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김기림 시론에서의 모더니티와 역사성의 문제

        김예리(Kim Ye-rhee) 한국현대문학회 2010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31

        이 글은 김기림 시학에서 ‘시의 회화성’이라는 말로 표현되는 이미지의 강조가 정태적인 이미지가 아닌 시대의 현실을 포착하고 이를 통해 문명 비판의 계기를 마련하는 단초였다는 점을 밝히고자 했다. 개별적인 정서로서의 리듬이 아니라 상징적 주체의 눈을 통해 그려지는 대상-세계의 이미지로의 전환은 상상적인 시에서 구상적인 시로의 전환이라고 할 수 있다. 김기림은 보편적 언어로 구성되는 시만이 비판되고 감상될 수 있다고 여겼으며, 이러한 예술의 보편성 속에서 비로소 현실 비판의 가능성이 열리게 된다. 따라서 김기림이 현대시의 특질로 들고 있는 ‘시의 회화성’으로 구현되는 이미지가 문자 그대로 단순히 그림 같은 아름다운 이미지로 간주하거나, 활자의 배열이나 글자의 크기와 같은 인쇄 미학적인 시각으로만 ‘시의 회화성’의 문제에 접근해서는 안 되며, 시인주체의 현실의 인식문제와 함께 고려되어야 하는 것이다. 김기림에게 이미지란 시간성이 내포된 동력적이고 움직이는 이미지라고 할 수 있다. 미래파적 감수성으로 설명되곤 했던 이러한 이미지는 오히려 에즈라파운드 등의 ‘소용돌이파’의 이미지와 유사하다. 에즈라 파운드는 미래파처럼 직선으로 뻗어나가는 시간 이미지 대신 복합적이고 다층적인 이미지를 중첩함으로써 동적인 에너지가 풍부한 이미지를 생산하고자 했다. 김기림 역시 이미지의 역동성을 시어의 배열이나 결합이라는 언어구조 속에서 포착하려고 한다. 이러한 병치의 기법은 수사학에서 알레고리 기법과 유사하다. 이러한 병치로서의 알레고리 이미지는 ‘시공간의 동존성’이라는 말로 설명되는 초현실주의 기법이 생산하는 이미지와도 연관성을 갖는다. 시공간의 동존성이나 비약과 같은 방식으로 현실 시간의 문법적 질서를 비웃는 초현실주의적 방법론은 현실이지만 근대적 이성의 문법에 익숙한 이들에게는 보이지 않는 현실의 무의식을 이미지화할 수 있다고 김기림은 생각했다. 이렇게 평범한 눈으로는 볼 수 없는 세계를 이미지로 드러내는 것이 새로운 가치 창조자로서의 시인의 임무로 여겼다. 즉, 의식과 무의식, 주관과 객관, 과거와 현재와 미래, 현실과 꿈의 모든 경계를 와해하는 초현실주의적 이미지는 김기림에게 세계의 고정된 질서를 파괴하고 억압된 의식의 빈곤한 상상력을 자극시켜 세계의 역사적 흐름의 방향을 뒤흔들어 놓는 혁명적인 이미지로 간주되었던 것이다. 그런데 이런 역사적 혁명성을 상실할 때, 초현실주의는 센티멘탈리즘과 구분되지 않는다. 즉, 김기림의 센티멘탈리즘의 비판은 단순히 애상적인 정조에 있지 않았다. 그의 센티멘탈리즘 비판의 핵심은 현재를 보지 못하는 과거 회귀적인 태도에 있었다. 현재 시간의 상실감을 퇴행적 시간으로 채우려는 소극적이고 부정적인 노스탤지어야말로 김기림이 비판하는 핵심이었다. 현재의 상실의 체험을 서늘하게 인지하고 있는 멜랑콜리적 태도와는 구별해야할 필요성이 있다. 김기림에게 미래라는 시간은 언제나 현재를 ‘통해서만’ 인식될 수 있는 것이며, 현재를 무시한 미래 진보적 태도는 아니었다는 점을 놓쳐서는 안 된다. 김기림에게 미래로 진보한다는 것은 현재의 시대를 예각적인 각도를 통해서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태도에 의한 정확한 판단을 통해서만 가능한 것이었기 때문이다. When Kim Kirim emphasizes the workings of image or painterliness of poem in his poetics, his focus is not on the statics of images. This paper argues that Kim's concept of image provides him with the base for his own apprehension of the reality and critiques of civilization. His concept of image epitomizes the transition from the rhythm as the expression of individual emotions to the image of objective world which is essentially visualized through the symbolic subject. This transition can be interpreted as the transition from imaginary poem to figurative poem Kim thinks that the only poem that we can appreciate is the poem that is written in the universal language and the universality realized in this kind of poem opens the possibility to critique the reality. The image realized through the painterliness of poem, which Kim defines as