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자기 주도적 미술 실기 학습을 위한 SNS 기반 온라인 수업 연구 : 초등학교 5학년을 중심으로

        김연정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Online art classes are no longer new teaching methods but the reality of education. The sudden opening of the school by Corona 19 was a major challenge for art courses that required practical art classes. This study is aimed at leading self-directed art production learning in online classes that have come as reality in the changing educational scene. For this purpose, online art classes were designed focusing on interaction based on SNS. I also would like to present educational implications regarding the impact of these classes on the actual self-directed learning process. The self-directed attitude in art subjects, especially in art practical learning, is both natural and important. Moreover, thi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s more essential in online art classes. Online also allows new artistic experiences related to art education. SNS also enables new aesthetic communication by forming a social network in one's new identity. The advantages of these media can be linked to interactions that are mentioned as indispensable components of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ies. Self-directed art learning ability is the ability to grow through multiple interactions rather than just individual competence. Therefore, various interactions in online art classes were conducted through SNS to enhance self-directed art learning skills. To this end, I conducted interactions in various aspects, taking into account various components related to the self-regulating learning stage, and progressed a total of seven online art classes. The classes lasted for four weeks after the online opening of the fifth grade elementary school on April 16, 2020, with only online classes.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studies were applied together as research methods. First of all, the changes were interpreted from the perspective of teachers based on verbal, behavioral, and visual interactions with teachers through online classes and SNS chatting. Then, after class, quantitative research was conducted through a post questionnaire tailored to the components of Zimmerman (2002)'s self-regulating phase. Studies have confirmed that SNS-based interactions have significantly helped students learn self-directed art skills in online classes. First, the interaction of various aspects intended by the teacher influenced the process of students self-directly improving the quality of their work. Second, communication through SNS in online classes provided significant help to students throughout the self-directed art production learning course. Third, the interaction of SNS interactions, especially those involving praise, has had a positive impact on many students. Fourth, SNS communication itself was effective, but it was regrettable for teachers and students to proceed with art practical learning only through non-face-to-face online classes. From the above research results, the conclusion was drawn that SNS-based online classes induce students to learn self-directed art skills and help motivate and develop strategies for production of works. Learning art skills through online classes was not an easy challenge for seni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However, based on the multi-faceted interaction of teachers who wanted to help students perform with patience through SNS, the students confirmed that they were leading and doing actively in producing art work. Even the students who formed Lapo wanted to show their own works and learn art lessons from this teacher. In this regard, this study can be meaningful in that it makes us think about the elements of online classes, especially interactions needed for self-directed art production learning, the possibility of SNS communication, and the attitude of teachers leading them. 온라인 미술 수업은 이제 새로운 교수학습 방법이 아닌 교육의 현실이 되었다. 급작스럽게 실시하게 된 코로나 19로 인한 온라인 개학은 실기 수업을 해야 하는 미술 교과에 큰 도전이었다. 본 연구는 현실로서 다가온 온라인 수업에서 효과적인 자기 주도적 미술 실기 학습을 이끌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SNS를 기반으로 한 상호작용을 중점으로 한 온라인 미술 수업을 설계하였다. 또한, 이 수업이 실제 자기 주도적 학습 과정에 준 영향과 관련하여 교육적인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미술 교과에서, 특히 미술 실기 학습에서의 자기 주도적 태도는 본질적이면서도 동시에 중요시되고 있는 교과 역량이다. 더구나 온라인 미술 수업에서는 이러한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이 더욱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동시에 미술교육과 관련해서는 새로운 예술적 경험을 하게 해주는 것이 온라인이다. SNS 또한 자신의 새로운 정체성 속에서 사회관계망을 형성하며 새로운 미적 소통이 가능하게 해준다. 이러한 매체의 장점은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에 꼭 필요한 구성 요소로 거론되는 상호작용과 연결될 수 있다. 자기 주도적 미술 학습 능력은 단순한 개인의 역량이라기보다는 다각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성장할 수 있는 능력이다. 따라서 온라인 미술 수업에서의 다양한 상호작용을 SNS를 통하여 실시하여 자기 주도적 미술 학습 능력을 신장시키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자는 자기 조절 학습 단계와 관련된 다양한 구성 요소를 염두에 두며, 다양한 양상에서의 상호작용을 시행하였고 총 7차시의 온라인 미술 수업을 진행하였다. 수업은 2020년 4월 16일 실시된 초등학교 5학년의 온라인 개학 이후 온라인 수업만으로 진행되는 시기 4주 동안 진행되었다. 연구 방법으로는 질적 연구 및 양적 연구를 함께 적용되었다. 우선 학생들의 미술 실기의 가장 큰 결과물이라고 할 수 있는 작품들을 교사와 온라인 수업 및 SNS 채팅을 통해 이루어진 언어적, 행위적, 시각적 상호작용을 기준으로 교사의 관점에서 변화 내용을 해석하였다. 또한, 수업이 끝난 뒤 Zimmerman(2002)의 자기 조절 단계의 구성 요소에 맞춘 사후 설문지를 통해 양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SNS를 기반으로 한 상호작용이 온라인 수업에서의 자기 주도적 미술 실기 학습에 유의미한 도움을 주었음을 확인하였다. 첫째, 교사가 의도한 다양한 양상의 상호작용은 학생들이 자기 주도적으로 작품의 질을 높이는 과정에 영향을 주었다. 둘째, 온라인 수업에서 SNS를 통한 소통은 자기 주도적 미술 실기 학습 과정 전반에서 학생들에게 유의미한 도움을 주었다. 셋째, SNS 상호작용 중 특히 칭찬과 관련된 상호작용은 많은 학생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넷째, SNS 소통 자체는 효과적이었지만, 비대면 온라인 수업만으로 미술 실기 학습을 진행하는 것은 교사와 학생들에게 아쉬움을 주었다. 위와 같은 연구 결과로부터 SNS 기반 온라인 수업이 학생들의 자기 주도적인 미술 실기 학습을 유도하며, 작품 제작의 동기유발 및 전략 발전에 도움이 된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에게 온라인 수업을 통한 미술 실기 학습은 쉽지 않은 도전이었다. 하지만 SNS라는 매체를 통하여 인내력을 가지고 학생들의 수행을 도와주고자 하는 교사의 다면적 상호작용이 기반이 되었을 때, 학생들이 주도적으로 미술 작품을 제작하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적극적으로 실기 활동을 해 나갔다. 심지어 라포르가 형성된 학생들에게서는 직접 자신의 작품을 보여주고 본 연구자와 수업을 해보고 싶다는 의견으로 마무리되었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는 온라인 수업, 특히 자기 주도적 미술 실기 학습에 필요한 상호작용이라는 요소 및 SNS 소통의 가능성, 이를 주도하는 교사의 태도에 대해 생각하게 해준다는 것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다.

