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신동엽 서정 단시의 어조 연구

        김영연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신동엽의 시를 ‘어조’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어조’ 연구는 기존의 신동엽 시 연구가 주로 외재적 접근에 의해 이루어짐으로써 작품 자체에 집중하지 못한 한계를 극복하고, 비유적 언어보다는 직정적 언어를 주로 사용한 신동엽 시의 특성상 시의 본질을 밝히는 데 매우 효과적이라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특히 본고에서는 신동엽 시세계의 특징 중 ‘우리를 형성하는 힘이 있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어조’ 연구를 통해 ‘우리’를 형성하는 힘으로 작용하는 내재적 구조 및 특유의 형식을 추적함으로써, ‘우리를 형성하는 힘’의 근원을 밝히는 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그리고 다수의 다양한 시를 각 유형에 따라 균형 있게 다루기 위해 신동엽 시의 원형으로 생각되는 신동엽전집(2002)과 미발표시집 꽃같이 그대 쓰러진(1988)에 수록된 서정 단시(短詩)를 연구 대상으로 한다. 본고는 시를 일종의 담화체계로 전제한 후, 언어의 기능적 측면을 고려하여 어조를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했다. 이는 뷜러(Buhler), 야콥슨(R. Jakobson)의 ‘언어전달체계 이론’과, 김준오가 제시한 ‘어조 유형’을 참고한 것이다. 시의 언어 전달이 화자, 청자, 화제 중 어느 요소를 강조하느냐에 따라 ‘화자지향적 어조’, ‘청자지향적 어조’, ‘화제지향적 어조’의 시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화자지향적 어조’는 자아를 향한 내면의 목소리이다. 신동엽 시의 ‘화자지향적 어조’는 자아의 성격에 따라 ‘개인적 자아를 향한 화자지향적 어조’와 ‘사회?역사적 자아를 향한 화자지향적 어조’로 세분화할 수 있다. 전자의 시에는 인간 보편적 정서를 다루되 그들을 향한 애정 및 겸손과 희생의 자세를 다짐하는 차분한 목소리와, 비본질적 요소를 제거함으로써 본질적 자아를 벼리려는 날카로운 목소리를 발견할 수 있다. 후자의 시에서는 남북 분단, 6?25전쟁, 가난 등 구체적인 사회?역사적 상황 속에서 느끼는 화자의 민족 정서, 내면적 염원과 다짐을 드러내는 차분한 목소리와, 사회?역사적 상황과 관련한 자아의 감정을 강하게 표출하는 치열한 목소리가 있다. ‘화자지향적 어조’는 표면적으로는 자신을 향한 독백과도 같아서 발화가 밖으로 퍼져나가지 않고 원점으로 회귀되고 마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화자(시인)의 입장에서는 감정 정화 및 성찰과 내적 다짐을, 독자의 입장에서는 자신을 화자에 투사함으로써 화자(시인)와 같은 정서적 울림을 경험하게 한다. 특히 신동엽의 ‘사회?역사적 자아를 향한 화자지향적 어조’는 동일한 사회?역사적 경험을 공유한 독자를 화자(시인)의 내면 속으로 끌어들여 독자와 화자(시인)를 ‘우리’로 묶어 내는 간접적 영향력을 행사한다. 또한 ‘개인적 자아를 향한 화자지향적 어조’도 외재적 접근 방법을 활용하면 ‘사회?역사적 자아를 향한 화자지향적 어조’로 재해석되어 동일한 영향력을 행사하게 된다. 이처럼 신동엽 시의 ‘화자지향적 어조’는 청자를 향해 힘껏 발화할 수 있도록 ‘우리’ 형성의 기반이 되는 내면을 구축하는 목소리이다. 둘째, ‘청자지향적 어조’는 화자가 청자를 향해 발화하는 목소리이다. 신동엽 시의 ‘청자지향적 어조’는 청자의 성격에 따라 크게 ‘부정적 청자를 향한 청자지향적 어조’와 ‘긍정적 청자를 향한 청자지향적 어조’로 세분화할 수 있다. 청자가 외세, 봉건체제, 근대문명 등 부정적인 대상일 경우에는 화자는 청자를 ‘우리’ 밖으로 분리 제거하려는 거부의 거친 목소리를 낸다. 반면, 청자가 민중 등 긍정적인 대상일 경우에는 화자는 청자를 ‘우리’ 안으로 결속시켜 지향점을 향해 동참하도록 설득하는 부드러운 목소리와, 확신을 심어주려는 단정적인 목소리를 낸다. 이는 철저하게 비본질적인 껍데기를 ‘우리’ 안에서 제거하고, 본질적인 알맹이로만 ‘우리’를 강화하려는 화자의 의지가 발현된 것이다. ‘청자지향적 어조’의 시에서는 쉬운 단어 사용, 반복 제시, 선언적 진술, 호격, 명령 또는 청유 등의 평이한 발화 형식을 취한다. 이는 시적 기교를 최소화하여 담화의 선명도를 높임으로써 청자를 향한 화자의 영향력을 극대화하려는 의도의 결과이다. 특히 극단적 이분법과 선언적 진술 등으로 이루어진 ‘청자지향적 어조’는 사고를 경직시키고 미적 거리를 확보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으나, 부정적 청자를 적극적으로 배제하고 ‘화자(시인)와 긍정적 청자(독자)’를 확고한 ‘우리’로 결속시키는 힘을 발휘한다. 셋째, ‘화제지향적 어조’는 화자나 청자보다 화제에 초점을 두고 발화하는 목소리이다. 일반적으로 ‘화제지향적 어조’는 화자가 객관적 입장에서 화제( context : 맥락)를 제시하고 화자와 청자는 문면의 뒤로 빠져나와 있는 형태이다. 그러나 신동엽의 시에서는 엄격한 의미의 ‘화자와 거리를 둔 화제지향적 어조’를 찾기는 어렵다. 이 유형의 신동엽 시는 대부분 ‘화자와 밀착된 화제지향적 어조’를 보인다. 담화체계는 분명 화제를 강조하고 있기는 하나, 과도한 구체적 상황의 제시, 대조를 통한 시인의 의도 암시, 역사적 실존 인물 또는 민중의 전형 등장, 인칭대명사 ‘우리’의 사용 등의 방법을 동원하여 시 속에 화자(시인)의 의도를 개입하려는 경향이 드러난다. 이 유형의 시에서 다뤄진 화제는 제국주의의 팽창, 피폐한 산업사회의 모습, 아나키즘적 이상세계, 조국통일 등이다. ‘화자와 밀착된 화제지향적 어조’는 독자의 상상력을 제한하고 미적 거리를 확보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으나, ‘화자(시인)와 청자(독자)’를 공동체적 인식을 가진 ‘우리’로 결속시키는 힘이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신동엽 시의 어조는 ‘우리를 형성하는 힘’을 지닌다. ‘화자지향적 어조’가 밖을 향해 힘껏 발화할 수 있도록 ‘우리’ 형성의 기반이 되는 내면을 구축하는 목소리라면, ‘청자지향적 어조’는 견고한 내면을 바탕으로 청자를 향해 발화함으로써 알맹이만으로 이루어진 정제된 ‘우리’를 형성하는 외적 발화의 목소리이다. 그리고 ‘화자와 밀착된 화제지향적 어조’는 공동체적 인식 위에 견고한 ‘우리’가 확대되도록 이야기하는 목소리이다. 즉 신동엽 시는 다양한 어조를 통해 ‘우리’를 구축하는 특징을 지닌다. This study analyzed Sin Dong-yeob''s poems in the tone aspect. Because I thought a tone study was very effective in escaping from the restriction not allowing the existing studies on Sin Dong-yeob''s poems to focus on the works themselves due to the studies mostly being made by an external access and in clarifying the essence of Sin Dong-yeob''s poems by the nature of the poems in which not metaphorical language but frank language is mostly used. Especially, in this thesis, I noted that there exists a power forming ''us'' among the nature of Sin Dong-yeob''s poems. Accordingly, this study is intended to find the source of ''the power forming us'' by looking into the intrinsic structure and peculiar forms that act as the power forming ''us'' through a tone study. In addition, to evenly handle a variety of poems according to each type, this study was conducted on the lyric short poems included inSin dong-yeob''s collection(2002) considered the