characteristic of modem poem, cannot be regarded as the pictorial beautiful image. It also cannot be limited to typographic techniques, such as unusual arrays of types or irregular size of letters. It has to be considered with the issue of poet-subject's perception of reality. For Kim, image is the dynamic and moving image which implies temporality. This image, that has been explained in tandem with the futuristic sensitivity, is rather related to the concept of image in vorticism, whose primary figure was Ezra Pound. Instead of futurists' linear temporal images, Pound attempted to produce the image charged with the dynamic energy through reiteration of complex and multi-layered images. Kim also tries to grasp the dynamics of images in structure of language, which is expressed through arrangement and combination of poetic words. This technique of arrangement is similar to allegory in rhetoric. This allegoric image as arrangement is related to surrealistic image characterized as the simultaneity of time-space. From Kim's point of view, the surrealist methods of the simultaneity of time-space or jump of logic, with which one can ridicule the grammar of temporality in the reality, are strategies to imagine the unconscious of the reality that is blocked from the eyes of modem form of reason. It is poet's calling to reveal the world that is blocked from these ordinary eyes. The surrealist image, that blurs the borderlines between the conscious and the unconscious, subject and object, past, present, and future, reality and dream, is the image of revolution. This revolution implies the turnabout of the world history through destructing the fixed order of the given world and giving an impetus to poor imagination of the repressed consciousness. If surrealism loses this revolutionary character, it will not be distinguished from sentimentalism When Kim critiques sentimentalism, his focus was on rather regressive attitude than elegiac tone of poem. In other words, Kim criticizes the attitude to fill in the sense of loss in the present with the regressive time. He defines this attitude as the passive and negative nostalgia. This needs to be discerned from the melancholic attitude with which one can face the reality of loss. To appreciate the significance of Kim's poetics, it is necessary to conceive the time of future can be perceived only through the present. His futuristic attitude always accompanies with the precise conception of the present. For Kim, the task to progress to the future can be achieved only through the precise judgement of the present world with objective and scientific attitude.

