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김영주 (金永周, 1920-1995)의 작품 세계 연구 : 추상표현주의로 구현한 신화시대

        이은진 홍익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7

        This paper comprehensively examines the world of Artworks by Kim Young Joo (1920-1995), who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and spread of abstract art in Korean Modern art. Kim Young Joo, an activist who concurrently participated in art criticism and work of art activities, took the lead in the development of Korean modern art by supporting up-and-coming artists while serving as a judge of the National Art Exhibition and other exhibitions at the center of the Korean art criticism since the mid-1950s. In addition, he actively engaged in his own work without being tied to a particular art group or trend. But the reality is that prior research is focused only on his critical activities, and the academic and public attention on his work is not high.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prove that Kim Young Joo is in a meaningful position not only for art-criticism but also for art work in the development and spread of Korean abstract art. In addition, the main purpose was to establish the world of his work, which developed the artist's own style for over 50 years, as a trend of art or tendency. First of all, in order to grasp the background of Kim Young Joo's work, this thesis traced his early life and examined the texts related to contemporary Western art actively written in the mid-1950s. Through this process, it was proved that Kim Young Joo was recognizing contemporary Western art relatively accurately, and that in order to pursue modernity in Korean art, new expressionist formative techniques such as abstract expressionism and Informel should be represented on the screen. Next, by analyzing Kim Young Joo's works closely by time line, this thesis organically looked at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the formative style and theme that appeared in the world of his works. From the mid-1950s to the early 1960s, the narrative human form was implemented based on existentialist humanism. In the 1960s, various abstract forms were tested, including full-screen abstract art, typographical symbols, and geometric abstract art. Since the 1970s, it has returned to the expressionist screen, which is a tradition of Kim Young Joo, and has shown a screen that transplants human figures, shapes, numbers and text symbols into a compartmentalized space. Through this analysis, it was revealed that the characteristics common in Kim Young Joo's work are in lin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abstract expressionism. Based on the analysis of Kim Young Joo's overall work activities, four characteristics of abstract expressionism were extracted from his tendency to work. The first characteristic is the role of Myth-maker. To build a new tradition, Kim Young Joo returned to primitive art, the beginning of mankind, and chose mythology, confirming that his role as a myth maker was first found in abstract expressionists who wanted to create a tradition of American art. The second characteristic is the formative method centered on line drawing based on automatism. In particular, the Plastic automatism technique advocated by Robert Motherwell was able to explain the way Kim Young Joo expressed human figures in line drawing from the beginning. The third characteristic is the expression of a calligraphic abstract sign. It was confirmed that Kim Young Joo's thoughts on tradition, while reversing the calligraphic motifs of artists such as Franz Klein, embodied a calligraphy abstract symbol that constitutes an architectural structure reflecting modernity on the screen. The fourth