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스케일러블 비디오 압축을 위한 HDR-LDR 톤 맵핑 및 고속화 방법에 관한 연구

        김승휘 광운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UHD(Ultra High Definition) 급 해상도는 점차 보편화되고 있으며, 소비자들 또한 고화질 영상에 익숙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사람의 눈이 담을 수 있는 가장 넓은 범위의 다이나믹 레인지에 맞춘 HDR(High Dynamic Range)에 대한 연구는 점점 활발해지고 있는 추세이다. 하위 호환 가능한 HDR 영상 압축을 위해 HDR 영상을 LDR(Low Dynamic Range) 영상으로 비트 깊이를 낮춰주는 톤 맵핑(tone mapping)은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톤 맵핑 및 영상 압축에서 발생하는 확률과 HVS(Human Visual System)의 특징을 이용하여 LDR 영상과 복원된 HDR 영상의 화질을 모두 고려한 톤 맵핑을 제안한다. 톤 맵핑 식은 원본 HDR 영상과 복원된 HDR 영상 사이의 오차를 가장 적게 하면서 HVS의 특징을 고려한 통계적 모델을 통해 도출한다. 또한 KKT(Karush-Kuhn-Tucker) 최적 조건을 이용하여 폐형태의 해(closed-form solution)을 찾아냈고, JND(Just Noticeable Difference)의 특징을 적용하여 톤 맵핑 식을 재정립한다. 또한 영상의 해상도가 점점 커지면서 고속화에 대한 연구도 중요해지고 있다. 특히 하위 호환 가능한 차세대 HDR 비디오 표준을 만들기 위해 HEVC(High Efficiency Video Coding)의 확장 표준인 SHVC(Scalable HEVC)에 대한 고속화 연구가 활발하다. SHVC는 멀티-계층 복호화의 수행으로 인해 단일 계층으로 이루어진 HEVC에 비해 더 높은 복잡도를 요구한다. 그 결과로 실시간 복호화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상당한 어려움이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고속화 방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UHD 영상을 기준으로 공간적 스케일러빌리티를 제공하는 실시간 SHVC 복호화기를 위한 몇 가지 고속화 기법들을 소개한다. 데이터 단위에서 SIMD(Single Instruction Multiple Data)를 이용하는 병렬 연산 방법을 제안하고, 구조적인 측면에서 OpenMP를 이용한 멀티스레딩 기반 tile, in-loop filter와 layer 병렬화에 대한 방법을 설명한다. 마지막으로 기존의 비효율적인 업샘플링 과정을 On-the-fly 기반 업샘플링으로 대체하여 복잡도를 감소시키는 방법을 제안한다. Recently UHD(Ultra High Definition) resolution is more acceptable, and consumers are also getting used to high-definition video. Accordingly, the study on the HDR(High Dynamic Range) of the most wide range of dynamic range is a gradually becoming more active. For backward compatible high dynamic range video compression, Tone-mapping is essential. This paper proposes a Tone-mapping using a probability in video compression and feature of HVS(Human Visual System) considering LDR image and reconstructed HDR image. a Tone-mapping curve is proposed with minimizing MSE(Mean Square Error) of original HDR image and recontructed HDR image, derived by a statistical model. Also, we develop a closed-form solution using optimal condition of KKT(Karush-Kuhn-Tuchker), and redefine a Tone-mappin curve with adjusting a JND(Just Noticeable Difference) feature. And the resolution of the video getting increases, as a fast research is also important. Especially, a study about SHVC(Scalable HEVC) of expansion standard of HEVC(High Efficiency Video Coding) for backward compatible HDR standard is active. SHVC is more complicated than HEVC with single layer because it is made up of multi-layer. As a result, we propose a new method because SHVC is difficult to use the decoder in real time. We propose some fast method for real-time SHVC decoder with UHD resolution. First, we show parallel method using SIMD(Single Instruction Multiple Data) for data unit and OpenMP for structural side. Lastly, we proposed On-the-fly up-sampling method to replace existing up-sampling for complexity reduction.