      • KCI등재

        김춘수의 ‘무의미시론’ 비판과 시의 타자성

        김예리(Kim, Ye Rhee) 한국현대문학회 2012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38

        김춘수는 언어를 매체이자 질료로 하는 시가 사물과 관계하는 양상 그 자체를 시로 형상화한다. 다시 말해 그는 시를 규정하는 이론을 다시 시적 사유의 대상으로, 혹은 개념을 이미지로 전치시키고 있는 시인인 셈이다. 김춘수 텍스트의 문학사적 위치를 이렇게 규정해볼 때, 김춘수 텍스트의 시적 주체의 인식범위는 근대적인 인식주체의 인식범위를 초과하는 동시에 그것에 미치지 못한다고 할 수 있다. 김춘수의 시적 주체는 메타적인 위치에서 코기토적 주체가 보지 못하는, 주체와 대상 상호간의 관계성을 응시하는 동시에, 코기토적 주체처럼 대상을 장악할 수 없음을 인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김춘수가 단지 존재와 인식의 문제만을 사유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그 존재를 표현해내는 언어의 층위까지 사유의 대상으로 끌어들이고 있기 때문에 가능해진 사태일 것이다. 이글은 김춘수의 텍스트를 해석함에 있어 이와 같은 김춘수의 독특한 인식태도를 염두에 두며, 크게 두 가지를 논의해보았다. 첫째는 김춘수의 시적 언어에 대한 탐구의 여정을 기존의 김춘수 연구들이 주로 선택했던 관점이라고 할 수 있는, 주체의 호명행위나 주체의 인식행위의 관점과 같이 주체의 자리에서 출발하는 방식을 역전시켜, ‘관람자-주체’의 관점으로 재구성해봄으로써, 존재와 언어에 대한 탐구라는 주제가 특히 선명하게 드러나는 『꽃의 소묘』와 그 이전 시집들 간의 연계성을 살펴보았다. 둘째는 ‘순수’의 극단까지 치달았던 ‘무의미시’라는 시적 실험의 한계를 논의해보았다. 이견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대체적으로 ‘무의미시’라는 김춘수의 시적 실험은 관습적인 의미를 해체함으로써 의미를 무화하는 시적 상상력과 관계하는 것이고, 이를 통해 극한의 시적 자유를 구현해내는 것이라는 평가에 김춘수 연구사는 동의하고 있다. 이글은 이러한 평가에 의문을 제기하며, ‘무의미시’가 추구하는 ‘예술의 자율성’으로서의 ‘순수’라는 개념을 비판하고, 이러한 비판적 고찰을 통해 ‘무의미시론’의 한계와 김춘수의 새로운 시론으로서 ‘접붙이기’ 시학의 의미를 구명해보고자 하였다. Choon-soo Kim embodies the aspects itself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oetry and the thing by poems. That is, he transposes the theory itself that regulates poetry to the object of poetic thinking, or the concepts to the images. In this regard, the recognition range of poetic subject of his texts excesses the range of modern epistemic subject and doesn"t meet it at the same time. Because the subject of his texts gazes at the relationship of the subject and the object, that is the subject of cogito cannot, and accepts that he cannot grasp the object like the subject of cogito. This is possible because Kim doesn"t speculates only the matter of the perception and the being but also the language itself that express the being. This study argues about two themes, considering Kim’s suchlike attitude. First, this study, in terms of a ‘spectator-subject’, looks into the connection between the early collections of poems and “A Sketch of Flower”(『꽃의 소묘』) that is revealed the theme of the search of the being and languages. Second, it argues about the limit of his experiment in poetry named ‘Nonsense poem theory’. There is not without a different view, on the whole, the studies about Kim have estimated that his experiment in poetry named ‘Nonsense poem theory ’embodied poetic liberty to the limit. This study raises questions about the concerns and criticizes the concept of the ‘pure’ in terms of autonomy of art. In this critical reflections, this study looks into the limit of ‘Nonsense poem theory’ and the meaning of the poetics of the ‘Grafting’ that he newly presents.

      • KCI등재

        발달장애 학생을 위한 사회성 기술 교수 프로그램의 개발과 평가

        김예리 ( Kim Ye Ri ),박지연 ( Park Jiyeon )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구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020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6 No.1

        본 연구에서는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발달장애 고등학생들에게 사회성 기술 교수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고 그 효과를 살펴보았다. 연구 참여자는 서울 소재 J특수학교 두 학급에 속한 13명의 발달장애 고등학생이다. 담임교사와의 협의 및 학급 관찰을 통해 학급 분위기 및 학생별 수행수준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6회기의 사회성 기술 교수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사회과 수업시간에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단일집단 사전사후 설계로 진행되었으며, 프로그램 효과는 연구에 참여한 발달장애 고등학생의 장애 정도와 수행수준을 고려하여 설정한 지도 목표의 달성 정도와 직접관찰을 통해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13명의 학생 모두 지도 목표의 수행수준이 향상되었으며, 13명 중 9명이 5점 만점에 4점 이상을 획득하였다. 본 연구는 성인기 전환을 앞둔 중도의 발달장애 고등학생에게 특수학교 상황에서 실시할 수 있는 사회성 기술 교수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학교와의 협력 하에 실행하는 모델을 제시했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velop and apply a social skill training program for high school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evaluate its effectiveness. Thirteen high school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ttending J special school located in Seoul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program was developed based on collaboration with classroom teachers and direct classroom observation and was implemented in social studies classes for six sessions. Using single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 effect of the program was examined based on how much each student achieved training objective behavior. Direct observation was also conducted to examine students’ changes. The result showed that all participants showed increased scores in their training objective behavior and 9 out of 13 students got a score of 4 or 5 on 5-point scal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suggested a collaborative model between university and special school in developing a social skill training program for high school students with severe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o will be transitioned to adulthood in a couple of years. Finally,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presented.