prototype of the poems and Fallen you like a flower(1988), an unpublished collected poems. In the thesis, assuming poems to be a kind of discourse system, tones we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in view of the functional aspect of language. This referred to ''Language transmission system theory'' by Buhler and R. Jakobson and ''Tone type'' proposed by Kim Jun-o. An analysis was made after classifying poems into ''Addresser-centering tone poem'', ''Addressee-centering tone poem'' and ''Context-centering tone poem'' in accordance with what element in language transmission of poems was stressed among the addresser, the addressee and the context. First, ‘Addresser-centering tone’ is a voice toward self. ''Addresser- centering tone'' of Sin Dong-yeob''s poems can be classified into ''Addresser-centering tone toward personal self'' and ''Addresser-centering tone toward social?historical self'' in accordance with the nature of self. The poems of the former represent universal human emotions and contain a calm voice which shows an affection for such emotions and an attitude of modesty and sacrifice and a sharp voice which pursues essential self by removing unessential elements. In the meantime, in the poems of the latter, there are a calm voice which represents the racial emotion and internal dearest wish and decision the addresser feels under a detailed social?historical environment such as South-North division, the Korean War, poverty, etc. and a intense voice which strongly represents self-emotion related to social?historical situation. ‘Addresser-centering tone'' is superficially like a monologue toward himself, so it seems that the tone doesn''t spread outside and just returns to its original point. But, the tone gives the addresser(poet) emotional purification, reflection and internal decision and allows the reader to experience the same emotional sympathy as do the addresser(poet) by having him project himself on the addresser. Especially, Sin Dong-yeob''s ''Addresser-centering tone toward social?historical self’ exerts indirect influence that combines the reader and the addresser(poet) into ''us'' by having the reader who experiences the same social?historical situation come into the inside of the addresser(poet). Also, it is likely that if an external access is utilized, ''Addresser-centering tone toward personal self'' is re-interpreted as ''Addresser-centering tone toward social?historical self'' and thus exerts the same influence. Like this, ''Addresser-centering tone of Sin Dong-yeob''s poems is a voice establishing the inside that constitutes the basis for forming ''us'' so that the addresser may shout strongly to the addressee. Second, ‘Addressee-centering tone'' is a voice by which the addresser shouts to the addressee. Sin Dong-yeob''s ''Addressee-centering tone'' can be largely classified into ''Addressee-centering tone toward a negative addressee'' and ''Addressee-centering tone toward a positive addressee'' in accordance with the nature of the addressee. In case the addressee is a negative subject such as foreign influence, feudalism, modern civilization, etc., the addresser makes a strong and negative voice to separate and remove the addressee from ''us''. On the contrary, if the addressee is a positive subject such as the masses, the addresser makes a soft voice to combine the addressee with ''us'', inducing it to go together with ''us'' toward the same goals and also makes a definite voice to carry conviction. This is caused by the addresser''s intent to thoroughly remove an unessential element from ''us'' and strengthen ''us'' with only the substance. Poems of ‘Addressee-centering tone’ take an ordinary representation form such as the use of easy words, repetitive suggestions, declarative statement, the vocative case, and order or persuasion. This results from the addresser''s intent to maximize its influence upon the addressee by minimizing poetic technique and thus raising definition of discourse. Especially, ''Addressee-centering tone'' composed of extreme dichotomy, declarative statement, etc. tends to stiffen thought and fails to secure aesthetic distance, but exerts a power to actively remove the negative addressee and to strongly unite ''the addresser(poet) and the positive addressee(reader) into ''us''. Third, ‘Context-centering tone’ is a voice more focused on context than the addresser or the addressee. Usually, ''Context-centering