 변화된 시점과 다음 차수 조사의 우울증상 점수를 이용해 우울증상을 측정하였다. 일반화 추정 방정식(GEE)을 이용하여 인구사회경제적 및 건강관련 요인들을 통제하였을 때 음주태도의 변화가 우울증상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일반화 추정 방정식의 하위 분석을 이용하여 각 요인의 하위 범주에서 음주습관 변화 방향에 따른 우울증상에의 영향을 비교하였다. 우리나라 중·노년층에서 음주습관의 긍정적인 변화(12.17%)는 부정적인 변화(7.73%)보다 많은 비율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중독수준에서 탈피한 비율(4.39%)은 중독수준을 유지하는 비율(0.9%)은 보다 현저히 크게 나타나, 중독에서 개선되는 긍정적 방향으로의 변화를 보였다. 인구사회경제적 및 건강관련 요인들을 모두 통제하였을 때, 이전 조사에 비해 음주습관이 과음 또는 중독수준으로 나빠진 경우 우울증상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정상→과음 또는 중독수준, β=0.380, p=0.00; 과음→중독수준, β=0.866, p=0.02) 또한 부정적인 음주습관으로의 변화 효과는 긍정적인 변화보다 각 요소들의 하위 항목에도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저소득층(β=0.594, p=0.01), 사회적으로 고립된 사람들(β=0.946, p=0.00), 만성질환이 없는 건강한 사람들은 음주습관의 부정적 변화로 인한 우울증상 악화에 더욱 취약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주관적인 자기보고식(Self-reported) 평가에 따른 한계점이 존재하지만 패널데이터를 이용한 종단적 연구(Longitudinal study)로 음주습관의 변화와 우울증상 사이 인과관계를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한국 사회에서 고령화에 따라 노인의 신체적 문제와 함께 정신질환에 따른 질병 부담도 급격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질병의 예방과 사회경제적 부담을 줄이기 위한 전략적인 접근방안으로 음주습관의 악화 방지에 보다 관심 기울이길 제안한다. Abstract Depression is a severe public health problem among middle-aged and older adults. Late-life depression can have serious consequences, such as increased mortality and disability, higher health care utilization, and longer hospital stays. Likewise, as the percentage of alcohol use disorders(AUD) among persons in the senior age category is rapidly growing, it can aggravate a variety of pathological conditions and socioeconomic burdens.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changes in physiological and behavioral responses to alcohol in a variety of social contexts, especially from middle-aged to older adults, and determining how differences in alcohol-related behaviors could affect mental health. However, there remains a lack of research o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changes in drinking behaviors and depressive symptom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changes in drinking behaviors and depressive symptoms for increasing the understanding of the social context in promoting or retarding positive change in drinking behavior. Using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KLoSA), changes in alcohol behaviors(CAGE questionnaire) and depressive symptoms (CES-D10) were estimated. Among the subjects without depressive symptoms in the previous survey, those who were selected responded both to CAGE questionnaire in prior and subsequent investigations. Subsequently, for the following two years after the subsequent survey, we assessed the symptoms of depression. With a generalized estimation equation,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alcohol consumption change on the depressive symptoms, and included socioeconomic and health-related factors in the analysis. In addition, we compared and analyzed the influence of the changes in drinking behavior on the CES-D10 among the subcategories of each factor using the generalized estimation equation. Changes in drinking behaviors to excessive drinking and alcoholism (Normal→Excessive drinking and Alcoholism, β=0.380, p=0.00; Excessive drinking→Alcoholism, β=0.866, p=0.02) significantly increased depressive symptoms even after controlling for the socioeconomic and health-related factors. Furthermore,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effect of changes to negative drinking behaviors was greater than for the positive ones on the subgroups of each factor. Particularly, those categorized in low-income(β=0.594, p=0.01), socially isolated(β=0.946, p=0.00), and normal status without chronic illnesses were more vulnerable to changes in negative drinking behavior for depressive symptoms. Although these results relied on self-reported drinking behaviors, this longitudinal study has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the causal relationship. In an aging society, the burden of disease due to physical illness as well as the mental problems is expected to increase. Therefore, in the context of preventing late-life depression, this study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addressing negative changes in alcohol-related behaviors.

