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楊簡의 心學에 있어서 ‘心卽道’의 원칙과 그 修養經

        김연재(Kim Yon Jae) 한국동양철학회 2006 동양철학 Vol.0 No.26

          심학의 발전사에서 양간은 육구연과 왕양명 사이에서 중요한 연결고리가 되었던 인물이다. 그는 정호(程顥)의 ‘천인일본(天人一本)’설을 근거로 하고, 나아가 육구연이 주희와의 논쟁과정에서 제시한 “나의 마음은 우주이다(吾心卽是宇宙)”라는 관점과 ‘존심명리(存心明理)’의 논법을 계승했다. 그 이론사유의 연원을 보자면, 그는 주로 공자의 ‘도(道)’의 정신과 맹자의 ‘양지(良知)’의 본질을 논거로 하여 마음의 본연의 속성을 균정하고자 했다. 그 방법론적인 의의로는, 그는 마음 본체가 운행되는 방식을 『역전』의 ‘역라(易理)’의 원칙 속에서 “마음은 의념을 일으키지 않는다(心不起念)”는 인간의 내면세계의 본질을 찾았다. 특히 그는 “사려가 없고 작위가 없다”는 본심의 성격은 ‘인심’의 본질을 밝히는 관건으로서, 수양의 경지로 고양되었다. 그 이론적 사유의 의의를 보자면, 그는 “인심이 바로 도심이다(人心卽道心)”라는 명제를 제시함으로써 도덕수양의 대원칙, 즉 일종의 ‘수양경(修養經)’을 확립하고, 이를 통해 유가의 도덕철학에서 중시된 ‘인의(仁義’의 마음에 관한 이론적 기반을 마련했던 것이다. ‘도심’과 ‘인심’이 일체가 된다는 내용의 ‘수양경’은 후대의 심본론의 방법론적 토대가 되었다.   The essay is focused upon explicating how Yang Jian applies the principle of Changes to his doctrine of heart-mind. In the developing history of the school of heart-mind, Yang Jian was a philosopher who has a status of associating between Lu Jiu-yuan and Wang Yang-ming. From the viewpoint of theoretical origin, he prescribed the original substance of heart-mind and its contents on the foundation of Confucius" spirit of the Way and Mencius" attribute of Liang-zhi. From the viewpoint of methodological significance, he presented the doctrine of self-cultivation that "no intentional thought arises in the heart-mind" through excavating the mode of the original substance of heart-mind from the principle of Changes implying in the Commentaries of the Book of Changes. Particularly, he understood the original-substantial stage of heart-mind and its significance through the mode of Changes of "the non-thought and non-action." From the viewpoint of theoretical thinking-way, he established the law that the heart-mind of humanity is the heart-mind of Way, and so founded the self-cultivating canon of the identical unity of the heart-mind of humanity and the heart-mind of Way.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ay that he provided a basis of the doctrine of original substance for the successive school of heart-mind.

      • KCI등재

        동아시아의 문화콘텐츠에서 본 玉琮의 祭器와 토템사상의 境界 : 龜卜문화의 圖像學的 해석

        김연재(Kim, Yon Jae)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21 다문화콘텐츠연구 Vol.- No.38