tone'' is a type by which the addresser suggests context from the objective standpoint and the addresser and the addressee withdraw from the contents of the context. But, in a strict meaning, it is difficult to find ''Context-centering tone distant from the addresser'' in Sin Dong-yeob''s poems. This type of Sin Dong-yeob''s poems mostly shows ''Context-centering tone closely related to the addresser''. Discourse system clearly stresses the context, but tends to insert the addresser(poet)''s intent into poems by suggesting poet''s intent through representation of excessively detailed situations and contrasts, appearance of a historic figure or the typical masses and the use of a personal pronoun ''us''. The contexts handled in this type of poems include expansion of imperialism, a shape of ruined industrial society, an anarchic ideal world, unification of the fatherland, etc. ‘Context-centering tone closely related to the addresser'' has a defect that restricts the imaginative power of the reader and doesn''t secure aesthetic distance but, exerts a power to unite ''the addresser(poet) and the addressee(reader)'' into ''us'' having communal recognition. As above described, Sin Dong-yeob''s tone has a power forming ''us''. ''Addresser-centering tone'' is a voice that establishes the inside, a base of forming ''us'', so that we may advance toward the outside, while ''Addressee-centering tone'' is the outside-oriented voice forming refined ''us'' only composed of substance by appealing to the addressee on the basis of the solid inside. And ''Context-centering tone closely related to the addresser’ is a voice to talk so that ''we'' may solidly expand on the basis of communal recognition. That is, Sin Dong-yeob''s poems have a characteristic to form ''us'' through various tones.

      • 이상적 국민-만들기에 활용된 시각 이미지에 대한 연구 : 위생관련 이미지를 중심으로

        김영연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가는 국민을 통해서 존재의 의미를 획득할 수 있다. 따라서 독재시기로 일컬어졌던 제3공화국부터 아직은 군사정권의 특징이 강했던 제6공화국까지 바람직한 국민을 만드는 것은 국가의 주요 과제였다. 사회 성원으로서 일정한 역할을 담당할 수 있는 국민을 만들기 위해서는 근면, 성실, 근검, 절약, 준법, 위생 등의 특정한 덕목을 교육시킬 필요가 있었다. 특히 국가는 위생과 관련하여 청결한 상태의 국민을 만들기 위해 위생 관련 시각 이미지를 배포했다. 본 연구는 청결한 국민-만들기에 사용된 시각 이미지의 표현 양식과 설득의 전략을 확인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를 통해 독재나 식민지와 같이 비교적 당위성이 부족한 국가가 루소(Jean-Jacques Rousseau, 1712~1778)가 주장했던 '일반의지'를 만들어 가는 양상을 알 수 있었다. 본문 2장에서는 각 내용을 뒷받침할 수 있는 이론들을 다루고 있다. 먼저 이 연구의 주제가 되는 '국민-만들기' 이론을 소개하고 선행 연구를 통해 국민-만들기의 정확한 뜻을 확인했다. 또한 지도, 센서스, 박물관, 학교 등을 통해서 국가가 어떻게 국민의 역할을 교육하는 지를 살펴보았다. 더 나아가 본 논문이 주장하고 있는 국민-만들기를 위한 시각 이미지의 의의를 히틀러가 주장했던 미술을 통한 정치를 기반으로 하여 찾을 수 있었다. 3장에서는 한국사회에서 진행된 국민-만들기를 위생 관련 시각 이미지의 각각 사례를 근거로 확인했다. 시간적 배경을 기준으로 하여 사례를 연결하는 것만으로도 시대에 따른 독특한 특징을 발견할 수 있었다. 4장은 3장에서 제시한 각 사례를 통합하여 전반적인 특징을 알 수 있도록 분석했다. 분석은 매체, 표현 전략, 내용이라는 세 가지 영역으로 나누어 진행했다. 시간의 흐름과 함께 매체는 다양화됐다. 책자, 신문과 포스터 등의 평면 이미지에 국한 되었던 위생 관련 이미지는 점차 라디오나 TV 등 새로운 미디어에서 등장하기 시작했다. 따라서 사람들은 자연스럽게 다차원적으로 위생 관련 캠페인과 정책의 내용을 받아들이게 됐다. 4.2. 표현 전략의 변화에서는 직유와 은유의 화법을 사용했던 시각 이미지의 표현 방식과 그 화자가 국가에서 민간 기업으로 변해가는 양상을 고찰하였다. 마지막으로 4.3 내용의 변화에서는 위생 범위가 '개인'이나 '특정 공간'이라는 국한된 영역에서 '가정'이나 자연으로 확장되는 변화를 볼 수 있었다. 본 논문은 이론틀의 확립, 사례 조사, 분석이라는 과정을 통해 국가가 주장했던 바람직한 국민상을 만들어가는 표현 양식과 설득의 전략을 드러내고 있을 뿐만 아니라, 디자인적인 관점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국가가 국민-만들기를 실현해갔는지를 보여주고 있다. It is clear that the nation exists for the people. The crucial concern of our nation was making ideal people for the nation since Third Republic of South Korea, also known as a dictatorial rule, until the Sixth one, a period of rule by the military junta. Therefore, as Nation-building, it was the duty of the government to educate the people about basic values such as diligence, saving, obeying the law and sanitation to help them to take certain roles in society. Especially for improving sanitation, the government had distributed visual images related sanitation through South Korea. This study focused on the expressing method and the strategy of persuasion through visual images used for improving sanitation of the people. The research showed the way of making 'General Will' of Jean-Jacques Rousseau even in countries without justice due to despotic states or colonization. In Chapter NO. 2, the study introduces the theory about sanitaion and Nation-building. First of all, it shows theory of Nation-Building and pre-study about it. Additionally it explains how the government teaches people to be a great