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關節의 受動彈性特性과 最適化 技法을 利用한 足部 關節의 生體 力學적 解析에 관한 硏究

        김시열 成均館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biomechanically the human foot and ankle joints using joint passive elastic characteristics and optimization method. Main analytical components of this study include angular displacement, moment and joint reaction force during stance phase. In order to analyze the foot joints kinematically and kinetically, we had to assume that the movements of foot joints largely depend on passive components, and verified this by comparing the results of motion analysis and passive elastic analysis. In the ankle joint, we focused on the muscle force analysis because the investigation of muscle force is important with respect to the joint contact force and clinical evaluation. We used motion capturing system(Visol, Korea;Oxford Metrics, USA), force plate(AMTI, USA), distributed plantar pressure measuring system(Novel, Germany) and lift system made in our laboratory to obtain motion data and external force. In order to process and visualize the raw data obtained, we programmed with MATLAB(MathWorks, V. 5.3). In the analysis of foot joints, passive elastic moment and angular displacement were obtained from a motion capturing system of 3 cameras and force plate. The relationship between joint angle and moment was mathematically modeled by using least square method. We presented kinematic and kinetic data of foot joints using this mathematical model and distributed plantar pressure during dynamic situation of gaits. The maximum angular displacements of each tarsometatarsal joint were found to range from 4˚ to 7˚ and the maximum values of moment were from 200N.cm to 1500N.cm. The results showed relatively wide distribution. Foot kinematic data calculated from the approximated equations was similar to the data from motion analysis. We found that the movements of foot joints were mainly decided by their passive characteristics when ground reaction force was acted. In the analysis of ankle joint, linear optimization was used for distributing 3-D torque to each muscle force. Anatomical muscle data were scaled by the anthropometrical data and used for determining moment arm and action lines of forces. We could obtain kinematic data of lower extremity, which can investigate the time variation of action line for muscle force and 3-D angular displacement for shank and foot segments during stance phase, from 6 cameras and one force plate. From this experiment and MATLAB programs, we could represent kinematic data, joint reaction force, bone-on-bone force and muscle force. The peak mean muscle forces of gastrocnemius and soleus were showed with 2.3(_(force)(N)/_(weight)(N)) and 3.4(_(force)(N)/_(weight)(N)) and the peak mean value of vertical bone-on-bone force was 4.1(±standard deviation:1.9). These data can be meaningful data in the area of clinical application and evaluation for Korean and the realistic biomechanical analysis of ankle joint. Finally, we suggest that the method of this study in the biomechanical analysis of ankle and foot joints can be usefully applied to other musculoskeletal modeling procedures to predict joint kinematic data and muscle force.

