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TV 오락 프로그램에 나타나는 자막이 시청자의 인지 반응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정교화 가능성 모델(ELM)을 중심으로

        김시연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오락 프로그램에 있어 방송자막이 시청자의 인지반응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분석을 통해서 방송자막의 기능은 무엇이며, 그 활용이 오락 프로그램의 질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는가를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최근 오락 프로그램에서 방송자막의 활용이 현저하게 증가함에 따라 보조적 수단에 머무르던 자막이 이제는 오락을 위한 주요한 내용 표현 방식으로 대체되어 있는 현실을 감안할 때, 이러한 자막의 활용이 과연 제작자의 의도를 시청자에게 제대로 전달할 수 있는 창구가 될 수 있는지에 대해서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방송자막과 관련하여 가장 중요한 문제가 될 수 있는 것은 어떻게 하면 직접적인 수용자인 시청자로 하여금 프로그램의 내용을 좀더 오랫동안 기억하게 할 수 있을까, 어떻게 하면 시청자에게 프로그램을 반복하여 시청하게 할 수 있을 것인가, 시청자에게 호의적인 반응을 얻을 것인가 등 시청자의 인지반응과 태도를 측정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기한 연구문제는 크게 다음의 다섯 가지이다. 연구문제 1. 인지욕구에 따라 시청자의 평소 오락 프로그램에 대한 관심도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2. 오락 프로그램 내용에 대한 시청자의 기억 정도는 시청자의 인지욕구와 방송자막의 유무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 연구문제 3. 오락 프로그램 내용에 대한 시청자의 호의도는 시청자의 인지욕구와 방송자막 유무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 연구문제 4. 오락 프로그램 내용에 대한 시청자의 재 시청 의도는 시청자의 인지욕구와 방송자막 유무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 연구문제 5. 오락 프로그램에서의 방송 자막에 대한 평가는 인지욕구와 방송자막 유무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Petty와 Cacioppo(1981)의 정교화 가능성 모델(Elaboration Likelihood Model, ELM)을 이론적 바탕으로 논의하고, 기존 연구를 기초로 실증적 연구에 필요한 척도를 구성하여, 대학생 집단을 중심으로 실험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는데 총 실험 대상자는 131명이었다. 본 연구는 정교화 가능성 모델에서 설득의 경로를 선정하는 원인인 개인적 관련성으로서 인지욕구와, 주변적 단서인 방송자막의 유무에 따라 조사집단을 설정하였다. 즉 인지욕구에 따라 방송자막이 있는 프로그램과 없는 프로그램으로 나누어 실험 처치하는 2×2 요인설계를 따라 '인지욕구가 높으면서 방송자막이 있는 동일 프로그램을 시청한 집단', '인지욕구가 낮으면서 방송자막이 있는 동일 프로그램을 시청한 집단', '인지욕구가 높으면서 방송자막이 없는 동일 프로그램을 시청한 집단', '인지욕구가 낮으면서 방송자막이 없는 동일 프로그램을 시청한 집단'의 4개 조사집단을 설정하여 동일 오락 프로그램 1회분을 시청하도록 한 다음, 프로그램에 대한 인지반응과 태도를 측정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 선정한 각 연구문제에 따른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평소 오락 프로그램에 대한 관심 정도는 인지 욕구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나타내는가 하는 문제에 대하여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즉 단순한 메시지, 정보원의 매력성과 신뢰성, 배경 음악이나 자막 등 정교화 가능성 모델에서 제시하는 주변적 요소가 중점적으로 제시되는 오락 프로그램에서는 중심 경로를 통하여 메시지 주장을 이해하는 사람보다는 주변 경로를 통해 의도적 노력을 기울이지 않는 사람일수록 더 많은 관심과 흥미를 갖고 있었다. 한편 인지 욕구가 높고 낮음에 따라 오락 프로그램에 있어 중요한 요소가 무엇인가를 알아보기 위해 내용이나 구성, 출연자, 배경음악이나 자막의 3가지로 나누어 질문한 결과, 인지욕구가 낮은 집단은 출연자 요소가, 인지욕구가 높은 집단은 내용이나 구성·배경음악이나 자막이 중요하다고 응답하여 배경음악이나 자막이 기존의 정교화 가능성 모델의 결론과는 달리 오락 프로그램에 있어 더 이상 주변적 단서로 작용하고 있지 않음을 시사하였다. 둘째, 시청자의 인지욕구와 방송자막 삽입 유무에 따른 오락 프로그램에 대한 기억 정도에 있어서는 인지욕구 고저(高低)와 방송자막의 유무(有無)에서 모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인지욕구가 높은 집단이 인지욕구가 낮은 집단보다 프로그램 내용을 더 많이 기억했다. 이는 개인적 차이로 인지욕구를 상정하여 인지욕구가 높은 사람은 회상과 인지적 노력을 많이 하고, 강한 주장과 약한 주장의 차이를 더 잘 식별하며, 주장의 질에 영향을 더 받을 뿐 아니라, 메시지 평가가 설득 후 형성되는 태도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친다고 한 Petty와 Cacioppo의 연구결과와 동일한 것이다. 이로써 인지욕구가 높은 사람은 회상과 인지적 노력을 많이 하고, 인지욕구가 낮은 사람은 인지적 절약자로 회상과 인지적 노력을 많이 하지 않는 등 인지욕구라는 개인의 내재적 성향이 시청자의 프로그램 기억 정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방송자막이 있는 프로그램을 시청한 집단이 자막이 없는 프로그램을 시청한 집단보다 더 많이 기억하여 프로그램의 효과성 차원에서 중요한 의의를 나타냈다. 셋째, 인지욕구와 방송자막 유무에 따른 시청자의 호의도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본 결과, 프로그램에 대한 시청자의 호의도는 방송자막 유무에 따라 차이가 나타난다는 것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나, 인지욕구의 높고 낮음에 따른 호의도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자막의 유무가 시청자의 정서적 차원에서의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즉 방송자막이 있는 오락 프로그램은 방송자막이 없는 경우보다 시청자에게 정서적 차원에서의 재미와 웃음을 더 많이 느낄 수 있도록 해 줌으로써 '오락적 요소'를 중시하는 장르의 특성상 자막을 활용하는 것이 낫다는 생각을 할 수 있게 된다. 넷째, 시청자의 인지욕구와 방송자막 유무에 따른 시청자의 재 시청 의도를 알아본 문제에 있어서 실험대상자의 재 시청 의도는 방송자막의 유무에 따라 차이를 나타냈다. 반면 인지욕구가 높은 집단과 인지욕구가 낮은 집단의 시청자는 오락 프로그램의 재 시청 의도에 있어서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는 자막의 유무가 시청자의 행동적 차원에서의 태도에 긍정적으로 작용하여 장래의 오락 프로그램 시청에 좋은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시청자들은 오락 프로그램에 있어 방송 자막에 대해 어떠한 평가를 내리는가를 알아본 결과, 인지욕구 고저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지만, 방송자막 유무에서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여기에서 주목할 것은 인지욕구가 높은 실험 대상자는 인지욕구가 낮은 실험 대상자보다 방송 자막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는 점이다. 즉 방송 자막은 오락 프로그램에 재미를 더해주고, 오락 프로그램에 있어 필수적이며, 프로그램 이해에 도움이 된다는 등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다. 지금까지의 논의를 종합해 보면, 오락 프로그램에 있어서 방송자막은 시청자의 회상, 호의도, 재 시청 의도 등 인지반응과 태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단순한 구어적 정보만을 나열한 프로그램보다 자막이나 음향효과 등과 결합한 프로그램에 노출된 시청자의 잠재의식은 프로그램의 메시지와 더불어 감각적 정보까지도 인지하게 됨으로써 프로그램에 대한 기억과 주목, 정서적 차원과 행동적 차원의 태도 등에 영향을 받는 것이다. 자막의 활용은 우리나라 오락 프로그램에서 이미 정착해버렸고, 특히 이러한 자막의 활용이 뛰어난 프로그램이 시청자의 눈을 사로잡고 그 오락, 재미 요소를 한층 더해주게 되었다. 따라서 오락 프로그램 제작자 입장에서는 방송자막을 사용하는 것이 사용하지 않는 것보다 나을 것이라는 결론을 내려볼 수 있다. 한편 시청자 입장에서도 방송자막이 프로그램을 재미있게 시청할 수 있게끔 해주기 때문에 방송자막이 사용되는 것이 더 나을 것이다. 