      • 초등학생이 지각한 가족건강성과 자아존중감 수준에 따른 학교생활적응의 차이

        김연정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초등학생이 지각한 가족건강성과 자아존중감 수준에 따른 학교생활적응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대구광역시 달서구에 소재하는 S초등학교 5, 6학년 남․녀 학생 421명이다. 사용한 측정도구는 가족건강성 척도, 자아존중감 척도, 학교생활 적응 척도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각 척도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였다. 또 가족건강성 하위변인 수준과 자아존중감 수준에 따라 학교생활적응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고, 유의한 상호작용이 있으면 단순 주효과 분석을, 유의한 상호작용이 없으면 주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화목한 가정분위기와 자아존중감은 학교생활적응의 하위변인인 학업적 적응과 정의적 적응에서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둘째, 갈등조절과 자아존중감은 학교생활적응의 하위변인인 학업적 적응과 사회적 적응에서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셋째, 활동 공유와 자아존중감은 학교생활적응의 하위변인인 학업적 적응과 사회적 적응에서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넷째, 초등학생이 지각하는 가족건강성과 자아존중감은 초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건강성 수준이 높을수록, 자아존중감 수준이 높을수록 학교생활적응을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각된 가족건강성이 낮은 경우에도 자아존중감 수준이 높은 학생의 경우에는 학교생활적응을 더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가족건강성이 위협받고 있는 시대에 살고 있는 초등학생들의 자아존중감을 높여주어 학교생활에 더 잘 적응하는 방법을 모색하는데 관심과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해 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 of school life adjustment by the level of self-esteem and family strength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21 students in the fifth and sixth grades of S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Dalseo-gu, Daegu. The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were scales measuring family strength, self-esteem, and school life adjustment.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SPSS statistics program. In order to verify reliability of each scale, a Cronbach's α was calculated. Two-way ANOVA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difference of school life adjustment by the level of subordinate variables of family strength and the level of self-esteem. For significant interactions, a simple main effect analysis was carried out.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harmonious family atmosphere and self-esteem showed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in academic adaptation and emotional adaptation. Second, conflict control and self-esteem showed a significant interaction in academic adaptation and social adaptation. Third, activity sharing and self-esteem showed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in academic adaptation and social adaptation. Fourth, it was shown that family strength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self-esteem influenced school life adjustment of the students. Students adapted better to school life as the level of family strength and self-esteem increased. Even in the case of a low level of family strength perceived by students, having a high level of self-esteem allowed them to adapt well to school life. These results suggest that efforts are needed to investigate the methods of school life adjustment through improving the self-esteem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청소년의 자발적 학교이탈에 관한 근거이론 연구