      • 구매력 및 교통량O/D 기반의 신도시 상업용지 소요면적 추정 모델 개발

        김시열 한국교통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문재인 정부에서는 수도권 대규모 주택 공급을 통한 부동산 시장 과열 양상의 안정화 일환으로 남양주시 왕숙신도시, 하남시 교산지구, 인천광역시 계양테크노밸리를 3기 신도시 개발지역으로 선정하였고, 3기 신도시의 개발 계획이 공개되면서 3기신도시는 필연적으로 앞서 개발된 1·2기 신도시의 사례와 비교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었다. 그런데 1·2기 신도시의 경우 주택 수급 안정이라는 긍정적 효과가 있었음에는 분명하지만 적정 상업용지 소요 면적 추정의 실패로 상업시설이 과소 또는 과잉 공급되면서 높은 공실률, 자족성 부족으로 인한 베드타운화, 생활 인프라 부족으로 인한 인구유출 등 심각한 도시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은 구매력 및 교통량 O/D를 활용하여 새로운 신도시 상업용지 소요 면적 추정 모델을 개발하고자 하였으며, 적정 상업용지 소요 면적에 대한 기준을 계획신도시의 상업용지 내에서 순수하게 발생하는 소비·지출금액에 대한 구매력으로 설정하여 상업용지 소요 면적을 도출하는 모델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 개발한 신도시 상업용지 소요면적 추정 모델은 계획신도시와 유사한 신도시의 카드사용금액과 같은 빅데이터와 교통량 O/D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업용지 내에서 발생하는 소비·지출 금액을 추정함으로써 보다 실증적이고 신도시의 특성을 반영한 소요 면적 추정 기법에 대한 틀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또한, 온라인 쇼핑 비율, 시간·요일별 소비·지출 비율과 같은 보정데이터를 활용하여 카드사용금액 데이터를 보정함으로써 온라인 쇼핑 확대, 대중교통 및 차량보급화로 인한 소비트랜드 변화 등을 고려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통해 보다 객관적이고 정확한 상업용지 소요 면적 추정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상업용지 소요 면적 추정 절차는 카드사용금액 데이터와 각종 보종데이터를 활용하여 각 유사 신도시 아파트 별 거주민 1인당 연간 실질 소비·지출 금액과 주거유형별 거주민 1인당 연간 소비·지출 금액을 추정한 뒤, 소비행태별로 소비·지출 유형을 나누어 주거 및 소비·지출 유형별 1인당 소비·지출금액을 추정한다. 이후 목적별(통근, 쇼핑) 교통량 O/D 데이터를 활용하여 각 유형에 해당 하는 인구를 추정 및 활용하여 주거 및 소비·지출 유형별 총 소비·지출 금액을 추정하고 이후 신도시 상업용지 내에서 발생하는 총 소비·지출 금액을 추정한다. 그리고 신도시 행정구역의 매출액 및 연면적 데이터를 활용하여 상업시설 면적당 연평균 매출을 추정한 뒤, 신도시 상업용지 내 총 소비·지출 금액과 상업시설 면적당 연평균 매출액에 따른 상업시설 소요 면적을 도출한다. 이후, 신도시 개발 컨셉 및 계획에 따른 토지이용계획 위치 및 역할별 용적률에 따라 상업용지 소요 면적을 최종적으로 도출할 수 있다.

      • 컴퓨터프로그램에 대한 실질적 유사성 판단에 관한 연구

        김시열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저작권법 제1조는 ‘문화 및 관련 산업의 향상 발전’을 저작권법이 추구하여야 할 목적으로 규정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창작자와 이용자 양측의 인센티브가 균형을 이룰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고 제시하고 있다. 창작자 중심의 인센티브가 부여되게 되면 권리보호 측면은 강화될 수 있지만 시장 전체적 측면에서는 확장이 이루어지지 않으며, 반대로 이용자 중심의 인센티브가 부여되게 되면 시장 전체는 활성화 될 수 있겠으나 권리보호가 적절히 이루어지지 않게 되므로 결국 창작의욕을 저하시켜 시장 발전을 저해하는 결과를 가져온다. 그렇기 때문에 양자의 균형이 중요하게 요구되는 것이며, 이러한 균형을 이루기 위해서는 섬세하고 정밀한 방안이 필요하다. 실질적 유사성의 판단은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서 이러한 인센티브의 균형점을 고려하여 실질적인 정도의 유사성인지 여부를 결정한다는 점에 인센티브의 균형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실제적인 저작권 분쟁에서 실질적 유사성의 판단, 특히 컴퓨터프로그램과 같이 고도의 기능적 특성이 있는 저작물에 대해서는 창작자와 이용자의 균형적 이익을 고려한 실질적 유사성의 판단은 매우 난해하며, 현실에서는 여러 가지 오류 및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다. 이는 실질적 유사성이라는 개념이 갖는 불확정성에 의하여 더욱 가중되는 것인데, 우리나라의 판례도 이에 관하여 적절한 지침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현실은 결국 저작권법이 실질적 유사성의 판단을 통하여 반영하고자 하는 저작권 인센티브의 균형이 적절하게 고려되지 못하게 된다는 결과를 초래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구체적인 방법론적인 측면에서의 방안과 법․제도적인 측면에서의 방안을 제시하였다. 구체적 방법론적인 방안으로는 피고 컴퓨터프로그램 기준의 실질적 유사성 판단 제시, 비문언적 요소를 대상으로 한 실질적 유사성 판단의 지양, 정량적 유사성 산출방법의 표준화를 제시하였다. 또한 법․제도적 방법으로는 저작권 침해요건에 관한 포괄적 일반규정을 신설하는 방안과 저작권법 제119조의 감정제도의 실효성을 강화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와 같이 본 논문에서 제시하고 있는 방안들은 그 동안 창작자 및 이용자 일방에게 기울어져 있는 저작권 인센티브를 정확히 부여하여 저작권법의 목적을 달성하게 할 수 있는 지침으로서의 역할을 갖는다. Article 1 of the Copyright Act presents the ‘advancement and development of cultural and related industries’ as one of the goals to be pursued by the Act and suggests balance in the incentives of authors and users of literary works as a means of achieving that goal. In the author-centered incentive system, protection of copyrights can be strengthened but expansion of the entire market cannot be achieved. On the other hand, in the user-centered incentive system, the entire market can be rendered lively but copyrights cannot be properly protected, thus reducing creative drive and consequently hampering market development. Therefore, balance between the two mentioned above is deemed important and, in order to achieve such balance, methods that are delicate and precise are required. In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re is copyright infringement, determination of substantial similarity plays the role of balancing the incentives in that it decides whether or not the similarity is substantial by considering such balance of incentives. However, determination of substantial similarity in actual copyright disputes, especially such determination based on considering the balance of interest between authors and users of literary works that have a high degree of functional characteristics such as computer programs, is extremely difficult and reveals various errors and problems in reality. This is aggravated by the uncertainty of the concept of substantial similarity and the courts in Korea have not provided appropriate tests of that. Ultimately, this reality results in a failure to properly consider the balance of copyright incentives which the Copyright Act intends to reflect through determination of substantial similarity. Thus this study, in order to solve such problems, proposes solutions from specific methodological aspects and also solutions from legal and framework aspects. With respect to the specific methodological solutions, this study proposes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criteria in the defendant’s computer programs are substantially similar, rejecting the determination of substantial similarity for non-textual elements, and standardizing the methods of calculating quantitative similarity. And with respect to the legal and framework solutions, this study proposes enactment of a comprehensive, general clause on the requirements of copyright infringement and strengthening of the effectiveness of expert witness testimonies under Article 119 of the Copyright Act. As such, the solutions proposed by this article plays the role of a test that enables achievement of goals of the Copyright Act by accurately setting forth incentives for the copyright which have so far favored either authors or users thereof.