      • KCI등재

        법과 문학, 그리고 ‘위반’으로서의 시적 정의

        김예리(Kim, Ye Rhee) 한국현대문학회 2014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43

        본 논문은 ‘법과 문학’이라는 이질적인 두 영역의 밀접한 관계를 분석하고 있는 마사 누스바움의 논의를 비판적 시선으로 재독하면서 그녀 논의의 한계를 살펴본다. 이를 통해 법적 정의를 실현하기 위해 시적 정의가 요청될 수밖에 없음을 세밀한 시선으로 논증하고 있는 누스바움이 ‘법과 문학’이라는 주제에서 놓치고 있는 ‘시적 정의’의 또 다른 측면을 살펴보고자 했다. 이러한 측면에 대하여 본고는 ‘민청학련 사건’과 관련된 김지하의 필화 사건을 통해 짚어보았다. 공감이라는 문학의 독특한 능력에 주목하는 누스바움은 우리의 삶에서 주도적 영향력을 이미 잃어버린 문학의 존재 이유를 법철학의 관점에서 접근한다. 경제적 효용성이 우리 삶의 제 1원리가 되었고, 도덕과 정의의 기준이 부(富)로 옮겨 가고 있으며, 시와 소설을 읽고 쓰는 것이 현대적인 삶의 방식에 이질적인 모습이 되어버린 지금, 법과 문학의 긴밀한 관계를 탐구하고 있는 그녀의 논의는 충분히 의미 있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법이라는 상징적 질서의 제한과 금지들 그 자체에 대한 ‘위반’을 욕망하면서 법적 질서 그 자체에 저항하는 문학의 또 다른 측면을 그녀의 논의는 지워버리고 있다는 점에서 어떤 한계점을 갖는다. 다시 말해 누스바움의 생각처럼 문학이 언제나 법의 테두리 안에서 법의 합리성을 보완하고 보충하는 위치에 있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특히 1970년대 한국의 유신체제처럼 비정상적인 법질서가 출현하여 사회를 압도하고 있을 때, 다시 말해 법적 정의라는 것이 완전히 무너져버렸을 때, 법과 문학의 관계에 대한 그녀의 논의가 갖는 힘 역시 아주 허무하게 사라져버린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시적 정의’과 관련하여 우리가 생각해보아야 할 보다 근본적인 지점은 누스바움이 자신의 논의 전개를 위해 괄호쳐버리고 있는 ‘법을 위반하는 문학’이라는 측면에 놓여있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생각을 바탕으로 본고는 정상태인 법 형식을 전제로 문학과 법의 관계를 사유하는 누스바움의 논의를 비판하면서 도착적 권력으로 변모하여 금지를 즐기고 향유하는 법에 문학이 어떻게 민주주의를 소생시키는 근원적 힘으로 작용하는가를 1974년의 ‘민청학련 사건’과 연계되어 있는 김지하의 필화 사건을 통해 살펴보았다. This paper is intended to criticise the Nussbaum’s discussions who analyzed out the relation between law and literature and agitated for poetic justice. She emphasized the necessity of the poetic justice to realize the legal justice. Taking note of the ability of sympathy in the literature, she examined the reason why literature must be existed form the point of view of a jurist. Her discussions are meaningful in these days when the first principal in our life is economic efficiency and the standard of the ethics and morals move to wealth. Besides works of literature are not read much nowadays. In these atmosphere, her delicate discussions about the relation between law and literature are very useful and meaningful. But the other literature power and possibility is erased in her discussion which is emphasized on sympathy in literature. It is the ability of literature that is able to violation the prohibitions and restrictions of symbolic order which is called law. Namely, in contrast to her argument, literature does not always supplement the reasonability of law with the framework of law. Especially in justiceless condition, for example the “Yushin regime” in Korea in the 1970s’, her discussions don’t carry much weight. Therefore the core point which we have to consider carefully in the relation between law and literature is about the aspects of violation. In this sense, this paper examines the relation between law and literature and the meaning of the literature which has a decisive effect on democracy through Kim Ji Ha who was indicted for his writings were connected with “Democracy youth student movement association” matter in 1974.