feature is a symbolized pictographic picture. In the early signs and illustrations of Kim Young Joo and Jackson Pollock's drawing work, the result of conceiving the motif from the primitive art of mankind was confirmed. In addition, it was compared and analyzed that Kim Young Joo's later works and Adolph Gotlieb's pictographic paintings were influenced by Synthetic Cubism, and that symbols representing humanity were placed in a partitioned space. Finally, this thesis attempted to prove that Kim Young Joo has implemented a new era of artist tradition and mythology, including the use of abstract expressionist patterns and subject consciousness, as well as the application of Korean traditional painting materials to Western painting and the transplant of text symbols to the screen. Kim Young Joo's author notes and others have drawn that this all stems from a consistent interest in humans living in an unstable modern era. Therefore, this study provided an opportunity to re-examine on Kim Young Joo's works of art, which was not swept away by the contemporary trend of art, but implements its own abstract screen. Also, this thesis is also meaningful as an attempt to enhance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art by Kim Young Joo, who reflects his ideology and passion for contemporary art in his writings and works based on the spirit of the times in Korean society. 본 논문은 한국 현대미술에서 추상미술의 전개 및 확산에 기여한 김영주(金永周, 1920-1995)의 작품세계를 종합적으로 고찰한 연구이다. 김영주는 미술비평과 작품활동을 동시에 병행한 활동가로서, 1950년대 중반 이후 한국미술 비평계의 중심에서 국전을 비롯한 전람회의 심사위원을 역임하면서 신진 작가들을 지원하는 등 한국의 현대미술 발전에 앞장섰다. 이와 더불어 그는 특정한 미술그룹이나 흐름에 얽매이지 않고 독자적인 작품활동을 활발히 펼쳤다. 그러나 선행연구는 그의 비평 활동에만 치중되어 있으며, 작품에 관한 학계와 대중의 관심도 높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김영주가 한국 추상미술의 전개와 확산에서 비평뿐만 아니라 작품활동으로도 유의미한 자리에 위치하고 있음을 증명하고자 하였다. 더불어 50여 년간 작가 고유의 양식을 전개시킨 그의 작품 세계를 하나의 미술 사조 혹은 경향으로 정립하는 것을 주 목적으로 하였다. 먼저 본 고에서는 김영주의 작품활동의 배경을 파악하기 위해 초기 삶을 추적하고, 1950년대 중반 활발히 작성한 동시대 서구미술 관련 평문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김영주가 당시 동시대 서구미술을 비교적 정확히 인식하고 있었다는 점과, 한국미술에서 현대성을 추구하기 위해 추상표현주의와 앵포르멜과 같은 새로운 표현주의적 조형 기법으로 화면에 재현해야 한다는 주장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김영주의 작품을 시기별로 면밀히 분석함으로써 그의 작품세계에 나타난 조형양식과 주제의식의 형성과 전개를 유기적으로 살펴보았다. 작업 초기인 1950년대 중반부터 1960년까지는 실존주의적 휴머니즘에 입각하여 설화적 인간형을 구현하였다. 1960년대에는 전면 추상화면과 서체적 기호 추상, 기하학적 추상 등 다양한 추상양식을 실험하였다. 1970년대 이후 다시 작가적 전통인 표현주의적 화면으로 복귀하여 이를 심화시켰으며, 인간 형상과 각종 도형, 숫자와 문자 기호 등을 구획된 공간 안에 이식하는 화면을 선보였다. 이를 통해 김영주의 작업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특성이 추상표현주의의 특징과 맞닿아있음을 밝혔다. 김영주의 전체 작품활동을 망라한 분석을 바탕으로 그의 작품 경향에서 추상표현주의의 특징을 네 가지로 추출하였다. 첫째는 신화 창조자로서의 역할이다. 새로운 전통을 구축하기 위해 김영주는 인류의 시작인 원시적 미술로 돌아가서 신화를 선택하였는데, 이러한 신화 창조자로서의 역할이 미국미술만의 전통을 만들려는 추상표현주의자들에게서 먼저 발견됨을 확인하였다. 두 번째 특징은 자동기술법적인 선묘 중심의 조형 방식이다. 특히 로버트 마더웰이 주창한 조형적 자동기술법으로 김영주가 초기부터 인간 형상 등을 선묘로 표현한 방식을 설명할 수 있었다. 세 번째 특징은 서체적 추상 기호의 발현이다. 김영주가 전통에 대한 고민으로 프란츠 클라인과 같은 미술가들의 서예적 모티브를 역으로 수용하면서도 현대성을 반영한 건축적인 구조를 구성하는 서체적 추상 기호를 화면에 구현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네 번째 특징은 기호화된 상형문자 그림이다. 김영주의 초기 표지화 및 삽화 작업과 잭슨 폴록의 드로잉 작업에서 인류의 원시적 미술에서 모티브를 착안한 결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김영주의 후기작업과 아돌프 고틀리브의 상형문자 그림이 종합적 입체주의의 영향을 받았으며, 인류를 상징하는 기호들을 구획된 공간 안에 위치시켰음을 비교,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고는 김영주가 한국미술의 현대성을 추구하기 위하여 추상표현주의 경향의 표현주의적 형상과 주제의식뿐만 아니라 한국화의 재료를 서양화에 접목시키고 문자 기호를 화면에 이식하는 등 새로운 작가적 전통과 신화시대를 구현하였음을 밝혔다. 그리고 이는 모두 불안한 현대를 살아가는 인간을 향한 한결같은 관심에서 비롯되었음을 김영주의 작가노트 등을 통해 도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김영주의 작품세계를 시기별로 망라해 살펴보면서 동시대의 유행하는 미술 사조에 휩쓸리지 않고 자신만의 독자적인 추상 화면을 구현한 김영주의 예술 세계를 재조명하는 기회를 마련하였다. 또한 본 고는 한국사회의 시대정신을 바탕으로 현대미술에 대한 이념과 열정을 평론과 작품에 그대로 반영한 김영주의 미술사적 의의를 제고하는 시도로서 의의를 가진다.

