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송암(松菴) 금면(金沔)과 고령 지역의 의병활동

        김영나 ( Young Na Kim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2 韓國思想과 文化 Vol.64 No.-

        When the Imjin War broke out, the activity of patriotic soldier troops was very active in the East Kyoung-sang district and even Kim Myeon from Goryeong played an important role. Kim Myeon`s family grew from the latter term of Goryeo Dynasty to build a powerful social, economic and scholastic basis. He learned from Jo Sik and was appointed to various official positions but didn`t go into government service and when the Imjin War broke out, he originated a patriotic soldier troop to protect the region of Goryeong and played an active part in the patriotic soldier troop in the midway position due to the influence of not only Jo Sik but also Yi Hwang. Furthermore, he accepted the common people or the government army as the patriotic soldier troop. Consequently, the local noble family, locals and the government army formed the patriotic soldier troop in joint. Lots of the initial patriotic soldier troop organization of Kim Myeon were from the same family or his acquaintances and mostly, it was composed of people in the neighborhood. As for the members of the patriotic soldier troop organization in the latter term, the residents, officials and other chiefs of patriotic soldier troops from not only the East Kyoung-sang district but also the West Kyoung-sang district participated. At first, the battles in which Kim Myeon was active in were mostly small around the Nakdonggang and as it expanded its influence to be active in the full-scale patriotic soldier troop activity. He gradually expanded its influence to the north and he could form a joint front with the patriotic solders from the Honam district with the help of the government office. When the war became relaxed, Kim Myeon played a role as a coordinator in various situations. After his good coordination of confrontation between provincial governor, Kim Su and the head of a patriotic soldier troop, he was supported by the government army from the provincial governor. Soldiers from various regions were supported by Choyusa, Kim Sung-Il so that he could increase the military strength of the patriotic soldier troop. Even though he often confronted with Jeong In-Hong in various ways, when the patriotic soldier troop was reorganized, Kim Myeon finally got to command Jeong In-Hong. Like this, Kim Myeon had a regional background of Goryeong and was a pupil of Jo Sik but maintained acquaintanceship with the pupils of Yi Hwang to be influenced by ideological background, social and economic basis as a local noble family and originated the patriotic soldier troop due to insufficient reactions of the government and the government army. He could get positive support of the people through the activity of the patriotic soldier troop and thanks to his moderate ideological attitude, the government recognized him so that he could become a chief commander of the patriotic soldier troop and the government army recognized not only by the patriotic soldier troop but also by the government army. 김면의 가문은 고려 후기부터 성장하여 막강한 사회적·경제적·학문적 기반을 가지고 있었다. 그는 조식에게 배웠으며, 여러 벼슬에 임명되었지만 출사하지 않았고,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고령을 지키기 위해서 의병을 창의하였고, 조식뿐만 아니라 이황의 영향도 받았기 때문에 중도적인 입장에서 의병 활동을 하였다. 또한 백성이나 관군도 의병으로 포섭하였다. 따라서 재지사족과 지방민, 관군이 연합으로 의병군을 형성하였다. 김면의 초기 의병 조직 구성원은 그와 교유한 사람이거나 같은 가문 출신이 많고, 대체로 인근 지역에 사는 사람들로 구성되었다. 후기 의병 조직 구성원에는 경상우도뿐만 아니라 경상좌도에 살고 있는 사람들, 관리들, 다른 의병장들도 참여하였다. 처음에 김면이 활동했던 전투는 낙동강 주변의 소규모 전투가 대부분인데, 거창으로 세력을 넓히게 되면서 본격적으로 의병활동을 하였다. 그는 차츰 북쪽으로 세력을 넓혔고, 호남의 의병들과도 관청의 도움으로 연합전선을 형성하여 활동하였다. 김면은 전쟁이 소강상태로 접어들면서 여러 상황에서 조정자의 역할을 하였다. 관찰사 김수와 의병장 곽재우의 대립을 잘 조절하여 관찰사로부터 관군의 지원을 받았다. 초유사 김성일에게도 여러 지역의 군사를 지원받아서 의병의 군세를 증강시켰다. 정인홍과는 여러 면에서 서로 부딪쳤지만 의병이 재조직되면서 김면이 정인홍을 지휘하게 되었다. 이와 같이 김면은 고령이라는 지역적 배경, 조식의 제자이기는 하지만 이황의 제자들과 친분을 유지하면서 영향을 받았다는 사상적 배경, 재지사족으로서의 사회적·경제적 기반, 관과 관군의 대응 미비 등을 통해 의병을 창의하여 활동하였다. 적극적인 의병 활동을 통해 백성들의 호응을 받게 되었고, 그의 온건한 사상적 태도로 인해 조정의 인정을 받게 되어 의병뿐만 아니라 관군에게도 인정받는 의병장이자 관군의 장이 되었다.