nation with map, census, museum and school and so on. In Chapter NO. 3, it presents each examples of visual images related to sanitation for Nation-Building. In Chapter NO. 4, it analyzes main characters from whole examples. The analysis includes three parts 'the changd of media' 'the change of expressing strategy' 'the change of contents'. As time goes by, media has become various. So then visual images related to sanitation has moved from on books, newpapers, posters to on radio and TV. This change makes people accept campaigns or law that government insists. The small chapter 4.2. is 'the change of expressing strategy'. It concentrates on how to show the images with a straight talk or a metaphorical way to persuade. Also it says changes of the narraters in the images from Korean government to private corporations. Finally, in 4.3. 'the change of contents', it teaches that the definition of sanitation became expended toward a home or nature.

      • 연령군에 따른 건설근로자 건강상태 및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김영연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Planned to seek a way of health care, classifying the aged and general person who work in a construction site. 1,051 persons were selected as the final research subjects using the results of the health examination conducted for workers engaged in domestic construction industry. Subjects and Methods: Ages 50 year and older were divided into the aged and under 50 years old were classified a non-elderly. The brain cardiovascular risk factors, liver function and kidney function of these two group were analyzed as each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Chi-square test, For the detailed management plan, they were divided into groups from 20s to 60s and analyzed risk factor as ANOVA Result: In cardiovascular risk factor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ody mass index. However the blood glucose, blood pressure and cholesterol were higher in abnormal group as the age increased. The blood pressure developed rapidly in the 50s abnormal group and was the highest in 60s. Blood glucose soared in the 60s compared to other ages. Especially, 60s were more than 10 times more abnormal than the 20s. Cholesterol was the highest in the 50s. Liver function index was the highest in the 30s. Kidney funct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50s was the highest in 60s. The ratio of abnormal group was increased about 6 times compared to that of 20s. Blood pressure, blood sugar and cholesterol levels were higher in older workers than in general workers. Especially blood pressure and blood glucose were higher than normal workers by about 2 to 3 times. Kidney function was also significantly higher. Abnormal group showed about 3 times difference.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in liver function. Conclusion: Unlike previous studies, in this study, there were weak health factors by age group. In particular, compared with manufacturing and shipbuilding, obesity, blood pressure, blood glucose,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were higher abnomal fraction (by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results). Therefore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daily work and construction working for a long time, the interest and management are needed according to the health characteristics of each age group. 본 연구는 건설업에서 근무하는 근로자를 연령대별로 구분하여 취약한 건강요인을 확인하고 더 나아가 일반근로자와 고령근로자로 구분하여 건강관리 방안을 모색하고자 실시되었다. 국내 건설업에 종사하는 근로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일반건강진단 결과1,051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연령대별로 나누어 뇌심혈관위험요인, 간 기능요인, 신장기능의 평균치를 비교하였고, 정상군과 비정상군으로 나누어 취약한 건강요인은 파악하였다. 50세 이상의 고령근로자와 50세 미만의 일반근로자 두 집단으로 나누어 위 세가지 요인을 각각 독립표본 t검정, 카이제곱검정으로 분석하였다. 뇌심혈관위험요인에서는 체질량지수는 연령대에 따라 큰 차이가 없었지만 혈압, 혈당, 콜레스테롤의 경우 연령이 증가할수록 비정상군 비율이 의미있게 높았다. 혈압은 50대에서 급격히 비정상군이 발생하였고 60대에서 가장 높았다. 혈당은 다른 연령대에 비해 60대에서 급상승하였다. 특히 20대에 비해 60대가 약 10배 이상 비정상군 비율이 증가함을 보였다. 50대에서는 콜레스테롤이 가장 높았다. 간기능 지표는 30대에서가 가장 높았다. 신장기능은 50대부터 크게 증가하여 60대에서 가장 높았고, 20대에 비해 약 6배의 비정상군 비율이 높아졌다. 고령근로자는 일반근로자에 비해 혈압, 혈당, 콜레스테롤 값이 높게 나왔다. 특히 혈압과 혈당의 경우 일반근로자에 비해 약 2배, 3배의 비정상군 비율이 높았다. 신장기능에서도 유의하게 높았다. 비정상군 분율은 약 3배의 차이를 보였으며, 간 기능에서는 통계학적 유의함을 보이지 않았다. 선행연구와 달리 본 연구에서는 연령층별 취약 건강요인이 있었다. 특히 국민건강영양조사결과, 제조, 조선업과 비교한 경우 비만, 혈압, 혈당, 콜레스테롤, 중성지방에서 비정상 분율이 더 높았다. 따라서 일용직근로와 장시간 근무하는 건설업을 특성을 고려하여 연령대별 건강 특성에 따라 관심과 관리가 필요하다.