하지만 방송자막이 너무 자주 등장한다고 평가한 점에서는 적절하게 사용되지 않은 방송자막은 시청자에게 오히려 무의미하고 귀찮은 요소가 될 수도 있음을 유념해야 할 것이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at the function of the broadcasting subtitles is and if its utilization can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entertainment program through the analysis about the effect on the cognitive response and attitude of the audience of the subtitles expressed in TV entertainment program. Recently, when we make allowances for the circumstances that the subtitles as only a supplementary method were replaced to the expression way of important contents for the entertainment as the utilization of broadcasting subtitles has been remarkably increased in TV entertainment programs, it is necessary for us to consider if the utilization of these subtitles indeed could be the window to deliver as it is to the audiences the intention of the producer. The most important issue in relation to the broadcasting subtitles is to evaluate the cognitive response and attitude like the followings: how it can make the audiences who are the direct receivers to remember the program contents for a longer time, how it can make the audiences to see and hear the program repeatedly, how it can make the program to get friendly response, etc.. Therefore, research questions suggested in this thesis are the following five things: Research questions 1. What is the difference in the concern level of the audiences about the usual entertainment program according to the need for cognition? Research questions 2. What is the difference in the memory level of the audience regarding the contents of entertainment program according to the existence of the need for cognition of audience and the broadcasting subtitles. Research questions 3. What is the difference in the favor level of the audience regarding the contents of entertainment program according to the existence of the need for cognition of audience and the broadcasting subtitles. Research questions 4. What is the difference in the re-seeing and re-hearing intention of the audience regarding the contents of entertainment program according to the existence of the need for cognition of audience and the broadcasting subtitles. Research questions 5. What is the difference in the evaluation about the broadcasting subtitles in the entertainment program according to the existence of the need for cognition of audience and the broadcasting subtitles. For solving these research projects, this study used the experimental research method centering around the university students group with 131 persons of total experimental subjects, by discussing Elaboration Likelihood Model of Petty and Cacioppo(1981) as a theoretical basis and composing the criterion necessary for the positive research with the basis of the existing research. This study established research group according to the existence of the need for cognition as a personal relation that is a cause selecting the channel of persuasion in Elaboration Likelihood Model and the broadcasting subtitles as peripheral cues. That is, this study established the following four research groups according to the 2×2 factor design experimenting and disposing by dividing into the program with the broadcasting subtitles and the program without the broadcasting subtitles according to the need for cognition: the group that saw and heard the same program with the broadcasting subtitles with a high need for cognition, the group that saw and heard the same program with the broadcasting subtitles with a low need for cognition, the group that saw and heard the same program without the broadcasting subtitles with a high need for cognition, the group that saw and heard the same program without the broadcasting subtitles with a low need for cognition. After performing the above, this study made those groups to see and hear the same entertainment program for one time and estimated the cognitive response and attitude on the program. The results of analyzing each research project selected in this study were adjusted as follows: First, there was an attentive difference in the question what the difference of the concern level about the usual entertainment program according to the need for cognition is. That is, as asserted in the ELM model, it verifies that the person who has a strong need for cognition is interested in the content of message through a central route and the person who has a weak need for cognition is interested in the peripheral factor through peripheral route. In the other hand, in case of making questions divided into three like composition, performers, background music or subtitles for searching for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the entertainment program according to the highness and lowness of the need for cognition, it has a result that the group with a low need for cognition answered the performer is important and the group with a high need for cognition answered the contents or composition, or background music or subtitles are important. It suggests that background music or subtitles are not acting as peripheral cues any more in the entertainment program differently from the resolution of the existing Elaboration Likelihood Model. Second, the memory level about the entertainment program according to the need for cognition of the audience and existence of inserting broadcasting subtitles was verified