        김연정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ocess in which adolescents decide to voluntarily withdraw from school and put into action and to come up with a substance theory about the meaning and essence of life after that. There were 16 participants including youth rights activists that well reveal the voluntary will to withdraw from school as well as middle and late adolescents running social media accounts related to dropout. The grounded theory was used as the research method to extract an inductive substance theory from the participants’ experience in withdrawing from school and their inner voices. Data was collected from face-to-face interviews based on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and analyzed with open coding, axial coding and selective coding (Strauss & Corbin, 1996). Data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core phenomenon of adolescents’ voluntary withdrawal from school was ‘transformation from object to subject’. Causal conditions were ‘perception of differentiation from same to different’, ‘daily life that rushes into a critical point’, and ‘awareness of the problem in the structure’. Contextual conditions of the central phenomenon were ‘responsibility about the weight of self-determination’ and ‘chaos of anxiety and support’. Intervening conditions were ‘loneliness from not connecting to others’, ‘anxiety due to internalized discrimination’, and ‘introspection and recovery through rest’. Action/interactional strategies to control the phenomenon were ‘expansion of relationship networks’ and ‘formation of a safety area in anxiety’. Consequences were ‘turning point to come back to myself’, ‘active cohabitation with anxiety’, and ‘growth on the path created by myself’. The core category from selective coding was ‘building my own paradigm by growing into the main subject of life with questions’, and the types of voluntary withdrawal from school were ‘lonely independent type’, ‘eager breakthrough type’, ‘change-seeking type with faith’, and ‘careful reality type’. Voluntary withdrawal of adolescents from school involved their psychological internalization of discrimination due to academic cliques and credentialism, accompanied by constant efforts to establish their ego identity and endless challenges in various tasks to move on to their future adulthood.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이 자발적으로 학교이탈을 결심하고 실행하는 과정과 그 이후 삶의 의미와 본질에 대한 실체이론을 도출하는 것이다. 연구참여자는 학교이탈의 자발적 의지가 잘 드러난 청소년인권활동가와 자퇴관련 SNS를 운영하는 중기청소년과 후기청소년을 포함한 1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은 연구참여자의 학교이탈 경험과 내면의 목소리에서 귀납적인 실체이론을 추출하고자 근거이론(grounded theory)을 사용하였다. 자료수집은 반 구조화된 설문지를 바탕으로 면대면 인터뷰로 진행되었고, 자료분석의 절차는 개방 코딩, 축 코딩, 선택 코딩에 따라 분석하였다(Strauss & Corbin, 1996). 자료분석 결과, 청소년의 자발적 학교이탈의 중심현상은 ‘객체(대상)에서 주체로의 변태’로 나타났다. 인과적 조건은 ‘같음에서 다름으로 분화를 자각’, ‘임계점으로 치닫는 일상’, ‘구조의 문제를 인식’이었고, 중심현상에 대한 맥락적 조건은 ‘자기결정의 무게에 대한 책임감’, ‘불안과 지지의 혼돈’이었다. 중재적 조건은 ‘연결되지 못한 외로움’, ‘내면화된 차별로 인한 불안감’, ‘쉼을 통한 성찰과 회복’ 이었으며, 현상을 조절하기 위한 작용/상호작용 전략은 ‘관계네트워크 확장’, ‘불안 속에서 안전지역 형성’이었다. 중심현상의 결과는 ‘나로 돌아오는 터닝 포인트’, ‘불안과 적극적 동거’, ‘내가 만든 길에서 성장 진행’으로 나타났다. 선택 코딩으로 핵심범주는 ‘질문을 품고 삶의 주체로 성장하여 나만의 패러다임 구축하기’였으며, 자발적 학교이탈 유형은 ‘외로운 홀로서기형’, ‘열망의 돌파형’, ‘신념의 변화추구형’, ‘신중한 현실형’ 등으로 나타났다. 청소년들의 자발적 학교이탈은 심리적으로 학벌과 학력주의에 따른 차별을 내면화하면서도 끊임없는 자아정체성 확립을 위한 노력과 미래 성인기로의 이행에 있어 다양한 과업에 대한 끊임없는 도전이 동반되고 있었다.