      • 복조기의 심벌 타이밍 동기부 성능을 개선하는 M진 상태천이 주파수 쉬프트 키잉 변조 기법

        김영연 충북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복조기 심벌 동기 성능을 개선하는 새로운 M진 상태천이 주파수 쉬프트 키잉 변조기법을 제안한다. 이 방식은 전송되는 매 심벌마다 항상 다른 주파수로 천이하는 상태 천이 FSK(ST-FSK) 기법으로, 복조기 동기부에서 심벌 동기 획득 성능을 획기적으로 향상 시킬 수 있다. 또한 보다 빠른 동기화를 위해 기존의 MDS(Modulation -derived Synchronization)[1]를 개선하는 을 제안하고 성능을 분석한다.

      • 생태개념을 도입한 환경친화적 공동주거단지 계획에 관한 연구 : 남양주시 호평동 아파트단지 조성을 중심으로 = (A)study on the planning of environmental friendly residential estate in application of ecolog

        김영연 한양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Due to the rapid economic development in Korea since 60's, the mutually complementary relationship between economic development and environmental preservation has been neglected; rather, the relationship has been recognized as conflicting and thus investments in the environment have been poor with less consciousness of its importance. In this process, we are now witness sing a serious environmental problem.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the government has hurriedly set such goals as environmental preservation, environmental symbiosis or environmental friendliness and therewith, specify the plans for environmentally preserved cities, ecopolis, or environmental model cities. Recently, various efforts are exerted to preserve the environment and further, promote a sustainable economic development through recycling of resources. Such efforts may be interpreted into a campaign for change of the social value system intended to make natural environment and human beings co-exist and thereby, enjoy an abundant life culturally and mentally. With such basic conceptions in mind, this study was aimed at surveying and analyzing the domestic and foreign cases about the environmental friendly apartment house complex plans, and thereby, determining the environmental friendly planning elements and setting the directions for future development of the apartment house complexes, and therewith, suggesting a basic draft design for future development of apartment house complex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land use plans, the basic plan takes into consideration an efficient land use to make use of the natural topography and introduce environmental friendly elements into it. Second, in terms of circulation plan, a pedestrian road is planned linking the entire complex site in order to create a safe and comfortable pedestrian environment. In addition, in order to secure accessibility to each complex, vehicles' road and bicycles' road are planned separately to set a direction for the circulation system. Third, in terms of an open space, a broad green system linking Mt. Cheonma, site, existing streets and surrounding natural green areas is designed, while an on-side waterway environment is planned in association with the North Han River rearrangement plan. It is believ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be applicable to the apartment house complex development plans in the areas where the natural environment is well preserved, as well as to the development plans of new cities or some urban redevelopment plans where the surrounding environmental elements can be taken into consideration. Since the environmental friendly apartment house complex development plans should take into consideration the surrounding environmental elements, environmental friendly outside space and sustainable environmental preservation as well as residents' comfort and value system, life styles and preferences, it is required to introduce a concept of environmental friendly apartment house complex at the initial design stage. Only when such environmental friendly apartment house complex plans can be supported by the government and only when residents are aware of their environment, they can be implemented for developments of the environmental friendly apartment house complexes.

