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현범의 <강남악부> 연구 - 악부시적 성격을 중심으로

        김신중(Kim, Shin-chung) 한국언어문학회 2008 한국언어문학 Vol.64 No.-

        <Gangnam-akbu> is Akbu-si written by Jo Hyeon-beom, a literary man in the late Chosun. Jo Hyeon-beom produced this literary work using a subject matter from historic facts in Sun-cheon, his hometown. Therefore, <Gangnam-akbu> has character of both Yeongsa-akbu and Gisok-akbu. So I considered a character of Akbu-si of <Gangnam-akbu> regarding this point. The contents of this writing is summarized in three points ; a basic information analysis about Jo Hyeon-beom and <Gangnam-akbu> ; the development of Korean Akbu-si and understanding the position of <Gangnam-akbu> ; considering a character of Akbu-si of <Gangnam-akbu>. In result, <Gangnam-akbu> has a typical frame of Yeongsa-akbu, and it is Gisok-akbu covering manners in Sun-cheon in internal sense.

      • KCI등재

        진도의 벽파정과 그 제영

        김신중 ( Shin Chung Kim ) 한국고시가문학회 2014 한국시가문화연구 Vol.0 No.33

        진도의 벽파정은 많은 제영이 남아있는 매우 유서 깊은 누정이다. 그런 벽파정의 문화사적 의미와 벽파정제영의 존재 양상을 살핀 것이 이 글이다. 논의한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지금은 존재하지 않는 벽파정의 모습을 개관하며 연구의 목적을 밝혔다. 이어 아직도 분명하지 않은 벽파정의 창건과 퇴락 시기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폈다. 즉 고려 중기 또는 그 이전에 건립되어, 1924년 이전의 일제강점기에 없어졌음을 확인하였다. 또 무엇보다도 해상 교통의 요지에 세워진 공루로서, 벽파정의 건립 위치가 갖는 특수성에 주목하였다. 이런 특수성 때문에 벽파정에는 왕명을 띤 관료나 불우한 유배객들이 수시로 드나들었다. 그로 인해 벽파정은 이별의 누정이라는 매우 독특한 상징적 의미를 갖게 되었다. 다음 문헌전승 내용을 통해 벽파정제영의 존재 양상을 살폈다. 그 결과 공공문헌과 개인문집을 통해 30여 명의 작자가 작품을 남기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신분별로는 벽파정의 승경을 찬탄한 관료들의 제영과, 불우한 처지를 한탄한 유배객의 제영이 주를 이루었다. 대표적인 작자로는 고조기, 채보문, 조희직, 홍적, 김정, 노수신이 지목되며, 특히 차운이 많은 홍적의 작품이 부각되었다. 마지막으로 이별의 누정으로서 벽파정의 성격이 그 제영에 어떻게 표출되어 있는지 살피는 것이 남은 과제임을 지적하였다. Byeokpajeong in Jindo is Nujeong where lots of poetical compositions remain. This thesis investigated the cultural historical meaning of Byeokpajeong and existence aspect of Byeokpajeong`s poetical composition. Major content discussed here is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er illuminated the purpose of the research by surveying the appearance of Byeokpajeong which does not exist at present. And concretely examined the period of foundation and ruin of Byeokpajeong, which is still not clear. That is, the researcher confirmed that it was founded in the middle of the Goryeo Dynasty or before then, and disappeared Japanese colonial era, which was before 1924. And above all, the researcher paid attention to the specialty that the foundation location of Byeokpajeong has, as the public Nujeong established in major marine transportation point. Due to this specialty, bureaucrats who followed the royal command or unlucky exiled persons often visited Byeokpajeong. Because of this, Byeokpajeong came to have a unique and symbolic meaning, i.e. Nujeong of farewell. Next, the researcher investigated the appearance of the existence of Byeokpajeong`s poetic composition through the content of literature transmission. As the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about 30 writers left poetical works through public literature and private collection of works. According to status, they were mostly of bureaucrats` poetical composition, who admired Byeokpajeong`s fine view and exiled persons` poetical composition, who lamented over their unfortunate position. Representative writers were Go jo-gi, Chae bo-moon, Jo hee-jik, Hong jeok, Kim jeong, No soo-sin, particularly, Hong jeok`s works which had lots of Chawoon(using other poet`s phrases) stood out. Lastly, pointed out that a task is remaining to investigate how the characteristic of Byeokpajeong was expressed in the poetical composition as the Nujeong of farewell.