      • 대전지역 벤처기업의 복지프로그램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김연정 한밭대학교 창업경영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actual status of venture company’s welfare program in Daejeon area and draw improvement method. Generally, unlike large company, venture company makes an effort to employ the worker, who can grow with company while concentrating on regular employment for active contribution to the foundation of company. However, the venture company suffers from unemployment caused by inconsistent working condition and personal condition. Especially, the venture company of Daejeon area shares 3.8% in Korea. When considering small and medium company’s manpower status report, Daejeon city takes the first place in unemployment rate as 21.3%. It is possible to analogize the difficulty in manpower control because main reason of unemployment is usually inconsistent working condition and personal condition. Company’s worker is motivated and devotes himself to organization by indirect compensation like welfare as well as direct compensation for work like wage. Through indirect welfare as well as direct wage, organization members are satisfied with organization and decide whether to continue or quit work. Regarding the company’s welfare program, previous studies usually aim at large or certain type company. Therefore, the study will analyze domestic & overseas study result in relation to company’s welfare policy, research actual status of venture company in Daejeon area on the basis of the result and provide political suggestion for the preparation of welfare system, which is proper for venture company in Daejeon a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welfare system that can contribute to security, maintenance and use of manpower resource, key source of company competitiveness, and draw the improvement method, which is proper for the local characteristic. 본 연구는 대전지역 벤처기업의 기업복지프로그램의 실태를 파악하여 그 개선방안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연구이다. 일반적으로 벤처기업의 고용은 대기업에 비해 회사 기반을 닦는데 적극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정규직 고용에 보다 중점을 두고 함께 클 수 있는 근로자 채용을 기대하는 등 고용안정화를 기하고 있지만, 근무조건 불일치·개인사정 등에 따른 이직을 많이 겪게 된다. 특히, 대전지역 벤처기업은 전국에서 3.8%를 차지하고 있으나, 중소기업 인력실태 조사 보고서를 살펴보면 대전광역시가 이직률 21.3%로 1위를 차지하고 있고, 이직 주요원인으로 근무조건 불일치·개인사정 등에 따른 이직이 크게 차지하여 인력관리의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유추할 수 있다. 기업종사자들은 근로의 대가로서 임금 등의 직접적인 보수 이외에 복지후생과 같은 간접적인 보상을 통해 동기부여 되고 조직에 헌신하게 된다. 직접적인 보수뿐만 아니라 간접적인 보수인 복지후생은 조직구성원들로 하여금 그 조직에 만족하며 계속 근무할 것인지 아니면 이직할 것인지 등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이러한 기업복지프로그램과 관련하여 선행연구들은 주로 대규모기업 또는 특정조직의 기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업복지후생 제도와 관련한 국내외 연구결과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대전지역 벤처기업의 실태조사를 실시한 후, 대전지역 벤처기업의 특색에 적합한 복지후생제도를 마련하는데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즉 본 연구는 대전지역에 위치한 벤처기업을 중심으로 기업경쟁력의 핵심원천인 인적자원의 확보 및 유지활용에 기여하는 복지후생제도 현황을 조사하고, 지역 특성에 적합한 개선안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몬드리안과 말레비치의 회화에 담긴 조형성 비교 연구

        김연정 충북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art was an epoch-making event in modern art which publicizes a break with the past. Art, rejecting the role as a mirror which has been performed for hundreds of years, was looking for the cause of existence as such, resulting in development of abstract painting. The perception that painters must represent not what they saw in their eyes but the cry of the soul is common to both Mondrian and Malevich who sought painful delight for the creation of abstract paintings. This paper is focused on comparison of abstract painting of Mondrian that can be said to be the symbol of cold abstraction in the two main stream of abstract painting - cold abstract and hot - and Malevich, the symbol of absolute abstraction, comtemporary with Mondrian. As Malevich rejected a sign language in painting, Mondrian also rejected all the human expression readable in the process of creating a form. This is a difference indicated in the fundamental part Malevich desires to represent through pictures, and Mondrian, interpreting abstraction as what is reasonable from nature, compared and studied the abstraction where traces of an image remained, while Malevich, interpreting the essence of nature itself as transcendent mysticism and a monastic form, compared and studies the abstraction from which an image was removed. Mondrian was affected by cubism and theosophy in the early stage, but later gets to create his own painting world. So, he excellently expressed the greatness of mental value on the screen with such simplicity as is not believable, making painful efforts to practice lots of theories he published with the greatness of painting, and went through plenty of globular and semi-globular forms in order to reach pure abstraction. The black tetragon of Malevich, positioning itself, indicates a picture emitting something which remained after removing what is not artistic from art, that is, perhaps some energy with only a line, color and a shape which we call today elements of formative art. The picture containing power even where nothing reappear! That is just an artistical ideal Malevich dreamed of. This ideal is representative of the ideal of modernism art beginning from impressionism and ending up with minimalism, at the same time implying a notion beyond it. After it was established as a materialistic thing, a notion finally intends to become something in excess of the limit. Malevich tried to represent pure spirit through his suprematism pictures. Mondrian made efforts to seek reasonable order containing necessity in excess of humans and nature, while Malevich attempted to seek the pure human spirit, that is, the four-dimensional world. Such attempts were recognized as a renovative one in that they had an interest in what is beyond the visible things in excess of the reality, not drawing an shape from a casual or different object. The application of Mondrian's theory of art and 'practical, abstract' painting was revered as the origin of minimal art and hard edge which dominated the world art in 1970s, and Malevich's idea and works were characterized by direct linkage to minimalists.