      • 직업 발레단 무용수들의 여가활동 참여 유형별 여가만족도와 직무몰입과의 관계

        김영연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현재 직업 발레단 무용수들의 바쁜 공연과 연습시간을 제외한 나머지 시간 즉, 여가시간에 직업의 특성에 맞게 분류한 여가활동 유형을 통해 여가활동 참여 유형을 알아보고, 여가활동 참여 유형별 여가만족도와 직무몰입과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연구를 통해 직업 발레단 무용수들은 어떠한 여가활동에 참여하고 그것이 여가만족도와 직무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함으로써 직업 발레단 무용수들의 발레단 활동 이외의 여가 시간을 어떻게 활용하고 여가와 직무의 관계를 설명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2012년 현재 국내의 국, 공립 단체 그리고 민간운영 단체의 직업 발레단인 국립발레단, 광주 시립발레단, 유니버설 발레단, 서울발레시어터 4곳의 무용수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실제 분석에는 최종 오류검증절차를 거친 175명의 설문지가 사용되었다. 조사도구로는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직업 발레단 무용수들의 여가활동 참여 유형을 측정하기 위해 Wood, Wylie와 Sheafor(1969)의 여가활동 유형 문항을 모창배(1993)가 번안한 것을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하여 사용하였고, 여가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Beard와 Ragheb(1980)가 개발하고 이종길(1992)이 번안한 여가만족척도를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직무몰입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Csilkszentmihalyi(1990, 1993)의 몰입경험 요인을 바탕으로 Jackson & Marsh(1996)가 운동선수와 신체활동상황에서 경험하는 몰입상태 측정 척도(Flow State Scale : FSS)에 관한 설문지를 송미혜(1998)가 번안한 것을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제작한 수집된 자료는 Windows용 SPSS 18.0을 이용하여 분석목적에 따라 처리하였다.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과 기술통계량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측정도구를 검증에는 신뢰도분석(Reliability Analysis)과 내용 타당도, 상관관계 분석(correlat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다변량분산분석(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MANOVA),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규명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를 검증하여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 발레단 무용수들의 여가활동 참여 유형에 대해 알아본 결과 휴식형 61(34.9%), 활동 참가형 45(25.7%), 교양 감상형 37(21.1%), 휴양형 32(18.3%) 순으로 결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직업 발레단의 무용수들은 휴식형 여가에 가장 많이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나며 평소 신체 활동이 많기 때문에 움직임이 많은 여가보다 휴식형 여가에 참여하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직업 발레단 무용수들의 여가활동 참여 유형별 여가만족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심리적, 사회적, 환경적, 교육적, 신체적 총5가지 요인에서 통계적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고, 심리적 만족에는 활동 참가형, 사회적 만족에는 휴양형이 환경적 만족에는 교양 감상형, 교육적 만족에는 활동 참가형, 신체적 만족에는 활동 참가형이 높은 평균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다양한 여가활동에 참여하며 여가만족을 느끼며 그 중 활동 참가형이 심리적, 교육적, 신체적 만족을 시키며 가장 높은 만족도를 향상 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직업 발레단 무용수들의 여가활동 참여 유형별 직무몰입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여가활동 참여 유형별 직무몰입(과제집중도)의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무용수들이 여가에 참여하고는 있지만 그들의 삶에 있어 큰 비중을 차지하지 않으며 직무와 관련하여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 초등학교와 중학교 문학교육의 연계성 연구 : 6~7학년 문학교재를 중심으로

        김영연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초등학교를 마친 학습자가 성장하여 중학생이 된다. 따라서 초등교육과 중등 교육은 학습자를 중심으로 연결되어야 한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문학교육연구는 대부분 초등학교 문학교육, 중등학교 문학교육으로 구분되어 진행되어 왔다. 과연 6학년과 7학년은 학습자의 발달단계상 커다란 변화가 있는 것일까? 이들에게 적합한 문학교재는 무엇일까? 하는 문제제기를 가지고 연구를 시작하였다. 그리하여 본 연구는 초등교육과 중등교육을 통합적인 교육과정으로 바라보는 시각에서 교육과정과 문학교재를 중심으로 6-7학년 문학교육의 연계성을 살피고 구체적으로 7학년 1학기 문학교재의 구성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문학교육의 실질적인 목표는 문학능력의 신장이다. 문학능력이란 다양한 문학경험과 지식, 상상력을 바탕으로 문학작품을 창작하고 수용하는 능력이라고 하겠다. II장에서는 이러한 문학능력의 발달성을 학습자의 인지적, 사회적, 신체적 발달특성과, 독서흥미도 및 반응의 발달에 기대어 살펴보았다. 그 결과 6학년과 7학년은 발달단계상 큰 변화가 없으며, 아동기에서 청소년기로 진입하는 단계이다. 따라서 7학년은 '성장'이나 '자아 정체성 찾기'를 주제로 하는 작품 읽기가 필요한 시점이다. III장에서는 발달단계에 따른 기존의 문학교육의 접근방법을 살피고, 제 7차 교육과정의 내용을 고찰하였다. 제 7차 교육과정은 학교급의 목표나 내용의 구별이 없이 학년별 내용만 제시되고 있으며,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 10학년에 맞추어 6차 교육과정보다 전반적으로 수준이 상향조정되었다. 본 연구자는 문학교육과정의 연계성을 위해서 문학교육을 아동문학전기(1-4학년 1학기), 아동문학후기(4학년 2학기-7학년 1학기), 청소년문학전기(7학년 2학기-10학년), 청소년문학후기(11-12학년)의 4단계로 범주화하고, 2단계(4학년 2학기-7학년 1학기)의 목표를 '문학의 기초적인 개념을 알고, 문학작품의 수용에 활용한다'로 설정하였다. 7학년은 초등학교에서 배운 각각의 개념들을 활용해 문학작품을 수용하는 단계로 아동문학과 청소년문학작품이 주요한 문학교재가 될 것이다. IV장에서는 문학교재를 살펴보았다. 초등학교 6학년 제 6차 문학교재는 제재 면에서 학습자의 흥미나 감동을 유발시키는데 미흡하였고, 부분 수록하거나 개작인 경우가 대부분이며 지은이도 밝히지 않고 있었다. 또한 전체적인 작품감상이 아닌 학습목표에 짜 맞춘 교재선정과 학습활동도 문제점으로 지적하였다. 새로이 시행되고 있는 1-4학년 7차 교과서는 제재 면에서는 다양하고 새로워졌으나, 여전히 개작의 문제점이 남아 있었다. 교육과정에 따라서 문학교재도 전반적으로 수준이 향상되었으며, 특히 4학년 2학기의 경우 주제면에서 급격히 상승하는 경향이 보였다. 반면 7학년 1학기 문학교재는 학습자의 흥미도를 고려하고 초등학교 문학교육과의 연계를 위해 옛이야기와 동화 2편이 수록되어 있었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수록작품 수가 많은데 비해, 이들 작품은 비교적 쉬운 내용으로, 학교현장에서 교사가 단원을 재구성 할 때 제외될 가능성이 있었다. V장에서는 II, III, IV장의 논의를 바탕으로 7학년을 위한 문학교재 선정기준을 밝히고 실제로 중학생이 되어서 처음 맞게 되는 대단원 '문학의 즐거움'을 재구성하였다. 초등학교 문학교육과의 연계성을 위해서 동화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되, 주제와 작품구성요소를 기준으로 동화 <마당을 나온 암탉>을 제시하였다. 