      • KCI등재

        “아버지 지구는 우리를 증오해” : 부서진 대지』삼부작의 기이한 행성

        김예리(Yaeri Kim) 한국비평이론학회 2021 비평과이론 Vol.26 No.3

        환경이 정적이고 수동적인 객체가 아니라 능동적인 힘을 발휘하는 주체가 될 수 있다는 사실의 인식과 여기서 오는 불안감은 인간세의 경험을 특징짓는 주요 요소 중 하나이다. 아미타브 고시는 기후변화의 중심에 있는 비인간 행위성을 받아들이지 못하는 인간의 태도를 심리학적 부인에 비유하여, 이러한 현상을 ‘환경적 기이’라고 칭한다. N. K. 제머슨의 『부서진 대지』 삼부작은 행성이 인간에게 적대적이며 적극적으로 인류의 멸종을 추구하는 남성적 존재로 여겨지는 가상의 세계를 통해 인간과 환경의 관계를 새로이 모색하고자 한다. 격렬한 지질학적 현상이 통상적으로 일어나 인간의 생존과 문명을 위협하는 행성을 무대로 하는 『부서진 대지』 삼부작은 독자로 하여금 인간의 삶에 적합하지도, 정적이지도 않은 환경과의 대안적 관계를 상상하도록 하며, 이를 통해 인간의 과오에 대한 인정과 그 보상에 기반한 인간과 행성의 협상을 중점으로 하는 환경 위기에 대한 새로운 접근을 제시한다. 그러나 행성을 협상 가능한 상대로 의인화함으로써, 제머슨은 스스로 면밀히 창조한 환경적 언캐니를 손상시키고 소설 속 세계와 독자의 세계의 연관성을 약화시킨다. The Anthropocene experience is characterized by, among other things, the unsettling recognition of the dynamic and active forces of the environment that has long been assumed static and passive. Amitav Ghosh terms this phenomenon as the environmental uncanny, emphasizing the humanity’s longstanding denial of the nonhuman agency that lies at the core of climate change. N. K. Jemisin’s fantasy trilogy The Broken Earth seeks to reenvision the human-environment relationship by imagining the world where the planet is conventionally imagined as a male entity that is antagonistic to human beings and actively seeks their extinction. Set on a planet where violent geological events constantly threaten human lives and civilization, The Broken Earth invites the reader to imagine an alternative relationship to the environment that is neither inert nor hospitable and suggests a new approach to the environmental crisis centering the human-planet negotiation grounded upon the acknowledgement of and compensation for human wrongdoings. However, by making the planet a clearly anthropomorphic entity capable of negotiation, she undermines the environmental uncanny that she so carefully created, reducing the link between her fictional world and the reader’s own.

      • KCI등재
      • KCI등재

        지적장애 어머니를 둔 가족을 지원한 실무자들의 경험과 인식에 관한 질적 연구

        김예리(Kim, Ye Ri)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021 한국장애인복지학 Vol.52 No.52

        본 연구는 지적장애 어머니를 둔 가족을 지원한 경험이 있는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통해 그들의 경험과 인식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5년 이상의 지원 경력을 가진 서울시 여성장애인 홈헬퍼, 경기도 장애인맞춤형도우미, 장애인종합복지관 사례관리사 총 10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참여자의 일정에 맞춰 개별 또는 소집단면담(focus group interview)을 진행하였다. 모든 면담은 전사한 후 연속적 비교법(constant comparative method)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질적 분석 결과 ‘나를 거부하지만 또 너무 필요로 하는 가족’, ‘내겐 너무 낯설고 어려운 일’, ‘시간이 지나면서 변화된 어머니-자녀-나’, ‘보다 나은 지원을 제공하기 위한 바람’의 4가지 대주제와 14가지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지적장애 어머니를 둔 가족을 지원한 실무자들의 경험과 인식을 심층적으로 고찰함으로써 지적장애 어머니와 가족을 보다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 첫 시도라는 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s a basic data for establishing social support network of the mother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nd their family members, having a purpose to figure out their experience and recognition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people having supported mother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nd their children. The participants were 10, who are the home helpers of Seoul City with more than 5 years supporting experience, the custom helpers of Gyeonggi-do Province, and the persons in charge of case management in welfare centers for the Disabled. And it was conducted by individual interviews or focus group interviews on their schedule. Every interviews were analyzed with constant comparative method and those were classified in 4 main-themes(family who denies me and needs me as well, the thing that is very strange and difficult to me, the mother-children-me which is changed as time goes by, wishes for providing the better support)and 14 sub-themes after qualitative analysis. This study is the first meaningful attempt to seek an effective supporting method for the families through investigating the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f hands-on workers involved in the supporting families having mother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KCI등재
      • KCI등재