      • 도심지 굴착에 따른 흙막이벽체의 거동과 겉보기토압

        김연정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1998 국내박사

        RANK : 247631

        Deep excavations in urban area are frequently carried out very close to existing structures. The movements of the in-situ walls are caused to instability of the wall systems and adjacent structures, therefore, should be controlled in order to stabilize overall systems. A proper design and construction of deep excavation to avoid damage of adjacent structure or buildings requires to predict earth pressure acting on the in-situ wall as well as the wall displacement and the ground settlement around an excavation. Most of the prediction methods currently used are based on a uniform soil conditions with a clay or sand deposit. Applicability of these methods for multi-layered ground conditions frequently encountered in urban area of Korea needs a thorough invastigation. Therefore, this study has been undertaken with the aim of understanding the behavior of in-situ walls and apparent earth pressure associated with deep excavations in multi-layered ground conditions frequently encountered in urban area of Korea.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analysis of measured data, finite element analyses and laboratory model tests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nalyzed to investigated the behavior of in-situ walls and apparent earth pressure patterns in urban area of Korea. Furthermore,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were discussed in detail.

      • 먼지족적 채취기법으로 증강한 족적 특이점의 보존 정도 비교

        김연정 순천향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would compare the effects of physical and chemical methods of the enhancement of dust footwear impression, which have been known till now. As far as the researcher knows, there has not been any study on the evaluation and comparison both physical method and chemical method for footwear impression in a dry origin on porous and non-porous surfaces. In addition, despite the use of the enhancement of the footwear impression has significance in elaborate enhancement and collection of the overall pattern and minutiae of the impression, most of the preceding studies prove the effects of the methods, comparing subjectively them with the naked eye. Thus, through efficiency of preserving and developing minutiae of the enhanced footwear impression, physical and chemical enhancement method of dust footwear impressions would be compared objectively. As methods for enhancing footwear impressions in dust, the researcher chose photography, electrostatic lifting(ESL), gelatin lifting, 2,2’-dipyridil treating and 8-hydroxyquinoline treating method. On porous surfaces, including print paper and raw wood, and a non-porous surface, tile, a diminishing series of 8 impressions were left on the sole of a shoe stained with dust. And then they were enhanced with each method, and the effect was evaluated, based on the number of the preserved and enhanced minutiae. As a result, with the footwear impressions that remained on the porous surfaces, treatment with 8-hydroxyquinoline enhanced more minutiae than photography with oblique light, and most