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김정일선집』 영역별 분석을 통한 리더십 이미지 유형연구

        김엘렌 남북문화예술학회 2013 남북문화예술연구 Vol.0 No.12

        북한당국은 김정일이 2011년 12월 17일 현지지도 길에서 사망했다고 공식 발표했다. 김정일에 대한 평가는 크게 2가지로 나뉜다. 1994년 김일성사후 최악의 유산을 물려받은 상태에서 북한정권이 생존할 수 있는 최소한의장치는 마련해 놓은 지도자라는 평가와 북한체제를 몰락의 길로 몰고 간 실패한 지도자라는 평가가 그것이다. 대부분의 부정적인 평가에도 불구하고 김정일은 1990년대 이후 북한이 처한 대내외적 위기 상황에서 그 체제를 지금까지 유지하였다는 점은 리더십 연구의 의미를 시사하고 있다. 본 연구는 1990년대 이후 더욱 가중된 경제난을 겪는 냉혹한 현실 속에서 북한체제가 이제까지 무너지지 않고 이어가는 힘이 무엇인지 분석하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북한 연구자들은 북한체제가 붕괴되지 않고 유지되는 원인을 다양한 시각으로 분석해왔고, 이에 대한 논의는 지속되고 있다. 지금까지 북한 최고지도자와 체제유지의 상관성에 관해 접근했던 기존 연구는 정치이데올로기적 측면과 권력현상적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이처럼 북한 지도자의 리더십연구가 정치·권력투쟁에 대한 연구와 크게 다르지 않은 이유는 관련 자료를 수집하는 과정에 다양한 제약이 따른다는 특성에 기인한다. 그동안 연구자들은 북한체제가 유지되는 요인의 하나로 북한 지도자의 담화문을 통해 본 리더십 이미지에 대해서는 의미를 크게 부여하지 않았다. 북한에서 지도자의 담화문은 해당 시기 북한주민에게 지도적 지침이 되고 지도자의 이미지를 각인시키는 중요한 매개체 역할을 해왔다. 북한 지도부는 문헌이라는 매개체를 통하여 특정시기, 특정분야의 문제를 부각시키고 그 문제 해결에 있어 김정일이 정통성, 합법성을 갖춘 지도자임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북한문헌 분석을 통해 지도자의 이미지 경향성을 밝히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김정일선집』영역별 분석을 통해 시기마다 어떠한 이미지 경향성을 띄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매 시기마다 다른 경향성을 보여준 이미지가 매개체 역할을 하면서 단순히 리더의 이미지를 부여하는데 그치지 않고 북한주민들로 하여금 체제에 순응하게 만드는 역할과 함께 체제유지에 기여한 것으로 보인다. 『김정일선집』에 나타난 리더십이미지를 시기에 따른 영역별 분석을 통해 크게 3가지로 유형화하였다. 연구분류 1~2시기는 사상적 리더십이미지, 연구분류 3시기는 이상지향 리더십이미지, 연구분류 4시기는 실용지향 리더십이미지로 명명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김정일이 분명히 정치적 리더십을 가진 북한의 지도자였음을 말해주고 있다. 그러나 북한정권을 이끌어 가기 위해 필요한 리더십은 정치적 리더십만으로 해결되지 않는다. 지금 북한의 정치·경제적 환경은 김일성 시대와 달리 정치적 리더십이 비교우위에 있지 않기 때문이다. 경제적인 부문을 살리면서 정치력을 발휘하는 최고지도자의 리더십이 절실하다. 그러나 북한은 경제 부문을 살리는데 있어 주체와 선군이라는 태생적 모순에 둘러싸여 있는 이데올로기로 인해 방향을 상실했다. 김정일 자신도 이러한 한계로 인해 결국 실용지향 리더십이 미완에 그치게 되었다. 『김정일선집』영역별 비율추이와 내용분석 결과 김정일은 이데올로기적 한계와 실용지향적 정책의 필요성에 대해 알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 김정일 리더십 연구동향과 과제