      • 외국인 유학생의 유치 활성화 정책에 관한 연구 : 유입과 관리 단계를 중심으로

        김영주 동아대학교 국제전문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47

        외국인 유학생의 유치 활성화 정책에 관한 연구 -유입과 관리 단계를 중심으로- 국제학과 김영주 지도교수 권채리 인구구조의 변화로 인해 각 대학은 외국인 유학생 유치라는 아주 현실적 이며 절실한 과제를 떠안게 되었다. 외국인 유학생 유치는 대학의 발전뿐 아니라 더 나아가 국가 발전에도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의제로 자리매김 하고 있는바, 각 대학은 지속적이고 실효적인 외국인 유학생 선발 정책들을 끊임없이 고안하며 실행해 오고 있다. 그 결과 2003년에는 12,000명에 그쳤던 유학생 수가 2023년 7월 현재 18만 명을 넘어섰다. 그러나 짧은 시간 성장하는 과정에서 무분별한 선발이 이루어졌고 일부에서는 언어능력이 부족한 학생들이 유입되며 교육의 질적 하락으로 이어졌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령화와 학령인구의 급감으로 일부 대학들이 생존 위기에 직면한 상황에서 유입 및 관리 단계에서의 외국인 유학생 정책을 시기별, 쟁점별 그리고 부처별로 분석하며 문제점과 개선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불법체류 유학생 급증 등 외국인 유학생 유입 증가에 따른 부작용이다. 현재의 정부 정책 및 제도가 외국 유학생 유입에 한계를 보이고 있으 며, 외국인 유학생들의 수도권 쏠림과 졸업 후 취업 연계 부재 등의 문제가 동반되고 있다. 특히, 정책적 보완이 없으면 국가, 대학, 개인 간의 비용 손 실 등 중요한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둘째, 외국인 유학생들의 한국 유학의 선택 동기는 주로 가족이나 지인의 소개에 의존하고 있으며, 국내 인증제 대학교나 정부의 장학금 제 도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점이다. 요컨대 정부의 정책이나 제 도의 영향을 받아 학교를 선택한 경우는 많지 않다. 또한 취업 연계 프로 그램에 대한 정보 부족과 지방대의 참여기회 부족이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셋째, 현재의 정부 지원 정책인 '교육국제화역량인증제'는 중도 탈락률 과 상담률 등 하위 항목에 중점을 두고 있어 유학생의 학업 성장을 적극 적으로 지원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정부, 대학, 지역사회 간의 협력이 필수적이다. 유연하고 지속 가능한 정책을 마련하고, 유학생들의 관리와 중도 이탈 방지를 위한 철저한 지원 및 관리가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 인식에 기초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이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한국어 학습 및 한국문화 습득에 중점을 둔 지원 방안이다. 이를 통해 특정 활동에 우선 혜택을 부여하거나 한국 관련 전공자에게 유학 우선권을 부여하여 유치의 질적 향상을 꾀할 수 있다. 둘째, 국제 학생 이동 추세를 파악하고 전문가를 활용하여 다양한 국가에서 유학생을 유치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중도 이탈 유학생에게 언어 및 경제적 지원을 통해 지속적인 관리가 제공될 것으로 기대된다. 셋째, 한국 유학의 장점을 강조하고 졸업 후에도 한국에서의 활동 영 역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취업 기회를 지원하고 자국에서의 활동 영역을 보장하여 사후 관리를 강화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지역대학과 지역 행정의 협력을 통해 외국 자매도시의 유치를 유도하는 제도적 방안이 필요하다. 한국어 교실 설립 및 유학을 독려하여 지역대학의 유학생 유치와 지역 경제 예비 인력 확보에 기여할 수 있다.