to have som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highness and lowness of the need for cognition and the existence of the broadcasting subtitles. That is, it means that the group with a high need for cognition memorized the content of the program more than the group with a low need for cognition. It is the same research result as the one of Petty and Cacioppo estimating the need for cognition with personal differences that the person with a high need for cognition tries more reflective and recognizable endeavors, discerns the difference between a strong assertion and a weak assertion better, is more influenced by the quality of assertion and the evaluation of message has more effect on the attitude formed after the persuasion. Therefore, the immanent propensity as the person with a high need for cognition tries more reflective and recognizable endeavors and the person with a low need for cognition who is a cognitive miser does not try more reflective and recognizable endeavors has an effect on the level of memory about the program of the audience. It suggested the important meaning for the effectiveness that the group that saw and heard the program with broadcasting subtitles memorized more than the group that saw and heard the program without broadcasting subtitles. Third, as a result of searching for the difference in the favor level of the audience according to the existence of the need for cognition and the broadcasting subtitles, it was attentively expressed in the statistical side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favor level of the audience about the program according to the existence of the broadcasting subtitles, however, there was a little difference in the favor lever according to the highness and lowness of the need for cognition. This means that the existence of the broadcasting subtitles has an effect on the attitude at the emotional dimension of the audience. That is, as the entertainment program with the broadcasting subtitles makes the audience to feel more funs and laughs at the emotional dimension, it can be thought that it is better to utilize the subtitles as the specialty of genre valuing much of entertainment factor. Fourth, as a result of searching for the intention of re-seeing and re-hearing of the audience according to the existence of the need for cognition of the audience and the broadcasting subtitles,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intention of re-seeing and re-hearing of the subject of an experiment according to the existence of the broadcasting subtitles. I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intention of re-seeing and re-hearing of the entertainment program by the audiences of the group with a high need for cognition and the group with a low need for cognition. This means that the existence of the broadcasting subtitles has an effect on the attitude at the action dimension of the audience. That is, it can be resolved that it is better to use the subtitles in the entertainment program. Finally, as a result of searching for the evaluation of the audience on the broadcasting subtitles in the entertainment program, it showed the attentiv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highness and lowness of the need for cognition, however, it didnt show any difference in the broadcasting subtitles. It is noteworthy here tha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ith a high need for cognition evaluated the broadcasting subtitles more positively than the ones with a low need for cognition. That is, they evaluated positively that the broadcasting subtitles raise the interest in the entertainment program and are necessary for the entertainment program and are helpful for understanding program. Synthesizing all discussions in the above, the broadcasting subtitles in the entertainment effect on the cognitive response and attitude like the recollection, favor level, intention of re-seeing and re-hearing. The sub-consciousness of the audience that was disclosed to the program combining subtitles or sound-effect rather than the program enumerated with simple colloquial form of language information is influenced by the attitudes of the memory and attention regarding the program, and the emotional dimension and action dimension, etc. by recognizing the sensual information as well as the message of the program. The utilization of the broadcasting subtitles was already settled in the entertainment program of our country, and the program with an excellent utilization of these subtitles has fascinated with the audience and increased the entertainment and interesting factors.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it would be better to use the broadcasting subtitles than not to use them at the position of the producer of program. In the other hand, it would be better to use the broadcasting subtitles at the position of the audience as the broadcasting subtitles make the program to be seen and heard more pleasantly. However, it should be regarded that the broadcasting subtitles inappropriately used may be rather meaningless and troublesome factor in the sense that the broadcasting subtitles are appeared often.