        본고에서는 역사와 지리의 시공간적 발견 속에서 동아시아의 문화콘텐츠를 어떻게 접근할 수 있는가 하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그 사례 중의 하나로서 玉琮의 祭器와 그 속에 담긴 문화의 원형과 그 정신적 기질을 논하고자 한다. 옥종의 문화는 신석기시대의 원시적 토템에서 유래하였으며 신비적 주술과 관련한 부호의 상징적 매체를 지닌 특수한 관념의 산물이다. 옥종의 설계도는 대체로 천문학적 형태, 토템적 문양, 기하학적 도안으로 특징짓는다. 옥종의 구조적 형태는 天圓地方의 천문학적 시계에서, 그 사면에 새겨진 神人獸面紋은 龜卜문화의 도상학적 세계에서, 그 속에 함축된 神徽의 抽象性은 토템사상의 경계에서 조명될 수 있다. 이처럼 상상력의 연상적 연결고리를 통한 설계도면에서 上天의 경외성, 영혼의 신성성, 생명의 신비성 등과 같은 토템사상의 의식적 경계를 엿볼 수 있다. 이러한 옥종의 특수한 문화는 문화의 원형과 그에 따른 정신적 기질을 특징으로 하는 동아시아의 문화콘텐츠를 위한 초석이자 디딤돌이 된다. The essay starts from the issue awareness how East-asian cultural contents can be illuminated in the time-space discovery of history and geography. As an exemplar, it tries to explicate a certain archetype and its ethos reflected in the holy vessel of Yucong. Yucong results from a symbolic system of code and creative culture, which stems from the primitive totemism in the Neolithic era. A structural drawing of Yucong is characteristic of astronomical form, totemic pattern, geometric design, etc. Particularly, tian-yuan-di-fang in a structural shape of Yucong projects an epistemological world of heaven and earth. A figure of shen-ren-shou-mian-wen in its square surface can be implicatively approached from an axiological horizon of life awareness. There is an iconological understanding of drawing an abstractness of divine emblem from the concreteness of real thing. In this respect, the culture of yucong is said to have an exceptional character of in a developing stage of civilized community. In it, the state of chaos was developed into to orderly world. which is closely associated with the ancient world-view and consciousness of social order. The culture of yucong plays a role as one of representative passages of discoursing East-asian cultural contents, It is consequent that, through a chain of intuition and deduction, the self-consciousness of human beings is escalated to the canon of value or the social ethics of the humanistic world.

      • KCI등재
      • KCI등재

        중국 근대성의 담론에서 본 太虛의 人間佛敎와 그 現生觀 - 人間淨土의 進化論的 세계를 중심으로 : 중국 근대성의 담론에서 본 太虛의 人間佛敎와 그 現生觀

        김연재(Kim Yon-jae) 한국동양철학회 2007 동양철학 Vol.0 No.28

        사회진화론이 서구사회에서 약자에 대한 강자가 약자를 지배하기 위한 논리를 제공했다고 한다면, 이것은 중국사회에서 약자가 강자로 변신하기 위한 정당성과 필요성을 진작시켜주는 부국과 자강의 담론으로 탈바꿈하게 된다. 중국의 지식인들은 사회진화론에게서 강자를 위한 적자생존의 논리를 받아들여 부국강병의 원천으로 삼고, 다른 한편으로는 약자를 위한 자연도태의 논리를 배격하여 민족생존의 방편으로 삼았다. 이러한 맥락에서 太虛 역시 대승적 입장에서 중국불교가 지니는 한계와 대안을 동시에 간파했다. 그는 인간, 현생, 정토를 동일선상에 놓고 이들의 관계가 근대적 의미의 인간진화를 규정하는 데에 중요하다고 보았다. 그는 해탈이나 성불의 단계를 인간 자체로 끌어들이는 일종의 내향성의 경지로 전환시켜 불교의 세속적 혹은 현세적 한계점을 극복하고자 했다. 그에게 인간 개념은 진화론적 역사관 속에서 이해된다. 즉 만유와 중생의 眞相은 전 세계의 인류가 스스로 각성하고 스스로 다스릴 줄 아는 완전한 자유와 평등에로 진화하는 것이다. 이것이 태허의 인간불교론의 논지이다. 이는 ‘人間淨土’의 進化論的 세계를 담보하는 근간이 되었다. 인간불교론이 지닌 근대적 성격은 현생과 정토의 일체 혹은 통일, 즉 ‘현생을 위한 정토’ 혹은 ‘정토를 위한 현생’의 人間觀을 제시했다는 데에 있다. 이는 세간과 초세간의 간극을 줄이면서 ‘인간됨’ 혹은 인간성에 대한 믿음, 즉 人文主義的 신념에 바탕을 둔 것이다. 따라서 그의 인간불교론은 ‘중국불교의 근대적 重建’이라는 측면에서 ‘민족불교’의 내용을 담고 있다. 궁극적으로 그는 자신의 인간불교론을 통해 당시에 동아시아 국가들이 직시했던 서양문화권과의 소통, 종교들 간의 통섭, 더 나아가 세계와의 화합을 도모했다고 할 것이다. The essay is focused upon explicating what is the view-point of this life in Tae Huh"s Human Buddhism in the discourse of Chinese modernity. This life played a vital role in the nationalistic Buddhism which is characteristic of Buddhistic worldliness. What is called Human Buddhism reflects the Chinese worldliness of Buddhism and its assimilation into modernization. From the point of view of East-asian discourse, if the social doctrine of evolution provided a theoretical basis for the wealth and military power of China and the survival of its people, then, Tae Huh applied it for enlightening a doctrine of Human Buddhism. A doctrine of Human Buddhism is focused upon an existential dimension of humanity, that is, how well a human being will lead his/her life in reality. He attached importance to a human being, this life and a world of human Elysium in a trinity of their relationship. Furthermore, he think that a trinity of their relationship plays a vital role in a true evolution of humanity. Concretely, the real truth of all existence of mankinds is in evolving into such a perfect freedom that they can refect themselves and control themselves. Therefore, the modernity of his Human Buddhism is on the ground of a humanistic unity of this life and Elysium, that is, ‘this life for Elysium’ and ‘Elysium for this life’. It seems to me that this is based upon his belief of humanity, lessoning a gap of worldliness and unworldliness.