        이상 시의 공백으로서의 ‘거울’과 地圖的 글쓰기의 상상력

        김예리(Kim Ye-rhee) 한국현대문학회 2008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25

        이 글은 이상의 시에서 근대적 주체로서의 자아 정체성 탐구와 라캉적 거울 단계의 순간이라고 할 수 있는 주체 분열의 순간들과 연결되는 ‘거울’ 기호를 중심으로 이상의 글쓰기의 특징과 관련지어 논의한다. 이 글은 거울에 사영된 상에서 시작하여 이상의 ‘거울’ 기호를 해석하는 일반적인 방향을 역전시켜, 순수 표면으로서의 ‘거울’ 기호에 집중한다. 거울은 모든 것을 반사하므로 순수표면으로서의 거울은 표상될 수 없다. 그러나 이상의 〈오감도 시제7호〉와 「자화상〉 등의 텍스트에서 순수 표면으로서의 ‘거울’, 혹은 ‘얼굴’ 기호가 상상되고 있음을 살펴볼 수 있다. 특히 〈시제7호〉에서 상상되고 있는 ‘거울’은 공백으로서의 ‘거울’이고, 〈자화상〉에서 이상은 공백으로서의 얼굴을 스스로의 얼굴과 동일시한다. 그리고 이 공백으로서의 ‘거울’ 혹은 ‘얼굴’은 이상 텍스트에서 글쓰기판으로 은유되고 있다. 즉, 이상 텍스트에서 ‘거울’은 생성의 지점이며, 이상 문학을 지탱하는 바탕이라고 할 수 있다. 공백으로서의 주체를 의미하는 공백으로서의 ‘얼굴’은 순수 거울 표면과 등치되고 있다. 공백으로서의 주체가 글을 쓰는 방식은 지도적 글쓰기와 타이포그래피적 글쓰기의 형식을 취한다. 일반적으로 이상의 〈오감도〉를 건축설계적 상상력인 조감의 시선으로 읽어왔다. 그러나 〈오감도〉는 까마귀라는 이 세계에 배제된 대상이 응시하는 지도라 보는 것이 적절하다. 조감도는 일개의 개별적 시점을 전체적 시점으로 착각한 착시의 결과물이다. 반면 지도에서는 통상적으로 말하는 의미에서의 ‘시점’이라는 것이 존재하지 않는다. 지도를 보는 시점은 지도의 평면 전체 위에 편재하고 있다. 지도에서 공간을 내려다보고 있는 시점은 특정의 ‘누군가’에게 귀속하는 시점이 아니다. 조감도가 시점의 주인, 즉 주체의 시선으로 사물을 포획해서 시선 안에 들어오지 못하는 것들을 배제해버리는 것이라면, 지도는 시점을 포갬으로써 조감도에서 배제되었던 것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조감도가 전체성을 지향한다면 지도는 일종의 ‘비-전체not-whole’의 집합이다. 시점이 포개짐으로써 구성된 지도는 조감도의 관점에 의해 배제되었던 것을 볼 수 있게 된다. 조감도와 지도의 이러한 구분법에 비추어본다면, 이상의 〈오감도〉는 다분히 지도적 세계이다. 지도는 이미 구성된 전체라는 것이 있어서 그것이 그 안의 내용들을 규정해내는 것이 아니라 ‘비-전체’의 집합이 지도가 초월적 가상으로 작동할 수 있게 만들어준다. 그리고 지도 제작에 중요한 것은 무수한 시점의 포개짐이고, 그 시점에 의해 수합된 정보의 배치이다. 이상의 글쓰기에는 이러한 지도적 상상력과 배치의 상상력이 작용하고 있다. This study aims to explain the traits of Lee Sang's writing, especially is connected with the mirror related to modern identity and the fundamental split of Lacanian subject. In Lee Sang' s text, the mirror symbolizes his desperation, on the same time symbolizes escapeway from the desperation. This study focuses on the sign of mirror as pure-surface. Because of the feature of mirror which reflects everything, the mirror cannot be represented as pure-surface. But in 〈Crow's eye-view No 7〉(오감도 시제7호), 〈Self-portrait〉(자화상) and others, Lee imagines the mirror and the face as pure-surface. Expecially in 〈Self-portrait〉, Lee identities the face as the void with his face. And this void mirror and void face are a metaphor for the writing board. In other words, the mirror is the generable spot and the face in Lee Sang's text. And the void face is on equal terms the mirror as pure surface. The subject as the void is a cartographer and a typographer. In general 〈Crow's eye-view〉 are comprehended by the bird's eye-view of the architectural imagination. But 'Crow eye-view' have to be comprehended by the cartography that the eliminated object in our world gaze at. The bird's eye-view is outcome of an optical illusion, that is, mistaking the individual view for the whole view. Whereas a map has not a visual point but widespread visual point. The map's visual point is not restored to someone. A bird's eye-view points to the wholeness, on the other hand a map points to not-whole. Through a map we can look at the thing which was excluded by the one visual point of a bird's eye-view. In this context, Lee Sang's 〈Crow's eye-view〉 are in cartographical system. And the focus of cartogtaphy is the overlapping with lots of visual points and the arrangement of informations which gather together by overlapped visual points. In Lee's writing, therefore we must focus on the cartographical imagination and the imagination of arrangement.