      • 커피 전문점의 물리적 환경이 고객만족 및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승휘 경성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Recently, coffee is the most preferred drink for adults in Korea, and coffee-related consumer spending has more than doubled in the past five years. And coffee franchises are the third-highest number of stores after Korean food and chicken, and more than half of Sophie consumers are habitually drinking coffee, with single-person households and women in their 50s spending increasing. Unlike in the past, consumers and customers often decide to visit coffee shops or cafes based on the atmosphere, although the taste of coffee is important. Therefore, in order to overcome the intangible nature of the service, the physical environment must help customers who are concerned about the quality of the service understand the service produc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management of coffee shops by analyzing how the physical environment affects customer satisfaction and revisit.A sample of this study was conducted on residents in Busan who have experience using coffee shops in the past three months. Survey collection conducted self-introduction surveys using Google questionnaires online. The data collection and survey period was conducted from 30 January to 14 February 2021 by collecting 30 copies of responses from preliminary surveys. The measurement tool was inspected and the correction of the correction was granted, and a total of 394 responses were collected and utilized by conducting the main survey from March 1, 2021 to March 20, 2021. The analysis method for empirical analysis empirically verified various research theories according to the research model by constructing questionnaires based on prior research and distributing and retrieving questionnaires and statistically processing them. Empirical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is validated using feasibility and reliability analysis,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structural model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using the SPSS 25.0 statistical package and AMOS 23.0.The results of hypothesis verification through structural equat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cleanliness, spatiality, and convenience of coffee shops did not represent a significant impact on customer satisfaction. Attractiveness represented a significant (+) influence on customer satisfaction. Second, the results of the verific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ustomer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of coffee shops showed that customer satisfac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ion of revisit. It can be seen as showing the resultsBased on the findings, we present the following implications: Through this study, the importance and preference of the composition of the physical environment of customers using coffee shops should be identified and the importance of the impact on reuse intentions as a medium of customer satisfaction. Recognizing that any of the factors selected in the physical environment's choices change the impact of revisit upon customer satisfaction, efforts should be made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customer satisfaction and meet customer satisfaction and needs. Furthermore, we find that only attractiveness among physical environments has the greatest impact on satisfaction in the effects of the nature of choice in the physical environment on customer satisfaction. Through these results, coffee shops will have to come up with management measures by emphasizing their attractiveness, including interior design, decoration, and balance. This will lead to high customer satisfaction and re-visit and increase sales.