      • Urea 환원제를 이용한 선택적 촉매환원법 특성 연구

        김영주 서울시립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47

        질소산화물을 배출하는 대표적인 시설인 화력발전소에서는 질소산화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대부분은 탈질 효율이 높은 선택적 촉매 환원법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SCR) 설비를 사용 하고 있다. SCR공정에서 사용되는 환원제 무수암모니아나 암모니아수를 사용되고 있는데, 무수암모니아는 폭발성, 유독성 고압가스로, 폭발할 경우 발전설비 및 인명에 치명적인 피해를 주는 대형 사고를 일으킬 수 있는 물질이며, 암모니아수도 대표적인 악취 물질로서 누출 시에 악취 발생 및 인명 피해가 심각하게 야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SCR설비에 환원제를 무수암모니아에서 요소수(Urea Solution)로 교체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며 기존 화력발전소 배가스 조건에서 요소수로 환원제를 교체하는데 필요한 최적의 조건을 도출하였다. Urea의 변수별 SCR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유입 가스의 조건은 기존 화력발전소의 SCR에 유입되는 배가스 조건과 동일하게 설정되었고 환원제인 Urea는 물에 녹여 정량펌프로 공급하였다. 실험에 쓰인 Urea는 1%농도의 수용액을 사용하였으며 온도(260 ~ 380℃), 표준당량비(NSR : Normalized Stoichiometric Ratio 0.8 ~ 1.4), 열분해 온도(350, 380℃)에 따른 질소산화물(NOx)의 저감변화를 측정하였으며 배출가스의 농도는 Gas analyzer(GleenLine 9000, Eurotron Co. ltd, Italy)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260℃에서는 NSR 0.8에서 1.4까지 NOx 저감율이 모두 55% 이하인 반면 260℃에서 290℃까지의 범위에서는 NOx 저감율이 대폭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290 ~ 350℃까지는 점진적으로 증가하였으며 350℃ 이상의 온도에서는 다소 둔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온도에 따른 NSR별 특성은 비슷한 경향의 NOx 저감율을 나타냈으며 화력발전소의 SCR공정 설계보증치인 80% 수준을 만족하는 조건은 290℃일 때 NSR 1.4, 320℃이상에서는 NSR 1.0 이상의 조건으로 나타났다. 낮은 배가스 온도에 대비해 Urea를 350℃와 380℃로 열분해하여 주입하는 조건으로 290 ~ 380℃까지 30℃씩 SCR Reactor의 온도를 증가시키며 실험한 결과 SCR Reactor 320℃ 조건에서는 Urea를 350℃ 이상의 온도로 열분해하여 주입하였을 때 NH3와 거의 동일한 NOx 저감효율을 보였다. 또한 Urea를 350℃ 이상에서 열분해하여 주입하였을 때에는 SCR Reactor 320℃에서도 NOx 저감율 80%이상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Urea를 환원제로 사용하여 기존 NH3 SCR을 사용하는 화력발전소의 설계보증치인 80%수준을 만족하는 조건은 350℃ 이상의 배가스 온도와 NSR 1.2이상의 조건이며, 배가스 온도가 320℃ 이하에서는 Urea 열분해 장치를 350℃ 이상으로 설치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290℃ 이하 일 때는 Urea를 환원제로 적용하는 것은 어려울 것으로 사료된다 Most thermoelectric power plants, the representative facility that emits oxides, are using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SCR) facility showing denitrification efficiency among facilities for removing nitrogen oxides. Anhydrous ammonia or ammonia water used in the SCR process is used as a reducing agent and anhydrous ammonia is an explosive, toxic high-pressure gas and is a substance which may cause a fatal large accident for power plants and life if exploded and ammonia water is also a representative odorant and odor occurrence and casualties will be serious when leaked. Therefore, in order to provide basic data for replacing the reducing agent used in conventional SCR facilities from anhydrous ammonia to Urea-aqueous Solution, this study is to derive the optimal conditions required to replace a reducing agent with Urea in conventional thermal power plant flue gas conditions. In order to examine the SCR characteristics by variable of Urea, inlet gas was used in the same conditions as those of flue gas flowing into SCR of existing thermal power plants and Urea, a reducing agent, was dissolved in water and fed into the volumetric pump. Urea used in the experiment used an aqueous solution of 1% concentration and concentration of the exhaust gas and reduction rate of nitrogen oxides(NOx) depending on temperature(260 ~ 380℃), Normalized Stoichiometric Ratio(NSR 0.8 ~ 1.4), preheater temperature(350℃, 380℃) were measured by using Gas analyzer(GleenLine 9000, Eurotron Co. ltd, Italy). It was found that NOx reduction rate is less than 55% from NSR 0.8 to 1.4 at 260℃ while NOx reduction rate has been significantly increased at 260 ~ 290℃. It was also found that it has gradually increased up to 290 ~ 350℃ and slowed down at the temperature of more than 350℃. Generally, NSR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the temperature showed NOx reduction rate of a similar trend and the conditions satisfying a 80% level, the SCR process design assured value of thermal power plants turned out to be NSR 1.4, more than 320℃, more than NSR 1 when 290℃.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while increasing temperature of SCR Reactor by 30℃ from 290℃ to 380℃ under the condition of pyrolyzing Urea at 350℃, 380℃ and then injecting it in case of low flue gas temperature and as a result, when pyrolyzing Urea at more than 350 ℃ temperature and injecting it under the condition of SCR Reactor 320℃, it showed NOx reduction efficiency almost the same as NH3 and when pyrolyzing Urea at more than 350℃ and then injecting it, more than 80% of NOx reduction rate was found to be satisfactory even at SCR Reactor 320 ℃. Based on the above results, it is considered that the condition satisfying a 80% level, the design assured value of thermal power plants using existing NH3 SCR by using Urea as the reducing agent is the condition of more than NSR 1.2 under the condition of flue gas at more than 350℃ and Urea pyrolysis device of more than 350℃ should be installed at the temperature of less than 320℃. In addition, when the flue gas temperature is less than 290℃, it may be difficult to apply Urea as the reducing agent.