      • 성인여성 얼굴왁싱 시술에 대한 만족도 연구

        김시연 광운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성인여성 얼굴 왁싱 시술에 대한 만족도 연구를 위해서 왁싱에 관심이 많은 성인여성을 대상으로 하드왁싱을 사용하여 얼굴부위 4군데 지정하여 헤어라인 10명, 눈썹 10명, 인중 10명, 구렛나루 10명을 4그룹으로 나누어 총40명을 대상으로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2016년 3월 14일부터 3월 31일까지 실험과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설문지는 실험 전 일반적 특성 및 피부 관리 행동, 왁싱에 대한 인식정도에 대해 설문하였으며 피부상태의 유·수분을 알아보기 위해(Saebyul Internation,SK-03 skin analyzer)을 이용하여 왁싱 전과 후를 측정하였고, 피부, 모발, 두피 측정기 진단기(COSCAM,CCL-215,KOREA)로 카메라 ×100, ×400측사 조명갭과 렌즈를 장착하여 얼굴 왁싱 부위별(헤어라인, 눈썹, 인중, 구렛나루)로 측정 위치를 촬영하여 피부 색상, 투명도, 각질, 피지, 모공 상태를 확인하고, 얼굴왁싱 후 피부자극상태와 얼굴피부변화에 대한 주관적 만족도를 알아보고자 연구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얼굴 왁싱 시술자들에 대한 변화를 살펴본 결과, 얼굴왁싱시술자들은 유수분의 변화를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을 통한 결과에서는 실험 전 보다 실험 후 유분은 감소하고, 수분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실험 후 설문을 통한 얼굴왁싱 시술자들의 만족도에서도 피부의 촉촉함 정도에서도 평균 4.0점으로 얼굴왁싱 후 피부가 촉촉해 진 것으로 나타났다. 얼굴 왁싱 시술 후 피부에 대한 민감 상태에 따른 주관적은 자극도는 얼굴왁싱 후 따끔거리는 정도, 홍반 여부, 열감이나 화끈거림, 가렵거나, 트러블 정도에 대해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 따끔거리는 정도는 평균 2.33, 홍반 생기는 정도 평균 2.20, 열감이나 화끈거림 평균 2.28, 가려움 2.00, 트러블 2.00으로 대체적으로 평균 2.3 이하로 얼굴 왁싱 후 피부의 자극상태 즉, 피부의 민감 상태는 안정되어 있으며, 피부에 대한 민감한 반응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얼굴 왁싱 시술 후 각질상태에 대한 주관적인 만족도는 각질 생성 정도 1.95,피부의 매끄러워지는 정도 3.98, 각질이 제거되는 정도 3.98 점으로 나타났으며,얼굴 왁싱 후 기초화장의 흡수나 메이크업 화장이 잘되는 정도로는 3.98 점으로 얼굴 왁싱 시술 후 각질의 생성은 적으며, 피부가 매끄러워지고, 기초화장및 메이크업이 잘 될 수 있는 피부 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왁싱 상태를 살펴보면, 얼굴 왁싱 후 제모에 만족 정도는 4.05점으로 높은 편으로 나타났으며, 얼굴 왁싱 후 꾸준하게 이용하고 싶다는 응답정도는 3.83 점, 다른 사람에게 추천을 하고 싶은 정도는 4.03 점으로 대체적으로 얼굴 왁싱 후 지속적인 관리 및 주변인에게 많은 추천을 하고 싶다고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서 얼굴 왁싱 시술을 통해서 만족도가 높다는 것을 알 수있었고, 뷰티 산업의 한 분야로써 전문적으로 왁싱 교육을 체계화하여 시술의 방향성을 찾고 전문성을 높여서 안전하고 효과적인 왁싱 시술이 이루어져 고객과 미용 산업에 접목하여 부가가치를 창출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research satisfaction of face waxing for adult female and conduct a survey of 40 adult female. This study divide facial part into 4 part and divide 40 women into 4 groups: 10 women for hair line waxing, 10 women for eyebrow, 10 women for philtrum and 10 women for sideburns. This research and survey conducted from March 14, 2016 to March 31. The survey asked about awareness rate of general feature, skin care behavior and waxing before the experiment. Also, in order to check oil and moisture contents of skin, use (Saebyul Internation, SK-03 skin analyzer) to measure before and after waxing. With skin, hair, scalp measuring instrument (COSCAM, CCL-215, KOREA), install flanking fire (x100, x400) of lighting cap and lens for camera to take photographs of facial waxing part’s measurement location (hair line, eyebrow, philtrum, sideburn) to confirm the state of skin color, the degree of clearness, dead skin cell, sebum and pore. And conduct this study to search for subjective satisfaction of skin stimulation conditions and change of facial skin after the facial waxing. After waxing, all groups in oil and moisture make the result more meaningful, and one of the four groups (hair line) had biggest difference for oil (before 80, after 67), one of the four groups (eye brow) had biggest difference for moisture (before 60, after 75). Comparing the picture of skin, hair and scalp after the waxing with the naked eyes, and can hardly see the remaining hair. Pore size also almost unchanged. The biggest difference with naked eyes is before and after of dead skin cell, it was removed clearly. And waxing is not only remove hair, but also remove old dead skin cell, sebum and downy hair, so skin looks brighter. In skin stimulation, other comes to 3.97point, sensitive skin comes to 3.98point. Statistically, there is no significance difference and after facial waxing, in skin stimulation survey, about dead skin cell condition, skin trouble, itching, heat sensation or burn, red spot, prick, it comes out to 2.15 point (SD=.20), all of it feel less than baseline before experiment. After waxing, subjective satisfaction level about change of facial skin, like satisfaction of waxing, smooth skin, skin dryness, skin tone get brighter, remove sebum, make-up base and make-up feel better than baseline before experiment. And after experiment, the experimenters do facial waxing regularly and satisfaction of facial waxing’s average score is higher as 4.05 point (SD=.50). This study on facial waxing, and statistical records show that high satisfaction about it. As an area of beauty treatment industry, systematize waxing education to find direction of procedure and raise specialty. So, it is considered to can combine safe and effective waxing procedure with customer and beauty treatment industry to create added value.