      • 중국 근대의 진화론적 시계(視界)에서 본 대승현생적(大乘現生的) 세계와 인간정토(人間淨土)의 경계

        김연재 ( Kim Yon-jae ) 한국밀교학회 2022 불교학밀교학연구 Vol.1 No.-

        중국의 근대화에서 지식인들은 부국강병과 민족생존과 같은 현실적 사명감 속에서 서구의 사회진화론, 자유와 평등의 이념을 수용하고 반봉건주의, 반제국주의, 교화주의 등과 같은 민족주의적 기치를 내걸었다. 그들은 문명사회로의 발전이라는 명분 하에 서구의 진화론을 수용하면서 민족의 부국강병을 도모하고 구국적 애국의식을 고취하여 근대국가로의 전환을 도모하였다. 특히 불교의 전통적 사상은 중국사회 전반에서 표출되는 진화론적 變法의 혁신 속에서 佛法의 보편성과 포용성에 입각하여 중생구제을 골격으로 하는 대승불교의 구세주의를 설파하였다. 여기에는 구국적 애국심을 배양하고 하층민의 민권의식을 고취시키려는 취지가 담겨있다. 불교계의 대표적인 인사들 중에서 太虛는 바로 이러한 대승주의 적 입장에서 근대 중국의 한계를 인식하고 그 대안을 모색했던 인물이었다. 그는 중국의 근대적 의식 속에서 진화론적 시계, 大乘現生的 세계, 人間淨土의 경계 및 이들의 관계에 주목하였다. 그의 인간불교관은 이들의 관계와 관련하여 현세주의적, 구세주의적, 경세주의적 입장에서 접근될 수 있다. 그는 진정한 인간 개념을 現生의 진화론적 人間像에서 조명한다. 그것은 중생의 眞相은 스스로 각성하고 다스릴 줄 아는 근대적 의미의 완전한 자유와 평등의 상태로 진화하는 모습이다. 이러한 人間像에서야 현생과 정토를 통일시키는 인간정토의 진화론적 경계를 추구할 수 있는 것이다. The essay is to explain what is the view-point of human Buddhism in modern consciousness of China. This life of humanity plays a vital role in the nationalistic Buddhism of having Buddhistic worldliness. So-called Human Buddhism is characteristic of the Chinese worldliness of Buddhism in course of modernization. The social doctrine of evolution is a theoretical basis for strengthening the wealthy and military power of China and making the survival of its people. In this stream, Tae Huh argues a doctrine of Human Buddhism. It has an existential dimension of humanity of leading our lives in reality. He emphasizes upon a successive line of a human being, this life and a world of human Elysium in a trinity of evolutionistic vision, Mahayanist life world, and human Elysium horizon. In a trinity of their relationship, a true social evolution has an effect in a degree. The lives of mankinds are in the process of evolving into such a perfect freedom of reflecting themselves and control themselves. Therefore, the modernity of his Human Buddhism is based upon a humanistic unity of this life and Elysium, that is, this life for Elysium and Elysium for this life. Concretely, it is possible to say that this is established in his Buddhistic belief of humanity of going beyond a gap of worldliness and unworldliness.