      • 졸업연주 작품 연구 : J. S. Bach, L. v. Beethoven, F. Chopin, S. Prokofiev의 피아노 작품을 중심으로

        김예리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논문은 석사과정 졸업연주 프로그램에 수록된 곡을 대상으로 작곡가의 생애, 작품의 배경 및 구조와 특징을 연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바흐(Johann Sebastian Bach, 1685-1750)의 <평균율 클라비어 곡집 2권 18번>(Das Wohltemperierte Clavier Book 2, Prelude and Fuga No. 18, in g# minor, BWV 887)의 프렐류드는 순환 2부분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고, 두 개의 대비되는 주제(호모포닉-폴리포닉, 온음계-반음계)를 가지고 전개한다. 푸가는 3성부의 푸가로서 단순리듬을 기본으로 하지만 두 개의 대조되는 주제를 가지고 있는 이중 푸가이기 때문에 복잡한 짜임새를 갖는다. 베토벤(Ludwig van Beethoven, 1770-1827)의 <열정 소나타>(Piano Sonata No. 23 in f minor, Op. 57)는 그의 32곡 피아노 소나타 중 중기에 해당되는 작품이다. 총 3악장으로 구성되었으며 1악장과 3악장은 소나타 알레그로 형식, 2악장은 변주곡 형식이다. 이 작품에서는 전형적인 고전 소나타 형식의 틀에서 벗어나는 작곡가의 혁신적 시도를 확인할 수 있다. 쇼팽(Fryderyk Chopin, 1810-1849)의 <소나타 2번>(Piano Sonata No. 2 in b♭minor, Op. 35)은 4악장으로 구성되었으며 전 악장이 단조로 이루어져 있다. 1악장과 2악장은 각각 소나타 알레그로 형식과 복합 3부 형식으로 진행되고, 느린악장을 3악장에 배치하였으며, Presto로 마지막 4악장 피날레를 장식하고 있다. 이 작품은 전통적인 소나타 형식에 기초해 쇼팽만의 작곡기법을 사용함으로써 낭만적인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동기의 지속적인 사용과 열린 결말을 맺는 종결화음의 사용으로 전 악장이 순환 형태를 보인다. 프로코피에프(Sergei Prokofiev 1891-1953)의 <피아노 소나타 3번>(Piano Sonata No. 3 in a minor, Op. 28)은 전통적 소나타 형식에 현대적 작곡기법을 입혀 개성적인 색채를 표현한 곡이다. 이 곡을 통해 프로코피에프 특유의 음악 어법인 고전적, 현대적, 토카타적, 서정적, 그로테스크적 요소를 볼 수 있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mposer’s life, background,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works performed in the Master’s degree recital. Johann Sebastian Bach(1685-1750)’s <Das Wohltemperierte Clavier Book 2, Prelude and Fugue No. 18 in g-sharp minor, BWV 887(1738)>, consisting of rounded binary forms, has proceeded with two contrasting themes, i.e., homophonic-polyphonic and diatonicism-chromaticism, respectively. The three-voice Fugue is written in the style of Double fugue with two themes while it is based on a simple rhythm. Ludwig van Beethoven (1770-1827)’s <Piano Sonata No. 23 in f minor, Op. 57>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masterpieces corresponding to his middle period among his 32 piano Sonatas. It consists of three movements: first and third movements follow Sonata Allegro form, second movement Theme and Variations, respectively. In this work, his attempt to develop the classical Sonata form can be confirmed. Fryderyk Chopin (1810-1849)’s <Piano Sonata No. 2 in b♭minor, Op. 35> is written in the four movements in minor key. The first and second movements progress in Sonata Allegro form and compound ternary form, respectively. The slow movement is placed in the third movement. The last movement works as a Finale with Presto. Based on the traditional Sonata form, this work has a romantic style through the compositional technique of Chopin. In addition, by using the continuous use of motive and the concluding chord which has an open ending, the whole movement shows a circular form. Sergei Prokofiev (1891-1953)’s <Piano Sonata No. 3 in a minor, Op. 28> expresses a distinctive properties by applying modern compositional techniques to the traditional sonata form. In this work, we can examine the conventional, modern, toccata, lyrical and grotesque elements of Prokofiev's musical characteristics.