        김엘렌 리더십학회 2011 리더십연구 Vol.2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연구 중 김정일 리더십 연구에 있어서 이데올로기적 접근, 권력현상적 접근, 제도-행위적 접근법에 관한 연구 현황을 정리함으로써 현재까지의 김정일리더십에 관한 연구의 성과 특징 그리고 한계에 대하여 요약하고 향후 연구 과제에 대해성찰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격적으로 김정일 리더십에 대하여 다루어졌던 1990년대 이후 논문들을 대상으로 분석하여 요약하였다. 이를 통해 북한연구 중 김정일 리더십연구가 현재 어디까지 와 있으며 그 특징은 무엇인가에 대해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김정일은 1963년 노동당에 처음 모습을 드러내고 1973년에 공식적 후계자로서 내정되었다. 1994년 김일성 사망 이후 북한 연구자들 및 정책 담당자들은 북한의 붕괴 가능성에 대해논의해 왔다. 그러나 주지하다시피 북한은 3년간의 유훈통치기간을 걸쳐 김정일이 1997년총비서직, 1998년 국방위원장직에 오르며 2012년 강성대국을 국가적 목표로 내걸고 김정일 체제를 공식적으로 출범하였다. 북한은 부분적 개혁과 그 개혁의 후퇴 사이에서 진동하면서 김정일 후계체제의 출범을 준비하고 있다. 그동안 연구자들은 북한체제가 붕괴되지 않고 유지되는 원인을 다양한 시각으로 분석해 왔고 이에 대한 논의는 지속되고 있다. 1990년대 전후 김정일 리더십에 관한 연구가 본격적으로 다루어졌던 것은 이러한 배경과무관하지 않다. 그러나 김정일 리더십에 관한 연구는 북한 관련 다른 학문분야에 비하여그 수가 너무 제한적인 실정이다. 북한연구만큼 인식의 차이가 극명한 학문도 드물다. 주된 이유는 분단 이후 지속되어져온 냉전 상황으로 인해 북한연구는 오랜 시간 순수한 학문차원에서 보다는 정치적, 이념적 이해관계와 정책적 수요차원에서 이루어져 왔기 때문이다. 따라서 국내의 북한연구방법론에 대한 논의가 비교공산주의 연구방법론의 소개나원용하는 수준을 넘어선 것은 1980년대에 들어서야 가능하게 되었다. 그 이후 연구시각(내재적-비판적 접근)에 관한 논쟁과 더불어 연구대상에 대한 특수성과 보편성을 나누어성격을 규명하려고 하는 학문적 시도를 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북한최고지도자인 김정일 리더십 연구동향을 소개함으로써 그동안 정치리더십분야에서 주로 다루어졌던 김정일 리더십에 관한 학문적 접근방법에 대해 새로운 시각으로 연구할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re are numerous studies on the leadership style of Kim Jong-il and the purpose of the present research (proposal) is to review and analyze them according to their ideological, power phenomenon, institutional, and behavioral approaches in order to assess their contributions and limits and identify potential future areas of studies. To this end, I have analyzed and summarized research papers on Kim Jong-il's leadership since 1990 and through this process tried to determine the level these leadership studies have reached as well as their characteristics. Kim Jong-il first appeared at the Labor Party in 1963 and was officially designated as the successor in 1973. After the death of Kim Il-sung in 1994, scholars of North Korean studies and policy-makers have begun to discuss about the possibility of a collapse of the North Korean regime. But as history showed us, after three years of ruling based on Kim Il-sun’s legacy, Kim Jong-il’s regime was officially launched in 1998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national objective of becoming a Gang-Sung-Dae-Guk (Great Powerful Country) by 2012. North Korea is now vibrating between a partial reform and a retreat from reform in order to prepare for the succession of Kim Jong-il’s regime. Scholars have analyzed from various perspectives the reason for which the North Korean regime did not collapse and maintained itself and the discussion is still going on. The fact that studies on Kim Jong-il’s leadership really started around 1990s is linked to such background. Nevertheless, it is true that studies on Kim Jong-il’s leadership are too limited compared to other areas of North Koreanstudies. There are not also many areas of studies where the difference of perception is so pronounced as in North Korean studies. The main reason might be that, since the division of the peninsula and the resulting cold war that followed, North Korean studies have long been considered not as an area of academics studies but rather as a political, ideological and policy-making tool. Therefore it is not until 1980s that discussion about the methodologies of studies of North Korea went beyond the level of just presenting or invoking study methodologies of comparative communism. Since then, efforts have been made, together with the discussion on the study perspective(immanent–critical approach), to distinguis h the nature of the studi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and universality of the object of the study. The present paper aims at reviewing the studies of Kim Jong-il’s leadership style, which has been so far mostly discussed in the political science field, hoping that this review will lead to new perspectives in the study of leadership.