      • KCI등재

        18세기 도산서원(陶山書院) 노비의 혼인과 가족

        김영나 ( Kim Young Na ) 한국서원학회 2018 한국서원학보 Vol.6 No.-

        본 논문은 陶山書院의 고문서 중 17세기의 院贖案 1건, 18세기의 奴婢案 9건과 身貢案 2건을 통해 노비의 혼인과 가족, 거주 지역을 밝히고자 하였다. 도산서원 노비의 혼인에서 서원노와 서원비의 혼인이 가장 많이 나온다. 이는 서원의 입장에서 가장 손쉬운 혼인이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노와 良女의 혼인이다. 이는 서원에서 노비의 수를 늘리기 위해 적극적으로 이용하였다. 비와 私奴와 노와 私婢의 혼인도 많이 나오는데, 비와 사노의 소생은 서원의 소유가 되었고, 노와 사비의 소생은 노비안에 나오지 않는다. 이외에도 班奴婢·私奴婢·寺奴婢·驛奴婢·內奴婢·다른 서원 노비·買得奴婢·贖納婢 등과의 혼인도 있다. 이처럼 다양한 혼인 관계에서 공통적인 특징은 비의 경우는 어떠한 혼인 대상과 혼인하든지 그 소생은 반드시 서원의 소유가 되었지만, 노의 경우는 혼인 대상에 따라 그 소생이 서원의 소유가 될 수도, 아닐 수도 있었다. 서원에서는 노비를 증가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혼인 방식을 강구하였고, 그 중 가장 큰 성과는 노와 양녀의 혼인으로 인한 소생이었다. 도산서원 노비의 가족은 보통 한 지역에서 대대로 거주하는 경우가 많아서 가족의 해체나 분열은 거의 나오지 않는다. 대부분 비를 중심으로 노비안에 가족을 기재하였다. 노의 경우는 양녀와 혼인하여 낳은 소생들이 주로 기재되었고, 노와 寺婢, 노와 私婢 등의 혼인에서 태어난 소생은 나오지 않는다. 도산서원 노비의 거주 지역은 주로 경상도 북부 지역과 동해안이고, 경상도 남부 지역과 충청도 강원도에도 도산서원 노비가 나온다. 특히 예안과 안동의 경우, 그 안의 거의 전 지역에 노비가 거주하였다. 또한 관청이나 사찰에 거주하는 특별한 경우도 있었는데. 여기에 거주하는 노비들은 도산서원에 신공을 납부하지 않았을 것이다. 도산서원은 예안과 안동 일대에서도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고 예안에서 멀리 떨어진 강원도나 충청도의 노비에게 신공을 거둘 수 있을 정도의 영향력이 있었을 것이다. 지금까지 18세기의 도산서원 노비의 혼인과 가족관계, 거주 지역을 살펴보았다. 자료의 한계로 인해 미비한 부분은 19세기의 노비안들을 함께 분석해본다면 도산서원에 속한 노비의 존재양상을 더 자세히 알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This article aims to discuss the marital and familial forms, as well as the residential areas of slaves through the ancient documents of the Dosan Seowon, including a 17th century government slave register, nine 18th century slave registers, and two labor remission fee registers. Marriages between female seowon slaves and male seowon slaves were the most common form of marriage found among Dosan Seowon slaves, since it was the most convenient way for the seowon to increase the number of slaves in their possession. The second most common were marriages between male slaves and freeborn commoner women. Similarly, these types of marriages were actively encouraged by the seowon to increase the number of slaves. There were also many instances of marriages between female (seowon-owned) slaves and privately-owned male slaves, and male (seowon-owned) slaves and privately owned female slaves. The offspring of the former were claimed by the seowon; while the ownerships of those of the latter are not mentioned in the slave registers of the seowon. The registers also record marriages that involve privately-owned slaves, government-owned slaves, post station slaves, slaves owned by the royal family, slaves owned by other seowons, acquired slaves, escape from the slaves etc. A common tendency found among the various forms of marriage is that the offspring of a female slave that belonged to the Dosan Seowon were also owned by the seowon, regardless of the groom; while the offspring of the seowon’s male slave could or could not be owned by the seowon, depending on the bride. The seowon sought ways to increase the number of its slaves. The most effective among these were marrying its male slaves with freeborn commoner women. Most slaves owned by the Dosan Seowon had resided in fixed areas for many generations. Thus, dismantled or divided families were rare among the Dosan Seowon slaves. In most cases, slave families were recorded on the slave register, centering around the female slave. With male slaves, the register mostly records the offspring between male slaves and freeborn commoner women. Those between male slaves and government- or privately-owned slaves are not mentioned. The slaves owned by the Dosan Seowon mostly resided in the Northern regions of Gyeonsang and the East Coast the Southern regions of Gyeonsang and Chungcheong, and even Gangwon. In particular, Dosan Seowon slaves resided in all areas of Yean and Andong. There were also exceptional cases where they lived in government offices or temples. These slaves most likely did not pay labor remission fees to the Dosan Seowon. The Seowon possessed influence over the areas surrounding Yean and Andong. We can also conjecture that their influence stretched to other regions in Gangwon and Chuncheong, far from Yean, that would have enabled them to collect labor remission fees from the slaves residing in these areas. This paper has thus explored the marital and familial relationships, and residential areas of the Dosan Seowon slaves. We believe that the limitations of this paper resulting from lack of data can be resolved by including an analysis of slave registers in the 19th century to take a closer look at the lives of slaves that belonged to the Dosan Seowon.