      • KCI등재후보

        벽파정 제영의 서정과 그 지향

        김신중 ( Shin Chung Kim ) 택민국학연구원 2016 국학연구론총 Vol.0 No.17

        진도의 벽파정은 매우 오랜 내력을 가진, 유서 깊은 누정이다. 고려 중기(또는 그 이전)에 건립된 이후, 관료와 유배객을 비롯한 많은 사람들이 이곳을 지나며 제영을 남겼다. 그러면서 벽파정은 특히 교통의 요지에 세워진 까닭에 ‘이별의 정자’라는 표상을 갖게 되었으며, ‘슬픔’과 ‘기쁨’이 벽파정 제영의 대표적인 정서로 자리하게 되었다. 이런 점에 주목하여 벽파정 제영의 서정이 어떻게 변화되어 갔는지, 그 흐름을 살핀 것이 이 연구이다. 집중적으로 논의한 연구 대상은 고조기(?∼1157), 채보문(고려 중기), 조희직(고려 말), 홍적(1549∼1591)의 제영이다. 이들의 작품이 창작과 수용 과정에서 두드러진 영향력을 행사했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논의한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고조기의 제영은 현전하는 벽파정 제영 중 가장 오래된 작품이다. 그는 고려 중기의 관료로서 이 지역을 안찰하며 제영을 남긴 것으로 판단된다. 득의한 관료로서 느끼는 자긍심이 그의 작품에 흐르는 서정의 주조이다. 채보문 역시 같은 입장에서 제영을 남긴 것으로 파악된다. 작품의 주요 내용은 진도와 벽파정에 대한 상찬이다. 이와 달리 조희직은 고려 말 유배객의 몸으로 이곳에 와서 제영을 남겼다. 따라서 비애가 그의 작품을 지배한다. 홍적은 19년 동안 진도에 유배되었던 노수신의 문인이다. 따라서 그의 작품은 진도의 풍물과 스승의 옛 자취를 대하는 감회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벽파정제영의 검토를 통해, 기쁨과 슬픔으로 대변되는 정서가 시대와 작자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면서 일정한 흐름을 형성하였는지 살폈다. Byeokpajeong in Jindo is a Nujeong with a very long history. After Byeokpajeong was constructed during the mid-Goryeo Dynasty(or before the time), many people including bureaucrats and exiled persons passed by here and composed Byeokpajeong Jeyoung Poems. In doing so, Byeokpajeong symbolized a parting Jeongja, and sorrows and pleasures are selected representative emotions of Byeokpajeong Jeyoung Poems. Base on that, this paper has examined lyric changes at Byeokpajeong Jeyoung Poems. So this paper tried to analyze Byeokpajeong Jeyoung Poems composed by Go, Jo-gi(高兆基), Chai, Bo-moon(蔡寶文), Jo, Hee-jik(曺希直), Hong, Juk(洪迪). Because this paper has considered that these works have a strong influence of processing of creation and acceptance. As a result of analysis, firstly, Go, Jo-gi’s work is the oldest know works of Byeokpajeong Jeyoung Poems. He made an inspection of Jindo as a bureaucrat, then composed Byeokpajeong Jeyoung Poems. The pride he felt as a bureaucrat was in for his work’s lyric. Secondly, Chai, Bo-moon’s position was the same as Go, jo-gi’s. Chai, His work’s main message was a compliment on Jindo and Byeokpajeong. Thirdly, Jo, Hee-jik was exiled during the late-Goryeo Dynasty. So his work was full with sorrows. Fourthly, Hong, Juk was a pupils of No, Su-sin(盧守), and No, Su-sin was exiled in Jindo for 19 years. Accordingiy Hong, 愼 Juk’s work was composed of the institutions and customs of Jindo and honoring his teacher. This paper, therefore, has found that Byeokpajeong Jeyoung Poems was sorrows and pleasures image of lyric and that lyric of Byeokpajeong Jeyoung Poems had been changing with the times and depended on who it i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전남의 누정과 그 연구 동향