      • KCI등재
      • KCI등재

        서사의 상상력에서 본 주역의 괘효사와 그 해석의 지평 - 주대의 역사이야기를 중심으로 -

        김연재 ( Kim Yon-jae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20 儒學硏究 Vol.50 No.-

        본고에서는 점술서로서의 『역경』을 어떻게 접근할 것인가 하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그 논점은 점괘를 풀이한 괘효사의 서사에 있다. 서사는 역사적 사건이나 내용을 시간적 순서와 인과의 관계에 따라 서술하는 것이다. 서술의 기법에서 의도나 계도의 취지에 맞게 상상력이 가미된다. 64괘의 괘효사는 각각 그 명칭에 입각하여 인간사회의 사건이나 상황을 상징적으로 사례화한 서사이다. 그것에는 서사의 상상력에 따른 독특한 해석의 지평이 있다. 점괘의 결과를 활용하는 데에 사실판단과 가치판단의 내재적 관계를 밝히는 의리의 방법이 수반된다. 이러한 괘효사의 서사는 ‘역학적 서사’라고 불릴 수 있다. 역학적 서사의 대표적인 사례로서 문왕의 역사적 사건이 있다. 주나라 문왕은 상나라 제을을 상대로 하여 국제적 외교전을 펼친다. 특히 그는 정략적 혼인, 군주의 덕성, 민심의 안정, 국가의 안위 등과 관련하여 국제정세를 예측하고 판단하는 책략의 지혜를 발휘한다. 이 내용은 태괘, 귀매괘, 송괘 등의 괘효사에 그대로 투영되었다. 괘효사의 서사를 해석하는 작업은 역사의 무대에 공연할 한편의 시나리오를 만드는 것과 같다. 이 작업에는 의리의 해석을 통해 주대의 역사보다 더 역사같은 괘효사의 서사를 풀어갈 수 있다. 이러한 해석의 영역은 상수역학과 대비되는 의리역학에 속하며 『주역』을 역사책으로 보는 사사 (史事)역학의 분야에 속한다, 현대의 관점에서 그것은 역사의 이야기 속에 역사정신을 활용하는 역사콘텐츠의 흐름과 맞닿아있다. This essay is to explicate the issue of how can Yijing be approached as the book of divine art. The main point is Gua-yao-ci translating a ceratin divinatory sign. Here is a horizon of understanding according to a narrative imagination. The narrative of Gua-yao-ci in Yijing can be called changeological narrative, in that it is concerned with divinatory signs. Gua-yao-ci is to the words of describing the historical events of the King Wen between Shang and Zhou dynastie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Gua-ming (卦名) and contents of divinatory signs. Particularly, it is to make typical exemplifications individual events and situations in sequence over time according to the purpose of Gua-ming. Here are a judgment of facts, a judgment of value, and their relationship. Explicating their internal relationship is equivalent to understanding some implications of Yili through a narrative of historical exemplifications. This method of understanding can be classified into the changeology of Yili which is in contrast with the changeology of Xiangshu (象數). And it is traditionally regarded as the book of historyKongju National University in the sense of explaining the result of divinatory signs concerning historical events. Recently, anecdotes of Gua-yao-ci, in describing narratives of history, are making considerable progress towards the directions of culture contents or history contents in the sense of guiding even moral contents as well as having instructions of human life.

      • KCI등재

        『주역선해(周易禪解)』의 불역학(佛易學)과 불변(不變)·수연(隨緣)의 경계 - 체용불이(體用不二)의 본체론을 중심으로 -

        김연재 ( Kim Yon - Jae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18 禪文化硏究 Vol.24 No.-