      • KCI등재

        북한 인권담론에 관한 이해와 우리의 현실적인 제반과제

        김엘렌(Helene KIM) 한국아시아학회 2021 아시아연구 Vol.24 No.1

        북한 인권문제는 우리 사회뿐만 아니라 국제적으로도 관심이 증대되고 있는 사안이다. 특히, 하노이 회담 시북미간 협상 테이블에 놓여있지 않았던 의제인 인권문제가 다시 등장하게 되면서 북한 인권문제를 바라보는 여러 가지 시각과 쟁점이 되는 사안에 대해 구체적인 논의 과정이 필요하게 되었다. 갈퉁은 서양 인권을 보편적 인권으로 파악하는 것은 서양이 아닌 곳의 인권 담론을 그 문화권 자체의 인권 전통에서 찾지 않는 태도와 동전의 양면을 이룬다라고 지적하였다. 2차 세계대전 이후 변형된 냉전의 산물로 남아있는 북한 정권을 상대로 우리는 어떠한 전략적 이해를 가지고 인권문제에 접근해야 할지에 관한 논의를 다양한 방법으로 할 필요가 있다. 연구자로서 체제 존립의 기로에 있는 북한 지도부에 보편적 인권을 요구하는 정책도 필요하지만 동시에 그들 수준에서 점차 가용할 수 있는 범위로 상향시키는 전략도 필요하다는 입장을 견지한다. 이러한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 북한에서 역사적으로 어떠한 과정을 통해 북한 인권 담론이 형성되어왔는지 살펴보고 그들의 변화를 점차적으로 이끌어내기 위해 어떠한 접근이 효과적일지에 관한 논의의 단초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problem of human rights in North Korea is an issue not only in South Korea but also under increasing scrutiny from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n particular, the North Korea human rights problems, which were not included in the negotiation table at the Hanoi Summit, is now brought up to light again and consequently requires some concrete discussions on its various aspects and issues. Until now, the human rights problem has been dealt mainly by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nd now South Korean society need to put aside the ideological conflict and deal with the human rights issues with a rational approach. Rather than demanding a comprehensive human rights improvement we should target specific matters such as the disabled persons, women, or the children in order to get small but real improvement little by little. In order to understand this particular context, I will summarize the human rights problems that were produced through the historical process in North Korea and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human rights discourse in North Korea. history shows us that comprehensive problems have a high probability of being interconnected with ideological problems and that it is very difficult to get concrete results. Realistically, human rights issue is connected with South Korea-North Korea relations as well as North Korea nuclear program. However, we should approach the matter by trying to persuade North Korea and seek gradual improvements. Matters such as the right of freedom and accountability should be handled through international cooperation. We should set up a discussion process in order to maximize the cooperation between North Korea, the programs that approach the North Korea human rights problem under the subject of development and human rights, and the UN human rights mechanism. Moreover, our important task would be to reassure North Korea that even if the human rights are gradually improved through economic reforms, the regime will be maintained.

      • KCI등재

        김정은의 동기이미지와 리더십: 육성 신년사를 중심으로 (2013-2018)