      • 저작권법상 공정이용 법리에 관한 연구 : 접근권과의 조화방안을 중심으로

        김시열 숭실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공정이용(Fair Use)의 개념에 대하여 다양한 정의가 존재하고 있지만, ‘저작권법상 부여되는 저작자의 권리를 적용할 경우 저작물의 이용자는 저작권침해를 구성하게 되지만 합리적으로 저작권자의 권리에 제한을 둠으로써 정당한 권한을 갖는 이용자가 침해로부터 면책을 받을 수 있는 특권 및 침해에 대한 항변’이라고 할 수 있다. 공정이용 법리는 원래 영국 판례법에 의해 기존 저작물을 이용자가 새로운 창작을 위하여 창조적으로 이용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발달하였고, 1804년 미국에서 Folsom v. Marsh 판결을 통하여 그 판단 요건이 명확히 정립되었다. 이후 판례이론을 축적하여 1976년에는 저작권법의 개정을 통하여 성문화 되었다. 저작권법은 저작자의 창작활동에 대한 인센티브를 제공함으로서 궁극적으로 문화의 향상 발전을 목표로 하고 있으나, 최근에는 저작권의 보호가 지나치게 강조되는 경향이 있어, 저작자의 이익과 이용자의 이익간의 균형이 깨어졌다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 더군다나 지난 2007년 체결된 한미FTA를 통하여 국제협약 등이 제시하는 최소한의 기준을 상당히 상회하는 저작권 보호를 요구받았다. 이에 저작물 이용자의 이익을 적절히 유지하기 위한 대응방안으로서 영미법상 공정이용 법리에 관한 조항의 도입 가능성을 검토할 필요성이 절실하게 되었다. 영미법상의 공정이용 법리에 관한 조항은 일반규정을 두는 것이 일반적인데 우리나라는 대륙법계 입법체계를 갖고 있어 이를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문제가 있다. 하지만 최근의 저작권법 개정안에서도 볼 수 있듯이 공정이용에 대한 일반규정을 국내법에 도입하는 방안은 그 동안 우리 저작권법이 지니고 있던 권리자와 이용자간 균형적 측면의 한계를 보완해주는 해결책이 될 수 있을 것이라 본다. 특히 점차적으로 접근권을 인정할 수 밖에 없는 상황에서 이를 공정이용 법리의 밖에 두어 저작권자에게 과도한 권리를 누리게 할 필요는 없다고 본다. 오히려 접근권을 인정하는데 발생하는 효과와 이용자가 자유롭게 저작물을 이용할 수 있음으로 인한 효과를 비교하여 입법적으로 적절히 조화시키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Although there are several definitions for the concept of fair use, it can be largely defined as "the privilege of users with legitimate rights that exempt them from infringement and the protest against infringement by limiting the right of a copyright holder in a reasonable way even though infringement is established against users for using copyrighted material when applying the rights of a copyright holder under copyright laws". The fair use doctrine was developed with the aim to allow use of existing copyrighted materials to create new works in accordance with the judicial precedents in England. In 1804, it was embodied in case law such as the verdict on Folsom v. Marsh case in the U.S. Finally, it was codified through the revision of the Copyright Act in 1976 based on accumulated judicial precedents. Although copyright law is designed to achieve cultural improvement by providing incentive for creative work, lately its excessive protection has come under strong criticism as it compromises the balance between the benefits of copyright holders and those of users. Furthermore, the Korea-US Free Trade Agreement in 2007 demanded copyright protection at a level that significantly exceeded the minimum requirements of international conventions. In consequence, it has become necessary to review the possibility of introducing the fair use doctrine in Anglo-American law in order to maintain the benefits of those who use copyrighted works. Although it is common to apply general provisions in relation to the fair use doctrine in Anglo-American law, it cannot be applied as it is, because our legislative system is characterized as Continental law. However, as one can see in the recent revision of copyright law, the introduction of general provisions in relation to the fair use doctrine can solve the limitations of our copyright laws in terms of the balance between copyright holders and users. In particular, we do not have to grant copyright holders excessive rights under the current circumstances where it is necessary to acknowledge access rights in a gradual manner. On the contrary, it is rational to harmonize the legislative system by comparing the effect of acknowledging access rights and that of using copyrighted works.