      • 필수유지업무제도에 관한 연구

        김승휘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공익사업의 노동쟁의를 해결하기 위한 절차로써 직권중재제도가 시행되고 있었으나, 이 제도는 필수공익사업에 종사하는 근로자의 단체행동권을 사전적·전면적으로 금지하는 형태로 운영될 여지가 있다는 점에서 위헌의 소지를 가지고 있다. 이에 대한 계속되는 논란으로 인해 직권중재제도가 폐지되고 필수유지업무제도가 도입되었다. 직권중재제도가 단체행동권을 지나치게 금지·제한하는 형태로 운영되어 문제가 되었으므로 필수유지업무제도는 가능한 단체행동권을 허용하는 제도로 설계·운영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필수유지업무에 대해서만 쟁의행위가 금지되고 그 밖의 영역에 대해서는 쟁의행위가 허용되는 것이다. 따라서 쟁의행위가 금지되는 영역인 필수유지업무의 범위를 어떻게 설정하는지가 제도에서 핵심적인 부분이라고 볼 수 있는데, 필수유지업무의 범위를 설정함에 있어 다음과 같은 점들이 고려되어야 한다. 첫째, 필수유지업무제도는 직권중재제도와는 달리 가능한 쟁의행위를 허용하는 방식으로 운영되어야 한다. 둘째, 헌법 제37조 제2항에 따라 단체행동권의 제한이 가능하지만, 그 제한의 범위는 최소한의 범위로 한정되어야 한다. 헌법 제33조 제3항에서 주요방위산업체에 종사하는 근로자에 대해서는 단체행동권의 전면적 금지를 허용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노조법은 주요 업무에 대해서만 단체행동권을 제한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필수유지업무의 범위도 핵심적인 업무에만 한정하는 것이 타당하다. 셋째, 필수유지업무의 쟁의행위를 금지하는 것에 대한 대상조치가 없다는 점을 고려할 때, 그 업무의 범위는 최소화되어야 한다. 만약 업무의 범위가 광범위하게 설정될 경우 마땅한 대상조치가 없다는 점에서 직권중재제도보다 더 많은 단체행동권 침해를 하게 된다. 그러나 현재 노조법 시행령은 필수유지업무의 구체적 범위를 지나치게 광범위하게 설정하고 있어서 사실상 필수공익사업 전반에 대해 쟁의행위를 금지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내고 있다고 생각한다. 필수유지업무협정·결정의 법적 성격을 단체협약으로 볼 것인지, 이와 구별되는 별도의 협정으로 볼 것인지에 대해 견해가 대립하고 있다. 협정(결정)과 단체협약은 체결주체 및 체결방식이 동일하므로 양자를 같은 성격으로 볼 여지도 있으나, 첫째, 노동조합이 단체협약을 체결할 수 있는 권리는 헌법에서 보장하고 있는 근로3권을 기반으로 하는 것인 반면, 협정을 체결할 권한은 노조법에 의해 노동조합에게 위임된 것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고, 둘째, 단체협약이 적정한 근로조건의 형성을 위해 체결되는 반면, 협정은 근로조건과는 관계없이 공익적 목적을 위해 체결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으므로, 협정(결정)은 단체협약과 구별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따라서 협정(결정)에 대해서는 단체협약에 적용되는 노조법의 규정이 적용될 여지가 없으며, 협정의 체결을 위한 쟁의행위도 허용되지 않는다. 협정은 단체협약과 달리 체결 당사자만을 구속하므로 협정 자체로부터 필수유지업무조합원의 근로제공의무가 발생한다고 볼 수는 없고, 노조법 제42조의2로부터 필수업무에 종사하는 근로자의 근로제공의무는 잠정적으로 발생하는 것이며, 42조의6에 따른 노동조합의 통보와 사용자에 의한 지명에 따라 확정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노조법 제42조의3은 협정의 체결주체를 노동조합으로 규정하고 있으나 단체협약과 협정의 체결주체는 그 역할이 다르고, 협정은 사업장 별로 체결되어야 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협정의 체결주체를 반드시 노동조합으로 볼 필요는 없을 것이다. 쟁의행위가 금지되어야 할 대상 직무와 유지수준을 가장 잘 이해하고 있는 자가 협정의 체결주체가 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독립적으로 단체협약을 체결할 능력을 갖지 못한 지부·분회라도 협정의 체결주체가 될 수 있다고 본다. 노동위원회의 결정을 준수하면서 쟁의행위를 한 경우, 노조법 제42조의5에 따라 필수유지업무를 정당하게 유지·운영하면서 쟁의행위를 한 것으로 간주하지만, 협정을 준수하면서 쟁의행위를 한 경우에 대해서는 노조법에서 규정하고 있지 않다. 결정은 협정을 보완하는 수단이라는 점에서 양자는 본질적으로 같은 성격을 갖는 것으로 볼 수 있지만, 결정의 주체가 객관적·중립적 기구인 노동위원회인 반면 협정은 노사관계 당사자라는 점에서 차이가 존재한다. 이러한 공통점과 차이점을 고려하고, 협정체결 절차가 무의미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협정에 따라 쟁의행위를 한 경우에는 필수유지업무를 정당하게 유지·운영한 것으로 추정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한다. 협정(결정)은 쟁의행위가 금지되는 영역을 설정하여 필수업무가 정당하게 유지·운영되도록 하기 위한 도구이므로, 협정(결정)을 준수하였는지 여부가 쟁의행위의 정당성 판단에 중요한 기준으로 작용함은 틀림이 없다. 그러나 필수업무가 정당하게 유지·운영되었는지 여부는 쟁의행위 발생 후 사후적 측면에서 판단할 성질의 것이므로, 단순히 협정(결정)을 위반하였다는 것 자체로 쟁의행위의 정당성이 상실되지는 않는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