      • 일반유아와 장애유아의 기본운동능력 및 지각운동능력 비교연구

        김예리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일반유아와 장애유아의 두 집단간의 기본운동능력, 지각운동능력에서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전라남북도 지역에 위치한 일반 유치원에 다니는 만 5세 남자유아 20명과 유아특수교육기관에 다니는 감각장애와 지체장애를 제외한 발달장애로 확인된 만 5세 남자유아 20명이다. 조사지 구성은 기본운동능력과 지각운동능력 두 부분으로 총 73문항이며, 자료분석은 일원분산분석과 다변량 분산분석으로 실시하였다. 본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기본운동능력인 안정동작, 이동동작, 조작동작능력에서 장애유무에 따라 두 집단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으며, 일반유아가 장애유아보다 의미있게 더 발달되어 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장애유아에게 기본운동 프로그램을 적용해야 할 필요성을 의미한다. 지각운동능력인 신체지각, 공간지각, 방향지각, 속도지각, 무게지각에서 장애유무에 따라 두 집단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으며, 일반유아가 장애유아보다 의미있게 더 발달되어 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장애유아에게 지각운동프로그램을 적용해야 할 필요성을 의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or not there were any differences between children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in basic motion and perceptual-motor skill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40 preschoolers from Jeolla province, who were at the age of 5. Out of them, 20 young children were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and the others were ones who had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ile they had no sensory disorder or physical disabilities. The instrument used in this study was composed of 73 items about basic motion and perceptual-motor skills, and for data handling, one-way ANOVA and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were employe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in stability motion, movement and manipulative motion skills, which were part of basic motor skills.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significantly outperformed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his fact signified that basic motion programs should be applied to preschoolers with disabilities. There also appeared a significant disparity between the two groups in physical perception, spacial perception, directional perception, speed perception and weight perception, which belonged to perceptual-motor skills.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made a significantly better progress than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his fact indicated that children with disabitities needed perceptual-motor programs.

      • 아쉬탕가 요가지도자들의 수련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그들은 왜 아쉬탕가 요가에 매료되는가?