      • 혼인 '첫날밤'에 관한 구술 서사와 젠더 규범

        김시연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Wedding Night' is a stage of collective ritual of 'marriage'. The surrounding discourses of the 'Wedding Night' have existed in various forms along with the long history of marriage ceremon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gender norms have been transmitted in forms of discourse through narrative about the ‘Wedding Night' in terms that ’Wedding Night’ always means 'sexual intercourse' between the bride and the groom(newly-married couple.) This study analyzed the narrative of failure of sexual intercourse on 'Wedding Night' : ‘The bridegroom who killed the bride by stripping off her flesh’, ‘Three sisters who were deserted by their grooms’, and life experiences about ‘Wedding Night’ taken from field survey. These narratives respectively play a role of discourse about the sexual intercourse on daily level in 'wedding night' as a fantastic 'story' and realistic 'experiences'. They constitute gendered ideas and narratives of gendered experience of those who participates in the oral narratives which were performed in exclusively composed community. Oral narratives above primarily function as media of the gender norms of 'Wedding Night'. The gender norms of 'Wedding Night' act in a way to reinforce itself based on naturalized gender dualism and heterosexuality, which produces a 'gendered' subject. In a conjunction with the ceremonial functions of marriage rituals, it leads to defining the ‘normal’ form of the sexuality. Thus, ‘Wedding Night’ turns out to be a functional social system that maintains the order of communities, not a personal event. Accordingly, the discourses related to 'Wedding Night' control gender and sexuality and function as a gender normative discourse. These kinds of gender norms maintain their influences by transmitted as a form of knowledge among tradition of oral transmission. Based on this understanding, it can be pointed out that oral narratives about 'Wedding Night' which function as ordinary discourses carry the gender norms of 'Wedding Night', and at the same time contain certain points that expose the loopholes of the norm. The effect of the discourses on gender norms of ‘Wedding Night’ is that the norms are constituted in a way that excludes inappropriate elements, and that only the attitude of 'should-be-normative' without presenting the precise contents, the actors voluntarily conform to norms . From here, the loopholes of norms are revealed. The loopholes of the norm come from the effect of gender normative discourses about ‘Wedding Night’. The effect of these discourses is that constructing the norms in a way that excludes something innormative, or asking that people should be normative without showing the exact contents of the norms, which induce them to voluntarily conform to them. Moreover, the irony that the failure of the 'Wedding Night' was due to the 'surplus' of the gender norms, the avoidance of the loopholes of the norms and the collision between disparate experiences and normative narratives themselves reveal imperfection of the norms. Therefore, oral narratives about ‘Wedding Night’ are multifaceted texts that functions as gender normative discourses and reveals loopholes and imperfection of the gender norms at the same time. When normative discourses exists in the discourse area with its own loopholes, the naturalized positions of gender norms can be suspected. Therefore, the imagination for diversity can be expanded. 혼인 ‘첫날밤’은 ‘혼인’이라는 공동체적 의례의 한 단계로서, 혼인의례의 유구한 역사와 함께 ‘첫날밤’과 그 주변의 담론들 역시 다양한 형태로 존재해왔다. 본 연구에서는 혼인 ‘첫날밤’이 반드시 신랑과 신부의 ‘성적 결합’이라는 의미를 내포하는 점에 착안하여, ‘첫날밤’에 관한 구술 서사 작품을 통해 담론의 형태로 전달되는 젠더 규범이 젠더 주체의 생산에 기여하는 측면에 주목하였다. 본고에서는 ‘첫날밤’ 성적 결합의 실패를 소재로 하는 구전이야기로 ‘첫날밤에 신부 살가죽 벗겨 죽인 신랑’과 ‘첫날밤에 소박맞은 세 자매’, ‘첫날밤에 신랑 재촉한 신부’, 그리고 현지 조사를 통해 채록한 ‘첫날밤’ 경험에 관한 구술 서사를 검토한다. 이들 서사는 각각 판타지적 ‘이야기’와 현실적 ‘경험담’으로서 ‘첫날밤’의 성적 결합에 관한 일상적 차원의 담론으로 기능하는데, 배타적으로 구성되는 연행 공동체에서 구술 연행되면서 연행에 참여한 이들의 젠더 관념과 젠더 경험 서사를 구성한다. 위의 ‘첫날밤’에 관한 구술 서사들은 1차적으로 ‘첫날밤’의 젠더 규범을 실어나르는 매개로 기능한다. ‘첫날밤’의 젠더 규범은 자연화된 이원적 젠더 구분과 이성애 섹슈얼리티에 기반하여 그것을 더욱 강화하는 방식으로 작용하는데, 이는 혼인 의례의 입사적 기능과 맞물려 ‘젠더화된’ 주체를 생산하고 ‘정상적인’ 섹슈얼리티의 형태를 규정하는 것으로 이어진다. 이를 통해 ‘첫날밤’이 개인간의 내밀한 사건이 아니라 공동체적 질서를 유지하는 기능적 사회 제도이며, 곧 ‘첫날밤’과 관련된 담론들이 ‘정상적’ 젠더·섹슈얼리티 형태로의 편입을 요구하여 개인의 젠더와 섹슈얼리티를 공공연히 통제의 영역에 놓는 젠더 규범 담론으로 기능한다는 점을 지적한다. 이러한 젠더 규범은 구술 전승의 전통 속에서 지식의 형태로 전승되며 그 영향력을 유지한다. ‘정상성’에 부합하기를 특별히 강조하는 ‘첫날밤’ 규범 담론의 특징은 ‘첫날밤’ 성적 결합에 관한 구술 서사의 담론 전략에서도 발견된다. ‘첫날밤’ 과정의 실패에 대한 불안을 끊임없이 자극하는 것, 성적으로 무지한 신랑과 신부를 조롱하여 웃음거리로 삼는 것, ‘첫날밤’을 성적 농담의 소재로 삼아 성적 행위와 쾌락을 신화화하는 것이라는 담론 전략은 ‘첫날밤’ 젠더 규범의 전달에 기여하고 정상성과 동질성에 대한 요구를 강하게 전달하여 규범 담론의 보수적인 속성을 나타낸다. ‘첫날밤’에 관한 구술 서사는 젠더 규범을 전달하는 담론인 동시에 젠더 규범의 한계를 폭로하고 균열을 드러내는 담론으로도 기능한다. 규범이 그에 들어맞지 않는 것을 배제하는 방식으로 구성되거나, 규범의 정확한 내용은 제시되지 않으면서 ‘규범적이어야 한다’는 태도를 내세움으로써 행위자들로하여금 규범에 자발적으로 순응하게끔 하는 ‘첫날밤’ 젠더 규범의 수행적 효과로부터 규범의 한계가 드러난다. 나아가 서사 속에서 젠더 규범 수행에 ‘과잉’이 존재할 뿐 아니라 그 결과로 인물들이 비극적인 결과를 맞게 되고, 표면화된 규범적 한계가 회피되거나 탈규범적 요소가 규범 담론과 충돌하는 지점이 나타나는 등 젠더 규범의 균열적인 징후들이 발견된다. 결국 ‘첫날밤’에 관한 구술 서사는 젠더 규범 담론으로 기능하는 동시에 규범의 한계와 균열을 드러내는 입체적인 텍스트이다. 이처럼 규범 담론이 한계를 내포한 채로 담론장에 머무르는 것을 통해 자연화된 규범의 위치가 의심되고, 규범의 틀에 부합하지 않는 다양한 삶에 대한 상상력이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 화장품 브랜드의 자아선호도가 브랜드 애착 및 선택감정, 브랜드 태도와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김시연 건국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화장품을 사용하고 있는 남녀 대상자를 대상으로 화장품 브랜드의 자아선호도, 브랜드 애착, 선택감정, 브랜드 태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은 2019년 8월 14일부터 2019년 9월 04일까지 22일간 연구대상자에게 설문지를 배포하고 회수하는 방법으로 총 416부를 최종 분석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PASW 21.