      • 커뮤니티아트 활동에서 나타나는 창발현상에 의한 공진화 효과 연구 : 복잡계이론을 기반으로

        김영주 추계예술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47

        우리사회는 산업화 이후, 고도 성장기를 거치면서 인구의 도시 집중 현상으로 야기된 신·구 주민 간의 문제 발생과 농촌사회의 생산구조 변화를 겪어 왔다. 이 러한 과정 속에서 우리사회는 공동체가 파괴되고, 소외감과 불안감이 증폭되고 있는 현실에 직면하게 되었다. 인간의 탄생과 함께 시작된 공동체는 산업혁명 이 후, 산업화와 도시화의 물결 속에서 그 가치를 점점 잃어가고 있다. 이는 물질만 능주의적 사고와 비인간화적 성향이 인간 관계를 단절시키고, 치열한 경쟁과 투 쟁의 관계로 바꿔버렸다. 이러한 상황에서 지역사회의 공동체성 회복과 지역사회 발전을 위한 전략적 대안으로 ‘커뮤니티아트(community art)’에 대한 관심이 모 아지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흐름에서 본 연구는 커뮤니티아트가 실질적으로 개인과 지역사 회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관심에서부터 시작되었다. 산업화 이후 공동 체의 회복과 공동체예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커뮤니티아트에 대한 관심과 연구도 증가하고 있다. 또한 최근 예술의 효과나 예술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예술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 즉, 예술의 사회적 자본, 문화적 자본, 경제적 자본 등의 다양한 효과검정 연구들이 쏟아지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국내 연구들이 결과론적 내용만을 다루거나 연구방법도 정량적 또는 정성적 연구방법의 단편적인 방법만을 선택하여 다루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본 연구는 기존 연구들과 달리, 커뮤니티아트 활동에서 발견되는 ‘창발 현상’을 발견해서 소개함으로써 커뮤니티아트만이 갖는 특성을 밝히고, 지역사 회 발전 의식 향상을 위해 커뮤니티아트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각인시키고자 하 였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을 기반으로 한 커뮤니티아트 활동에서 창발현 상을 발견하여 커뮤니티아트에 대한 새로운 효과분석으로, 지역주민 개인과 지 역사회가 함께 발전할 수 있는 공진화의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서울 성미산마을’과 ‘대구 물베기마을’, ‘부산 감천문화마을’을 대상 으로 심층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각 사례는 복잡계의 틀에 의해 ‘커뮤니티아트 구축기-자기조직화 과정의 관계 형성기-임계점-피드백루프에 의한 창발기- 공진화 발전기’의 5단계로 구분하여 커뮤니티아트 활동과정을 분석·정리하였다. 이때, 본 연구의 핵심키워드인 ‘창발현상’으로 나타난 사건이나 현상을 찾아내기 위해 개인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여 자세하게 기록·정리하였다. 그리고 공진화 여 부를 파악하기 위해 커뮤니티아트 활동의 참여자와 비참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 사를 실시하였다. 설문결과는 ‘개인의 발전’과 ‘지역사회의 발전의식’에 대한 공 진화의 가설검정을 위해 SPSS 통계분석을 통해 검정·확인하였다. 결국, 본 연구는 커뮤니티아트의 활동에서 나타나는 창발현상에 의해 개인과 지역사회가 공진화를 이루고 있는지 파악하고, 공진화의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해 혼합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였다. 커뮤니티아트에서 나타나는 창발현상에 의한 공 진화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커뮤니티아트 활동의 과정을 면밀하게 살펴야 하기에 정성적인 연구방법이 적합하다고 판단했다. 그리고 사례연구를 통해 발견된 창발 현상이 실질적으로 공진화를 이루고 있는지에 대한 객관적 시각과 자료 확보를 위해서 정량적 연구로 보완하였다. 본 연구의 사례로 선정한 대구 물베기마을과 서울 성미산마을, 부산 감천문화 마을을의 커뮤니티아트 활동을 복잡계이론을 기반으로 공진화 유형별로 분석하 였다. 그 결과, 대구 물베기마을은 협력적·이타적 공진화 유형으로 구분하여 연구 하였다. 대구 물베기마을은 예술로 소통하며 내·외부와의 관계 형성이 협조적이고 개방적인 것으로 분석된다. 그러므로 커뮤니티아트 간에도 장르와 상관없이 교류가 활발하고, 서로 상호작용을 통해 관계 형성이 좋은 편이다. 또한 서로에게 협조적이고 이타적인 면을 발견할 수 있었다. 서울 성미산마을은 착취적 공진화 유형으로 구분하였는데, 외부로부터의 커뮤 니티를 지켜야 하는 사건(성미산 개발 계획, 카페 작은나무 등)으로 인해 다소 외부와의 관계가 폐쇄적인 편이지만, 내부의 커뮤니티는 상당히 단단한 결속력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러한 결속력으로 인해 공동체의식과 지역 애착 도가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마을 내의 행사나 활동에 대해서도 자발적이고 자율적인 참여가 눈에 띄게 드러났다. 부산 감천문화마을은 사업공모 형태의 미술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는 사례로, 경쟁적 공진화로 분류하였다. 이 사례는 대부분 공모 형태의 지원사업으로 운영 되는 커뮤니티아트로, 외부 관광객 유치를 위한 전략적 마을만들기로, 몇 년 사이 관광객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외부와의 관계가 매우 개방적인 이고, 커뮤니티아트의 참여 방식도 오픈체험 형태이거나 지역주민의 참여를 유도 하는 프로젝트로 운영되고 있다. 그러나 인터뷰 결과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는 적극적 Our society has undergone conflicts between old and new residents caused by population concentration into cities and structural transformation of production system in rural society over the period of rapid growth since it was industrialized. In that process, we have faced the destruction of communities and increased isolation and anxiety. Community that started with the birth of human beings has lost its value in the midst of the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Materialism and dehumanization disconnected the relations between humans and changed them into competition and struggles instead. Under such circumstances, the strategic action called “Community Arts” has got spotlight as an alternative way for the recovery of true community spirit and developmen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how the community arts can actually affect the individuals and local community. As the interest on recovering the communities and Art community life have been on the increase since industrialization, the interest and studies on community arts have increased accordingly. In addition, with recently increasing interest in effects of arts on society, a lot of studies have been made on how to test the effects such as social capital, cultural capital, and economical capital of arts on society. However, most studies have limitation because they only deal with conclusive contents or are limited to piecemeal methods of qualitative or quantitative researches. Unlike previous researches, this study is designe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arts by introducing 'emergent behaviors' in community arts and tries to put emphasis on its necessity and significance to improve consciousness of the community development.