        김예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 of practices of Ashtanga Yoga instructors and examine the internal and external effects of practices during the process as well as why they are fascinated by Ashtanga Yoga. By doing so, this study pursued to provide basic data related with Ashtanga Yoga, not only to professional yoga instructors but also to normal yogis and persons engaged in this field, and eventually to offer practical help in the actual field. For the validity of research methods, the study used purposeful snow-ball sampling method to select yogis with enough Ashtanga Yoga practising experience. And as the subjects for this research, this study selected 10 yogis among Ashtanga Yoga instructors with career of more than five years, yogis who practise everyday -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features of Ashtanga Yoga - and Ashtanga Yoga Authorized teachers by KPJAYI R. Sharath Jois in INDIA.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t used phenomenological approach, which is one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nd conducted analysis of literature related with Ashtanga Yoga. Also to observe the lives of everyday practising yogis, the study, directly participating in Ashtanga Yoga workshops, conducted participatory observation. The study carried out in-depth interview as a main source and further collected data through research of yoga-related literature. Using this methodology, the study derived findings as below. First, characteristics of Ashtanga Yoga practice were categorized into six groups: daily practice, change of diet to vegetarian one, meditation by moving, reflection of daily practice on guidance, practice done together and Mysore magic. Second, effects of practice ON Ashtanga Yoga instructors were shown as exterior change of the body and its internal change. Owing to the former change, the subjects had consciousness of own body as well as insight perceiving the body change. While, internal change of the body had four subcategories: complete relaxation due to reduced stress, temperamental change, boost of self-confidence, challenging spirit and sense of achievement. Third, four subcategories emerged as the answer for why Ashtanga Yoga instructors are fascinated by Ashtanga Yoga. Scientific sequence (Ashtanga Yoga system), practice on mat is a microcosm of our lives, healing powers and lastly respect for the instructor. The following is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based on above analysis results. First, research on practising culture among normal yogis will contribute to the popularity of Ashtanga practising system. Second, in regard to characteristics of the group and practising system, comparative analysis with other yoga practising systems is needed. Third, given its nature of practising system, Ashtanga Yoga has a good immersion effect while people practise yoga. So, physiological research methods for change of hormone, physical composition, the state and change of brainwave before and after yoga practice are needed to carry out research on the state when brainwave is down. Lastly, in an attempt to explore the yogi's experience or knowledge of India's practising culture, the research should be extended to study on ethnography regarding the meaning of groups, formation of culture and shared systems. 본 연구의 목적은 아쉬탕가 요가지도자들의 수련경험의 체험적 의미를 살펴보고 수련하는 과정에서 수련의 내·외재적인 효과는 어떠한 것인지 알아보았다. 또한 왜 아쉬탕가 요가에 매료되는 이유에 대해 고찰하는데 있다. 이는 전문성을 지닌 요가지도자뿐만 아니라 일반 요가 수련자들과 운동관련 종사자들에게 아쉬탕가 요가에 대해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며, 현장에서의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데 있다. 연구 자료의 진실성을 위해서 아쉬탕가 요가 수련경험이 풍부한 숙련자들을 선정하기 위해 유목적(Purposeful)스노볼(Snow-ball)표집으로 선정하였다. 이에 연구 참여자들은 5년 이상의 요가경력이 있는 지도자, 아쉬탕가 요가에서 가장 중요한 특징이라고 볼 수 있는 매일수련을 실천하고 있는 수련자 마지막으로 아쉬탕가 공인 티쳐 자격증 소지자(Ashtanga Yoga Authorized teacher by KPJAYI R. Sharath Jois in INDIA)를 대상으로 수련자 10명을 선정하였다. 이에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질적 연구방법의 일환인 현상학적 접근 방법을 사용하여 아쉬탕가 요가와 관련된 문헌자료 분석을 하였다. 또한 매일수련을 실천하는 수련자들의 삶을 관찰하기 위해 아쉬탕가 요가 워크숍(workshop)에 직접 참석하여 참여관찰을 실시하였다. 주 자료로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으며, 요가 관련 문헌연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러한 연구방법을 통해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아쉬탕가 요가 수련경험의 특징으로는 매일수련, 매일 수련이 지도에 반영, 채식 위주로의 식단 변화, 움직이는 명상, 함께 나누는 도반, 마이솔매직(Mysore magic) 등의 6가지 의미로 범주화 되었다. 둘째, 아쉬탕가 요가지도자들이 경험하는 수련의 효과에서는 신체의 내적인 변화와 외적인 변화로 나타났다. 연구 참여자들은 신체의 내재적인 변화로 스트레스 완화로 인한 완전한 이완, 내면적 자기 성향의 변화, 자신감의 향상, 도전정신배양과 성취감 획득으로 4가지의 하위범주로 나타났다. 또한 신체의 외적인 변화로는 자신의 신체에 대한 지각, 몸의 변화에 대해 인식하는 통찰력이 생겼다. 셋째, 아쉬탕가 요가지도자들이 아쉬탕가 요가에 매료되는 이유에 대한 결과는 4가지 하위범주로 나타났다. 과학적인 시퀀스(아쉬탕가 요가체계), 매트 위 수련은 인생의 축소판, 치유효과, 마지막으로 스승(구루)에 대한 존경심으로 도출되었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으로 첫째, 일반 수련자들을 대상으로 수련 문화에 대해 연구가 진행되어 아쉬탕가 수련 체계법이 대중화 되는 것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집단의 특성과 수련체계에 관련해서 다른 요가수련법과 비교분석하여 연구하는 것이 요구될 것이다. 셋째, 아쉬탕가 요가는 수련체계 특성상 요가수련 상태에서 몰입현상이 잘 나타난다. 이에 아쉬탕가 요가수련 전·후에 대한 호르몬 변화, 신체구성, 뇌파상태, 뇌파의 움직임의 차이가 있는지에 관련해서 생리학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뇌파가 다운된 상태에 관한 연구를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수련자들의 인도수련문화에 대해 보다 체계적으로 알아보기 위해서 집단의 의미, 문화의 형성, 공유하는 체제에 대해 문화기술지(Ethnography)연구로 확대 연구로 될 것이다.

      • 언더독의 역효과(逆效果)에 대한 연구

        김예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39

        기업의 과실과 소비자의 태도에 대한 연구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관련하여 많은 선행 연구가 이루어져 왔지만(Holme & Wattas, 1999; Lindgreen & Swaen, 2010), 본 연구는 기업의 과실 및 기업 유형에 따른 소비자의 태도 변화를 분석한 첫 연구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총 두 번의 실험으로 언더독 효과가 기업에게 항상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독이 될 수도 있음을 밝혀 냈으며, 특히 그 과실 유형이 윤리적 과실일 경우, 소비자들은 언더독에게 더 큰 부정적 태도 변화를 보였다.