        본고에서는 지욱의 『주역선해』의 논점을 불역학(佛易學)의 영역, 즉 역학(易學)의 불학화(佛學化)에서 접근하고자 한다. 이는 불학의 시각에서 어떻게 역학의 체계를 해석하였는가 하는 문제이다. 여기에는 역리(易理)와 불리(佛理)가 원융관통(圓融貫通)하는 일련의 본체론적 방식이 있다. 우선, 그는 역(易), 무극(無極), 태극(太極) 및 이들의 관계에 입각한 역학적(易學的) 사유로부터 세계의 연기(緣起)의 본질적 원인에 관한 방법론을 찾는다. 특히 그는 무위(無爲)의 법과 유위(有爲)의 법이 화합하는 경지를 설명하기 위해 태극의 개념과 범주를 활용하고 이것이 삼라만상의 세속적 세계와 청정무구한 피안의 세계를 잇는 연결고리라고 보았다. 더 나아가 그는 이들의 관계를 파악하는 데에 불이법문(不二法門)의 본체론적 방식을 적용한다. 태극의 체(體)와 음양의 용(用)의 관계로써 수연(隨緣)과 불변(不變) 혹은 불변과 수연의 경계를 설명하는 것이다. 그는 “체로부터 용을 일으키는 것[從體起用]”는 논점을 “불변하지만 인연을 따른다”는 논법으로 해석하고, 또한 “용 속의 체[用中之體]”라는 관점을 “인연을 따르지만 불변한다”는 논법으로 해석한다. 이러한 본체론적 사유를 토대로 하여 그는 지관(止觀)과 정혜(定慧)의 원칙이 건(乾)과 곤(坤)의 도(道)에 따르는 것이라고 보며, 이를 근거로 하여 본성 자체와 그 수행의 통일적 경지를 파악한다. 여기에 ‘비세속의 세속화’ 혹은 ‘세속의 비세속화’와 같은 지욱의 불역학(佛易學)의 특징이 있는 것이다. The essay is focused upon making an ontological approach to a doctrine of Fo-yi in Zhou - yi - chan - jie. The point is how Zhi Xu can establish his own unique field in a holistic world of Changeological principle and Buddhistic principle. The ontological theory of Buddhistic Changeology is approached from three viewpoints: The first is to illuminate the characteristics of Zhou - yi - chan - jie from the triple perspective of Buddhism, Confucianism and Changeology in Song and Ming dynasties. The second is to search for points of contact of understanding in comparison of changeological categories with Buddhistic categories. And the third is to deduce a holistic area of realistic world in accordance with the ontological method of substance and function are not two things. In Song and Ming dynasties, it reflects the comtemporary real world of Buddhism, which is characterized by a unity of secular world and transcendent world, that is the transcendentalization of secular world and the secularization of transcendent world. It is consequent that these viewpoints leads to establishing a ontological theory of Buddhistic Changeology, that is, a kind of Budhisticizaion of changeology to totally illuminate the feature of Zhou - yi - chan - jie