      • Lithium이 人體의 免疫機能과 內分泌機能에 미치는 影響

        김시열 경북대학교 1992 국내석사

        RANK : 247631

        저자는 경북대학교 병원 정신과에 입원했던, DSM-III-R과 RDC의 진단기준에 의한 양극성 장애 환자 8명을 대상으로 하여 lithium이 인체의 내분비기능 및 면역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대상환자들은 적어도 lithium 투여 전 2개월 전 부터는 어떠한 약물도 복용하지 않았다. lithium 투여하기 전과 lithium 투여 60일 후 내분비기능 (radioimmun-oassay에 의한 thyroid hormon, groth hormon, cortisol, prolactin 측정)과 면역기능 (Flow cytometer에 의한 lymphocyte differential count, total T cell, total B cell, T4 cell, T8 cell, NK cell 측정) 검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면역기능 검사 결과로는 T 임파구의 증가와 helper cell 의 증가 그리고 natural-killer cell 의 감소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으며 (P<0.05) B 임파구와 suppressor cell 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내분비기능 검사 결과로는 thyroxine (T₄)의 감소와 TSH의 증가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고 (P<0.05) 갑상선 호르몬(T₃) 성장호르몬, Cortisol, Prolactin에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변화는 관찰되지않았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lithium은 인체의 면역기능을 증가시키고 내분비계통에서는 갑상선기능의 저하만을 가져온다고 볼 수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se effects of lithium on both human immune and endocrine systmes, with 8 patiens (male:5 persons, female:3 persons and average age:33) who were taken to the Department of Psychiatr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while being suitable for the bipolar disorder's criteria of DSM-III-R and RDC. Then, no medicine was administrated to these 8 patients prior two months to administration of lithium. In addition, this study was carried out by testing and comparing both endocrine (test of growth hormone, thyroid hormone, cortisol, prolactin by Radioimmunoassay) and human immune systems (test of lymphocyte differential count, total T cell, total B cell, T4 cell, T8 cell, NK cell count by Flow cytometer) before administrating lithium and at 60 days after its administration. The result of human immune system indicated that there are statistically remarkable increase in T lymphocyte and helper cells and decrease in natural-killer cell (P<.C5), while there is no statistically any significant change in B lymphocyte and suppressor cells. Also, the result of endocrine system showed that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in Thyroxine (T4) and increase in TSH (P<.05) while there is no statistically any remarkable change in thyroid (T3) and growth hormone, cortisol and prolactin. In conclusion, then, it was apparent that lithium increases the function of human immune while resulting in only the decrease of thyroid function in endocrine syste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