      • KCI우수등재
      • KCI등재

        17~19세기 병산서원 노비의 존재양상

        김영나(Kim, Young-na) 대동한문학회 2021 大東漢文學 Vol.67 No.-

        본 논문은 17~19세기 병산서원 노비안을 중심으로 서원노비의 규모, 나이와 신공, 혼인과 가족, 거주 지역 등을 밝히고자 하였다. 병산서원 설립 초기에 몇 명의 노비가 있었는지 알 수 없으나, 1663년 노비안을 통해 풍악서당의 노비들을 파악할 수 있었다. 17세기에는 100여 명에서 150명 가까운 노비들이 있었고, 18세기에는 207명까지 증가하였다가 19세기에는 66명으로 줄어들었다. 나이를 확인할 수 있는 노비 중에서 17세기에는 1~10세, 21~30세의 비중이 높고, 18세기에는 壯 연령층의 노비분포가 비슷하였으며, 19세기에는 老 연령층이 상대적으로 적었다. 병산서원 노비는 돈, 종이, 돗자리 등의 물품을 신공으로 납부하였다. 병산서원 노비의 혼인은 원비와 미상의 혼인이 가장 많았다. 17세기에는 이 혼인뿐만 아니라 원비와 사노, 원비와 양인, 원노와 양녀의 혼인과 이들의 자녀들이 많았고, 18세기에는 원비와 미상의 혼인 비중이 더 높아졌다. 19세기에는 원비와 미상의 혼인만 나온다. 서원노비는 누구에게도 상속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들의 가계는 지속적으로 나타났다. 병산서원 노비들은 서원 근처와 안동, 경상도 북부 지역에 주로 거주하였다가 강원도와 충청도 등으로 확장되었다. 18세기 중반에 가장 많은 지역에 노비가 거주하다가 19세기에 다시 서원 근처를 중심으로 거주 지역이 축소되었다. 이것은 서원의 경제적 기반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함이었다. 지금까지 17~19세기 병산서원 노비의 나이와 신공, 혼인과 가족, 거주 지역을 중심으로 서원노비의 존재양상과 그 의미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서원의 운영기반 중 하나인 서원노비의 성격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paper focuses on Byeongsan Seowon’s(seowon is a Confucian academy) slave register from the 17th to the 19th century to identify the number, age, labor exemption fees, marriage status, family, and area of residence of slaves. The number of slaves present when Byeongsan Seowon was founded is unknown, but it is possible to identify the slaves at Pungak Seodang(豊岳書堂) from the 1663 slave register. In the 17th century, there were 100 to 150 slaves; the number rose to 207 in the 18th century but fell to 66 in the 19th century. Among the slaves whose ages could be confirmed, the proportion of those aged 1–10 and 21–30 years was the highest in the 17th Century. In the 18th century, the age distribution of slaves paying labor exemption fees was at a similar level, and in the 19th century, old ages(老) slaves were relatively small. The slaves at Byeongsan Seowon paid labor exemption fees with money, paper, and mats. With respect to marriages between slaves at the seowon, those between female seowon slaves(院婢) and unidentified males(未詳) were the most common. In the 17th century, there were also marriages between female seowon slaves and private male slaves(私奴), female seowon slaves and male commoners(良人), and between male seowon slaves(院奴) and female commoners(良女), besides the children born to them. In the 18th century, the number of marriages between female seowon slaves and unidentified males increased further, while in the 19th century only these marriages, and their children, were listed in the slave register. Their descendants continued to be listed in the register because the seowon slaves were not chattels subject to inheritance. The slaves at Byeongsan Seowon usually lived near the seowon and in Andong and northern Gyeongsang provinces; they later spread out to Gangwon and Chungcheong provinces. In the mid-18th century, the slaves were spread over a larger area, but in the 19th century their area of residence was curtailed to the seowon’s vicinity. This was done to manage the seowon’s economic resources more efficiently. This paper looked at slaves’ mode of existence at Byeongsan Seowon from the 17th to the 19th century, and its implications. Based on it, the characteristics of seowon slaves could be identified, and the status of Byeongsan Seowon could be deduced.