예시한 학습활동을 통해서 이 작품이 학습자의 문학능력을 신장시킬 것이라고 믿는다. 본고에서는 최소한 7학년 1학기까지는 동화가 문학교육에 있어 유의미한 교재가 될 수 있다고 보고 '주체적인 자아찾기'를 내용으로 하는 의인동화를 제시하였으나 앞으로 성장소설을 비롯한 청소년문학에 대한 관심과 작품창작, 문학교육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기를 바란다. A student who finishes elementary school course becomes a middle school student. The elementary school education and the secondary school education must be connected centering the student. This study began with some questions. Is it true that there are any developmental changes between the 6^th and the 7^th grade students? What is a proper literature text for them? I tried to investigate connections in the educational curriculum and in literature text , focusing on the 6^th and the 7^th grade. In chapter II, I assumed that the aim of literature education is the extension of literature ability. Literature ability is a capacity for producing and consumption of literary works in the whole course. I studied students'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a couple of categories, cognitive development, social development, physical development, reading ability and reading interests, and the mode and development of literary response . The study shows that there's no big change in development stage between the 6^th and the 7^th grades. It's a stage to become an adolescence who seeks for the self-identity from a school-age child. I approached organized methods for literature education depending on development stage and investigated the content of each grade in the 7^th curriculum in chapter III. In general, the level of the 7^th curriculum was upgraded compared to that of the 6th. This is because the 7^th curriculum was fixed on the national common basic curriculum for 10 years. The aim is only one that is the extension of literature ability , but the content for each grade was too detailed. Thus I classified the stage of literature education into four categories, the first period of children's literature, the later period of children's literature, the first period of adolescence literature and the later period of adolescence literature. I interpreted the 7^th grade to be an entry step from the period of children's literature to adolescence literature. This is the step that students apply what they learned at elementary school to reception of the literature text. In chapter IV , connections in literature text for the 6^th and 7^th grade were investigated. In the 6^th curriculum, literary works for the 6^th grade were not enough to induce students' interest and emotion in material. Authors were not specified and most of the stories were partly published or adapted. Selection of the text and the learning activities which are focused on the object of study were also caused problems. Literature text should be considered as a whole, not separately. The materials of text for 1^st to 4^th grade are improved a lot in the newly introduced curriculum, the 7^th curriculum. However even the new curriculum has the adaptation issues. The level of literature text was upgrade. Especially, that of the text for the second semester of the 4^th grade shows a tendency to be set unexpectedly high.

      • 영아와 유아의 공격성과 관련변인들의 관계 : 영아와 유아의 정서조절과 사회적 기술 및 어머니의 양육행동을 중심으로

        김영연 경원대학교 일반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영아와 유아의 공격성이 어머니의 양육행동을 비롯하여 영아와 유아의 정서조절 능력, 사회적 기술 등과 관련이 있다는 선행 연구(박진재, 2002; 임희수, 2001; Carson & Parke, 1996; Shilds & Cicchetti, 1998)에 따라, 아동과 그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관련변인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어린이집의 만2세, 만5세의 영아와 유아 그리고 그들의 어머니와 교사를 대상으로 질문지법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특히 공격성을 외현화공격성과 관계적공격성으로 구분하고 양육행동의 요인을 온정·수용적, 거부·제재적, 허용·방임적으로 나누어 각각이 정서조절 능력 및 사회적 기술 능력과 공격성에 미 본 연구의 연구문제를 중심으로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와 유아의 연령 간 공격성의 차이를 살펴보았을 때, 5세일 때 보다 2세일 때 외현화공격성이 더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관계적 공격성에 대해서는 아동이 2세일 때와 5세일 때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영아와 유아의 공격성과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온정·수용적일수록 자녀의 관계적공격성이 낮았으며, 거부·제재적 일수록 공격성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허용·방임적일수록 자녀가 지각하는 공격성이 유의하게 높았다. 셋째, 부모의 양육행동과 영아와 유아의 정서조절과의 관계는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온정·수용적일수록 자녀의 정서조절능력이 높게 나타났으며, 거부·제재적일수록 정서조절능력이 낮게 나타났다. 또한 허용·방임적 양육행동에 따른 자녀의 정서조절 능력이 낮게 나타났다. 넷째, 부모의 양육행동과 영아와 유아의 사회적 기술능력과의 관계는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온정·수용적일수록 높은 사회적 기술능력을 나타내었으며, 반면 거부·통제, 허용·방임의 양육행동은 자녀의 사회적 기술 능력이 낮게 나타났다. 다섯째, 영아와 유아의 정서조절 능력과 공격성과의 관계는 정서조절 능력이 높을수록 외현적공격성과 관계적 공격성이 낮게 나타났으며, 정서조절 능력이 낮을수록 외현적공격성과 관계적 공격성이 높게 나타났다. 여섯째, 영아와 유아의 사회적 기술 능력과 공격성과의 관계에서는 영아와 유아의 사회적 기술 능력이 높을수록 외현적공격성과 관계적 공격성이 낮게 나타났다. 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 운항승무원과 객실승무원의 의사소통 요인이 비상상황 대응절차 수행에 미치는 영향