minutiae were enhanced minutely. Since it was the fluorescent enhancement, so it showed a high contrast ratio. Next, for the marks left on the paper, of lifting methods, the gelatin lifting method developed most minutiae, followed by ESL method. However, In case that the footwear impressions left on the raw wood were recovered with lifting method, minutiae of the footwear impressions weren't almost observed. Because a large amount of raw wood pulp damaged the minutiae. For dust footwear mark left on the clean white tile lifting methods preserved and developed more minutiae than reagent treating methods did, and in particular, the gelatin lifting method elaborately developed most minutiae. Although ESL is a less destructive than the gelatin lifting, since the principle is the transcription of some dust through electrostatic energy and maintenance of the form, it was less effective than the dust footwear impressions enhanced with the gelatin lifting method in enhancing the minutiae. However, the effect of the two methods may be reduced if the background was contaminated with fiber or other types of dust. In conclusion, chemical method is recommended to enhance dust footwear marks on a porous surface and physical method is recommended to enhance them on a non-porous surface. But considering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r UV reflection in addition to the type of surface, either non-porous or porous surface, reagent treatment or lifting method for each situation should be selected and the order should be decided before the application of impression enhancement to the surface where the footwear impression was left. 본 연구에서는 흔히 볼 수 있는 먼지족적을 증강하는 현재까지 알려진 물리적, 화학적 기법의 효과를 비교해보고자 한다. 필자가 알기로는 다공성, 비다공성 표면에 있는 dry origin 족적을 물리적 기법과 화학적 기법 모두를 비교평가한 연구는 아직 없다. 또한 족적 증강기법들의 이용은 족적의 전체적인 무늬와 개별적인 특이점을 세밀하게 증강하여 채취하는데 그 의의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선행연구에서는 대부분 육안으로 비교함으로써 그 기법의 효과를 증명하고 있다. 따라서, 보존 및 증강한 족적 특이점의 개수를 통해 물리적, 화학적 먼지족적 증강기법을 객관적으로 비교하고자 한다. 필자는 먼지족적을 증강하기 위해 이용할 기법으로 사진촬영기법, 정전기 전사기법, 젤라틴 전사기법, 2,2'-dipyridil 처리기법, 8-hydroxyquinoline 처리기법을 선정하였다. 다공성 표면인 용지(ptint paper)와 목재(raw wood) 그리고 비다공성 표면인 타일(tile) 위에 먼지를 묻힌 신발을 신고 8번 연속으로 일정한 압력을 가하여 족적을 유류하였다. 그 후 유류한 족적을 각 기법으로 증강하여 보존 및 증강된 족적 특이점의 개수를 기준으로 각 기법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다공성 표면에 남겨진 족적은 8-hydroxyquinoline을 처리 시 사진촬영 기법으로 현출한 족적보다도 더 많은 특이점을 현출하여 가장 많은 특이점을 세밀하게 현출하였고 형광증강이기 때문에 대조비를 높이는 효과를 갖고 있다. 다음으로 종이에 남겨진 족적은 전사기법이 젤라틴 전사기법, 정전기 전사기법 순으로 많은 특이점을 현출하였다. 하지만 목재에 남겨진 족적을 전사기법으로 증강한 결과에서는 다량의 목재펄프가 특이점을 훼손시켜 거의 모든 특이점을 관찰할 수 없었다. 비다공성 표면인 타일에 남겨진 먼지족적의 경우 화학적인 시약처리 기법보다 물리적인 전사기법이 많은 특이점을 보존 및 현출하였으며 그 중에서도 젤라틴 전사기법이 더 많은 특이점을 세밀하게 현출하였다. 정전기 전사기법은 젤라틴 전사기법에 비해 덜 파괴적인 방법이기는 하나 원리가 정전기적 에너지를 통해 일부 먼지를 전사하여 그 형태를 유지하는 것이기 때문에 젤라틴 전사기법으로 증강한 족적보다 특이점을 증강하는 데 있어 덜 효과적이었다. 하지만 두 기법 다 배경이 섬유나 다른 먼지들로 오염된 경우 그 효과가 감소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먼지족적을 증강하기 위해 기법을 선택할 때, 족적이 있는 표면이 다공성 표면인 경우에는 화학적 기법을 비다공성 표면인 경우에는 물리적 기법을 이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하지만 먼지족적이 유류된 표면에 족적 증강기법을 적용하기 전에 비다공성 혹은 다공성 표면의 종류 외에도 표면의 오염 정도나 UV의 반사 유무 등을 고려해 각 상황에 맞는 시약 혹은 전사기법을 선정하고 그 순서를 결정해야 한다.