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측정도구의 신뢰도 검증을 위하여 Cronbach’ɑ를 산출하였다. 변인들의 일반적 경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기술통계 분석, 변인들간의 상관을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화장품 브랜드 자아선호도가 브랜드 애착, 브랜드 태도, 선택감정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과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화장품 브랜드에 대한 자아선호도가 브랜드 애착, 선택감정,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 브랜드 애착이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선택감정이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의가설을 설정하고 가설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화장품 브랜드에 대한 자아선호도가 브랜드 애착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브랜드 자아 선호도가 브랜드 애착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검증 결과 화장품 브랜드 자아선호도가 브랜드 애착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1은 지지되었다. 둘째, 화장품 브랜드에 대한 자아선호도가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브랜드 자아선호도가 브랜드 태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검증 결과 화장품 브랜드 자아선호도가 브랜드 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2는 지지되었다. 셋째, 화장품 브랜드에 대한 자아선호도와 선택감정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브랜드 자아선호도가 선택감정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화장품 브랜드 자아선호도가 선택감정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3은 지지되었다. 넷째, 화장품 브랜드에 대한 애착과 브랜드 태도와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브랜드 애착이 브랜드 태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검증 결과 화장품 브랜드 애착이 브랜드 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4는 지지되었다. 마지막으로 화장품에 대한 선택감정과 브랜드 태도와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선택감정이 브랜드 태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검증 결과 화장품에 대한 선택감정이 브랜드 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5는 지지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에서 화장품 브랜드에 대한 자아선호도가 높을수록 소비자들이 화장품 브랜드에 대한 애착, 선택감정, 브랜드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브랜드에 대한 애착을 높게 지각할수록 선택감정과 브랜드에 대한 태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밝혔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둘 수 있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relationship of self preference, brand attachment, selection emotion and brand attitude of cosmetic brand for men and women who are using cosmetics. Data collection in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e manner to distribute and collect the questionnaires for 22 days from August 14, 2019 to September 04, 2019 and a total of 416 pages were analyzed as the final analysis targets. The data collected in this study used the PASW 21.0 statistical program to calculate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and produced the Cronbach’ɑ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tool.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in order to examine general trends of variables,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correlations among variable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im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self preference of cosmetic brand on brand attachment, brand attitude, and selection emotion. The hypothesis of the impact of self preference of cosmetic brand on brand attachment, selection emotion, brand attitude and the effect of brand attachment on brand attitude and the effect of selection emotion on brand attitude was established and the result of hypothesis verification was obtain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self preference of cosmetic brand on the brand attachment, it was found that i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brand attachment. The result of hypothesis verification supported hypothesis 1 that self preference of cosmetic brand would have a positive(+) effect on brand attachment. Second, when the impact of self preference on brand attitude is researched, it was found that the self preferenc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brand attitude. The result of hypothesis verification supported hypothesis 2 that self preference of cosmetic brand would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brand attitude. Third, whe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lf preference and the selection emotion is reviewed, it was found the brand self preference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selection emotion. In other words, the result of hypothesis verification supported hypothesis 3 that the cosmetic brand self preference would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selection emotion. Fourth, when the attachment to the cosmetics brand and its relationship with brand attitude is reviewed, it was found that brand attachmen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brand attitude. The result of hypothesis verification supported the hypothesis 4 that brand attachment of cosmetic brand would have a positive effect on brand attitude. Finally, when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election emotion and brand attitude, it was found that selection emotion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brand attitude. The result of hypothesis verification supported hypothesis 5 that selection emotion of cosmetic brand would have a positive effect on brand attitude. The above findings suggest that the higher the self preference of cosmetics brands, the more positive influence on brand attachment, selection emotion, and brand attitude, and the higher attachment awareness on brand, the more positive influence on selection emotion and brand attitude. Ther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it obtained above results.