      • 품앗이 부모자조활동이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가족역량강화 및 가족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김예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Poomassi parent self-help activities on parenting stress, family empowerment, and family quality of life. The Poomassi parent self-help activities offer parents of children who have special needs the opportunity to receive emotional, informational, and parenting support for parents who have experienced similar set of circumstances one another. Twenty six familie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se twenty six families were divided into 13 families for each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Poomassi parent self-help activities, while the control group did not. The Poomassi parent self-help activities were implemented for 9 months. To prove the effects of the program,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was applied. The differences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of two groups were analyzed using independent t-test. The result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parenting distress level. Second,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family empowerment level. Third,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 found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family quality of life level but it presented a little difference.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Poomassi parent self-help activities for parenting prove that it will be effective family support. Diverse studies are necessary in order to make the Poomassi parent self-help activitie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disabled children and their families) effective family support programs. 장애아동 부모들은 장애자녀를 양육하면서 비슷한 어려움을 경험하게 되며, 특히 이러한 어려움은 장애자녀가 어릴수록 더욱 커지게 된다. 최근 장애아동의 가족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장애아동 가족들의 역량강화를 통하여 가족들이 스스로의 힘으로 어려움을 극복하고 문제에 대처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가족지원의 주요한 목적이 되고 있으며, 특별히 전문가의 지원이 아닌, 주변의 친척, 이웃 등과 같은 비공식적인 지원체계를 통한 가족지원이 활성화되고 있다. 부모자조모임은 장애아동의 가족들이 공통된 목적을 가지고 자발적으로 모여 서로의 역량을 키워가고 서로에게 좋은 지지자이자 정보 제공자가 되어주는 가족지원 프로그램의 하나로, 특별히 본 연구에서는 장애아동을 양육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장애아동의 가족들이 함께 자녀를 양육하기 위한 부모자조모임을 구성하여 공동으로 장애자녀를 양육하고 이를 통해 서로를 지원하고 지지하는 ‘품앗이 부모자조활동’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장애를 지닌 유아 및 학령기 아동의 가정을 대상으로 품앗이 부모자조활동을 실시하여 참여한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역량강화 및 가족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서울 시내에 거주하는 취학 전, 초등학교 재학 중인 장애자녀를 둔 26가정으로, 실험집단 13가정과 통제집단 13가정으로 구성하였다. 실험집단의 13가정을 4개의 소모임으로 구성하여 품앗이 부모자조활동을 진행하였으며 소모임 구성 기간을 포함하여 총 9개월에 걸쳐 부모자조활동이 진행되었다. 품앗이 부모자조활동이 양육스트레스와 역량강화 및 가족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양육스트레스 척도(Abidin, 1990)’와 ‘가족역량강화척도(Koren, Dechillo, & Friesen, 1992)’, ‘가족의 삶의 질 척도(Hoffman, Marquis, Poston, Summers, & Turnbull, 2006)’를 사용하였다. 결과의 검증을 위하여 실험집단의 사전 사후 차이점수와 통제집단의 사전 사후 차이점수에 대해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품앗이 부모자조활동에 참여한 장애아동의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변화 정도가 통제집단의 변화 정도보다 유의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품앗이 부모자조활동에 참여한 장애아동의 어머니의 가족역량강화 변화 정도가 통제집단의 변화 정도보다 유의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품앗이 부모자조활동에 참여한 장애아동의 가족의 삶의 질 변화 정도가 통제집단의 변화 정도에 비해 컸으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품앗이 부모자조활동이 장애아동 양육에 있어 어려움을 경험하는 어머니에게 양육스트레스와 가족역량강화에 있어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었고, 비록 유의한 차이는 아니었으나 가족의 삶의 질에 있어서도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이후 품앗이 부모자조활동이 효과적인 가족지원 프로그램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장애아동과 그 가족의 특성 등을 고려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 대학부설 한국어교육원의 교육서비스 만족도 연구