        김엘렌(Helene Kim) 대한리더십학회 2018 리더십연구 Vol.9 No.4

        2018년은 김정은이 육성 신년사를 발표한지 6년이 되는 해이다. 김정은 시대의 북한은 김정일 시대와는 다른 빠른 변화와 역동성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2018년 김정은이 발표한 신년사는 예전과 달리 남한을 향해 우호적인 메시지를 직접적으로 주었고 남한정부의 평창올림픽에서의 남북 단일팀 구성과 같은 적극적인 행보를 시작으로 1차 2차 남북 정상회담에 이어 북미 정상회 담이 6월 12일에 싱가폴에서 열렸다. 1948년 분단 이후 70년만에 북미정상들의 만남이다. 본 연구는 급변하는 정세 속에서 전향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는 북한 최고지도자 김정은 리더십 유형의 존재 여부에 관한 현실적인 문제제기가 출발점이 되었다. 그 동안 북한 최고 지도자 리더십 유형에 관한 연구는 대부분 구조적, 거시적인 접근과 같은 체제중심적 연구에 머무르면서 지도자의 언어를 담고 있는 담화문에서 보이고 있는 리더십 이미지와 개인적 특성간의 상관성과 같은 미시적 접근방법에 대한 크게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고 이를 통한 리더십 유형화에 관한 연구는 간과해 왔다. 본 연구는 미시적 접근이면서 개인의 특성을 밝혀주는데 유의미한 동기이미지 연구를 통해 김정은 육성신년사를 분석하였다. 선행연구인 『김정일선집』을 통해서 본 동기이미지 분석 결과 리더의 개인적 특성은 부문별 분석에서 보이고 있는 리더십 이미지와의 결합을 통해 변화하는 대내외적인 상황에 따라 미세한 변화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 말해 담화문에서 드러나는 지도자의 개인적 특성 변화는 단순히 지도자 이미지를 부여하는데 그치지 않고 북한주민으로 하여금 북한체제에 순응하도록 촉구하면서 체제를 유지하는 역할을 하고 있었던 것이다. 북한 최고지도자의 언어를 담은 김정은의 육성 신년사 역시 대중과의 관계를 유지·지속시켜 체제를 지탱할 수 있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지도자에게 지배의 정당성을 부여하며 권한을 강화시키고 상황에 따라 적응하는 최고지도자의 리더십의 변화를 보여주는 지표로 의미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선행연구를 통해 지도자의 리더십 유형은 개인적 특성과 상황적인 요소와 상관관 계가 있으며 상황적 요소들을 바꾸어 주면 리더십의 변화를 야기 시킬 수 있다는 시사점을 얻을수 있었기 때문이다. 오랜 시간 심리학에서 논쟁이 되었던 것 중에 인간의 행동이 본래 갖고 있는 것 때문에 나타 나는지 상황에 적응하면서 변화하는지 하는 문제였다. 결론은 둘 다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본논문의 의의를 북한 최고지도자 김정일 동기이미지 추이 분석에 이은 후속 연구라는 점에 의미를 부여한다면 지금의 북한 최고지도자 김정은에 관한 연구의 폭을 넓혀 줄 수 있을 것이다. 2018 is the sixth year Kim Jong Un has given a new year s speech. North Korea under Kim Jong Un era shows fast changes and dynamics not seen under Kim Jong Il. Especially, the 2018 new year’s speech of Kim Jong Un is different from the past years since it contains a friendly message toward South Korea and beginning with the constitution of a single team at the Pyongchang Olympics and followed by the 1st and 2nd summit between the two Koreas, the USA-North Korea summit was held in Singapore on June 12. The meeting between the US and North Korea comes 70 years after the separation of the two Koreas in 1948. This study started with the real life problem posing of the existence of leadership patterns of the Supreme Leader of North Korea Kim Jong Un who is showing a forward-looking approach in an era of fast changing political environment. Until now studies on the leadership patterns of North Korea Supreme Leader have mostly been carried out with a structural and macro approach focusing on the study of the system. The micro approach of studying leadership patterns through the leadership image of the Supreme Leader shown in his speeches and its correlation with his personal characteristics has been neglected. The present study has analyzed the new year’s speeches of Kim Jong Un by adopting a micro approach of studying the motive imagery that is meaningful to shed light on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analysis of motive imagery through “Kim Jong Il’s Sonjib”, and by combining the leadership image shown from the sectorial content analysis,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the leader showed minute changes according to the changing external and internal situation. In other words, the changes of the leader’s personal characteristics shown in the speeches not only instill the image of the leader but also plays the role of urging the North Korean population to comply with the system and thus maintaining the regime. The New Year’s speeches of Kim Jong Un hold the language of the Supreme Leader of North Korea, and de facto not only plays the role of maintaining, developing the relations with the population and sustaining the regime but also giving legitimacy to the domination of the leader, strengthening his power and hopefully giving meaningful indications of the adjustment in the leadership of the Supreme Leader according to the situation.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leadership patterns of the leader,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the situational factors and that if the situational factors are changed, it will result in a change of leadership pattern. One of the oldest debate in the field of psychology was whether the human behavior is changing because of its intrinsic nature or because adjusting itself to the situation. The conclusion is that both will influence the change. If this paper could be viewed as follow-up study of the motive imagery trend analysis of North Korea Supreme Leader Kim Jong Il, it could widen the scope of study of the current North Korea Supreme Leader Kim Jong U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