      • 화학제염 공정의 개발현황 및 개선방안 고찰

        김시연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원전 해체 과정에서 계통제염은 원전 해체 작업자들의 피폭선량을 낮추기 위해서 가장 선제적으로 행해지는 제염활동이다. 계통제염 공정이 바르게 수행되지 않을 경우, Hot Spot이 생기거나 전반적인 공간선량률이 올라가서 공정을 수행하는 데 큰 걸림돌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공정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해당 논문에서는 화학제염 공정의 과정 및 종류에 대해 알아보고자 했다. 경수로의 경우, 화학제염을 수행해야 하는 산화피막이 철, 니켈, 크롬의 복합체로 구성되어 있어서 화학제염 공정이 까다롭다. 그래서 산화와 환원 환경을 반복적으로 조성해 복합체를 제거하여 제염계수를 올리는 과정을 포함한다. 전반적인 화학제염의 공정단계는 유사하지만, 어떤 산화제와 환원제를 사용하는지에 따라, 그리고 추가적인 설비의 필요 유무에 따라 화학제염 공정의 종류를 구분할 수 있는데, 해당 논문에서는 가장 널리 사용되는 4가지의 공정을 선정하여 단계를 자세히 서술하였다. 또한 해당 공정이 수행된 전 세계의 발전소의 경험 사례들을 살펴보았다. 대표적으로, 미국, 독일, 일본의 사례를 검토하였는데, 화학제염 공정 수행 중 발생한 특이사항이나 추가적인 개선사항을 파악하고자 했다. 국내에서도 고리 1호기의 화학제염을 기점으로 독자적인 화학제염 공정 개발에 착수했는데, 한수원 중앙연구원의 CRI_Decom 공정과 한국원자력연구원의 HyBRID 공정이 있다. 이 공정들의 특이점에 대해 살펴보고, 향후 화학제염 공정들이 앞으로 개발되어야 하는 방향에 대해서 고찰하고자 했다. 전세계에서 수행되고 있는 화학제염 공정의 경우, 제염 능력이나 공정 수행시 안전성 측면은 충분히 달성했다. 하지만 공정을 수행하면서 발생하는 2차폐기물이 최근 방사성폐기물 처리문제와 맞물려 큰 이슈가 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2차폐기물을 저감할 수 있는 방향으로 새로운 공정이 시도되거나 무기산 기반의 공정을 개량 및 개발하는 움직임이 포착되고 있다. 이를 살펴보고 앞으로 화학제염공정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서 고찰하고자 한다. In the process of decommissioning a nuclear power plant, system decontamination is the most preemptive decontamination activity in order to lower the exposure dose of the decommissioning workers. If the systemic inflammation process is not performed properly, hot spots may occur or the overall air dose rate may rise, which may become a major obstacle to the process. In order to successfully carry out these processes, this paper tried to investigate the processes and types of chemical decontamination processes. In the case of light water reactors, the chemical decontamination process is difficult because the oxide film to be chemically decontaminated is composed of a complex of iron, nickel, and chromium. Therefore, it involves the process of increasing the decontamination factor by repeatedly creating an oxidizing and reducing environment to remove the complex. Although the overall chemical decontamination process steps are similar, the types of chemical decontamination processes can be classified according to which oxidizing agent and reducing agent are used and whether additional equipment is needed. The steps were selected and described in detail. In addition, we looked at the experiences of power plants around the world where the process was performed. Representatively, the cases of the United States, Germany, and Japan were reviewed, and it was attempted to identify specific issues or additional improvements that occurred during the chemical decontamination process. In Korea, starting with the chemical decontamination of Kori Unit 1, the company started developing its own chemical decontamination process. There are the CRI_Decom process of the KHNP and the HyBRID process of the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We tried to examine the peculiarities of these processes and to consider the direction in which these processes should be developed in the future. In the case of the chemical decontamination process being carried out all over the world, the decontamination ability and safety aspect during the process have been sufficiently achieved. However, secondary waste generated during the process is becoming a big issue in connection with the recent radioactive waste treatment problem. Accordingly, in recent years, a new process is attempted in a direction that can reduce secondary waste, or a movement to improve and develop an inorganic acid-based process is being captured. We will look into this and consider the direction the chemical decontamination process should take in the future.

      • 산스끄리뜨어와 힌디어 도구격의 특성에 관한 연구

        김시연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article is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instrumental case in Sanskrit and Hindi. In Sanskrit and Hindi, Instrumental case expresses a wide variety of implications including instruments, means, methods, criteria, accompanying, and agent in passive voice. Thus, understanding the implications of instrumental case has not only a high importance but also a need for learning and teaching of both languages - Sanskrit and Hindi. However, still few individual studies have been conducted in not only Korea but also any other countries on instrumental case in Sanskrit and Hindi. Therefore, this article is aimed to clarify the implications and usages of instrumental case in Sanskrit and Hindi. There are some differences between these two languages in instrumental case. At the same time, this article tried to find out cause of the differences by comparing two languages. First, in this article, here states about karaṇa kāraka in Sanskrit focused on Paṇini's sūtras. Paṇini defined that the karaṇa kāraka is the most effective means of completing the verb's act in sentences with kāraka sūtras. With this, Paṇini sūtra presents the individual circumstances and implications of using karaṇa kāraka with subordinative sūtras. Karaṇa kāraka expresses instruments, means, methods, causes, reasons, agent, equivalents, accompanying, deficiencies, time lapse, price, exchanging value etc. and about conjugations of a few verbs. It is expressed through tṛtīyā vibhakti- the third case marker and some implications can be expressed by using the caturthī vibhakti and paṅcamī vibhakti. Next, in Hindi, instrumental case expresses similar to the definition of karaṇa kāraka in Sanskrit, so expressing the usage as an instrument with some acts of verbs. In general, implications of instrumental case in Hindi are presented with the case postposition Se. It expresses instruments, means, methods, rides, accompanying, relatives, body abnormalities, criteria, units, and directions. As the instrumental case in Sanskrit can be expressed by tṛtīyā vibhakti and caturthī vibhakti and paṇcamī vibhakti, it can be expressed with postposition Par, Meṃ and some complex postpositions in Hindi. Respectively looking at the implications of instrumental case in Sanskrit and Hindi, in this article, it is showed that most of the implications are similar, and what was expressed as a tṛtīyā vibhakti is represented by the postposition Se. However, some of the implications like cause, reason, equality, companionship, deficiency, and passage of time, differ in terms of meaning and expression of cases, such as the combination of words with individual meanings and the possessive postposition Kā. As a cause of these differences in both languages, this article presents two hypotheses. One is about changes in syntax during the development of the Indo-Aryan language and another is about changes resulting from the reduction of cases that can commonly happen in Indo-European language. Both hypotheses suggest that changes in the form of a language and changes with semantic cases of meaning which have similar implication take same form of expression depending on reduction of cases.