      • 국가, 지역, 학교 수준 교육과정간의 연계성 분석

        김연정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제7차 교육과정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수준별 교육과정, 재량활동 교육과정, 특별활동 교육과정이 국가, 지역, 학교수준 교육과정과 어느 정도의 연계성을 지니고 있는가를 분석, 비교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보다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학교 교육과정을 편성, 운영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내용을 연구하였다. 첫째, 수준별 교육과정의 국가.지역.학교수준 교육과정간의 연계성 분석 둘째, 재량활동 교육과정의 국가.지역.학교수준 교육과정간의 연계성 분석 셋째, 특별활동 교육과정의 국가.지역.학교수준 교육과정간의 연계성 분석 이러한 연구를 위하여 국가수준 교육과정에 있어서는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교육과정(19997-15호)해설 중 수준별, 재량활동, 특별활동 교육과정과 시.도교육청 초등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지침 중 수준별, 재량활동, 특별활동 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침과 경상남도지역에 소재하는 12개 초등학교를 무선 표집한 ‘학교 교육과정’ 중 수준별 교육과정, 재량활동 교육과정, 특별활동 교육과정만을 상호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수준별 교육과정에 있어 경상남도 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침은 그 내용을 비교적 상세하고 비중 있게 다루고 있어 이는 제7차 교육과정에서의 수준별 교육과정 위상과 부합한다고 할 수 있다. 단위 학교의 수준별 교육과정은 일부 학교에 있어 상위 지침에 반한 내용이 발견되기도 하나 수준별 교육과정의 근본 정신을 적극 반영하고 현실적 문제 등을 감안하여 실현 가능성에 염두를 둔 지침을 마련하고 있어 국가-지역-학교간의 연계성은 상당히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둘째, 재량활동 교육과정은 지역의 특수성, 학교.학생.학부모의 여건,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해 학교에서 교육과정의 개발자의 위치에서 창의적으로 구성하도록 하였기에 국가 수준의 지침이 일반적인 내용으로 제시되어 있는데 비하여 경상남도 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침을 살펴보면 편성면과 운영면에 있어 아주 세부적인 내용을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단위 학교수준의 교육과정 편성.운영에 있어서는 더 자세하고 구체적으로 명시함으로써 재량활동의 실천의지가 잘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셋째, 특별활동 교육과정은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내용이 예시적 기준임을 분명히 하고 있어 특별활동 교육과정 편성.운영이 있어서 단위학교에 많은 재량권을 부여하고 있다. 따라서 학교 특별활동 교육과정에서는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에 제시된 목표를 달성하는 한도 내에서 지역실정과 학교 특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활동 내용을 선정 운영할 수 있다. 그러나 단위 학교 수준의 특별활동 교육과정 일반 지침은 제7차 교육과정에서의 강조점을 반영했다고 볼 수 있으나, 경상남도 교육과정 편성 운영 지침에서 제시된 교육 중점 내용을 적극적으로 반영하는데는 소극적이어서 상위 지침간의 연계성이 충분히 고려되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그러므로 시.도 단위의 교육 중점 등을 단위 학교 교육과정에 적극 반영하려는 노력과 함께 학교 교육과정 편성에 앞서 상위 문서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내용 검토 과정이 필요하다 하겠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and compare the degree of articulation between the cores of the 7th curriculum including curriculum by level, optional activities curriculum, and special activities curriculum and the curriculum by national, local, and school level. and to present a suggestion for organizing and operating a more systematic and detailed school curriculum. The scope of the study is as follows. 1. Articulation analysis between the curriculum by level and the curriculum by national, local, and school level 2. Articulation analysis between the optional activities curriculum by level and the curriculum by national, local, and school level 3. Articulation analysis between the special activities curriculum by level and the curriculum by national, local, and school level For the national level curriculum, those curriculum by level, by optional activities, and by special activities in the curriculum explanation of the notification(No. 19997-15)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organization and operation guides on the curriculum by level, optional activities, and special activities in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organization and operation guides of the city/provincial education office, and the curriculum by level, optional activities, and special activities of the 'school curriculum' selected from random sampling of 12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the south part of Gyeongsang province(Gyeongsangnam-do), were comparatively analyzed. The findings from the study were as follows. In the curriculum by level, the curriculum organization and operation guides of Gyeongsangnam-do dealt with the content comparatively in detailed and with importance enough to meet the stature of curriculum by level in the 7th curriculum. Of the curriculum by level in the unit schools, some schools had some violence to the upper level guideline, but seemed to have considerable articulation among nation-local-school curriculum as they actively reflected the fundamental meaning of the curriculum by level and prepared the guides based on realization possibility about the realistic problems. In the optional activities curriculum, the guideline in nation level was presented as general content since the optional activities curriculum was composed in such a way that each school can creatively design it in the developer standing, taking account of local peculiarity, conditions of school, students, and parents, and the learners' characteristics. While, the curriculum organization and operation guides of Gyeongsangnam-do presented very detailed content for its organization and operation, and specified more in detail and concretely on the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each unit school, reflecting the willness of optional activities. In the special activities curriculum, it was made clear that the contents presented in the nation level curriculum are just the exemplary guideline, endowing much discretion about the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optional activities to the unit school. Thus, school optional activities curriculum can choose and operate adequate activities within the limit of achieving the goal presented in the nation level curriculum, taking account of local circumstances and school characteristics. Though the general guideline of optional activities curriculum in unit school level reflected the emphasis in the 7th curriculum, but was inactive in reflecting the major emphasis points in the Gyeongsangnam-do curriculum organization and operation guide, so it does not seems that articulation with upper level guideline was enough considered. Thus, it is required to try to actively reflect the curriculum focuses in the city/province level and enough understand and review the content of upper level curriculum, prior to organization of school curriculum.