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emergent behaviors in community arts based on the community and analyze the effect of them on the community arts in a way to find out the chance of coevolution for the development of both the individual and the community together. This study made in-depth researches on the cases such as ‘Sungmisan Maeul, Seoul’, ‘Mulbeggi Maeul, Daegu’, and ‘Gamcheon Cultural Maeul, Busan’. Each case has been analyzed by classifying it into 5 phases; 1) Build-up period of community arts – 2) relation formative period in the self-organizing process – 3) critical points period - 4) emergent period by feedback loop and 5) coevolutionary period. For the identification of emergent events and behaviors which are the key words in this study,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and kept in details. In addition, for the understanding on whether there was coevolution, questionnaire research has been made to the participants and non-participants in the community art activities.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have been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the SPSS to test whether there is coevolution in the individual development and the community development consciousness. This study aims to identify coevolution on individuals and the community caused by emergent behaviors through activities of community arts. To assure objectivity of coevolution,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s were used. Qualitative method was adopted to closely observe the process of community arts activities. Quantitative research was adopted to get objective views and resources for the case studies in order to identify whether the emergent behaviors actually accomplish the practical coevolution. This study analyzed cases of ‘Mulbeggi Maeul, Daegu’, ‘Sungmisan Maeul, Seoul’, and ‘Gamcheon Cultural Maeul, Busan’ according to the coevolution types based on the complex theory. As a result, the followings have been found out; Mulbeggi Maeul in Daegu is the collaborative and altruistic coevolution type; people in Mulbeggi Maeul in Daegu communicate through arts. Mulbeggi Maeul is the collaborative and open community type; exchange between community arts is active regardless of its genre and good relations are formed through interaction. Additionally, it was found that the people are collaborative and altruistic to each other. Sungmisan Maeul in Seoul is classified into exploitive coevolution type. Though it is a little disconnected from outside as it went through some external pressure such as Sungmisan Development Plan and cafe Little tree and had to protect themselves, it has relatively solid internal bond. Due to this bond, the people in the community have high degree of communal sense and attachment to the community. Therefore, the local people make voluntary participation in the community activities and events. In case of Gamcheon Cultural Maeul in Busan which performs arts project in the form of public open participation, it is classified into the competitive coevolution. In this case, as the project is conducted in the open way and a lot of efforts have been made to attract tourists, the number of tourists visiting the community has dramatically increased over the past few years. Therefore, the community is very open to the outside and is operated in experience forms or projects through participation of local people. However, interviews showed that there were some conflicts between active participators and non-participators. The research on the analysis of the coevolution of the community arts activities by the participators through questionnaires showed that 77.2% of participators answered that they are 'happy', and 88.5% showed interest on the local issues. This shows that the active participants in the community arts reported higher happiness and interest compared to the happiness(45.1%) and interest in the local issues(29.0%) of non-participators. It is interpreted that community arts participators are happier and more attached to the community. In addition to this, 74.2% of participators in community arts answered it was voluntary and 95.5% answered that the individual and the region are devel