        김예리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언어연수생을 대상으로 대학부설 한국어교육원의 교육서비스가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한국어 교육원에서 한국어를 학습하는 언어연수생들을 중도탈락 없이 지속적으로 교육원에 잔류시키고 상급학교로의 진학을 통해 학습을 지속할 수 있게 유도하기 위해서는 언어연수생들의 교육서비스에 대한 인식과 만족도를 알아보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한국어교육원의 교육서비스 중 교수와의 관계성은 언어연수생 교육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2. 한국어교육원 교육서비스 중 교육의 질은 언어연수생 교육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3. 한국어교육원 교육서비스 중 교육시설 및 환경은 언어연수생 교육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4. 한국어교육원 교육서비스 중 교직원과의 관계성은 언어연수생 교육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5. 한국어교육원 교육서비스 중 행정서비스의 질은 언어연수생 교육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위의 연구문제를 알아보기 위하여 경기도 수원에 위치한 K대학부설 국제교육원에 재학 중인 중국과 베트남 언어연수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장미내(2016)의 교육서비스 품질 설문지와 하호정(2012)의 교육만족도 설문지를 토대로 중국어, 베트남어, 영어로 번역하여 사용하였다. 설문조사는 온라인 조사와 지면 조사를 동시에 진행하여 응답을 수집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부설 한국어교육원의 교육서비스, 즉 선생님과의 관계가 좋을수록, 교육의 질이 높을수록, 교육시설 및 환경이 좋을수록, 교직원과의 관계가 좋을수록, 행정서비스의 질이 높을수록 교육만족도가 높았다. 이 중 학생들의 교육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교육시설 및 환경’이었다. 둘째, 교육서비스 품질에 대해서는 중국 국적의 학생들이 베트남 국적의 학생들에 비하여 긍정적인 인식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교육서비스 품질 인식은 남자가 여자보다 교수와의 관계성에서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교 진학을 목적으로 공부하는 집단은 교육의 질을 상대적으로 더 낮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대학원 진학을 목적으로 공부하는 집단은 교육의 질을 더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국 국적의 응답자가 베트남 국적의 응답자보다 교육만족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언어연수생 응답자들의 한국어교육원에 대한 요구사항 중에서 ‘한국인과 만나는 기회 확대’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위와 같은 언어연수생의 인식을 참고하여 대학부설 한국어교육원의 양적·질적 향상을 위한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특히 언어연수생의 교육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교육시설 및 환경’에 대한 대학의 적극적이고 아낌없는 투자가 필요하다. 주요어: 언어연수생, 교육만족도, 교육서비스 The purpose of this study, regarding Korean language institutes attached to the universit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educational services on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to suggest actions for qualitative growth. The research questions set up to achieve these goals are as follows. Research Question 1. How does the relationship with teachers in the Korean language institute affect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of language trainees? Research Question 2. How does the quality of education in the Korean language institute affect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of language trainees? Research Question 3. How does the educational facilities and environment in the Korean language institute affect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of language trainees? Research Question 4. How does the relationship with the staff in the Korean language institute affect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of language trainees? Research Question 5. How does the quality of administrative services in the Korean language institute affect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of language trainees? Using the above research objectives, a survey of Chinese and Vietnamese language trainees attending K-university International Education Institute located in Suwon, Gyeonggi-do, was conducted. The survey was translated into Chinese, Vietnamese, and English based on the Education Service Quality Questionnaire by Jang Mi-nae (2016) and the Education Satisfaction Questionnaire by Ha Ho-jung (2012). The survey collected responses by conducting online and in-person surveys simultaneously.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better the educational service of the Korean language institute attached to the university, the higher the satisfaction rating. That is higher quality of education, better educational facilities and environment, better relationships with the staff, and higher quality of administrative services resulted in higher satisfaction ratings.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on students’ educational satisfaction was “Educational facilities and environment.” Second, the students of Chinese nationality had a more positive perception of the quality of educational service compared to those of Vietnamese nationality. In relation to teachers, male respondents perceived the quality of educational service according to sex more positively than female respondents. Groups studying for university admissions perceived a lower quality of education, while those studying for graduate school perceived a higher quality of education. Third, respondents of Chinese nationality demonstrated higher education satisfaction than those of Vietnamese nationality. Fourth, expanding opportunities to meet Koreans was of the highest importance to in the Korean language institutes of language trainees’ respondents. In recognition of the language trainees’ responses, it is necessary to make concrete and practical efforts to make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improvements to the quality of the University’s Korean language institute.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invest earnestly and generously in educational environment and facilities which would have the greatest impact on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of language trainees. Key Words: Language trainee, Educational Satisfaction, Educational Servi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