        김영연 한국항공대학교 항공경영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과거부터 최근까지 항공기 사고의 원인을 분석한 자료를 보면 세부적인 항목에서는 차이가 있지만, 대부분 인적요인에 의한 사고 비중이 높게 나타난다. 또한 항공 분야에서의 항공사고는 인명과 재산상의 엄청난 피해를 가져오는 대형 참사로 이어진다. 따라서 항공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안전 활동이 매우 중요하며 주요 원인인 “인적요인” 사고에 대해서 많은 전문가는 안전 운항을 위해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해 다양한 연구와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다. 항공 분야에서 ‘인적요인’에 의한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여러 방안 중 가장 중요하게 여겨지고, 또한 노력하고 있는 분야는 각 전문가 그룹 간의 ‘의사소통’을 원활히 하는 방안에 관한 연구를 하는 것이다. 그러나 항공 안전을 위한 인적요인 연구는 운항승무원 위주로 이루어져 왔고, 승객의 안전을 가장 가까이에서 담당하는 객실승무원 관련한 연구는 미흡하였기에, 이 연구에서는 운항승무원과 객실승무원 간의 소통이 두 집단 간의 신뢰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비상 상황 발생 시 신속하고 정확한 대응절차를 수행하는 데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현재 재직 중인 국내 항공사 운항승무원 및 객실승무원 총 337명을 대상으로 서로에게 신뢰와 의사소통에 관한 질문의 설문을 진행하여 경험 수준과 직급 차이에 따른 의사소통 수준과 비상상황 경험 정도를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 운항승무원과 객실 승무원 간의 의사소통이 신뢰 형성에 영향을 미치고, 두 집단 간에 형성되는 신뢰는 비상 상황 대응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운항승무원과 객실승무원의 신뢰도 수준은 의사소통이 비상 상황 대응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더불어 운항-객실승무원 간의 의사소통 오류의 원인으로 ‘두 그룹의 상호 간 업무 배경지식 및 전문 용어’라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두 그룹의 약 85% 이상이 체계화된 의사소통 매뉴얼이 필요하다는 답변을 하였다. 이는 두 그룹 간의 의사소통이라는 부분이 간과되고 있었으나 현장에서는 필요성에 대해 인식하고 있었다는 사실과 향후 항공안전의 인적요소를 위한 노력의 하나로 방향이 설정되어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시한다. 따라서 체계적인 두 그룹 간 의사소통 매뉴얼을 마련하고 의사소통 관련 교육과 훈련을 뒷받침할 수 있는 제도와 프로세스를 마련하여 두 그룹 간 소통이 활성화되고 향후 체계적인 의사소통 절차를 수행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 A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mmunication between flight and cabin crew on the formation of trust between the two groups, and how this trust affects prompt and accurate response procedures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Looking at the data analyzing the causes of aircraft accidents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there are differences in detailed items, but most of them show a high proportion of accidents caused by human factors. In addition, aviation accidents in the field of aviation lead to large-scale disasters that cause enormous damage to life and property. Therefore, safety activities to prevent aviation accidents are very important, and many experts are analyzing for safe operation and suggesting various studies and directions to improve them for “human factors” accidents, which are the main cause. Among the various measures to prevent accidents caused by 'human factors' in the aviation field, the most important and the field in which efforts are being made is to come up with a plan to facilitate 'communication' between each expert group. Experts here are groups directly involved in aircraft operation, such as flight attendants, cabin crew, mechanics, flight managers, and controllers. Efforts are being made to facilitate communication between each group in various ways, but research and efforts on communication between flight crew and cabin crew, who start and end together with passengers in the same space of an airplane, are a formality that is only scratching the surface. There was only a part. In this study, the influence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flight crew and the cabin crew on the formation of trust between the two groups was analyzed, and based on this, the correlation was confirmed whether it could affect the execution of prompt and accurate response procedures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To this end, a total of 337 domestic airline flight attendants and cabin crew members were asked questions about mutual trust and communication, and the communication level and emergency experience level were identified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experience level and posi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communication between the flight crew and the cabin crew affects the formation of trust, and the trust formed between the two groups also affects emergency response.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reliability level of flight crew and cabin crew mediates the effect of communication on emergency respons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systematic communication manual and prepare systems and processes that can support communication-related education and training to activate communication between the two groups and lay the foundation for systematic communication procedures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