      • KCI등재

        일반유아와 장애유아의 운동능력 비교 연구

        김예리 ( Ye Ri Kim ),경숙 ( Kyung Sook Kim ) 한국특수아동학회 2005 특수아동교육연구 Vol.7 No.3

        이 연구에서는 일반유아집단과 장애유아집단간의 기본운동능력 및 지각운동능력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연구대상은 만 5-6세 남아들로서 일반유아 20명과 장애유아 20명이었다. 운동 능력 검사지는 기본운동능력과 지각운동 능력 두 부분으로 구성되었으며 총 73문항을 포함하였다. 연구자와 훈련받은 담임 교사들이 운동능력 검사를 실시하였고 검사결과는 변량분석기법으로 통계 처리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첫째, 기본운동능력의 하위능력인 안정동작, 이동동작, 조작동작 능력 모두에서 장애유아가 일반유아에 비해 상당히 지체되어 있음이 확인되었다. 둘째, 지각운동능력의 하위능력인 신체지각, 공간지각, 방향지각, 속도지각, 무게지각 모두에서 장애유아가 일반유아에 비해 상당히 지체되어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인간발달의 근간이 되는 기본운동능력 및 지각운동능력을 충분히 발달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장애유아들에게 제공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or not there were any gaps between children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in basic motion and perceptual-motor skill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40 preschoolers, who were at the age of 5 in Western age. Out of them, 20 young children attended a regular kindergarten, and the others who attended a special preschool education institute suffered from developmental disorder with no sensory impairments or physical disabilities. The instrument used in this study was composed of 73 items about basic motion and perceptual-motor skills, and for data handling, one-way ANOVA and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were employe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gap between children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in stability motion, movement and manipulative motion skills, which were part of basic motor skills. The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significantly outperformed the disabled children, and this fact signified that basic motion programs should be applied to the disabled preschoolers. Second, there also appeared a significant disparity between the two groups in physical perception, spacial perception, directional perception, speed perception and weight perception, which belonged to perceptual-motor skills. The children without diabilities made a significantly better progress than the disabled children, and this fact indicated that the disabled children were in want of perceptual-motor progra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