      • SCOPUSKCI등재
      • 임산부의 영양상태와 모유의 면역물질 함량에 관한 연구

        김화영,김영나,김순미 이화여자대학교 생명과학연구소 1994 생명과학연구논문집 Vol.5 No.-

        The concentrations of the immunological substances in breast milk and nutritional status were studied in healthy Korean women of middle socioeconomic class. The subjects were recruited at random from obstetric clinics in Seoul. The nutrients intake, prepregnancy BMI, maternal weight gain during pregnancy were studied. The concentrations of lactoferrin(LF), lysozyme(LZ), sIgA, IgG and C_3 in colostrum, in transitional milk, and in mature milk, were measured. To elucidate the effect of nutritional status on immunological substances, each component was compared on the basis of either BMI, weight gain, or protein intake. The highest concentrations of the substances were found in colostum and decreased as lactation progressed. The decline was more prominent in IgG, C_3, and sIgA, and less significant in LZ and LF. The colostrum of standard weight gain group showed higher concentrations compared to lower weight gain group. This difference became smaller as the lactation progresses. BMI and nutrient intake status had less significant effect. Lower sIgA was found in lower BMI, in lower weight gain, and lower protein intake groups compared to standard groups, which indicates sIgA is the most affected substance among the measured by nutritional status.

      • 노년기 부부적응에 대한 문헌 고찰

        서병숙,김영나 漢陽大學校 韓國生活科學硏究所 2000 韓國 生活 科學 硏究 Vol.- No.1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research on the adaptation of elderly couple and this study is the preliminary research for more scientific and wider studies on the adaptation of elderly couple. For the analysis, 19 articles which had been published from 1986 to 1999 were investigated by research contents, research methods, and research finding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ing : (1) The variables with affect the adaptation of elderly couple are demegraphic fators, individual factors, couple relationships factors and family relationships factors. (2) For the adaptation of elderly couple, economic status, health condition and emotional relationships with their children have to be improved.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the research findings because of the unexguisteness of methodology, the difference of the subject, and the disproportion of research area.

      • KCI등재

        임산부의 식이섭취가 모유 중에 함유된 식이 단백질에 특이적인 항체 수준에 미치는 영향

        장영애,김영나,김순미 한국식품영양학회 1995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8 No.2

        식이성 항원에 특이적인 IgG 및 IgA가 모유 중에 어느 정도 함유되어 있는지를 측정하고, 모체가 섭취한 식이 내용과 이들 특이 항체가 어떠한 상관성을 갖고 있는지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대상 임산부의 모유에 함유된 식이성 항원에 특이적인 항체 수준은 초유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행유로부터 성숙유 사이에서의 수준은 거의 변화하지 않았다. 측정된 우유단백질 및 계란단백질에 대해서는 특이 항체가에 커다란 차이는 없었으나 밀단백질인 gliadin에 대해서는 IgG, IgA 모두 높은 항체가를 유지하였다. 한 종류의 식이성 항원에 대해 높은 항체가를 나타내는 경우는 다른 특이 항체도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으며 이러한 경향은 IgG에서 더욱 뚜렷하게 나타났다 모유 중에 함유된 특이 항체 수준은 임산부의 열량 및 단백질 섭취량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특이 항체 수준이 모체가 섭취한 식이 단백질에 의해 영향을 받는지를 24시간 회상법 및 식품섭취 빈도 조사에 의해 살펴보았다. 24시간 회상법에 의해서는 특이 항체와 식이내용 중 그 특이항체를 유도할 수 있는 특정 식품 단백질 섭취량 사이에서의 상관성을 살펴볼 수 없었다. 식품섭취 빈도조사에서는 IgG의 성우 우유의 섭취빈도는 우유 유래의 특이 항체가에 영향을 주지 못한 것으로 보이나 알류섭취량과 OVA항체 수준 사이에서는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볼 수 있었고, 육류의 섭취빈도는 α-La을 제외한 모든 항체수준과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IgA의 경우는 육류의 섭취빈도가 항-BSA항체의 유도에 매우 유의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We had examined the levels of specific IgG and IgA to dietary antigens in human breast milk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maternal food intake and the specific antibody level. The highest antibody titers were found in colostrum and decreased as lactaion progressed. The specific antibody level was not affected by maternal calorie or protein intake, but affected by the intake frequency of a kind of food. Egg and meat intake significantly related to anti-OVA IgG and anti-BSA IgA antibodies, respectively. Meat intake frequency was generally affected by the other specific antibody leve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