      • FM방송의 인터넷 동호회에 나타난 스타없는 팬덤

        김영주 慶北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7647

        Recent media environment along with spread of Internet has brought new change in acceptance of popular culture. Compared to previous fan club with limited teens' participation, the fandom today through the intermediation of Internet has widened the range of enjoying popular culture. Because this new fandom has established itself as a space where many people from various social stratums can express and share their interest and affection in preferable one without limitation of time and plac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socio-cultural signification of fandom phenomenon with two sub-researches. The one is to investigate the feature of exclusive text use, fandom contains, through an Internet community board of a radio program that was set up and is being run by fans voluntarily. The other is to analyze what people want through offline gathering activities that are practiced by fandom community.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were two Internet communities of <Kim Young Joo's FM morning show> and <Lee Dae Hee's Golden Disc> at Daegu MBC radio. The researcher used two ethnography approaches supplementarily for the study. That is, the researcher collected data on questionaries that are hard to figure out from analyzing the board such as members' socio-economic background, motivation for joining and degree of satisfaction through self-described on-line survey, conducted from on April 19, 2004 to on April 27, while analyzing community members' writings on the online board. The findings are as follows : As previous studies presented, the way internet community enjoys radio program shows decontextual and extracting-enjoying feature. Their main topics of conversation are not program host, guest or broadcasted text itself on that day but community member's story and participation on the program. Fans are creating new meaning through active participation in program community as well as enjoying released programs as individual. Moreover, the fandom with programs as the central figure not having personal contact with hosts mainly aims to form community with others who have common taste and share various activities, whilst the fandom with stars as the central figure aims to share information about stars and express affection actively. On the other hand, fans who login and write on program community board seems to accept the program more concretely and actively than ordinary audiences. However, joint feeling which was generated through various events and gatherings they have together, without direct interaction with fandom object, seemed to form a certain group identity beyond the intermediation such as program or the host. main body of cultural practice are found in broadcasting program community. Previous features of fandom, an articulation and distinction are also found in this study as the subject of cultural practice. However, fandom members are satisfied with their activities and social relationship, where they can be main core. And further, they became confident of their social lives through those activity, which are beyond chasing after stars. Hence, the result of this study illustrates that fandom activity itself have much more meaning than maintaining relationship with stars. This shows that recent fandom is switching over from one of cultural symptoms to cultural entity, refusing uniformed subordinate relationship between stars and fans, and practicing voluntary cultural activities. In addition, fandom suggests the possibility of new alternative community of a kind in mass society supplementing problems of real community. Meanwhile, this research found that there was no connection between fandom object's gender and fandom symptom. To experience in sharing the same story and emotion about the object is more meaningful rather than the object itself. These days, communication experience with fan club companions is invaluable since community is becoming a important medium for having social relationship. From this point of view, fandom object can be regarded as just a tool in name only. Fans get entertainment consuming given text though, rather than that, they are seeking new pleasure creating and sharing new cultural outcome within fan community. In some sense, this could be called a star-less fandom. This shows that Fiske's claim that fandom is associated with cultural taste of subordinate people with no social authority is not appropriate to explain recent fandom phenomenon outstanding in online activities. Fandom can not be dealt as self-satisfaction or social pathology phenomenon any more. Fandom without star is an example that shows possibility of fandom as an alternative community.

      • Endermologie를 이용한 관리가 얼굴 피부처짐에 미치는 영향

        김영주 건국대학교 산업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endermologie를 이용한 관리가 얼굴 피부처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실험하였다. 얼굴의 리프팅 효과를 실험하고자 Endermlogie를 경험하지 않은 30∼40대 여성 8명을 선정하여 왼쪽 얼굴을 대조군, 오른쪽 얼굴을 실험군으로 정하고 1주일에 2번씩 4주 동안 8회 Cellu M6 keymodule endermologie장비가 있는 피부관리실을 방문하여 양쪽 얼굴에 동일한 클렌징과 토너로 처치를 한 후 endermologie를 오른쪽 얼굴에 15분 동안 실시하였다. 대조군은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고 실험군과 동일한 환경에서 방치하였다. 0주, 2주, 4주에 동일한 장소에서 Antera 3D®를 측정하였다. Endermologie 사용 후 피부 함몰 부피인 Depressions large값 전, 후 비교에서 대조군은 실험 전 185.96±48.01에서 실험2주 후 188.54±45.59로 나타났으며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의미는 나타나지 않으나 실험군에서는 실험 전 190.47±40.59에서 실험 2주후 176.93±36.92으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의미가 나타났다(p<.042). 실험군의 피부의 함몰된 부피를 나타내는 Depressions large값 개선율(%)이 7.11%로 2주후 7.11%가 감소되는 변화를 나타내었다. Endermolift 사용 후 피부함몰 부피인 Depressions large값 전, 후 비교에서 대조군은 실험 전 185.96±48.01에서 실험4주 후 192.09±74.76로 나타났으며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의미는 나타나지 않으나 실험군에서는 실험 전 190.47±40.59에서 실험 4주후 158.69±35.89으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의미가 나타났다(p<.044). 실험군의 피부의 함몰된 부피를 나타내는 Depressions large값 개선율(%)이 16.69%로 4주후 16.69%가 감소되는 변화를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서 endermologie를 이용한 관리가 얼굴 피부 처짐에 효과적임을 입증하였다.