      • 페이지랭크 알고리즘을 이용한 논문 분류 기법

        김시연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학술 논문의 발행 편수가 급격히 늘어나고 있다. 이에 따라, 많은 양의 신규 논문이 추가 되고 있는 상황에서 사용자가 직접 논문을 검색하여 자신이 원하는 주제의 논문을 찾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 되고 있다. 따라서 문서 자동 분류 기법을 활용하여 논문을 분류하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문서 분류 기법은 미리 정의된 범주들을 사용하여 가장 비슷한 범주로 문서를 분류하는 지도학습 기술이다. 문서 분류 기법은 일반적으로 벡터 공간 모델에서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단어간 빈도수를 기반으로 유사도를 비교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분류 기법은 단순한 단어의 유사도에만 초점을 두고 있어 논문이 가지고 있는 참고 문헌, 저자, 출처등 다양한 구조적 정보를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은 대부분의 논문들이 자신과 유사한 연구 주제를 가진 논문을 참조하고 있다는 사실에 기반하여 참조 관계를 활용한 새로운 논문 분류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 기법은 특정 주제에 해당하는 논문은 해당 주제의 중요 논문을 더욱 자주 참조한다는 가정 아래, 특정 주제의 논문들의 참조 관계를 그래프로 표현하고, 페이지 랭크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각 논문의 중요도를 분석한다. 그리고 분류 대상 논문이 참조하는 특정 주제 논문들의 페이지랭크 점수 합을 기반으로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해당 문서를 분류한다. 본 논문에서는 또한 이 제안 기법을 기존의 텍스트 기반 문서 분류 기법과 결합하여 특정 주제의 논문을 보다 정확하게 분류하는 하이브리드 문서 분류 기법을 제안한다. 본 제안 기법은 단순히 많은 논문을 참조했다는 정보보다 특정 주제의 논문 중 얼마나 중요한 논문을 참조하고 있는지에 의하여 논문을 분류하므로 특정 주제의 논문을 보다 정확하게 분류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기존의 다양한 문서 분류 기법과 결합하여 이용이 가능하다. 본 논문은 제안 분류 기법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해서 디지털 라이브러리 CiteSeerX와 DBLP에서 제공하는 실제 논문을 대상으로 다양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을 통해 제안 기법이 기존의 방법에 비하여 얼마나 정확히 문서를 분류하는지 검증하였고 이를 통해 제안 기법의 우수성을 증명하였다. The number of published research articles has been increasing remarkably each year. For any researcher, it is not an easy task to browse an academic archive to find relevant work in the middle of flooding research articles. Hence, there has been a need for developing automatic document classifications, which are defined as pigeonholing similar documents together into predefined domains. A popular approach in recent years has been using machine learning algorithms with simple text-based similarities. However, this approach suffers from the limitation of word-similarity-based classifications, which cannot exploit sufficiently structural information of documents. Research articles have special features that are typically not found in other types of articles or documents, which are, namely: reference list, author, publication, and keywords. In research articles, references are organized scrupulously and articles with the same category reference similar important articles. Similarity in reference relationship between research articles cannot be easily perceived with word similarity, and typical document classifications falls short of expectation in this aspect. To overcome this limitation, the paper proposes a novel document classification method exploiting the characteristic that influential articles in similar fields are frequently cited by articles in the same class. Combined with the conventional text-based classification model, the proposed method classifies a document by PageRank-based scores of its references on a trained graph-based model. For the purpose of determining the topic of any given research article, our proposed method extends the conventional method of merely counting the reference frequency by considering whether important sources within the subject class are referenced. In addition, this method is flexible enough to be combined with other document classification methods.

      • 북한관련 뉴스가 한국 주식시장에 미치는 영향

        김시연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study, I practiced an analysis of the impact of Inter-Korean news on Korean stock market and Economic cooperation stocks, using Stochastic Volatility model analysis which is one of time-series methodologies. As the most influential and representative Inter-Korean news, two keywords, ‘North Korea nuclear experiment’ and ‘Inter-Korean summit’ were selected and revised frequency data of Google Index was utilized to represent the Inter-Korean new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Inter-Korean summit has no impact on Korean stock market but the 2nd and 5th North Korea nuclear experiment has negative impact on Korean stock market and Economic cooperation stocks. 본 논문에서는 시계열 분석의 한 방법인 SV(Stochastic Volatility) 모형을 통해서 북한관련 뉴스가 한국 주식시장, 남북경협주의 주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북한관련 뉴스로는 가장 큰 사건인 북핵 실험과 남북 정상회담을 선정하였고, 해당 사건들에 대한 경제주체들의 반응을 나타내는 변수로 빈도(frequency)가 개선된 구글 검색지수가 사용되었다. 분석 결과, 남북 정상회담은 주식시장과 남북경협주에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북핵 실험 중에서는 2차와 5차에서 유의미한 부정적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