        김신중 ( Shin Chung Kim ) 택민국학연구원 2011 국학연구론총 Vol.0 No.8

        전남 지역에는 지난날 다양한 누정문화가 발달하였다. 또 누정에 대한 학문적 관심 역시 다른 지역보다 비교적 일찍부터 주어졌다. 이러한 점에 주목하여 전남누정의 전반적인 모습과 성격을 살핀 것이 바로 이 글이다. 논의는 크게 다음 두 방향으로 진행하였다. 먼저 전남누정을 개관하며 그 간략한 역사와 지역별 분포 및 주요한 누정을 검토하였다. 이어 연구 동향 탐색을 통해 지금까지 전남누정에 주어진 주요한 관심사와 더불어 그 두드러진 성격을 고찰하였다. 그 과정에서 많은 연구가 시문의 산실 또는 지역공동체의 중심으로서의 성격에 주목하였음을 볼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아직 미진한 연구 분야 및 극복해야 할 과제를 지적하였다. Diverse cultures of Nujeong were developed in Jeonnam area and this area started to receive scholarly interest about Nujeong comparatively earlier than other areas. Based on this point, this paper addressed the whole characteristics of Jeonnam Nujeong. I organized this study in the following two ways. First, with a general overview of Jeonnam Nujeong I examined its brief history, its regional distribution, and the main ones. Next, through the study of its research trends, I considered not only the major interest about Jeonnam Nujeong which has been given so far but also its remarkable characteristics. Through the process, I could see a lot of works focused on the characteristics as the cradle of poetry and the ones as the center of the community. Finally, I suggested a field of study that is still unsatisfactory and some tasks that must be overcome.

      • KCI등재
      • KCI등재

        남도고시가의 작품과 연구 동향

        김신중 ( Shin Chung Kim ) 한국고시가문학회 2012 한국시가문화연구 Vol.0 No.29

        근래 지역문학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남도(광주·전남지역)의 고시가에 대한 지역문학적 탐색 성과를 연구사적 입장에서 검토한 것이 이 글이다. 특히 남도고시가의 중심을 이루고 있는 조선시대의 시조와 가사문학을 주요 대상으로 삼았다. 논의한 내용은 크게 다음 두 가지이다. 첫째, 남도고시가의 작품 현황을 정리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작품 범주를 남도인이 남도를 배경으로 제작한 작품, 외지인이 남도를 배경으로 제작한작품, 남도인이 외지를 배경으로 제작한 작품의 셋으로 나누고, 각 범주에 드는 작품들을 살폈다. 둘째, 남도고시가의 연구 동향을 검토하였다. 먼저 작품의 발굴과 소개가 이루어진 경위를 시기별로 고찰하였다. 이어 지역문학적 입장에서 이루어진연구를 다시 자료정리적 차원과 지역성 해명 차원으로 구분하여 살폈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남도고시가의 지역적 특성에 대한 해명이 아직 미흡함을 지적하였다. 그 이유로는 ``연구의 편향성``과 ``지역성 해명을 겨냥한 문제의식의 결여``를 들었다. Regional literature was recently spotlighted. In connection to this point, I dealt with the result of study about old Siga(詩歌) of Namdo(南道) which refers to the area of Gwangju and Jeollanam-do. In particular I mainly covered Sijo(時調) and Gasa(歌辭) literature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that centralized Namdo`s old Siga. The main ideas were as follows. First, I analyzed the current state of Namdo`s old Siga. In order to do this, I categorized the works of Namdo`s old Siga into three groups. The three categories were as follows: the ones written about Namdo by Namdo`s regional people, the ones written based on Namdo by people from other regions and the ones written about other regions except Namdo by Namdo`s regional people. Second, I examined the research trends about Namdo`s old Siga. I gave careful consideration to the details of how the works are excavated and introduced with respect to the period. Then I divided the research done in the light of regional literature into two different groups such as the one studied in terms of organizing the research material and the one conducted with regard to explaining regional characteristics. Based upon this, I pointed out that there was not enough explanation for regional characteristics of Namdo`s old Siga for two reasons. The earlier studies are biased and there was a lack of critical mind to account for regional characteristics.