      • 영재지도교사와 일반교사의 인식론적 신념 비교

        김영주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급 및 영재교육경험 유무에 따른 교사의 인식론적 신념을 비교하는 연구를 통해, 초․중등 영재지도교사와 일반교사가 가진 인식론적 신념의 특징과 차이를 알아보는 것이다. 영재지도교사와 일반교사의 인식론적 신념 측정 결과를 인식론적 신념 수준과 내용의 양차원에서 복합적으로 분석한 후에, 분석 결과를 토대로 영재지도교사의 지식관, 교수-학습관을 더 세련된 방향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영재교육정책 마련을 위한 기초로 삼고 나아가 영재지도교사의 질관리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선정한 연구 대상은 경기․서울․대전․강원․충청북도의 초․중등교사 231명이며, 2016년 8월 예비검사를 실시하고 9월부터 10월까지 온라인 설문지로 검사를 진행하였다. 영재지도교사는 영재교육 기초연수를 이수하고 1년 이상의 영재교육 경력이 있는 교사로 한정하였고, 일반교사는 영재교육경력이 1년 미만이거나 없는 교사로 지정하였다. 검사 도구는 인식론적 신념 척도 SOPE(박병기, 채선영, 2006)를 사용하였다. 검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초등 영재지도교사는 중등 영재지도교사에 비해 ‘소박한 인식론적 신념’인 ‘단순한 지식’ 항목에서 수치가 낮게 나타났고, ‘세련된 인식론적 신념’인 ‘잠정적 지식’과 ‘개인의 비판적 판단’ 항목에서 유의미하게 높았다. 중등 영재지도교사는 중등 일반교사와 비교하여 ‘세련된 인식론적 신념’인 ‘개인의 합리적 작업’, ‘점진적 과정’ 항목에서 유의미하게 낮았다. 결과적으로 초등 영재지도교사와 초등 일반교사, 중등 일반교사는 서로 비슷한 수준의 인식론적 신념을 가지고 있고, 중등 영재지도교사는 다른 세 집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의 신념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현재의 영재연수, 영재교육정책 등 제반 여건이 영재지도교사의 인식론적 신념을 보다 더 세련된 방향으로 이끌어 주는데 제 역할을 다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초등 영재지도교사의 인식론적 신념 수준이 일반교사에 비해 높지 않은 것과 중등 영재지도교사의 인식론적 신념 수준이 다른 세 집단에 비해 낮은 것에 대하여 현재의 영재교육에 대한 지원이 학교급에 따라 적절하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교육정책과 교사의 현장 상황을 정확히 진단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 결과는 영재지도교사들이 자신의 전문성을 신장시킬 수 있도록 바람직한 교육풍토, 교육여건 조성 및 다양한 행정적 지원이 요구되며, 인식론적 신념 수준을 끌어올릴 수 있는 교육내용으로 구성된 기초․심화연수를 확대하여 실시하여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cognize difference in epistemological beliefs between teachers of the gifted and general teacher of th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31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 Teacher of the gifted students has completed basic training for the gifted students and has over one year teaching experience of the gifted students, data was collected using the questionnaires of SOPE(Scale of Personal Epistemology). The result of this sutdy are as follows. The value of ‘Simple Konwledge’ level was significantly lower and ‘Tentative Knowledge’ and ‘Acceptance by Personal Critical Judgment’ level was significantly higer in elementary school teachers of the gifted than in middle school teachers of the gifted. The value of ‘Rational Work of Personal’ and ‘Progressive Learning’ level was significantly lower in middle school teachers of the gifted than in middle school teachers of general students. As a result middle school teachers of the gifted have relatively low levels of beliefs compared to other three groups. Other three groups have similar levels of beliefs. These findings imply that the current system such as training for teachers of the gifted, educational policy for gifted students can not lead to a more sophisticated direction. also educational policy and situation in the education system need to be diagnosed whether education for the gifted is properly supported according to school grades. This results suggest that education conditions and administrative support should expand for the expertise enhancement of the gifted education. Basic and deepening training for teachers of the gifted should expand, which can be raised level of epistemological beliefs. key words : epistemological beliefs, naive epistemic beliefs, sophisticated epistemic beliefs, elementary school teachers of the gifted, middle school teachers of the gifted, teachers of general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