      • 고등학교 사회교과서의 사회복지 관련 내용 분석

        김연정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Social Studies Eucation brings up a democratic citizen who solves various questions of the days, in the meaning that, social welfare which prevents or solves against social problems has something to do with the purpose of social studies. It is desirable that social welfare should be properly reflected in the contents of the textbook of social studies so this thesis is studied on the contents analysis in the social welfare realm of social studies. That is to say, examining that social welfare has been properly reflected in the textbook of social studies, this thesis makes a clear of an actual conditions of social welfare realm in the social studies and adds social welfare in the future social studies. Prior to examining social welfare realm in the high schools textbook of social studies from the 2nd curriculum period to the 7th curriculum period, according to documentary review, this thesis provides how korean social welfare policies are made up in a political, economical, social mood and produces the process of the korean social welfare. For the purpose of contents analysis, the analysis table of social welfare realm has been classified into the development process of social welfare, the concept of social welfare, the principal concerned fields of social welfare, and social security in the respect of social welfare institution, and then their low-ranking realm contents have been selected, and those abstracted are treated as the standards of the analysis of the contents of the textbooks of social studies. And analysis results are follows : First, prior to examining social welfare realm in the high schools textbook of social studies, the development process of korean social welfare is studied centering around social welfare policies dated from political, economical, social conditions. Given the meaning of social welfare which prevents or solves against various social problems of the days and elevates quality of life, social welfare policies which Korea established since 1960s have something to do with the background of that times. But established social welfare policies or laws are reflected in the textbook as a simple array or description. So the textbook doesnt make students recognize the importance of policies or laws which are concerned with actual life. Second, reflecting gravity rate of social welfare is low as a 2nd(13%), 3nd(12.6%) 4th(10.7%), 5th(9.4%), 6th(5.6%), 7th(12.5%). It is treated lowly in comparison with other social science realms which composes social studies. The great unit of social welfare is highlighted, but because real problems of the social welfare are treated in the small units(2-3), their gravity rate is low. Third, Gravity rate variations consists in the curriculums by the analysis table. But from the 2nd curriculum period to the 7th curriculum period, general description is centered on the principal concerned fields of social welfare and then the gravity rate is following : the concept of social welfare, the development process of social welfare, social security in the respect of social welfare institution 사회생활을 영위하는 데 있어서 인간의 기본적 욕구의 대응과 각종 사회문제의 해결을 목적으로 하는 사회복지의 영역들이 강조되고 있는 시점에서 사회복지야말로 사회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시민을 육성한다는 사회과 교육의 목표와 일맥상통한 것으로 보았다. 복지구조가 열악한 상황에서 훌륭한 인적자원이 될 수 있는 구성원에 대한 복지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며, 사회복지가 사회과 교육에 반영될 필요가 있다는 판단 하에 사회과에서의 사회복지영역에 대한 내용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즉, 사회복지영역이 그간 사회과교육에 얼마나 비중있게 절절히 제시되고 있는지를 검토함으로써 사회과교육에서의 사회복지영역의 실태를 밝히고 아울러 미래사회과에서의 사회복지영역에 대해 제언해 보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2차 교육과정에서 7차 교육과정까지의 고등학교 사회과 교과서의 사회복지 내용을 검토하기에 앞서 한국의 사회복지정책이 어떠한 정치.경제.사회적인 분위기속에서 형성되었는가를 문헌연구를 통해 각 시기별로 살펴봄으로써 한국 사회복지 발전과정을 알아보았다. 그리고 교과서 분석을 위해 사회복지에 대한 분석틀을 사회복지 전개과정, 사회복지의 개념, 사회복지의 주요 대상영역 그리고 사회복지 제도적 측면에서 사회보장제도로 나누고 각각 그 하위내용을 선정한 후 이러한 영역들이 사회과 교육과정개정에 따른 사회교과서에 어느 정도 비중있게 반영되어 있는가를 교과서 분석을 통한 실증적 연구로 알아보았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각 교육과정 시기별 분석에 앞서, 한국 사회복지의 전개과정을 각 시기별 정치.경제.사회적 상황에서 비롯된 주요정책 중심으로 살펴보았는데, 그 시대의 사회문제를 해결하고자 함이 주 목적인 복지의 의의에 따라 우리나라가 60년대부터 제정하고 실시한 사회복지 관련법들이 당시의 시대적 배경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그 당시 마련된 관련법들이 교과서에 반영은 되었으나 사실 나열 및 단순 나열에 그쳐 학생들로 하여금 실생활에 직접 필요한 관련법들의 중요성을 덜 인지하게 하고 있다. 둘째, 사회복지에 대한 교과서의 비중은 2차 13%, 3차 12.6%, 4차 10.7%, 5차 9.4%, 6차 5.6%, 7차 12.5%로 나타나 사회과를 구성하고 있는 다른 사회과학의 영역들에 비해 적은 분량으로 다루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단원구성에 있어서 대단원으로 사회복지를 부각시켰지만, 실제 사회복지문제를 다룬 곳은 대단원내의 2-3개의 소단원이었다. 셋째, 분석틀에 의한 각 영역의 비중변화에 있어서는 교육과정차수별 비중도의 차이는 있었으나, 2차 교육과정기에서 7차 교육과정기에 이르기까지 전체적 흐름은 사회복지의 주요대상영역을 중점으로 하여 사회복지의 개념과 사회복지 전개과정, 사회보장제도 순으로 비중을 두어 서술되고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