      • KCI등재

        정해정 <민농가>의 배경과 성격

        김신중 ( Shin Chung Kim ) 한국고시가문화학회(구 한국고시가문학회) 2015 한국시가문화연구 Vol.0 No.35

        이 글은 1884년에 정해정이 지은 가사 <민농가>에 대한 연구이다. <민농가>는 1980년 학계에 처음으로 소개되었다. 하지만 작품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는 아직 시도된 바 없다. 이에 <민농가>에 대한 세밀한 검토를 통해, 그 창작 배경과 문학적 성격을 해명한 것이 이 글이다. 제1장에서 이런 연구 취지와 목적을 밝혔다. 제2장에서 <민농가>의 창작 배경을 탐색하였다. 작자 정해정의 생애와 그가 살았던 시대적 배경 및 작품의 창작 동기가 그것이다. 정해정은 조선 말 호남의 무등산 자락에 살았던 인물로, 개항과 개화로 대변되는 19세기 후반의 시대적 환경 속에서, 당시의 특수한 사회 상황을 반영하여 이 작품을 지었다. 이어 제3장에서 <민농가>의 세밀한 내용 분석을 통해, 주제의식과 문학적 성격을 해명하였다. 내용 분석은 작품 전체를 네 개의 단락으로 나누어 진행하였고, <민농가>에 두 개의 주제의식이 내재되어 있음을 밝혔다. 그 결과<민농가>가 단순한 권농가사가 아니라, 당시의 부당한 세정과 어려운 민생에 반발한 현실비판가사임을 주장하였다. 그리고 여기에 농부가류 가사로서, <민농가>의 특성과 의의가 있다고 보았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내용과 결과를 요약 정리하였다. 아울러 <민농가>에그 단초가 보이는 조선 후기 농부가류 가사의 변모상 탐색을 남은 과제로 제시하였다. This research is a study on Jeong Hae-Jeong`s lyrics <Minnongga>, written in 1884. <Minnongga> was first introduced to the academic world in 1980. However, a regular research on the work has not been tried yet. Here, this paper explained the creation background and literary characteristic of <Minnongga> through detailed examination of it. Chapter 1 mentioned this research purpose and goal. Chapter 2 investigated the creation background of <Minnongga>. That is, Writer Jeong Hae-Jeong`s life, the period background where he lived and his creation motive. Jeong Hae-Jeong is a person who lived at the foot of Mudeungsan mountain in Honam, during the late Joseon, who wrote this work by reflecting the special social situation of that time, in the period environment of the late 19th century, which represents port open and enlightenment. Also, in chapter 3, the researcher explained subject consciousness and literary characteristic through detailed content analysis of <Minnongga>. Content analysis was proceeded by dividing the whole work into four paragraphs, and the researcher determined that two subject consciousnesses were connoted in <Minnongga>. As the result, the researcher insisted that <Minnongga> was not mere a farm encouragement lyrics, but a reality criticism lyrics which resisted unreasonable social conditions and the people`s difficult livelihood of that time. Also, as a type of farmers` song lyrics, the researcher considered that <Minnongga> has the characteristic and significance. Lastly, the researcher summarized the content and result of the research. Also, the researcher suggested investigation of transformation of late Joseon farmers` song lyrics, which <Minnongga> implies a clue, as a remaining subje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