      • KCI등재

        生態易學觀에서 본 정제두의 生命美學

        김연재(Kim, Yon-jae) 한국양명학회 2012 陽明學 Vol.0 No.33

        본고는 생태역학의 틀 안에서 생명미학의 영역을 확보하려는 시도이다. 이는 인간의 내면적 덕성과 그 수양의 본질이 어디에 있는지의 문제에 착안하고 있다. 그 논점은 정제두의 심학에서 ‘生理’ 개념과 그에 대한 明德의 본령에 맞추어져 있다. 생태역학에서는 생명의 이치에 따라 인간의 존재론적 위상을 찾고자 하는 것이라면, 생명미학에서는 생명의 이치의 연속선상에서 내면세계의 본령이 무엇인지를 찾고자 하는 것이다. 전자가 생명성의 존재론적 원리에 대한 논변인 반면에, 후자는 인간의 내면세계에서 생명성의 가치론적 원리에 대한 논변이다. 정제두의 생명미학은 생명의식과 심미의식의 통합적 지평에서 이해될 수 있다. 그는 생명의식의 합당한 발현을 본성과 마음의 전면적 연속상에서 내면세계의 통일로 이해한다. 그 연속선은 生理의 방식에 따르며 그 합당한 발현은 明德의 궁극적 상태가 된다. 여기에는 인간이 생성과 변화의 대자연속에서 감응을 통해 생명의식을 고양하고 참다운 삶을 실현하려는 자세, 즉 求道者的 태도가 담겨있다. 그가 보건대, 천지의 생명력은 자생력의 의미에서 생명의 지속성(生生)의 원리로 발휘된다. 그 자생력의 결정체가 바로 생명이며 생명은 인간에게 존재의 본질이자 정수가 된다. 마음은 순수한 리의 본체와 기의 흐름으로 구성된다. 기의 흐름은 움직이고 고요하는 이른바 ‘낳고 낳는(生生)’ 성향을 가리키고, 그 흐름 속에서 발휘되는 리가 바로 낳고 낳는 리, 즉 生理가 된다. 그러므로 마음의 본체는 기가 움직이고 고요하는 흐름의 원리를 지닌다. 리의 본체와 기의 흐름의 통합적 상태가 마음 전체의 통일성을 이루는 단계가 바로 심미의식의 차원이라고 할 수 있다. 우주의 생명정신의 全一的 발현에서 보자면, 이는 생명의 원천과 도덕의 함양을 연속선상에서 이해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인간의 존재론적 의의와 그 윤리학적 토대를 마련하는 심학적 단초가 된다. The essay is focused upon explicating in the principle of life and its aesthetic consciousness in Jeong Jedu’s doctrine of mind. The viewpoint is based upon the content that the Confucian world view is oriented toward the value of life, the cultivation of morality and their unity, in which the source of life and the stage of dao are in the same line. It is a trial to establish an area of the aesthetics of life in a scheme of ecological changeology. It results in such an axiological issue as a unity of human identity and self-realization in the ontological context of an ecological system of Nature. Jeong Jedu argue that human existence and its value are united in the human heart-mind, which is essential to having enlightening virtue for a typical sagehood. As a result, it seems to me that the unity of aesthetic consciousness provides an ethical base for his mind doctrine.

      • KCI등재

        팬데믹 지구촌에서 본 이일분수(理一分殊)의 원리와 소통의 생명미학(生命美學)-본체론적 사유의 사회공학적 접근-

        김연재 ( Kim Yon-jae ) 한민족문화학회 2021 한민족문화연구 Vol.73 No.-

        본고에서는 팬데믹 지구촌의 분열상 속에서 한국사회가 어떻게 소통의 방식을 통해 조정과 통합의 길로 나아갈 수 있는가 하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성리학적 세계에서 우리의 삶은 고유의 본성과 그 함양에 따른 자아실현의 과정이다. 우리는 공감적으로 소통하고 구조적으로 조정하면서 의식적으로 통합하는 大同사회를 지향한다. 이러한 공동체적 의식에는 理一分殊의 원리가 작동한다. 그것은 생명의 파생과 품수의 본체론적 관계, 즉 품수의 가치를 상정하여 파생의 존재를 규정하는 방법론을 지닌다. 이러한 생명의 본체론적 사유는 인간의 의식의 차원에서 性卽理의 심미의식을 바탕으로 하여 道統의 역사의식을 갖고서 內聖外王의 공동체적 심리의식을 발휘하였다. 이러한 의식의 차원은 소통의 생명미학으로 특징지을 수 있다. 소통의 생명미학에서는 생명의식의 공감대라는, 넒은 의미의 소통의 기제를 통해 조화와 화합의 유대감, 즉 생명정신의 통합적 경계가 지속가능하다. 팬데믹 지구촌에서 이는 자아 실현의 사회공학적 장치로서, 공동체의 무게중심 속에 화합의 무게 추에 맞추어 조정과 통합의 지렛대로 작동한다. 이제 지속가능한 한국사회에는 삶의 규준을 저울질하는 데에 인간의 존재와 가치라는 저울대위에 소통의 생명미학이라는 저울의 추를 올려놓아야 한다. This essay is focused upon understanding the principle of li-yi-fen-shu and life-aesthetics of communication in terms of Pandemic Global Village. Li-yi-fen-shu in the reality of actual world plays a role as the mechanism of communication in a broader sense. From the context of the Neo-Confucian Orthodoxy Consciousness, we understand that the life of recognizing and awakening human nature is the axiological one. If life-aesthetics depends upon communicating with the reality of a world, and then its methodology is the thinking way of ontology. The community of life is an idealistic world that the pursuit of personal and social relations is in accordance with the orientation of self-realization. The experience of real life is possible in concreting the consciousness of life-community. In life-aesthetics, therefore, the principle of li-yi-fen-shu functions as a mechanism of communi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